KR101880920B1 - 차량용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920B1
KR101880920B1 KR1020140041868A KR20140041868A KR101880920B1 KR 101880920 B1 KR101880920 B1 KR 101880920B1 KR 1020140041868 A KR1020140041868 A KR 1020140041868A KR 20140041868 A KR20140041868 A KR 20140041868A KR 101880920 B1 KR101880920 B1 KR 10188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sealing member
shel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671A (ko
Inventor
권혁철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9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양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AVN장치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 적어도 1개는, 외관을 정의하고, 그 내부에 와이어가 위치되는 아웃터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 또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실링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촬영 시스템{MOVING IMAGE PHOTOGRAPH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기판이나 와이어와 같은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전장 부품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 중 특히, 자동차와 같이 실외에서 동작하는 제품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에는, 소정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수 서능을 확보하기 위한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외관을 정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접촉 단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및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 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및 와이어 사이의 틈새가 실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경우에는, 단순히 상기 실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 및 와이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이나 와이어, 특히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실링 부재가 이동하여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한 실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견고하게 실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양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AVN장치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 적어도 1개는, 외관을 정의하고, 그 내부에 와이어가 위치되는 아웃터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 및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 또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실링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라를 실링하는 상기 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쉘의 외주면 나머지에는 상기 슬리브 및 실링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를 실링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슬리브에 의하여 압착되어 고정되는 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서브 실링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양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AVN장치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쉘; 상기 제1쉘의 내부에서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접촉 단자;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와이어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제1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제1쉘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1슬리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커넥터의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쉘의 일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1이너 하우징;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이너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서브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는,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쉘; 상기 제2쉘의 내부에서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접촉 단자와 결합되는 제2접촉 단자; 상기 제2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와이어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제2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제2쉘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메인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슬리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커넥터의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2메인 실링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제2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쉘의 일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2이너 하우징; 을 포함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아웃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이너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제2서브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이너 하우징 및 아웃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이 와이어가 내부에 위치되는 쉘과 상기 아웃터 하우징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이너 하우징 및 아웃터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 부재의 일부가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주면에 위치되는 슬리브에 의하여 압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향상된 방수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보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100)(200)는, 제1 및 제2커넥터(100)(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는 각각 제1 및 제2와이어(W1)(W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하우징(110), 제1쉘(120), 제1접촉 단자(130), 제1인슐레이터(140), 제1실링 부재(150), 및 제1슬리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10)은 제1아웃터 하우징(111) 및 제1이너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 부재(150)는, 제1메인 실링 부재(151) 및 제1서브 실링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은, 상기 제1커넥터(100)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은,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에는 상기 제1와이어(W1)가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하기 위한 제1록킹 부재(1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은,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의 외주면은,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도,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과 유사하게,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은,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의 외주면에 제1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14)은,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의 외주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114)은 상기 제1서브 실링 부재(152)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쉘(120)은, 상기 제1접촉 단자(130)가 위치되는 곳이다. 상기 제1쉘(120)은, 양단이 개방되는 중공의 원통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 및 제1이너 하우징(113)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쉘(120)의 일부는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쉘(120)의 나머지는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1접촉 단자(130)는, 상기 제1와이어(W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접촉 단자(130)는,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접촉 단자(230)와 접촉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접촉 단자(130)가 암단자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 단자(130)는, 상기 제1쉘(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 제1이너 하우징(113) 및 제1쉘(120)의 개방되는 일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40)는, 상기 제1접촉 단자(130)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40)는, 상기 제1쉘(120)의 내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쉘(120)과 제1접촉 단자(13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실링 부재(150), 즉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 및 제1서브 실링 부재(152)는, 각각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과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 사이, 및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과 상기 제1와이어(W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는,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개방되는 타단에 인접되도록,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과 제1와이어(W1)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제1와이어(W1)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서브 실링 부재(152)는, 상기 제1안착홈(114)에 안착되어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과 제1이너 하우징(11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서브 실링 부재(152)도, 그 내주면 및 외주면이 각각 상기 제1이너 하우징(113)의 외주면과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111)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 및 제2서브 실링 부재(252)는, 각각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슬리브(160)는, 상기 제1쉘(120) 및 제1와이어(W1)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압착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슬리브(160)가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제1슬리브(160)가, 그 내주면 일부가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쉘(120) 및 제1와이어(W1)의 중심을 향하여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151)도, 상기 제1슬리브(160)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하우징(210), 제2쉘(220), 제2접촉 단자(230), 제2인슐레이터(240), 제2실링 부재(250), 및 제2슬리브(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커넥터(200)의 구성 요소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구성 요소, 즉 상기 제1하우징(110), 제1쉘(120), 제1접촉 단자(130), 제1인슐레이터(140), 제1실링 부재(150), 및 제1슬리브(160)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접촉 단자(230)는, 상기 제1접촉 단자(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숫단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210)을 구성하는 제2이너 하우징(213)의 외주면에는 2개의 제2안착홈(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링 부재(250)를 구성하는 제2서브 실링 부재(252)로 2개로 구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촬영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10),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20), 제1 및 제2와이어(W1)(W2), 및 커넥터(100)(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는, 기존의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카메라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방, 후방, 측방 중 어느 일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AVN장치(20)는, 차량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는,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10) 및 AVN장치(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는, 상기 카메라 모듈(10) 및 AVN장치(20) 사이의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커넥터(100)(200)는, 상술한 제1 및 제2커넥터(100)(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가 결합되면, 제2접촉 단자(230)가 제1접촉 단자(1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20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실링 부재(250), 특히, 제1 및 제2메인 실링 부재(251)가 각각 제1 및 제2슬리브(260)에 의하여 압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W1)(W2)에 작용하는 외력 등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메인 실링 부재(251)가 이동하여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링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메인 실링 부재 이외에 상기 제1 및 제2서브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서브 실링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설치 환경이나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10: 카메라 모듈 20: AVN장치
100, 200: 커넥터 110, 210: 하우징
111, 211: 아웃터 하우징 112, 212: 록킹 부재
113, 213: 이너 하우징 114, 214: 안착홈
120, 220: 쉘 130, 230: 접촉 단자
140, 240: 인슐레이터 150, 250: 실링 부재
151, 251: 메인 실링 부재 152, 252: 서브 실링 부재
160, 260: 슬리브 W1, W2: 와이어

Claims (10)

  1.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양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AVN장치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 중 적어도 1개는,
    외관을 정의하고, 그 내부에 와이어가 위치되는 아웃터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아웃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쉘;
    상기 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단자;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 또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실링 부재; 및
    상기 쉘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를 실링하는 상기 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외주면 일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쉘의 외주면 나머지에는 상기 슬리브 및 실링 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를 실링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슬리브에 의하여 압착되어 고정되는 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아웃터 하우징과 이너 하우징 사이를 실링하는 서브 실링 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5.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양측방 중 적어도 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Audio/Video/Navigation: AVN)장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
    상기 AVN장치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쉘;
    상기 제1쉘의 내부에서 상기 제1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접촉 단자;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와이어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제1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제1쉘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1슬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커넥터의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1메인 실링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쉘의 일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1이너 하우징; 을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아웃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1이너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제1서브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쉘;
    상기 제2쉘의 내부에서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접촉 단자와 결합되는 제2접촉 단자;
    상기 제2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와이어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제2메인 실링 부재; 및
    상기 제2쉘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메인실링 부재의 일부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슬리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커넥터의 외관을 정의하고, 상기 제2메인 실링 부재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2아웃터 하우징; 및
    상기 제2아웃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쉘의 일부가 그 내부에 위치되는 제2이너 하우징; 을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아웃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이너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적어도 1개의 제2서브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촬영 시스템.
KR1020140041868A 2014-04-08 2014-04-08 차량용 촬영 시스템 KR10188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868A KR101880920B1 (ko) 2014-04-08 2014-04-08 차량용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868A KR101880920B1 (ko) 2014-04-08 2014-04-08 차량용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71A KR20150116671A (ko) 2015-10-16
KR101880920B1 true KR101880920B1 (ko) 2018-07-23

Family

ID=5436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868A KR101880920B1 (ko) 2014-04-08 2014-04-08 차량용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720A (ko) 2022-03-07 2023-09-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메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014A (ko) * 1999-11-17 2001-06-15 이배 매몰 생존자 탐색기
US20130162028A1 (en) * 2011-12-27 2013-06-27 Ian Bierley Wiring system for car reversing camera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014A (ko) * 1999-11-17 2001-06-15 이배 매몰 생존자 탐색기
US20130162028A1 (en) * 2011-12-27 2013-06-27 Ian Bierley Wiring system for car reversing camera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71A (ko) 201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806B2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カメラ
US9124024B2 (en) Connector having inner conductive member
US10601191B2 (en) Connector module and onboard camera using the same
US9130328B1 (en) RF pass-through connector
EP2023607B1 (en) Vehicle camera system
US10340587B2 (en) Antenna assemblies having sealed cameras
JPH11162555A (ja) 防水コネクタ
JPWO2007097394A1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防水構造
US20140206232A1 (en) Shiel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hield connector
CN107017514A (zh) 装备有索环的连接器以及连接器
WO2013161341A1 (ja) 防水コネクタ
US10129443B2 (en) Imaging device
KR101880920B1 (ko) 차량용 촬영 시스템
JP7066275B2 (ja) コネクタ
JP2011258422A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CN103581519A (zh) 车内照相机装置
CN205429250U (zh) 连接器组件和包括该连接器组件的摄像组件
EP3113293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JP2020057603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を製造する方法
US9825401B2 (en) Connector with a biasing elastic member
KR101580361B1 (ko) 카메라 모듈
US9967443B2 (en) Imag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ase, a substrate, and a second case
US9407032B1 (en) Waterproof device for connector joint
JP4943485B2 (ja) 同軸コネクタ
JP5978511B2 (ja) 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