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99B1 -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999B1
KR101879999B1 KR1020170134983A KR20170134983A KR101879999B1 KR 101879999 B1 KR101879999 B1 KR 101879999B1 KR 1020170134983 A KR1020170134983 A KR 1020170134983A KR 20170134983 A KR20170134983 A KR 20170134983A KR 101879999 B1 KR101879999 B1 KR 10187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nozzle
water
ho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환기
Original Assignee
유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기 filed Critical 유환기
Priority to KR102017013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02P60/1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미스트에 의해 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분무되는 미스트가 작물에 떨어지지 않고 바로 기화됨에 따라 작물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분무노즐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무조절구의 경사진 분무가이드홀을 통해 유체가 와류되어 분무될 수 있어 미스트 분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정지시 잔류하는 유체가 바로 바이패스 제거되어 작물 측으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작물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도조절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system using spray nozzle}
본 발명은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도 및 습도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되, 유체가 분무 즉시 기화되도록 하여 작물의 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압축스프링의 압력이 용이하도록 하여 유체가 방울지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재배에 사용되는 비닐하우스는 온실효과를 통해 작물의 성장 및 재배 환경을 맞춰줄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로서, 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을 상호간 결합하여 하우스의 골격을 형성시킨 다음 골격의 외면에 비닐을 덮어 보온에 의한 온실효과를 발휘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실효과를 갖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날씨나 계절에 관계없이 채소류나 과수류를 재배하고 있으며, 겨울철의 경우에는 온실효과의 저감에 의한 재배작물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스 내부에 난방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하우스 내부 난방의 실시나 보온효과에 의해 건조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수분을 공급하여 습도 조절을 병행하고 있다.
또한, 여름철에는 태양광의 영향에 의해 하우스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증대됨에 의해 외기의 온도와 큰 차이를 갖게 되어 작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거나 고사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스 내부에 물을 뿌려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우스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분사된 물이 재배작물에 접촉되어 오히려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사되는 물의 분사압력에 의해 작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986324호인 포그노즐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단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형성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노즐몸체, 일단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 내주면에 상가 헤드가 삽입결합하는 압력핀, 상기 압력핀 타단과 결합하는 탄성체 및 일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체 타단이 삽입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홀이 절개형성되며 일단의 외주면이 상기 노즐 몸체의 결합공에 삽입결합하는 스트레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그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에서, 상기 분사구의 주위는 원호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나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유입홀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방향으로 곡선형 또는 요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의 타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외주면이 형성되는 지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타단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 및 나사골이 형성된 나사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결합공의 내주면과 상기 스트레나의 일단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압력핀의 헤드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숫자 및 분사구의 내경크기를 조절하여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미세량의 유체가 분사되도록 함에 따라 작물의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에 문제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스트레나의 타단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주면에 구비된 유입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노즐몸체의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과정에서 유체가 노즐몸체측으로 꺾이면서 유입됨에 따라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이에 따른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이 저하되어 물이 작물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6324호(2010.10.01. 등록)
본 발명은 노즐몸체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이 직진성을 갖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이 저하됨을 방지하여 유체가 분무 즉시 기화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체가 방울지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와;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 각각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복수개의 분무노즐과;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 각각에 물을 분배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동펌프와; 상기 구동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펌프에 의해 분배기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구동펌프와 분배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분배기(30)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밸브와; 상기 분배기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체흐름을 단속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에 의해 분배기측으로 물의 공급이 차단된 후 분배기측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 각각에는 이 물분배공급부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는 노즐연결구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연결구에 의해 상기 분무노즐이 상기 물분배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연결구는, 상기 분무노즐이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구멍을 갖는 노즐연결몸체와; 상기 노즐연결몸체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상기 물분배공급부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배공급부에는, 상기 나사부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분무노즐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홀과 상기 유입홀로부터 연장되는 수용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과 수용홀을 구획하는 경사진 차단면이 구비되고 외부 일측에 제1나사체결부가 구비되며 타측에 밀착면을 갖는 제2나사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홀로부터 연장되는 확개면을 갖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와 나사체결되고 내면에 걸림면이 구비되며 분무가이드부를 갖는 분무구와; 상기 분무구의 걸림면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면에 밀착되고 상기 분무구의 분무가이드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호퍼형 분무가이드면과 상기 분무가이드면과 연결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분무가이드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분무가이드면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가이드된 유체를 미스트 분무하는 분무구멍을 갖는 분무가이드와; 상기 노즐몸체와 상기 분무가이드 사이에 구비되어 노즐몸체와 분무가이드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하는 밀폐링과; 상기 노즐몸체의 수용홀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과 대응되는 호퍼형 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끼움부를 갖는 분무조절구와; 상기 노즐몸체의 수용홀에 수용되고 상기 분무조절구의 제1끼움부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분무조절구를 상기 분무가이드측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노즐몸체의 수용홀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과 수용홀을 구획하는 차단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상기 차단면을 개방하고 유입홀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면을 차단하는 호형의 차단부를 갖는 유체유입개폐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우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미스트에 의해 하우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분무되는 미스트가 작물에 떨어지지 않고 바로 기화됨에 따라 작물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분무노즐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무조절구의 경사진 분무가이드홀을 통해 유체가 와류되어 분무될 수 있어 미스트 분무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정지시 잔류하는 유체가 바로 바이패스 제거되어 작물측으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작물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의 분무노즐이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의 분무노즐이 연결상태를 나타낸 확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의 구성요부인 분무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의 구성요부인 분무노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의 유체흐름이 차단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의 분무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조절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복수개의 분무노즐(20)과,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물을 분배공급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분배기(30)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동펌프(40)와, 상기 구동펌프(4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펌프(40)에 의해 분배기(30)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50)와, 상기 구동펌프(40)와 분배기(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분배기(30)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밸브(41)와, 상기 분배기(30)와 상기 물탱크(5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60)과, 상기 바이패스관(60)의 유체흐름을 단속하는 제2밸브(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펌프(40)와 분배기(30) 사이에는 병렬로 히터(70)가 더 설치되어, 개폐밸브의 조작으로 유로를 변경하면 히터(70)를 경유한 유체의 온도가 상승되어 출력됨으로서 겨울철 하우스(H)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한 상기 물탱크(50)에는 냉각부(80) 및 여과부(90)가 더 연결 설치된다.
상기 냉각부(80)는 제1순환펌프 및 냉각기로 구성되어, 상기 물탱크(50) 내부에 있는 물을 순환시키되, 냉각기를 이용하여 물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여름철에 물탱크(50) 내부의 온도를 낮춰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부(90)는 제2순환펌프와 제3여과기를 구비하여, 상기 물탱크(50) 내부에 있는 물을 순환시키되, 제3여과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물탱크(50) 내부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50)로 급수되는 유입단에는 제1여과기(51)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50)로부터 배출되는 유출관에는 제2여과기(52)가 설치되어 필터링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물분배공급부(10)는 파이프와 같은 관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스(H)의 상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분무노즐(20)은, 물분배공급부(10)에 각각 구비되어 미스트를 하우스(H) 내부에 분무하는 것으로, 분무노즐(20)을 통해 분무되는 미스트에 의해 하우스(H) 내부 온도가 조절된다.
이 때 분무노즐(20)을 통해 분무되는 미스트는 예를 들어, 여름철의 경우에는 냉미스트가 분무되고 겨울철의 경우에는 온미스트가 분무될 수 있다.
상기 구동펌프(40)는 상기 물탱크(50)에 저장된 물과 같은 유체를 강제적으로 상기 분배기(30)측으로 공급하여 주는 수단으로, 구동펌프(50)의 강제적인 유체공급에 의해 상기 분배기(3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측으로 유체가 각각 전달되어 분무노즐(20)에 의해 미스트가 분무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우스(H)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구동펌프(40)가 작동되고 상기 구동펌프(40)의 작동에 의해 물탱크(50)에 저장된 유체가 상기 분배기(30)측으로 강제 공급되고 분배기(30)측에 공급된 유체는 하우스(H)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물분배공급부(10)측으로 공급되어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복수개 연결된 분무노즐(20)을 통해 하우스(H) 내부로 미스트를 분무한다.
또한, 분무노즐(20)을 통해 미스트가 분무되어 하우스(H) 내부 온도를 조절한 후 상기 구동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키면, 수압이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낮은 수압의 물이 분배기(30)를 통해 분무노즐(20)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무노즐(20)은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분사(분무)되지 못하여 분무노즐(20)에서 물방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물방울이 하우스(H) 내부로 떨어지게 되어 작물성장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바,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펌프(40)와 분배기(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분배기(30)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밸브(41)와, 상기 분배기(30)와 상기 물탱크(5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60)과, 상기 바이패스관(60)의 유체흐름을 단속하는 제2밸브(61)를 구비한다.
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펌프(40)의 구동이 중지되어 상기 분배기(30)측으로 물 공급이 중단되면, 순간적으로 상기 제1밸브(41)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밸브(61)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펌프(40)를 통해 공급된 고압의 물은 차단되고, 이미 배출된 물은 분배기(30) 및 바이패스관(60)을 통해 물탱크(50)로 회수된다.
따라서 저압의 물이 분무노즐(20)에 도달하지 않아 분무노즐(20)은 분무동작이 바로 정지되어 물방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밸브(41), 바이패스관(60) 및 제2밸브(6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펌프(40)의 동작 시 유체가 분배기(30)를 통해 하우스 내부 측에 위치되는 분무노즐(20)을 통해 미스트 분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구동펌프(40) 동작 정지 시 분배기(30)에 잔류하는 유체가 빠르게 바이패스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분무노즐(20)을 통해 물방울이 하우스(H)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는 이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는 노즐연결구(90)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연결구(90)에 의해 상기 분무노즐(20)이 상기 물분배공급부(10)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연결구(90)는, 상기 분무노즐(20)이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구멍(91)을 갖는 노즐연결몸체(92)와, 상기 노즐연결몸체(92)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상기 물분배공급부(10)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93)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배공급부(10)에는, 상기 나사부(93)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11)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노즐연결구(90)는, 노즐연결몸체(9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나사부(93)가 물분배공급부(10)의 체결너트(11)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분무노즐(20)을 물분배공급부(10)에 조립 연결하는 작업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물분배공급부(10)에 연결되는 분무노즐(20) 중 어느 하나의 분무노즐(20)이 고장나서 교체하고자 할 때 교체하는 분무노즐(20)만 즉시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 및 수리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무노즐(20)은, 노즐몸체(21), 분무구(22), 분무가이드(23), 밀폐링(24), 분무조절구(25), 스프링(26) 및 유체유입개폐구(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몸체(21)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홀(211)과 상기 유입홀(211)로부터 연장되는 수용홀(212)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경사진 차단면(213)이 구비되고 외부 일측에 제1나사체결부(214)가 구비되며 타측에 밀착면(215)을 갖는 제2나사체결부(216)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홀(212)로부터 연장되는 확개면(217)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면(215)을 갖는 제2나사체결부(216)는 상기 노즐연결구(90)의 나사체결구멍(91)에 나사체결되는 것으로, 제2나사체결부(216)가 나사체결구멍(91)에 나사체결되기 때문에 분무노즐(20)을 노즐연결구(90)에 쉽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밀착면(215)이 노즐연결구(90)의 노즐연결몸체(92)의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어 유체가 노즐연결구(90)와 분무노즐(20) 사이로 빠져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수용홀(212)측으로 즉시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어 상기 유체유입개폐구(27)를 스프링(26)측으로 밀어줌이 용이하고 유체유입개폐구(27)의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스프링(26)의 압축력이 저하됨이 방지된다.
상기 수용홀(212)로부터 연장되는 확개면(217)은, 상기 노즐몸체(21)의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수용홀(212)을 통해 상기 분무가이드(23)측으로 유입됨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확개면(217)을 통해 수용홀(212)측의 유체가 상기 분무가이드(23)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분무구(22)는, 상기 노즐몸체(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214)와 나사체결되고 내면에 걸림면(221)이 구비되며 분무가이드부(2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무가이드(23)는 상기 분무구(22)의 걸림면(22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면(221)에 밀착되고 상기 분무구(22)의 분무가이드부(22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상기 분무가이드면(231)과 연결되는 가이드홀(232)과 상기 분무가이드부(222)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분무가이드면(231)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홀(232)을 통해 가이드된 유체를 미스트 분무하는 분무구멍(2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링(24)은, 상기 노즐몸체(21)와 상기 분무가이드(23) 사이에 구비되어 노즐몸체(21)와 분무가이드(23)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한다.
상기 분무조절구(25)는,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대응되고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동일한 형상의 호퍼형 가이드돌부(25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끼움부(2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6)은,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상기 분무조절구(25)의 제1끼움부(252)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분무조절구(25)를 상기 분무가이드(23)측으로 밀착시킨다.
상기 유체유입개폐구(27)는,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26)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부(27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차단면(213)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상기 차단면(213)을 개방하고 유입홀(211)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면(213)을 차단하는 호형의 차단부(27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펌프(40)의 작동에 의해 유체가 상기 노즐몸체(21)의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되면 유체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개폐구(27)의 호형의 차단부(272)가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측으로 밀리면서 노즐몸체(21)의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경사진 차단면(213)을 개방시키고 이에 따라 수용홀(212)측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이 때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되면 유체의 유입압력에 의해 상기 수용홀(212)측으로 밀려 상기 차단면(213)을 개방시킨 유체유입개폐구(27)의 차단부(272)는, 펌프(40)의 작동이 중지되면 상기 스프링(26)에 의해 빠르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차단면(213)을 차단하여 유체가 수용홀(212)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수용홀(212)측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확개면(217)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상기 분무가이드(23)의 가이드홀(232)을 통해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호퍼형 가이드돌부(251) 사이로 가이드되어 상기 분무구멍(233)을 통해 유체가 미스트화되어 분무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홀(232)을 통해 가이드된 유체가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13)과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대응되고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동일한 형상의 호퍼형 가이드돌부(251) 사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체의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미스트화된 유체가 빠르게 분무된다.
상기 유체유입개폐구(27)의 차단부(272)를 호형으로 구비한 이유는,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차단면(213)이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40)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경사진 차단면(213)을 긴밀하게 밀착하여 유체가 수용홀(212)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위함이며, 상기 유체유입개폐구(27)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나 밀착성 및 기밀성을 갖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물분배공급부 20 : 분무노즐
21 : 노즐몸체 22 : 분무구
23 : 분무가이드 24 : 밀폐링
25 : 분무조절구 26 : 스프링
27 : 유체유입개폐구 30 : 분배기
40 : 펌프 50 : 여과기
60 : 저장탱크 70 : 온도감지부
81 : 제1밸브 82 : 제2밸브
90 : 노즐연결구 91 : 나사체결구멍
92 : 노즐연결몸체 93 : 나사부
211 : 유입홀 212 : 수용홀
213 : 차단면 214 : 제1나사체결부
215 : 밀착면 216 : 제2나사체결부
217 : 확개면 221 : 걸림면
222 : 분무가이드부 231 : 분무가이드면
232 : 가이드홀 233 : 분무구멍
251 : 가이드돌부 252 : 제1끼움부
271 : 제2끼움부 272 : 차단부

Claims (3)

  1. 하우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와;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연결 설치되어 하우스 내부에 미스트를 분무하는 복수개의 분무노즐(20)과;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물을 분배공급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분배기(30)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구동펌프(40)와;
    상기 구동펌프(4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펌프(40)에 의해 분배기(30)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50)와;
    상기 구동펌프(40)와 분배기(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분배기(30)로 공급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1밸브(41)와;
    상기 분배기(30)와 상기 물탱크(5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60)과;
    상기 바이패스관(60)의 유체흐름을 단속하는 제2밸브(6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41)에 의해 분배기(30)측으로 물의 공급이 차단된 후 분배기(30)측에 잔류하는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6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분무노즐(2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홀(211)과 상기 유입홀(211)로부터 연장되는 수용홀(212)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경사진 차단면(213)이 구비되고 외부 일측에 제1나사체결부(214)가 구비되며 타측에 밀착면(215)을 갖는 제2나사체결부(216)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홀(212)로부터 연장되는 확개면(217)을 갖는 노즐몸체(21)와;
    상기 노즐몸체(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체결부(214)와 나사체결되고 내면에 걸림면(221)이 구비되며 분무가이드부(222)를 갖는 분무구(22)와;
    상기 분무구(22)의 걸림면(22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걸림면(221)에 밀착되고 상기 분무구(22)의 분무가이드부(222)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진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상기 분무가이드면(231)과 연결되는 가이드홀(232)과 상기 분무가이드부(222)와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분무가이드면(231)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홀(232)을 통해 가이드된 유체를 미스트 분무하는 분무구멍(233)을 갖는 분무가이드(23)와;
    상기 노즐몸체(21)와 상기 분무가이드(23) 사이에 구비되어 노즐몸체(21)와 분무가이드(23)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하는 밀폐링(24)과;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일측에 상기 호퍼형 분무가이드면(231)과 대응되는 호퍼형 가이드돌부(251)가 구비되고 타측에 제1끼움부(252)를 갖는 분무조절구(25)와;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상기 분무조절구(25)의 제1끼움부(252)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분무조절구(25)를 상기 분무가이드(23)측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26)과;
    상기 노즐몸체(21)의 수용홀(212)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26)의 타측이 끼워지는 제2끼움부(27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211)과 수용홀(212)을 구획하는 차단면(213)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홀(21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상기 차단면(213)을 개방하고 유입홀(211)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차단면(213)을 차단하는 호형의 차단부(272)를 갖는 유체유입개폐구(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H)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는 이 물분배공급부(10)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는 노즐연결구(90)가 구비되어 상기 노즐연결구(90)에 의해 상기 분무노즐(20)이 상기 물분배공급부(10)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연결구(90)는,
    상기 분무노즐(20)이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구멍(91)을 갖는 노즐연결몸체(92)와;
    상기 노즐연결몸체(92)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되 상기 물분배공급부(10)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93)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분배공급부(10)에는,
    상기 나사부(93)와 각각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11)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3. 삭제
KR1020170134983A 2017-10-18 2017-10-18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KR10187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83A KR101879999B1 (ko) 2017-10-18 2017-10-18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983A KR101879999B1 (ko) 2017-10-18 2017-10-18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999B1 true KR101879999B1 (ko) 2018-07-19

Family

ID=6305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983A KR101879999B1 (ko) 2017-10-18 2017-10-18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9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24B1 (ko) 2018-11-28 2019-08-02 주식회사 지에스엠 동파방지기능을 가진 고압식 포그분무장치
KR102186701B1 (ko) * 2019-12-04 2020-12-07 이승윤 제로 바이러스 미스트 분무 시스템
KR20210045638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CN113625807A (zh) * 2021-09-07 2021-11-09 上海领奢广告有限公司 一种室内喷绘的温湿度控制系统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480A (ko) * 2005-02-18 2006-08-23 천장성 액약 분무장치
KR100986324B1 (ko) 2008-09-29 2010-10-08 강계수 포그노즐
KR20110052917A (ko) * 2009-11-13 2011-05-19 최환철 자동분사장치
KR20110098424A (ko) * 2010-02-26 2011-09-01 문미나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KR101681970B1 (ko) * 2015-07-07 2016-12-13 윤미진 하우스용 미스트 분무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하우스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480A (ko) * 2005-02-18 2006-08-23 천장성 액약 분무장치
KR100986324B1 (ko) 2008-09-29 2010-10-08 강계수 포그노즐
KR20110052917A (ko) * 2009-11-13 2011-05-19 최환철 자동분사장치
KR20110098424A (ko) * 2010-02-26 2011-09-01 문미나 안개분무용 스프링클러
KR101681970B1 (ko) * 2015-07-07 2016-12-13 윤미진 하우스용 미스트 분무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하우스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224B1 (ko) 2018-11-28 2019-08-02 주식회사 지에스엠 동파방지기능을 가진 고압식 포그분무장치
KR20210045638A (ko) 2019-10-17 2021-04-27 주식회사 바이오라인 온실용 습도제어장치
KR102186701B1 (ko) * 2019-12-04 2020-12-07 이승윤 제로 바이러스 미스트 분무 시스템
CN113625807A (zh) * 2021-09-07 2021-11-09 上海领奢广告有限公司 一种室内喷绘的温湿度控制系统
CN113625807B (zh) * 2021-09-07 2022-08-19 上海领奢广告有限公司 一种室内喷绘的温湿度控制系统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99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한 온습도 조절 시스템
KR101141824B1 (ko) 전력 증강 시스템을 위한 스키드 구조
CN101660545B (zh) 具有可分离固定喷嘴、可调喷嘴或可调混合管的喷射器
CN103338870A (zh) 具有涂料盒的喷枪
JP2016165717A (ja) 背圧制御装置を備える液体吐出アプリケーター及び関連する方法
US20080035220A1 (en) Valve assembly
KR20100077370A (ko) 저압분무장치
CZ2005526A3 (cs) Stroj a zpusob na vstrikování kapalin
US20210101167A1 (en) Spray nozzle,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optical fiber connectors
KR100257950B1 (ko) 코팅재료도포장치 및 방법
KR101681970B1 (ko) 하우스용 미스트 분무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하우스 재배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장치
US10350535B2 (en) Spray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pray arrangement
WO2011028105A2 (en) Spray-drying device
KR102006224B1 (ko) 동파방지기능을 가진 고압식 포그분무장치
CN108188112A (zh) 液体二氧化碳清洗系统
KR20190133452A (ko) 물안개 분무 장치용 노즐 구조체
US6381980B1 (en) Pulsed-water condenser cooler
CN105157146A (zh) 冷雾系统
KR100517798B1 (ko) 유체혼합용 분사노즐
KR102256529B1 (ko) 관수 시스템용 밸브
KR101053837B1 (ko) 농사용 살수방제 노즐
US8695902B2 (en) Water sprinkler
KR101701497B1 (ko) 고온 하절기 하우스용 농업 작업 시스템
KR20110052917A (ko) 자동분사장치
KR0118923Y1 (ko) 그라벨 필터(gravel filter)의 그라벨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