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798B1 -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798B1
KR101879798B1 KR1020160151590A KR20160151590A KR101879798B1 KR 101879798 B1 KR101879798 B1 KR 101879798B1 KR 1020160151590 A KR1020160151590 A KR 1020160151590A KR 20160151590 A KR20160151590 A KR 20160151590A KR 101879798 B1 KR101879798 B1 KR 10187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ace
nano bubble
injection
bubb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078A (ko
Inventor
지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
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 지현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
Priority to KR102016015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7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3/0409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using columns, e.g. multi-staged columns
    • B01F3/044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와, 상기 제1엘리먼트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와, 상기 제1엘리먼트 및 상기 제2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상기한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면서 사출성형된 나노버블발생기 및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2엘리먼트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며 사출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배치된 고정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금형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결합 및 분리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1엘리먼트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는 운동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금형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연결대가 사출성형되는 공간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사이의 관통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금형과 상기한 운동금형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운동금형의 직선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요철성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나노버블발생기의 상기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면서 사출성형되도록 된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A nano bubble generator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직경이 나노 단위를 가지는 미세 기포인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나노버블발생기와 나노버블발생기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t)와, 상기 제1엘리먼트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와, 상기 제1엘리먼트 및 상기 제2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를 원활하게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버블은 5㎛(마이크로미터,혹은 미크론, 1㎛=0.001㎜) 이하의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미세 기포로써, 일반 버블의 1/2,000 크기로 피부의 모공 25㎛ 이하의 미세한 공기 입자이며, 소멸할 때 1) 40KHz의 초음파 발생시키고, 2)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며, 3) 4,000도~6,000도의 순간적인 고열 발생된다.
즉 일반 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하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는 실정이다.
즉 그 사용분야가 온천욕부터 암진단까지 광범위하며 피부도 재생해주는데다가 살균효과도 뛰어나다고 알려져있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버블은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 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체가 혼합된 액체(공급수)를 공급받아 기체를 미세기포로 전환시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공급수가 미세기포로 전환되는 과정은 기포가 함유된 공급수가 미세관로가 구비된 발생수단의 미세 관로를 통과하는 중에 분리 및 압축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75897호(명칭: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2014.12.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전후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가지며, 전후 단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수도꼭지연결부 및 물 배출부가 각각 구비된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에 내설된 나선형의 기포절단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절단부재는,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원형의 제1 엘리먼트(element); 및 상기 반원형의 제1 엘리먼트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며, 전후로 배치된 2개의 반원형의 제1 엘리먼트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 엘리먼트; 을 포함하여 이루 어져; 상기 수도꼭지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물의 기포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통과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엘리먼트의 현에 부딪히며 연속적으로 나뉘어 ㎛ 단위로 미세화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75897호(2014.12.09.)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에서, 마이크로버블이 발생하도록 된 기포절단부재(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시 각각의 엘리먼트의 표면에 나노버블 발생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된 요철을 형성하면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와, 상기 제1엘리먼트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와, 상기 제1엘리먼트 및 상기 제2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를 원활하게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는,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와, 상기 제1엘리먼트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와, 상기 제1엘리먼트 및 상기 제2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를 제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2엘리먼트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며 사출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배치된 고정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금형 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결합 및 분리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1엘리먼트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는 운동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금형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연결대가 사출성형되는 공간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사이의 관통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고정금형과 상기한 운동금형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운동금형의 직선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요철성형부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나노버블발생기의 상기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면서 사출성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는,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t)와, 상기 제1엘리먼트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와, 상기 제1엘리먼트 및 상기 제2엘리먼트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에서 상기 제1엘리먼트와 상기 제2엘리먼트의 표면에 나노버블의 발생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된 요철부를 사출성형을 통해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나노발생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의 일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표현된 A-A선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5에서 표현된 B-B선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elemen)(11)와,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12)와, 상기 제1엘리먼트(11) 및 상기 제2엘리먼트(12)를 연결하는 연결대(13)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10)를 제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특히,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표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되면서 사출성형되도록 하여, 혼합수가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의 관통공간(15)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요철부(14)의 저항마찰에 나노버블의 발생효율 향상시키도록 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10)를 제조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버블발생기(10)를 구성하는 상기 요철부(14)는,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표면에서, 수직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간(15)을 이동하는 혼합수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요철부(1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2엘리먼트(12)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며 사출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21)가 배치된 고정금형(2)과; 상기 고정금형(2)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금형(2)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결합 및 분리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1엘리먼트(11)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는 운동금형(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금형(2)과 상기 운동금형(3)이 결합하여 각각의 금형공간이 연결되며서 상기 주입구(21)로 주입되는 사출원료에 의해 나노버블발생기(10)를 사출성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을 통해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금형(2)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본체(4)의 작업대(41)에 설치되며; 상기 운동금형(3)은, 상기 기계본체(4)의 작업대(41)의 상부로 연결 구비된 상부브라켓트(42)에 구비된 가동실린더(43)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작업대(41)에는, 상기 운동금형(3)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봉(44)이 구비되어, 상기 운동금형(3)이 수직운동할 때, 안정적으로 운동궤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금형(2)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연결대(13)가 사출성형되는 공간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의 관통공간(15)을 형성하도록 된 돌부(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부(22)를 통해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관통공간(15)을 형성하여 혼합수의 이동경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대(13)를 사출성형하는 공간은, 상기 돌부(22)의 양측에 각각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대(13)들의 사이공간에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공간을 연결하는 관통공간(15)을 형성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금형(2)과 상기한 운동금형(3)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운동금형(3)의 직선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요철성형부(5)가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요철성형부(5)에 의해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표면에 요철부(14)를 각각 사출성형하여, 혼합수가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공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경유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요철부(14)의 저항마찰에 나노버블의 발생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1)를 통해 나노버블발생기(10)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기계본체(4)에서 상기 고정금형(2)의 상부에 상기 운동금형(3)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실린더(43)를 통해 상기 운동금형(3)을 상기 고정금형(2)의 상부에 결합도록 수직 하방으로 운동시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금형(2)의 금형공간과 상기 운동금형(3)의 금형공간이 연결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고정금형(2)에 구비된 상기 주입구(21)를 통해 사출원료를 주입하면, 사출원료가 상기 고정금형(2) 및 상기 운동금형(3)의 금형공간에 각각 충진되면서, 나노버블발생기(10)가 사출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금형(2)과 상기 운동금형(3)의 금형공간에서 나노버블발생기(10)가 사출성형되면, 상기 가동실린더(43)를 역구동하여 상기 운동금형(3)이 상기 고정금형(2)의 상부에서 수직상 상부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금형(2)의 금형공간에서 제조된 나노버블발생기(10)를 분리하여 꺼낸 후, 별도의 장소로 보관 및 운반하게 되며; 이때, 상기 운동금형(3)의 운동방향으로 상기 요철성형부(5)가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요철부(14)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기 운동금형(3)의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조장치 2 : 고정금형
21 : 주입구 22 : 돌부
3 : 운동금형 4 : 기계본체
41 : 작업대 42 : 상부브라켓트
43 : 가동실린더 44 : 가이드봉
5 : 요철성형부
10 : 나노버블발생기 11 : 제1엘리먼트
12 : 제2엘리먼트 13 : 연결대
14 : 요철부 15 : 관통공간

Claims (2)

  1. 삭제
  2. 혼합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대향되게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 배치되어 원형을 이루는 복수의 반원형의 제2엘리먼트(12)와, 상기 제1엘리먼트(11) 및 상기 제2엘리먼트(12)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일체로 형성된 나노버블발생기(10)를 제조하도록 된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1)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2엘리먼트(12)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며 사출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배치된 고정금형(2)과; 상기 고정금형(2)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금형(2)측 방향으로 근접 및 이격되는 직선운동을 하도록 되어 결합 및 분리되고 하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제1엘리먼트(11)가 사출성형되는 형상의 금형공간을 가지는 운동금형(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금형(2)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연결대(13)가 사출성형되는 공간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사이의 관통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돌부(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2)과 상기한 운동금형(3)의 금형공간에는,
    상기 운동금형(3)의 직선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요철성형부(5)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나노버블발생기(10)의 상기 제1엘리먼트(11)와 상기 제2엘리먼트(12)의 표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되면서 사출성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KR1020160151590A 2016-11-15 2016-11-15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KR10187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590A KR101879798B1 (ko) 2016-11-15 2016-11-15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590A KR101879798B1 (ko) 2016-11-15 2016-11-15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78A KR20180054078A (ko) 2018-05-24
KR101879798B1 true KR101879798B1 (ko) 2018-07-18

Family

ID=6229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590A KR101879798B1 (ko) 2016-11-15 2016-11-15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2445B (zh) * 2018-08-02 2021-05-11 东南大学 自动化纳米气泡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807A (ja) * 1974-08-26 1997-07-08 Kankyo Kagaku Kogyo 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JPH10230286A (ja) * 1997-02-21 1998-09-02 Isuzu Motors Ltd ヒドロキシラジカル生成器
KR100492212B1 (ko) * 1996-05-10 2005-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크기판성형용금형장치및금형장치의제조방법과디스크기판
JP2010005008A (ja) * 2008-06-25 2010-01-14 Toshiba Corp 洗濯機
KR101535394B1 (ko) * 2014-11-28 2015-07-08 주식회사 뉴워터텍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
JP2016083590A (ja) * 2014-10-23 2016-05-19 株式会社鈴矢電機サービス 汚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807A (ja) * 1974-08-26 1997-07-08 Kankyo Kagaku Kogyo Kk 静止型流体混合装置
KR100492212B1 (ko) * 1996-05-10 2005-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디스크기판성형용금형장치및금형장치의제조방법과디스크기판
JPH10230286A (ja) * 1997-02-21 1998-09-02 Isuzu Motors Ltd ヒドロキシラジカル生成器
JP2010005008A (ja) * 2008-06-25 2010-01-14 Toshiba Corp 洗濯機
JP2016083590A (ja) * 2014-10-23 2016-05-19 株式会社鈴矢電機サービス 汚水処理装置
KR101535394B1 (ko) * 2014-11-28 2015-07-08 주식회사 뉴워터텍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078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618B1 (ko) 나노버블발생기 및 그의 제조장치
KR101879798B1 (ko) 나노버블발생기의 제조장치
JP6796877B2 (ja) 複合粒子製造装置および複合粒子製造方法
CN101808864A (zh) 用来润湿玻璃板的装置
KR101864116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JP2023166461A (ja) 内部構造体、流体特性変化装置及びその利用装置
KR20180046683A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KR101879699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TW201233521A (en) Plastic material injection molding system
KR101032102B1 (ko) 이온 나노기포 발생장치
CN102425538A (zh) 电磁力驱动无回流微升精度微泵
KR20180071617A (ko) 나노버블발생기
JP2017136513A (ja) 微細気泡発生装置及び微細気泡発生方法並びに前記微細気泡発生装置を有するシャワー装置及び油水分離装置
JP3213014U (ja) 洗濯機用微細気泡水生成器
KR101546593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1864497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KR101787835B1 (ko)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938939B1 (ko) 나노버블 발생장치
US11168293B2 (en) Culture bag, and culture apparatus
KR101959208B1 (ko) 액적기반 바이오칩, 이를 이용한 종양 생산방법, 및 이를 통해 생산된 종양의 전이성 판단방법
CN206793440U (zh) 一种螺旋式微细气泡产生装置
KR101812872B1 (ko) 입자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CN111139623B (zh) 微气泡发生器的水力空化件及衣物处理装置
KR102112915B1 (ko) 나노버블이 적용된 수조시스템
CN204367385U (zh) 模具温控元件及热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