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30B1 - 배액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액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30B1
KR101879530B1 KR1020170015042A KR20170015042A KR101879530B1 KR 101879530 B1 KR101879530 B1 KR 101879530B1 KR 1020170015042 A KR1020170015042 A KR 1020170015042A KR 20170015042 A KR20170015042 A KR 20170015042A KR 101879530 B1 KR101879530 B1 KR 10187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connection
pipe
drainage
conn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17001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5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means of electrically-heated probes
    • A61M1/0001
    • A61M1/005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9Filters for soli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액 연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는 상기 인체의 수술 부분을 열 처리하는 전기 소작기 및 수술에 따라 발생하는 체액을 흡입하는 제1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1 배액관; 상기 인체의 상기 체액을 흡입하는 제2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2 배액관; 상기 제1 석션기 및 상기 제2 석션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체액을 임시 저장하는 배액 연결 용기; 및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임시 저장된 상기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배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1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2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외주면의 경계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배액관 및 상기 제2 배액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판 형태의 연통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액 연결 장치{DRAINAG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술 부위의 혈액 또는 기타 이물질을 포함하는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배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액 기능 및 전기 소작 기능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액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외과 계통의 수술을 위해서 석션기와 함께 전기 소작기가 빈번히 사용되며, 이러한 석션기와 전기 소작기는 독립적으로 운용되거나 또는 통합되어 운용됨으로서 각각의 수술기구에 맞는 공급장치가 적용된다.
석션기는 외과 계통의 수술에 따라 조직 내 고이는 혈종이나 삼출액을 포함하는 체액을 몸 밖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전기 소작기는 수술에 따른 환부를 열에 의해 태움으로써 지혈시키는 도구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석션기와 전기 소작기는 각기 저마다 다른 형태의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각기 분리된 상태로 수술기구와 전선, 튜브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수많은 전선과 튜브 등이 수술실에서 어지럽게 뒤엉퀴고 서로 혼재되어 수술실 환경이 매우 어지럽고 복잡해지며, 부주의에 의해 전선이 뽑히거나 단전되는 사고도 발생하거나 수술 도중 전선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고들로 인해 기기의 파손이 발생하기도 하며, 디바이스가 각기 분리됨으로써 수술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도 각기 분리되어 수술 주체에 의해 동시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조작에 따른 시타가 발생하거나 보조자에 의한 조작시 수술주체와의 일치된 호흡을 맞추기 곤란한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를 봉합한 후 체액을 석션해야 하는 상황에서, 전기 소작기의 조작과 석션기의 조작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야만 효과적인 수술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각 기구마다 독립적인 경우에 수술주체에 의한 동시조작이 어렵고, 조작에 따른 시차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수술 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석션기에 해당하는 제2 디바이스와 전기 소작기 및 석션기가 함께 구비된 제1 디바이스가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배액 기능뿐만 아니라 전기 소작 기능을 필요에 따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액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는 상기 인체의 수술 부분을 열 처리하는 전기 소작기 및 수술에 따라 발생하는 체액을 흡입하는 제1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1 배액관; 상기 인체의 상기 체액을 흡입하는 제2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2 배액관; 상기 제1 석션기 및 상기 제2 석션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체액을 임시 저장하는 배액 연결 용기; 및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임시 저장된 상기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배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1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2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외주면의 경계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배액관 및 상기 제2 배액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판 형태의 연통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 조절부는, 상기 상부 외주면 상에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측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액관 및 상기 제2 배액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내부와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는 판 부재; 상기 판 부재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배액 연결 용기 내에서 상기 판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판 부재의 상하 탄성 거동을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배액관을 통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 내에 형성되는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상기 연통 조절부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기 상부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배액 연결 용기를 밀봉시키는 경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밀봉부는 상기 일정 영역을 에워싸는 고무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무막은 상기 연통 조절부의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막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절개되어 있는 부분이 상호 접하여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 밀봉부는 상기 일정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상에 상기 연통 조절부의 이동을 고정시키 위한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 부재의 상부는 상기 경로 밀봉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고정 및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원통형 및 다각통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또 다른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배액관의 타단은 배출되는 상기 체액을 수집 및 저장하는 배액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배액관과 상기 배액 연결 용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액 연결 장치의 선택적 개폐에 의해 수술 주체에 의하여 석션기 및 전기 소작기의 동시 조작이 가능하여 배액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복합 수술에 있어서 효율적인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중에 사용하는 석션기 및 전기 소작기가 통합되어 제어됨으로서 수술실 환경의 개선과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액 연결 장치가 제1 디바이스 및 배액통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제3 배액관과 배액 연결 용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통 조절부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통 조절부가 실장된 배액 연결 용기의 수직 단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경로 밀봉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연통 조절부의 동작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않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액 연결 장치(100)가 제1 디바이스(200) 및 배액통(300)에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액 연결 장치(100)는 제1 배액관(110), 제2 배액관(120), 제3 배액관(130), 배액 연결 용기(140)를 포함한다.
제1 배액관(110)은 제1 디바이스(200)에 연결되어 인체의 체액을 배출시키는 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200)는 인체의 체액을 흡입하는 제1 석션기(210) 및 상기 인체의 수술 부분을 열 처리하기 위한 전기 소작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200)는 제1 석션기(210) 및 전기 소작기(220)를 실장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200)는 제1 석션기(210)의 일단을 형성하는 노즐(212)의 일측과 결합하여 노즐(212)에 대해 제1 석션기(210)로부터의 돌출 및 인입을 조절하는 노즐 조작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조작부(214)는 사용자의 손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 패드일 수 있다. 노즐 조작부(214)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제1 석션기(210)의 노즐(212)이 제1 디바이스(200)의 본체 밖으로 돌출되거나 본체 내로 인입될 수 있다. 돌출 및 인입을 위해, 노즐(212)은 신장 또는 수축을 위한 삽입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액관(110)의 일단은 제1 디바이스(200)의 제1 석션기(210)와 연결되고, 제1 배액관(110)의 타단은 배액 연결 용기(14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배액 연결 용기(140)가 원통형, 다각통형 등일 경우에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측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액관(110)은 체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액관(110)은 외경이 4mm 내지 10mm이고, 내경이 2mm 내지 4mm를 갖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외경이 2mm 내지 4mm이고, 내경이 1mm 내지 2mm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배액관(110)은 관의 단면 형태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2 배액관(120)은 제2 디바이스(미도시)에 연결되어 인체의 체액을 배출시키는 관이다. 제2 디바이스는 인체의 체액을 흡입하는 제2 석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액관(120)은 제2 석션기 이외에 수술에 필요한 다는 기구가 탑재될 수도 있다. 제2 석션기는 전술한 제1 석션기(210)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제2 디바이스는 제2 석션기를 실장하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200)의 노즐 조작부(214)와 동일하게, 제2 디바이스도 제2 석션기의 일단을 형성하는 노즐의 일측과 결합하여 노즐에 대해 제2 석션기로부터의 돌출 및 인입을 조절하는 노즐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배액관(120)의 일단은 제2 디바이스의 제2 석션기와 연결되고, 제2 배액관의 타단은 배액 연결 용기(1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배액 연결 용기(140)가 원통형, 다각통형 등일 경우에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측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액관(120)도 체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배액관(120)은 관의 단면 형태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3 배액관(130)은 배액 연결 용기(1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배액 연결 용기(140)에 임시 저장된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3 배액관(130)의 일단은 배액 연결 용기(140)의 측부의 또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제3 배액관(130)의 타단은 체액을 저장하는 배액통(30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배액관(130)은 제1 디바이스(200) 및/또는 제2 디바이스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배액통(300)에 의해 형성된 음압에 따라 체액을 배액통(300)으로 배출시킨다. 배액통(300)은 제3 배액관(130)을 통해 배액 연결 용기(140)로 음압을 전달하여,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체액을 제3 배액관(1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체액을 저장한다.
제3 배액관(130)도 배액 연결 용기(140)가 원통형, 다각통형 등일 경우에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측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의 또 다른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액관(130)도 체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 크기 이상의 직경을 갖는 관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배액관(130)은 보다 많은 양의 체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배액관(110) 및 제2 배액관(12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배액관(130)은 관의 단면 형태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3 배액관(130)은 배액 연결 용기(14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3 배액관(130)과 배액 연결 용기(140)를 연결하는 커넥터(132)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132)는 제3 배액관(130)과 배액 연결 용기(14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통 구조를 갖는 결합 부재로서,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제3 배액관(130)과 배액 연결 용기(1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커넥터(132)의 일측은 배액 연결 용기(140)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에 의해 연결되고, 커넥터(132)의 타측도 제3 배액관(130)과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132)는 배액 연결 용기(140)와 결합하는 측에 필터(1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2-1)는 석션 과정에서 제1 석션기 또는 제2 셕션기의 흡입에 의해 배액 연결 용기(140)로 배출되는 지혈제제, 미세혈관 문합 제제 들이 제3 배액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필터(1321-1)는 체액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이면서 지혈제제 또는 미세혈관 문합 제제들은 필터링될 수 있는 중공 크기를 갖는 망 형태 또는 그리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액 연결 용기(140)는 제1 석션기 및/또는 제2 석션기로부터 배출되는 체액을 제1 배액관(110) 및/또는 제2 배액관(120)을 통해 제공받아서 임시 저장하며, 임시 저장된 체액을 배액통(300)에 의해 형성된 음압에 따라 제3 배액관(130)을 통해 배액통(300)으로 배출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액 연결 용기(140)는 원통형일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배액 연결 용기(14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배액 연결 용기(140)는 다각통형, 타원통형 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액 연결 용기(140)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 외주면의 경계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배액관(110) 및 제2 배액관(120) 중 어느 하나에 대해 배액 연결 용기(140)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판 형태의 연통 조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연통 조절부(142)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통 조절부(142)가 실장된 배액 연결 용기(140)의 수직 단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통 조절부(142)는 손잡이(142-1), 판 부재(142-2), 연결 부재(142-3), 접촉 패드(142-4), 지지 부재(142-5) 및 스프링(142-6)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42-1)는 상부 외주면 상에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이를 통해 연통 조절부(142)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42-1)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연통 조절부(142)가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판 기능도 수행한다.
판 부재(142-2)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측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배액관(110) 및 제2 배액관(120) 중 어느 하나를 배액 연결 용기(140)의 내부와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는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판 부재(142-2)는 제1 배액관(110)을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액관(110)은 배액 연결 용기(140)와 연통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때, 제2 배액관(120)은 배액 연결 용기(140)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2 디바이스에서 추출되는 체액이 제2 배액관(120)을 통해 배액 연결 용기(140)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도 5와 달리, 판 부재(142-2)가 제2 배액관(120)을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배액관(110)은 배액 연결 용기(140)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 디바이스에서 추출되는 체액이 제1 배액관(110)을 통해 배액 연결 용기(140)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2-3)는 손잡이(142-1)와 판 부재(142-2)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142-3)는 손잡이(142-1)의 움직임을 판 부재(142-2)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연결 부재(142-3)는 후술할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를 관통하여 손잡이(142-1)와 판 부재(142-2)를 연결함으로써, 배액 연결 용기(140)의 외부와 내부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142-1)와 판 부재(14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142-3)의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태, 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 패드(142-4)는 판 부재(142-2)의 상부에 위치하며 경로 밀봉부(140-1)와 접촉하여 배액 연결 용기(140)의 고정 및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접촉 패드(142-4)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패드(142-4)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고정 및 밀봉을 위해 경로 밀봉부(140-1)와 접촉하는 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밀봉부(140-1)가 고무막 형태이며, 이러한 고무막이 상부 방향으로 융기된 형태인 경우에, 접촉 패드(142-4)의 형상은 웨지(wedge) 형태일 수 있다. 접촉 패드(142-4)는 연결 부재(142-3)의 양쪽 주면의 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접촉 패드(142-4)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경로 밀봉부(140-1)의 형태에 따라 밀봉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대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2-5)는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서 판 부재(142-2)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 부재(142-5)는 원통 조절부(142)의 이동에 따른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서의 표면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러(14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지지 부재(142-5)의 형태는 직육면체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판 부재(142-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일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42-5)는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서 원통 조절부(142)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배액 연결 용기(140)는 지지 부재(142-5)가 이동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 지지 부재(142-5)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42-7)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하부 내주면에서 이동 경로 대응하는 영역을 따라 적어도 지지 부재(142-5)의 높이를 갖는 리브 형태로 지지 부재(142-5)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2-5)는 양 측면에 형성된 리브 형태의 가이드 부재(142-7)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원통 조절부(142)가 배액 연결 용기(14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 및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142-6)은 판 부재(142-2)와 지지 부재(142-5)를 연결하며, 판 부재(142-2)와 지지 부재(142-5)의 상하 탄성 거동을 유도한다. 사용자가 손잡이(142-1)를 누를 경우에, 손잡이(142-1)와 직접 또는 간접 연결된 판 부재(142-2), 연결 부재(142-3), 접촉 패드(142-4)가 스프링(142-6)의 수축에 의해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과 접촉하고 있던 접촉 패드(142-4)가 경로 밀봉부(140-1)로부터 이격되어 연통 조절부(142)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 후에, 손잡이(142-1)의 누름 동작을 해지하게 되면, 판 부재(142-2), 연결 부재(142-3), 접촉 패드(142-4)가 스프링(142-6)의 신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 패드(142-4)가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와 다시 접촉하게 되어, 연통 조절부(142)의 고정 및 밀봉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배액 연결 용기(140)는 연통 조절부(142)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경로 밀봉부(140-1)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밀봉부(140-1)는 배액 연결 용기(140)는 제3 배액관(130)을 통해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 형성되는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 배액 연결 용기(140)를 밀봉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경로 밀봉부(140-1)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로 밀봉부(140-1)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상부 외주면에서 연통 조절부(142)의 이동 경로(140-2)에 대응하는 일정 영역(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일정 폭을 갖는 원호 형태의 경로)에 형성될 수 있다. 경로 밀봉부(140-1)는 상기 일정 영역을 에워싸며 탄성을 갖는 고무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무막은 상기 연통 조절부(142)의 이동 경로(140-2)를 따라 절개되어 있다. 고무막은 이동 경로(140-2)를 따라 절개되어 있는 부분이 상호 접하여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밀봉부(140-1)는 연통 조절부(142)의 이동 경로(140-2) 상에서 연통 조절부(142)의 연결 부재(142-3)를 감싸면서 배액 연결 용기(140)의 상부 방향으로 좁아지면서 융기한 원웨이 밸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 밀봉부(140-1)는 일정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상에 연통 조절부(142)의 이동을 고정시키 위한 고정 홈(140-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홈(140-3)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홈(140-3)은 제1 배액관(110) 또는 제2 배액관(120)의 폐쇄를 위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배액관(110) 및 제2 배액관(120)의 모두 개방 즉 연통을 위한 위치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액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연통 조절부(142)의 동작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7의 (a)는 연통 조절부(142)의 접촉 패드와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의 (b)는 연통 조절부(142)의 접촉 패드(142-4)와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가 이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통 조절부(142)의 접촉 패드(142-4)는 배액 연결 용기(140)의 경로 밀봉부(140-1)와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배액 연결 용기(140) 내에 밀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연통 조절부(142)의 손잡이(142-1)를 누르면, 연통 조절부(142)가 일정 깊이(H) 만큼 하강한다. 이에 따라, 연통 조절부(142)의 접촉 패드(142-4)는 배액 연결 용기의 경로 밀봉부(140-1)와 일정 거리(D) 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연통 조절부(142)가 배액 연결 용기(140)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경로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배액 연결 장치 110: 제1 배액관
120: 제2 배액관 130: 제3 배액관
132: 커넥터 132-1: 필터
140: 배액 연결 용기 140-1: 경로 밀봉부
140-3: 고정 홈 142: 연통 조절부
142-1: 손잡이 142-2: 판 부재
142-3: 연결 부재 142-4: 접촉 패드
142-5: 지지 부재 142-6: 스프링

Claims (9)

  1. 인체의 수술 부분을 열 처리하는 전기 소작기 및 수술에 따라 발생하는 체액을 흡입하는 제1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1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1 배액관;
    상기 인체의 상기 체액을 흡입하는 제2 석션기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체액을 배출시키는 제2 배액관;
    상기 제1 석션기 및 상기 제2 석션기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체액을 임시 저장하는 배액 연결 용기; 및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에 임시 저장된 상기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3 배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1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제2 석션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액관의 타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외주면의 경계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 배액관 및 상기 제2 배액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와의 연통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판 형태의 연통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조절부는,
    상기 상부 외주면 상에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측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액관 및 상기 제2 배액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내부와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키는 판 부재;
    상기 판 부재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배액 연결 용기 내에서 상기 판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판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판 부재의 상하 탄성 거동을 유도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액관을 통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 내에 형성되는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상기 연통 조절부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기 상부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배액 연결 용기를 밀봉시키는 경로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밀봉부는 상기 일정 영역을 에워싸는 고무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무막은 상기 연통 조절부의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무막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절개되어 있는 부분이 상호 접하여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상부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로 밀봉부는 상기 일정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상에 상기 연통 조절부의 이동을 고정시키 위한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의 상부는 상기 경로 밀봉부와 접촉하여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고정 및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액 연결 용기는 원통형 및 다각통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액관의 일단은 상기 배액 연결 용기의 또 다른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배액관의 타단은 배출되는 상기 체액을 수집 및 저장하는 배액통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액관과 상기 배액 연결 용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 연결 장치.
KR1020170015042A 2017-02-02 2017-02-02 배액 연결 장치 KR10187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42A KR101879530B1 (ko) 2017-02-02 2017-02-02 배액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42A KR101879530B1 (ko) 2017-02-02 2017-02-02 배액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30B1 true KR101879530B1 (ko) 2018-07-18

Family

ID=6304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042A KR101879530B1 (ko) 2017-02-02 2017-02-02 배액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3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290A (en) * 1991-09-25 1994-02-22 Alcon Surgical, Inc. Multi-ported valve assembly
US6488675B1 (en) * 1996-01-24 2002-12-03 Fred R. Radford Contaminated medical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US20050139532A1 (en) * 2003-10-20 2005-06-30 David Hershberger Manifold assembly
KR100868360B1 (ko) * 2007-07-20 2008-11-12 이지메디케어(주) 의료용 흡인기
US20100130957A1 (en) * 2008-11-21 2010-05-27 Smisson-Cartledge Biomedical Llc Collapsible Fluid Reservoir
KR20120023506A (ko) * 2011-05-23 2012-03-13 주식회사 로보터스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KR20130078346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흡인기
KR20160114289A (ko) * 2015-03-24 2016-10-05 (주)에이치앤비메디텍 의료용 흡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290A (en) * 1991-09-25 1994-02-22 Alcon Surgical, Inc. Multi-ported valve assembly
US6488675B1 (en) * 1996-01-24 2002-12-03 Fred R. Radford Contaminated medical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US20050139532A1 (en) * 2003-10-20 2005-06-30 David Hershberger Manifold assembly
KR100868360B1 (ko) * 2007-07-20 2008-11-12 이지메디케어(주) 의료용 흡인기
US20100130957A1 (en) * 2008-11-21 2010-05-27 Smisson-Cartledge Biomedical Llc Collapsible Fluid Reservoir
KR20120023506A (ko) * 2011-05-23 2012-03-13 주식회사 로보터스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KR20130078346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무한기업 의료용 흡인기
KR20160114289A (ko) * 2015-03-24 2016-10-05 (주)에이치앤비메디텍 의료용 흡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441B1 (ko)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US10617562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ip vacuum control during aspiration
JP6864999B2 (ja) 生体組織の把持、切開および/または凝固用器具
KR20040010630A (ko) 의료용 절제 세정흡인 장치
US9592333B2 (en) Suction device
EP2286851A3 (en) Surgical cassette for intraocular pressure control
KR101403658B1 (ko) 의료용 석션 카테타
KR101879530B1 (ko) 배액 연결 장치
CN106510840B (zh) 一种隆胸整形带冲吸电钩
CN105188574A (zh) 使用负压吸引环切除组织的装置
CN208864407U (zh) 一种脊椎截骨骨刀
CN204468952U (zh) 手术负压吸引器用吸引管
KR101888826B1 (ko) 배출관을 갖는 흡인기
KR20160115619A (ko)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JP6098052B2 (ja) 手術器具
CN209967165U (zh) 一种改良的吸引器
KR102236197B1 (ko)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KR20180089372A (ko)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및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방법
CN210963253U (zh) 医疗设备
CN220860456U (zh) 一种冲洗吸引设备及双极电凝设备
CN111658836B (zh) 一种腹腔镜吸引器
KR101097412B1 (ko) 일회용 니들 임플란트 보조구
CN116726295A (zh) 一种冲洗吸引设备及双极电凝设备
CN106073863A (zh) 微小多孔自动取皮植皮打孔器、微粒取皮植皮设备及该设备的操作方法
CN114869452A (zh) 一种颅内镜下使用的电凝止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