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7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70B1
KR101879170B1 KR1020110108472A KR20110108472A KR101879170B1 KR 101879170 B1 KR101879170 B1 KR 101879170B1 KR 1020110108472 A KR1020110108472 A KR 1020110108472A KR 20110108472 A KR20110108472 A KR 20110108472A KR 101879170 B1 KR101879170 B1 KR 10187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inclined surfac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422A (ko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고정되는 홀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의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를 자외선 조사 경화(UV cure)로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필름을 대신하여, CCD나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은 부피가 작고 성능이 우수하여 사진의 촬영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모니터용 카메라나 자동차에 장착되는 감시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점점 다기능화,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이다.
최근의 모바일장치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Auto Focusing) 기능을 구비하게 되는데, 렌즈의 소형화 및 광학성능의 향상에 기인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성하는 장치들 또한 소형화의 요청에 부응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복수 매의 렌즈를 지지하는 홀더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접착제 등을 이용한 고정방법이 많이 사용되나, 최근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한 고정(UV cure)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자외선 조사를 통한 홀더 고정의 일 예는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68112호(2011.06.22. 공개)에 개시된 바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조정된 렌즈들과 이미지 센서의 초점거리를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고정시키는 구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로, 써멀 에폭시(Thermal epoxy)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를 결합하는 구성의 경우, 비아 홀(via hole) 등을 이용하여 홀더 측면에서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 고정(UV cure)에서는 이러한 비아 홀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써멀 에폭시를 이용한 고정에 비해 전단력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과 접착고정되는 홀더의 전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고정되는 홀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의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를 자외선 조사 경화(UV cure)로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홀더 바닥면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수지 수용홈; 및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 수용홈에 채워지고, 상기 홀더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제 2 경사면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홀더 바닥면의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의 도포 두께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곡선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홀더의 바닥면에 자외선 조사 고정을 위한 에폭시가 추가로 침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수지 수용홈이 비대칭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홀더의 전단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 부분 확대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 부분 확대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카메라 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 부분 확대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홀더(20) 및 고정유닛(100)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0)은 상측 표면에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된다.
홀더(20)는 내부에 적어도 1매 이상의 렌즈(21)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상기 렌즈(21)를 지지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스 장치(30)가 배치된다. 상기 홀더(20)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다.상기 홀더(20)의 내부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로 입사되는 화상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오토 포커스 장치(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토 포커스 장치(30)는 MEMS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중앙에 설치된 초점 조절용 렌즈의 왕복 이동을 통해 초점을 맞출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를 이용하여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31)을 움직여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오토 포커스 장치(30)는 상기한 MEMS 액츄에이터와 보이스 코일 모터 구성 이외에도 압전소자를 이용한 구성, 초점 조절용 렌즈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구성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유닛(10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20)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20)를 자외선 조사 경화(UV cure)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수용홈(110) 및 자외선 경화 수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지 수용홈(110)은 상기 홀더(20)의 바닥면의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을 마주보는 면에 일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 수용홈(110)은 상기 홀더(20)의 바닥면에 오목한 홈 부를 형성하도록 제 1 및 제 2 경사면(111)(1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경사면(111)보다 제 2 경사면(112)이 더 길게 형성되어, 이들이 만나는 꼭지점이 상기 수지 수용홈(110)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 수용홈(110)은, 상기 홀더(20) 바닥면의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지 수용홈(110)의 깊이(t)는,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120)의 도포 두께(T)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대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111)(112)은, 도 2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직선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자외선 경화 수지(1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11)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진 위치에 도포되어, 상기 홀더(2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면에 접착/고정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120)는 액상 또는 반 고체 상태의 형태로 도포되고, 자외선을 일정 시간 조사할 경우, 자외선에 의해 물리적인 특징이 변하면서 딱딱하게 경화된다. 즉, 자외선 경화 수지(120)에 미량 들어 있는 광 개시제가 UV 를 받으면 광중합 반응이 개시되어 수지의 주성분인 모노머(Monomer)와 올리고머(Oligomer)가 순간적으로 폴리머(Polymer)를 이루어 경화된다. 수지의 주성분인 모노머와 올리고머는 분자량이 낮아 액체인데 비해, 경화된 폴리머는 분자량이 높아 고체 상태이므로 서로 다른 부품인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20)를 서로 결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상기 수지 수용홈(110)의 깊이만큼 추가로 자외선 경화 수지(120)가 침투하여 굳어지므로, 전단 방향으로 홀더(20)를 후킹할 수 있는 돌기 역할을 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20)의 접촉 단면적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접착 방향에 수직한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인쇄회로기판(10)과 홀더(20)가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홀더 21; 렌즈
30; 오토 포커스 장치 31; 보빈
100; 고정유닛 110; 수지 수용홈
111; 제 1 경사면 112; 제 2 경사면
120; 자외선 경화 수지

Claims (9)

  1.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측에 고정되는 홀더;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의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 도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홀더를 자외선 조사 경화(UV cure)로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홀더 바닥면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수지 수용홈; 및
    상기 수지 수용홈에 채워지고, 상기 홀더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경사면에 대향되는 제1돌출면과 상기 제2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돌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면과 상기 제2돌출면의 상호 접촉으로 형성되는 접선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 및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제1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부분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1돌출면이 상호 면접촉되어,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의 상기 돌기 형상이 상기 홀더의 상기 제1부분을 상기 홀더의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에 각각 수직하는 방향으로 지지하여 후킹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제 1 경사면보다 제 2 경사면이 더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홀더 바닥면의 전체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수용홈은,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의 도포 두께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은 직선인 카메라 모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은 곡선인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상호 접촉으로 형성되는 접선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 및 상기 홀더의 회측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홀더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외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홀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내측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만나는 꼭지점은 상기 수지 수용홈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내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10108472A 2011-10-24 2011-10-24 카메라 모듈 KR10187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72A KR101879170B1 (ko) 2011-10-24 2011-10-2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472A KR101879170B1 (ko) 2011-10-24 2011-10-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22A KR20130044422A (ko) 2013-05-03
KR101879170B1 true KR101879170B1 (ko) 2018-07-17

Family

ID=4865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472A KR101879170B1 (ko) 2011-10-24 2011-10-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39B1 (ko) * 2017-09-27 2019-12-02 최도영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235A (ja) * 2002-01-28 2003-07-31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06081043A (ja) * 2004-09-13 2006-03-23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743083B1 (ko) * 2006-06-13 2007-07-27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모듈
JP2011035830A (ja) * 2009-08-05 2011-02-17 Sony Corp 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235A (ja) * 2002-01-28 2003-07-31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
JP2006081043A (ja) * 2004-09-13 2006-03-23 Seiko Precision Inc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743083B1 (ko) * 2006-06-13 2007-07-27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 모듈
JP2011035830A (ja) * 2009-08-05 2011-02-17 Sony Corp 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22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7238B2 (en) Camera module
KR101940478B1 (ko) 카메라 모듈
KR101087695B1 (ko) 이종재료 일체형 렌즈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US8390725B2 (en)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sitioning lenses of camera module
KR101354478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JP409881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8294229B2 (en) Wafer-scale array of optical packag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62597B1 (ko) 카메라 모듈
KR1021726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103061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CN102089681A (zh) 用于减小紧凑可调光学透镜中的热效应的方法和装置
JP7355756B2 (ja) 応力分配支持構造体を備える光学素子
JP2010156947A (ja) 可変焦点光学レンズ
KR101879170B1 (ko) 카메라 모듈
KR101484527B1 (ko) 액상 광학체를 이용하는 가변 초점 광학 장치 및 그 제작방법들
CN113009749B (zh) 光学组件、潜望式摄像模组和电子设备
KR101298454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079551A (ko) 초점 무조정 카메라 모듈
JP2007041141A (ja) レンズ保持構造体、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24678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30044421A (ko) 카메라 모듈
KR101541580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385410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03160A (ko) 카메라 모듈
KR101663832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