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31B1 -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31B1
KR101878831B1 KR1020160161871A KR20160161871A KR101878831B1 KR 101878831 B1 KR101878831 B1 KR 101878831B1 KR 1020160161871 A KR1020160161871 A KR 1020160161871A KR 20160161871 A KR20160161871 A KR 20160161871A KR 101878831 B1 KR101878831 B1 KR 101878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agnetic
container
sampl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549A (ko
Inventor
박승영
최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8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7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 G01N27/7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by investigating suscepti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측정할 시료를 받아들여 수용하는 챔버부를 갖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챔버부를 밀폐하는 상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용기는 상자성 또는 반자성을 가지고, 상부캡은 이와 반대로 반자성 또는 상자성을 가져,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이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용기와 상부캡의 중첩부위가 자력측정기에 비자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는, 상자성과 반자성의 성질을 갖는 별도의 용기와 캡으로 조립 구성되므로, 편향된 자기적 특성을 발생하지 않아 액체시료의 정확한 자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나사식 결합구조를 가지며 더 나아가 나사산의 사이에 비자성 실런트가 적용되어 자력 측정 데이터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밀폐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for magnetic force measurement of liquid sample}
본 발명은 액체시료의 자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형 시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자성체와 반자성체의 조합구조를 구현하거나 용기의 길이를 길게 하여 자기적(magnetic) 노이즈를 최소화하여 액체시료 자력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진동 시편 자력계는, 홀프로브(Hall probe)라고 하는 자계검출기를 통해 시료에 인가한 자기장을 기록하고, 시료의 자화 값은 패러데이 법칙에 기반하여 시료에 진동을 가할 때 픽업코일을 통해 얻어지는 기전력을 통해 측정된다.
이러한 진동 시료자력계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단, 자성체에 자기장을 가하면 자성체 내의 원자의 자기 모멘트가 영향을 받아 자화(magnetization)된다. 또한 자기장내에서 자기 모멘트를 갖는 자성체 주위에 픽업코일을 배치하면 자속(magnetic flux)은 상기 픽업코일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자성체를 진동시키면 픽업코일을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자속변화는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픽업코일에 기전력을 유도한다.
결국, 진동 시료자력계는 상기한 기본 작동 원리를 따르는 것으로서, 시료에 진동을 가할 때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코일을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기전력을 기초로 시료의 자화 값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 시료자력계를 통해, 재료의 자기적 특성을, 자기장, 온도, 시간의 함수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으며, 통상 최대 2∼7 테슬라의 자기장과 1.8K ~ 1273K의 온도범위에서 빠른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모든 형태의 시료, 이를테면 파우더나 고체에서부터 박막이나 단결정 또는 액체 등의 시료의 자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든 형태의 시료의 자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시료측정장치 자체는 물론 시료측정을 위한 부가적 장치도 다양하다는 의미이다.
[선행문헌]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77672호(진동시료자력계에 사용되는 온도조절장치)
한편, 시료를 흔들거나 이동시키면서 자력을 측정하는 자력계인 진동시편자력계(VSM ;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나, 초전도 양자 간섭계소자(SQUID ;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자력계의 경우, 시료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그런데 상기 홀더는 시료와 함께 자기장의 자속 내에 노출되기 때문에 시료의 자력을 측정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액체시료의 경우, 밀폐챔버형 홀더 내에 시료를 주입한 상태로 마운팅수단을 이용해 홀더를 측정장치 내에 위치시켜야 하는데, 자력측정 시 상기 홀더의 자력이 한꺼번에 측정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홀더의 자력을 미리 측정하고, 자력측정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으로부터 홀더의 자력을 제거하여 액체시료의 자력을 얻어내는 방법을 취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특히, 홀더마다 미세한 편차가 있으므로 홀더를 바꿀 때마다 홀더의 자력을 번번이 측정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기존 액체시료용 홀더의 경우, 기밀성이 떨어져 가령 진공환경에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액체시료의 누설 없이 시험하기 위해서 홀더 외부에 실링테이프를 감아 밀봉을 도모할 수 있으나, 실링테이프 자체의 자력 또한 함께 측정되므로 이 또한 해결책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써 상자성과 반자성의 성질을 갖는 별도의 용기와 캡으로 조립 구성하거나 또는 용기의 직경 대비 길이의 비율을 일정 수치 이상으로 하여 편향된 자기적 특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시료의 정확한 자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나사식 결합구조를 가지며 더 나아가 나사산의 사이에 비자성 실런트가 적용되어 밀폐성이 뛰어난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는, 측정할 시료를 받아들여 수용하는 챔버부를 갖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챔버부를 밀폐하는 상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용기는 상자성 또는 반자성을 가지고, 상부캡은 이와 반대로 반자성 또는 상자성을 가져,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이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용기와 상부캡의 중첩부위가 자력측정기에 비자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은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챔버부를 그 중앙부에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는; 그 상단부에 상기 챔버부를 가지는 일정직경의 중공파이프형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부는, 일정내경 및 깊이를 가지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시료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캡은, 상기 하부용기의 연장부와 같은 직경을 갖는 중공파이프형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를 수용하여 시료챔버를 밀봉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챔버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챔버의 상단부를 커버하여 차단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챔버부의 수나사부 일부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되, 수나사산의 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나사산의 골부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런트는, 챔버부 외주면의 총 면적의 절반 이하의 면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암나사부의 내주면 일부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되, 암나사산의 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암나사산의 골부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런트는 암나사부 내주면의 총 면적의 절반 이하의 면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런트의 자기적 성질은 상자성 또는 반자성 가운데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이 결합한 상태의 밀폐용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며 외부의 장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챔버부가 공간상에 떠 있도록 지지하는 마운팅스트로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운팅스트로우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비자성 중공튜브이며, 상기 밀폐용기 외주면과 마운팅스트로우의 내주면 사이에는 링형 라이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너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밀폐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부가 만난 링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 조립체의 직경대비 길이의 비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는, 상자성과 반자성의 성질을 갖는 별도의 용기와 캡으로 조립 구성되거나 용기의 직경 대비 길이의 비율을 일정 수치 이상으로 하여, 편향된 자기적 특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액체시료의 정확한 자력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식 결합구조를 가지며 더 나아가 나사산의 사이에 비자성 실런트 또는 반자성의 실런트를 적용하여 밀폐성을 개선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를 수납케이스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21)는,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의 조립구조를 갖는다. 즉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이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밀폐용기(21)를 이루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된 상태로 도 1에 도시한 끼움블록(15)에 끼워져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를 수납케이스(11)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홈(15a)이 형성되어 있는 끼움블록(15)에 서로 쌍을 이루는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이 끼워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끼움블록(15)은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을 분리 보관하기 위한 틀로서, 별도의 수납케이스(11)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11)는 내부공간(11a)을 가지며 뚜껑(13)에 의해 개폐되는 상자이다. 상기 수납케이스(11)는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끼움블록(15)에 끼워지는 다수의 하부용기(17)와 상부용기(19)는 일대일로 대응하여 쌍을 이룬다. 도 1의 경우 10개의 하부용기(17)와 10개의 상부캡(19)이 꼽혀 지지된다. 상기 끼움블록(15)의 수용 용량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밀폐용기(21)를 구성하는 하부용기(17)는,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홈(15a)에 삽입되는 연장부(17a)와, 상기 연장부(17a)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수나사부(17b)를 갖는다. 상기 수나사부(17b)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부에 시료챔버(17c)를 갖는다. 시료챔버(17c)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시료를 받아 수용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상부캡(19)은 하부용기(17)에 나사 결합하여 시료챔버(17c)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갖는 연장부(19a)와, 상기 연장부(19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밀폐부(19f)를 갖는다. 상기 밀폐부(19f)는 수나사부(17b)와 나사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21)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21)는, 시료챔버(17c)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용기(17)와, 상기 하부용기(17)의 상부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시료챔버(17c)를 밀폐하는 상부캡(19)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용기(17)는 일정내경 및 외경(M)을 갖는 중공파이프 형태의 연장부(17a)와, 상기 연장부(17a)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챔버부(17k)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용기(17)의 외경(M)대비 길이(P)의 비는 5 이상이다.
상기 챔버부(17k)는 연장부(17a)의 상단부를 가공하여 형성한 부분으로서 액체시료를 수용하는 시료챔버(17c)를 제공한다. 상기 시료챔버(17c)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액체시료를 받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D3의 직경을 갖는 홈이다. 도면부호 17d는 상기 시료챔버(17c)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부이다.
상기 시료챔버(17c)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상이하게 설계된다. 즉, 상기 시료챔버(17c)의 직경대비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가령, 지름대비 깊이의 비율이 1이하일 경우에는 진동시편자력계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1이상일 경우에는 양자간섭계 소자자력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상기 지름 대비 깊이의 비율이 1이하인 것은 시료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어 보다 높은 감도의 자력검출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 챔버부(17k)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7b)와 걸림턱(17m)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나사부(17b)는 후술할 암나사산(19d)과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7m)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캡(19)의 하단면과 대응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상부캡(19)은, 상기 하부용기의 연장부와 동일한 외경(M)을 갖는 중공파이프형 연장부(19a)와, 상기 연장부(19a)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밀폐부(19f)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캡(19)의 외경(M) 대비 길이(N)의 비는 5정도이다.
상기 밀폐부(19f)는 하부로 개방된 암나사형 홈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9b)를 갖는다. 상기 암나사부(19b)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19f)의 내부에는 차단판부(19c)가 위치한다.
상기 차단판부(19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용기(17)에 상부캡(19)이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시료챔버(17c)의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
결국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을 완전히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시료챔버(17c)가 수나사부(17b)의 내부에서 밀폐되는 것이다. 시료챔버(17c)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시료가 외부로 누설될 염려가 없다.
특히 상기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의 자력적 특성은 반대이다. 즉, 가령 하부용기(17)가 상자성 일 경우 상부캡(19)은 반자성이고, 하부용기(17)가 반자성 일 경우 상부캡(19)은 상자성인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의 물성을 반대로 설계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물성을 반대로 정함으로써, 자력측정기(미도시)로 밀폐용기(21)를 측정할 때, 하부용기(17)와 상부캡(19)의 중첩부위, 다시 말하면 시료챔버(17c)를 둘러싼 부분이 비자성을 띄는 것이다.
이는, 액체시료의 자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밀폐용기(21)가 자기적(magnetic) 노이즈를 최소화 하여, 액체시료의 자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다루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하부용기(17)가 상자성(PM)이고, 상부캡(19)이 반자성(DM)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자성물질은 자기장이 커질수록 자화율이 낮아지고, 상자성물질은 자기장이 커질수록 자화율이 커진다. 따라서 반자성물질과 상자성물질을 결합한 상태로 자기장을 가하면 상자성과 반자성의 특성이 서로 중첩되어 비자성의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즉 도 4의 우측 그래프에 도시한 [PM+DM]직선과 같이 자기장에 대한 자화율의 변화가 최소화된 것이다.
이와 같이 액체시료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비자성의 특성을 가지므로, 시료챔버(17c)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시료의 자력만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나사부(17b)의 일부(H2 부분)와 암나사부(19b)의 일부(H1 부분)에 실런트(17f,19e)가 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부용기(17)의 경우 상기 수나사부(17b)의 외주면 일부에 실런트(17f)가 도포되어 있는데, 상기 실런트(17f)는 수나사산(17e)의 골부에만 충진되어 있다. 수나사산(17e)의 산부는 실런트(17f)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실런트(17f)의 최대 두께는, 수나사산(17e)의 나사산 높이의 60%이하이다.
상부캡(19)의 암나사부(19b) 일부에 도포되어 있는 실런트(19e)도, 각 암나사산(19d) 사이의 골부에 충진되어 있다. 암나사산(19d)의 산부가 실런트(19e)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실런트(19e)의 최대 두께는 암나사산(19d) 높이의 60% 이하이다.
한편, 상기 수나사부(17b)의 외주면에 도포되어 있는 실런트(17f)의 커버 면적은, 수나사부(17b) 외주면 면적의 절반 이하이며, 특히 걸림턱(17m)측으로 최대한 붙어있다.
아울러 암나사부(19b)에 도포되어 있는 실런트(19e)의 커버 면적은, 암나사부(19b) 내주면 면적의 절반 이하이다. 아울러 실런트(19e)는 차단판부(19c) 측으로 최대한 편중되어 있다.
결국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하부케이스(17)와 상부캡(19)이 나사 결합하게 되면,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의 사이에 실런트(17f,19e)가 개재되어, 더욱 강력한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가령 밀폐용기(21)를 외부의 진공챔버(미도시)에 오랫동안 보관하더라도 액체시료의 누설 염려가 없다.
통상 반자성체와 상자성체의 자력의 세기를 비교하면 그 절대값이 상자성체의 것이 더 세기 때문에 상기 실런트(17f,19e)는 반자성의 성질인 것이 본 발명의 취지에 보다 부합한다. 그러나 실런트(17f,19e)는 상자성인 경우에도 자력의 자기장 의존성이 선형적이므로 후보정이 용이하므로, 상기 실런트의 자기적 성질은 상자성 또는 반자성 가운데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21)가 마운팅스트로우(25)의 내부에 끼워져 있다. 상기 마운팅스트로우(25)는 일정직경을 갖는 중공튜브형 반자성 부재로서 그 내부에 밀폐용기(21)를 수용한 상태로 자력측정장치(미도시)에 장착된다. 마운팅스트로우(25)는, 액체시료가 수용되어 있는 밀폐용기(21)를, 자력측정기의 내부에 정위치시키는 마운터의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밀폐용기(2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차단링(23)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차단링(23)은, 말하자면, 밀폐용기(21)의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한바퀴 돌아 양단부가 만나 링의 형태를 취하는 링형 돌출부이다. 상기 차단링(23)의 개수나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용기(21)의 외주면에 차단링(23)을 형성한 이유의 하나는, 마운팅스트로우(25)에 대한 밀폐용기(21)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마운팅스트로우(25) 내부로 밀폐용기(21)를 삽입하거나, 밀폐용기(21)를 마운팅스트로우(25)의 외부로 인출할 때, 밀폐용기(21)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는, 시료챔버(17c)로부터 미세하게 새어나온 액체시료가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사실 자력측정을 위해서는 밀폐용기(21)를 매우 빠른 속도로 흔들어야 하는데, 이 때 미량의 액체시료가 누설될 수 있다. 여하튼, 이와 같이 차단링(23)을 적용함으로써 액체시료가 밀폐용기(21)의 하부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수납케이스 11a:내부공간 13:뚜껑
15:끼움블록 15a:홈 17:하부용기
17a:연장부 17b:수나사부 17c:시료챔버
17d:바닥판부 17e:수나사산 17f:실런트
17k:챔버부 17m:걸림턱 19:상부캡
19a:연장부 19b:암나사부 19c:차단판부
19d:암나사산 19e:실런트 19f:밀폐부
21:밀폐용기 23:차단링 25:마운팅스트로우

Claims (14)

  1. 측정할 시료를 받아들여 수용하는 챔버부를 갖는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챔버부를 밀폐하는 상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용기는 상자성 또는 반자성을 가지고, 상부캡은 이와 반대로 반자성 또는 상자성을 가져,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이 결합한 상태에서 하부용기와 상부캡의 중첩부위가 자력측정기에 비자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하부용기는,
    그 상단부에 상기 챔버부를 가지는 일정직경의 중공파이프형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부는,
    일정내경 및 깊이를 가지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시료챔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은 상호 결합한 상태로 상기 챔버부를 그 중앙부에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상기 하부용기의 연장부와 같은 직경을 갖는 중공파이프형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를 수용하여 시료챔버를 밀봉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챔버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시료챔버의 상단부를 커버하여 차단하는 차단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수나사부 일부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되, 수나사산의 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나사산의 골부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챔버부 외주면의 총 면적의 절반 이하의 면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내주면 일부에는 실런트가 도포되되, 암나사산의 산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암나사산의 골부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암나사부 내주면의 총 면적의 절반 이하의 면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의 자기적 성질은 상자성 또는 반자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이 결합한 상태의 밀폐용기를 그 내부에 수용하며 외부의 장비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챔버부가 공간상에 떠 있도록 지지하는 마운팅스트로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스트로우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비자성 중공튜브이며,
    상기 밀폐용기 외주면과 마운팅스트로우의 내주면 사이에는 링형 라이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상기 밀폐용기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밀폐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부가 만난 링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캡 조립체의 직경대비 길이의 비는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KR1020160161871A 2016-11-30 2016-11-30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KR101878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71A KR101878831B1 (ko) 2016-11-30 2016-11-30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71A KR101878831B1 (ko) 2016-11-30 2016-11-30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49A KR20180062549A (ko) 2018-06-11
KR101878831B1 true KR101878831B1 (ko) 2018-07-18

Family

ID=6260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71A KR101878831B1 (ko) 2016-11-30 2016-11-30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8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58B1 (ko) * 2019-10-17 2021-03-2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액슬 조립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877A (ja) * 1992-02-14 1993-09-03 Dowa Mining Co Ltd 超電導磁気シールド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51043A (ja) * 1992-06-12 1994-02-25 Xerox Corp 振動試料磁力計用のカプセルサンプルを準備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8162311A (ja) * 1994-12-02 1996-06-21 Ykk Kk 非磁性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磁化測定装置用試料容器及び支持材
KR20020036784A (ko) * 2000-04-07 2002-05-16 오카야마 노리오 자기 센서
KR100319665B1 (ko) * 1996-11-28 2002-08-08 안장홍 유체개폐용 볼밸브장치
KR101077672B1 (ko) * 2010-07-15 2011-10-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시료자력계에 사용되는 온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877A (ja) * 1992-02-14 1993-09-03 Dowa Mining Co Ltd 超電導磁気シールド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51043A (ja) * 1992-06-12 1994-02-25 Xerox Corp 振動試料磁力計用のカプセルサンプルを準備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8162311A (ja) * 1994-12-02 1996-06-21 Ykk Kk 非磁性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磁化測定装置用試料容器及び支持材
KR100319665B1 (ko) * 1996-11-28 2002-08-08 안장홍 유체개폐용 볼밸브장치
KR20020036784A (ko) * 2000-04-07 2002-05-16 오카야마 노리오 자기 센서
KR101077672B1 (ko) * 2010-07-15 2011-10-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시료자력계에 사용되는 온도조절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화면캡쳐), Lake shore cryotronics., [online], 인터넷:{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9140847/https://www.lakeshore.com/products/Vibrating-Sample-Magnetometer/Pages/samplekits.aspx}(2016.11.09.) *
(인터넷 화면캡쳐), Lake shore cryotronics., [online], 인터넷:<URL:https://web.archive.org/web/20161109140847/https://www.lakeshore.com/products/Vibrating-Sample-Magnetometer/Pages/samplekits.aspx>(2016.11.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49A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6666B2 (en) Metering device and metering method
RU2531896C1 (ru) Влагонепрониц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KR101878831B1 (ko) 액체시료 자력측정용 밀폐용기
US20160238410A1 (en) Position sensor and measuring arrangement
CN205643218U (zh) 能够测量样品温度的样品操纵杆
GB2399422A (en) Measuring the rate of permeation of gases through a sample
JP6467553B2 (ja) 安定的な放射性核種分析のためのマリネリビーカー補正容器
EP3054294B1 (en) Column contained in container
US2892086A (en) Sealed radioactivity sample chamber
KR101987714B1 (ko) 나사식 밀폐형 뚜껑을 적용한 감마선분광분석용 마리넬리 비이커
US20050193801A1 (en) Housing for magnetofluidic accelerometer
US5274327A (en) Powder sample holding capsule holding adapter for a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CN207423841U (zh) 与便携式x射线荧光仪校准配套的土壤标样盒
Biancalana et al. Note: A fast pneumatic sample-shuttle with attenuated shocks
JP4811752B1 (ja) 細胞磁場計測装置
KR102211201B1 (ko) 감마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하는 라돈 등 방사능 측정용 밀폐 용기
FR2485751A1 (fr) Appareil de detection magnetique
CN110907870B (zh) 磁屏蔽设备
Yagi et al. NMR marginal oscillator with MOS-FET operating at low temperature
RU2735000C1 (ru) Держатель образца для СКВИД-магнитометра типа MPMS
CN209564124U (zh) 一种用于血气分析的微量采血针
CN215437740U (zh) 一种计量瓶
CN219016557U (zh) 一种单晶样品杆及电子顺磁共振仪器
KR101108134B1 (ko) 자기측정 센서용 수용장치
JP2015102474A (ja) 固体nmr装置の測定試料管用インサート及び測定試料管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