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21B1 -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21B1
KR101877521B1 KR1020160167699A KR20160167699A KR101877521B1 KR 101877521 B1 KR101877521 B1 KR 101877521B1 KR 1020160167699 A KR1020160167699 A KR 1020160167699A KR 20160167699 A KR20160167699 A KR 20160167699A KR 101877521 B1 KR101877521 B1 KR 10187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ence
user
case
search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632A (ko
Inventor
김차중
강래성
크리스티안스 헨리
김혜영
앤드류 셀프 제임스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67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3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되며, 기설정된 제품경험요소 별로 복수의 사용자 경험 사례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기등록된 사용자 경험 사례 중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에 따른 제품경험요소에 대응된 사용자 경험 사례로 구성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공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 중 선택된 사례에 대한 세부 내용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USER EXPERIENCE}
본 발명은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Centered Design)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제품 개발 과정에 있어 사용자 조사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실무나 연구 현장에서 사용자 조사는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사용자 조사를 적용하기 어렵게 하는 몇 가지 환경에서 기인하는데, 첫째로 사용자 조사를 계획하고, 수행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적, 물질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 그리고 대규모로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과 환경이 존재하여 특정한 몇몇의 사용자 조사 데이터만으로 깊이있는 사용자에 대한 지식을 만들어내기 힘든 점 등이 그 대표적인 이유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에 관한 사례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관련 연구나 단편적인 디자인 사례집에 의존하는 등 낮은 정보 접근성으로 인하여 디자인 실무자가 실질적으로 활용할 인사이트 툴이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제품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대한 면밀한 파악과 사용자와 제품의 상호작용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꼭 필요한 요소이므로, 사용자에 대한 경험과 사용자 조사를 위한 비용이 부족한 디자인 실무자나 학생에게는 사용자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경험적 모델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을 유발하는 제품의 경험적 요소에 관해 탐구하고, 정의된 경험적 요소들로서 실제 사용자의 긍정적 제품 경험을 참고할 수 있도록 제품 경험에 관한 사용자 사례 검색 서비스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경험 사례를 기록(archiving)하고 이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경험 사례 등록 및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경험 사용자 단말로 기설정된 복수의 제품경험요소 별로 임의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할 수 있는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품경험요소 별로 기등록된 사용자 경험 사례들로 구성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사례를 입력받아 선택된 사례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품경험요소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를 통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은, 기설정된 제품경험요소 별로 복수의 사용자 경험 사례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임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기등록된 사용자 경험 사례 중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에 따른 제품경험요소에 대응된 사용자 경험 사례로 구성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 중 선택된 사례에 대한 세부 내용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경험요소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계적인 사용자 경험 사례 연구 자료의 검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디자인과정에서 기존의 방법론들로 수립하기 어려운 사용자 경험에 관한 전략을 다양한 사례와 체계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쉽게 수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화면의 일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하여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는 사용자(예를 들어, 디자이너)가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단계에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영감이나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마다 활용 및 참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의 사례를 탐색 및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10)은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300)들과 통신하여 설정된 통신 포맷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 즉, 검색 사용자의 단말(200)과,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하는 사용자 즉,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경험한 사용자의 단말(300)로 편의상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사용자 단말(200)과 경험 사용자 단말(300)은 각각 사용자가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해 구분되는 것으로서, 동일 단말이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및 사용자 경험 사례 등록을 모두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검색 사용자 단말(200) 및 경험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탑재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지능형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인 것을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120)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에 대해서는, 아래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의 실행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검색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정보를 선택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경험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경험 사례를 업로드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13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객체의 단말(200, 300)들 상에서 그래픽 처리되어 출력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검색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하고, 경험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라고 구분하여 지칭하도록 한다.
검색 사용자 단말(200) 및 경험 사용자 단말(300)은 각각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에 접속하여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검색 사용자 단말(200) 및 경험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로 접속하고,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의 화면 상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출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또는 기설정된 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은 일종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명, 모바일 앱 또는 APP)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 300)을 통해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100)에 온라인 또는 모바일 웹으로 접속하여 다운로드한 후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경험 사례(이하, “컨텐츠”라고 지칭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는 프로세서(130)가 사용자 경험의 발현 요인을 5가지로 분류하여 사용자의 사례들을 수집한 자료를 요인에 맞게 코딩한 것으로서, 프로세서(130)는 수집 및 생성된 컨텐츠를 사용자 경험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 참고로, 사용자 경험 데이터베이스(140)는 메모리(120) 상의 일부 영역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컨텐츠의 용량이 대용량인 것을 감안하여 별도의 저장 장치 또는 영역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로서 제공될 제품경험요소에 관한 모델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을 둘러싼 경험적 요소에 관한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해 설정된 제품경험요소(UXA) 기준(모델)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용자 경험과 제품-사용자 상호작용을 연구한 기존의 HCI, 심리학, 디자인학 연구논문들에 대한 전문가의 문헌 연구를 통해, 제품 경험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들에 대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방법론을 사용한 제품경험요소 정의가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정된 제품경험요소(UXA)와 관련된 컨텐츠를 사용자 경험 사례로서 제공한다.
참고로, 프로세서(130)는 제품경험요소(UXA) 기준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웹 기반의 설문조사 툴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 수집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품경험요소(UXA) 기준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제품 중 가장 좋아하는 제품을 떠올리게 하여 그 제품에 관한 설문을 수집한 결과를 제품경험요소(UXA) 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로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설문 조사의 내용은, 임의의 제품 경험 요소에 대해 정의를 설명한 후, 해당 제품경험요소의 설명에 관해 얼마나 동의하는지 여부, 그렇게 응답한 이유의 서술한 결과, 제품경험요소들 중 제품을 선호하는 가장 주요한 이유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문 조사의 내용에 대해 임의의 사용자(예를 들어, 전문가)가 설문의 응답 이유와 해당 제품경험요소가 매칭되는지 검증한 결과가 저장된다. 이러한 설문 조사의 내용 및 그 검증 결과를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제품에 관한 경험적 요소를 유사한 관계대로 클러스터링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링의 결과로서 아래와 같은 총 다섯 가지의 제품경험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첫 번째 제품경험요소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으로서, 소비자가 감각을 통해 제품/서비스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감각 기관을 통해 느껴지는 심미적인 경험과 그에 따른 만족감에의해 형성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품(혹은 서비스)의 모양과 색이 아름답다/소리가 흥미롭다/부드럽고 따뜻한 촉감을 준다.”라는 제품경험을 의미한다. 감각적 경험 요소에 대한 키워드는 오감(촉각, 미각, 시각, 후각, 청각)의 심미적 경험과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두 번째 제품경험요소는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으로서, 제품/서비스를 사용하면서 느끼게 되는 효율성 기능성 등 기능적인 요소에 의한 경험과 그에 대한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품(혹은 서비스)은 기능이 뛰어나다 / 편리하고 쉽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라는 제품 경험을 의미한다. 기능적 경험에 대한 키워드는 기능성, 효용성, 효율성, 내구성, 목적달성성 등과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세 번째 제품경험요소는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으로서, 사용자가 제품/서비스에 관련된 기억 및 사건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품은 친구에게 처음으로 받은 것이다/외국에 갔을? 산 것이다/힘든 시기를 항상 함께한 제품이다.”라는 제품 경험을 의미한다. 에피소드적 경험에 대한 키워드는 누적된 기억, 사연, 기억, 에피소드, 이야기, 매개체, 일화 등과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네 번째 제품경험요소는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으로서, 사용자가 제품/서비스에 개인적인 가치 또는 개인이 받아들인 사회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품에 새겨진 문장이 내생각과 같아서 좋다(생각이나 가치관 공유)/나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때문에 좋아한다/지중해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어 좋아한다/공정무역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생산되었기 때문에 좋아한다/전문가가 되고싶은 나의 자아성취에 도움이 되므로 좋아한다.”라는 제품 경험을 의미한다. 가치관적 경험에 대한 키워드는 개인의 가치, 생각, 믿음, 이념, 신념, 성장, 인식, 개인의 성장 등과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제품경험요소는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으로서, 제품/서비스의 브랜드, 제품/서비스가 사회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상징에 대한 경험이나 그에 대한 만족을 느낌으로써 형성되는 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제품(혹은 서비스)은 특정 브랜드이기 때문에 좋아한다/사용하면 전문성이 있는 것 같이 보여서 좋아한다/연예인이 사용했기 때문에 좋아한다.”라는 제품 경험을 의미한다. 상징적 경험에 대한 키워드는 브랜드, 이미지, 대표성, 공공적 이미지, 타인의 시선, 상징성 등에 관련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상 5가지의 제품경험요소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준으로서 설정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품경험요소의 기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추가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프로세서(130)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화면의 일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검색 및 등록과 부가적인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화하여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바(P10)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네비게이션 바(P10)에 포함된 메뉴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항목에 따른 세부 내용이 출력되는 내용 페이지(P20)를 제공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비게이션 바(P10)에, 새로 업데이트된 사용자 경험 사례 정보를 알리는 “NEW FEEDS” 기능, 검색 사용자가 사용자 경험 사례를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복수의 사례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SEARCH” 기능, 경험 사용자가 경험에 관한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CASE HUNTING” 기능, 및 검색 사용자가 필요한 케이스 데이터를 스크랩(즉, 저장)하는 “BOARD” 기능, 이렇게 4가지 메뉴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4가지 메뉴를 사용하여, 검색 사용자는 키워드 선택이나 검색을 통해 사례를 탐색하는 기능, 사례를 입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사례들을 목적에 맞게 분류하여 스크랩하는 기능, 및 스크랩된 보드를 공유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이나 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집단 또는 개인이, 개발할 품목과 목표로 하는 사용자 경험에 대해, 유사한 사례나 제품을 검색하여 참조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 전략을 세부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EW FEEDS” 기능이 선택되면, 새롭게 입력된 사례와 최근 탐색한 관심사례가 내용 페이지(P20)에 우선 표시된다. 표시된 각 사례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구체적인 케이스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EARCH” 기능이 선택되면, 검색 사용자가 키워드 및 요인을 입력 또는 선택하여 기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두가지 방식으로 케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내용 페이지에 표시된 다섯가지 제품경험요소 기준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 사례를 직접 탐색할 수 있으며, 또한, 타겟 UX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매칭되는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품경험요소(UXA)는 긍정적인 제품 경험이 발현되는 요인을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분류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 표시된 5가지 제품경험요소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 해당 제품경험요소에 대한 팝업 페이지가 내용 페이지 영역에 출력된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팝업 페이지에는 각 제품경험요소 분류에 관한 구체적인 정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시 살펴보기’ 항목을 통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제품경험에 속하는 구체적인 예시 내용 및 그림이 출력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 표시된 5가지 제품경험요소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 선택한 제품경험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제품경험요소에 소속된 제품 사용자 경험 사례 키워드를 출력하고, 검색 사용자로부터 키워드 중 목적하는 프로젝트의 UX 타겟에 가까운 키워드를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5가지 제품경험요소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경험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목록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목록으로부터 목적하는 프로젝트의 UX 타겟에 가까운 컨텐츠를 직접 탐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색 사용자가 직접 탐색하거나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 도 5의 (b)에서와 같이,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 경험 사례의 세부 페이지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ASE HUNTING” 기능이 선택되면, 실제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긍정적인 경험이 발현된 ‘사례’를 기록 및 등록할 수 있도록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의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생겨났는지에 대한 설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제품에 대한 경험요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5가지의 제품경험요소 중 자신이 등록한 경험 사례의 설명에 대응하는 제품경험요소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보내기 등의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사례를 보드(하기 도 7에서 설명함)에 저장하거나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임의의 매체에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b)에서와 같이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긍정적으로 느낀 제품 경험이 있다면 이미지와 함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경험에 관한 간단한 설명을 기록할 수 있으며(Write a caption), 제품의 이름을 태그할 수 있으며(Product name), 제품경험요소의 종류를 선택하고 그에 따른 키워드를 기록할 수 있다(Add Tags). 또한, 해당 제품에 관한 두가지 이상의 긍정적인 경험이 있다면 추가적인 케이스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Add more experience case). 이처럼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되는 사용자 경험 사례 데이터들을 사용자 경헙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BOARD” 기능이 선택되면, 검색 사용자가 사용자 경험 사례를 탐색(또는 검색)하던 도중 원하는 사례를 선택하여 스크랩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색(또는 검색)을 통해 선택한 사례에 대한 세부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검색 사용자가 해당 사례를 선택하여 스크랩하여 사례 자체를 보드 항목에 추가하거나 해당 사례에 대한 코멘트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 사용자에 의해 스크랩 또는 코멘트가 작성된 사례가 포함된 보드는 검색 사용자 별로 저장되고,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다. 이때,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사용자가 설정한 프로젝트 별로 필요한 케이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보드에 어떤 종류의 케이스들이 저장되어있는지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를 통한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의 모든 절차 및 동작은 프로세서(130)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전에 정의된 제품경험요소 별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경험 사례를 입력받아 등록한다(S810).
참고로 사전에 정의된 제품경험요소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험 사용자 단말로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임의의 사용자가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을 요청하면(S820), 기등록된 사용자 경험 사례들로 구성된 목록을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S830).
이때,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은, 검색 사용자가 제품경험요소를 선택하고 임의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제품경험요소 및 키워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경험 사례들을 검출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은 검색 사용자가 제품경험요소를 선택하면 해당 제품경험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경험 사례들을 검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은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앞서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으로부터 선택한 사례에 대해 세부 페이지를 제공한다(S84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세부 페이지를 확인한 사례에 대한 스크랩 및 공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사례를 보드에 추가하거나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다른 매체 상에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의 각 구성 및 그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110: 통신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경험 사례 등록 및 검색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응하여, 상기 경험 사용자 단말로 기설정된 복수의 제품경험요소 별로 임의의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사례를 등록할 수 있는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품경험요소 별로 기등록된 사용자 경험 사례들로 구성된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 목록 중 사용자가 선택한 사례를 입력받아 선택된 사례에 대한 세부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품경험요소는 제품/서비스를 인지시 느끼는 오감의 심미적 경험과 그에 따른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를 사용시 느끼는 기능적인 요소에 의한 경험과 그에 따른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에 관련된 기억과 사건에 의해 형성되는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에 개인적인 가치나 사회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형성되는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가 사회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나 상징에 대한 경험이나 그에 대한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새로 업데이트된 사용자 경험 사례와 최근 탐색된 관심 사례를 알리는 뉴 피드(NEW FEEDS) 기능, 검색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도록 하는 서치(SEARCH) 기능, 경험 사용자가 경험에 관한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헌팅(CASE HUNTING) 기능, 상기 검색 사용자가 필요한 케이스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보드(BOARD) 기능을 메뉴화하여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바와,
    상기 네비게이션 바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른 세부 내용을 출력하는 내용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뉴 피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내용 페이지에 상기 새로 업데이트된 사용자 경험 사례와 상기 최근 탐색된 관심사례를 표시하고, 표시된 사례의 이미지를 선택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서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내용 페이지에 상기 다섯가지의 제품경험요소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품경험요소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내용 페이지에 선택된 제품경험요소에 대한 팝업 페이지가 출력되고, 선택된 제품경험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를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복수의 컨텐츠들을 목록으로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 헌팅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내용 페이지에 상기 제품경험요소들을 표시하여, 상기 경험 사용자가 표시된 상기 제품경험요소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제품/서비스의 이름, 상기 제품/서비스에 관련된 경험에 대한 설명,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보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검색 사용자가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던 도중 원하는 사례를 선택하여 보드 항목에 스크랩하고 해당 사례에 대한 코멘트를 기록하도록 상기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것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경험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는 것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7.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를 통한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 업데이트된 사용자 경험 사례와 최근 탐색된 관심 사례를 알리는 뉴 피드(NEW FEEDS) 기능, 검색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도록 하는 서치(SEARCH) 기능, 경험 사용자가 경험에 관한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헌팅(CASE HUNTING) 기능, 상기 검색 사용자가 필요한 케이스 데이터를 스크랩하는 보드(BOARD) 기능을 메뉴화하여 출력하는 네비게이션 바와, 상기 네비게이션 바에서 선택된 메뉴에 따른 세부 내용을 출력하는 내용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경험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 헌팅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내용 페이지에 기 설정된 제품경험요소들을 표시하여, 상기 경험 사용자가 상기 제품경험요소의 종류를 선택하고, 키워드와 설명을 입력하도록 하여, 복수의 사용자 경험 사례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뉴 피드 기능이나 상기 서치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뉴 피드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내용 페이지에 상기 새로 업데이트된 사용자 경험 사례와 상기 최근 탐색된 관심사례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사례의 이미지를 선택시 상기 내용 페이지에 상기 사례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서치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내용 페이지에 다섯가지의 제품경험요소들을 표시하고,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제품경험요소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내용 페이지에 선택된 제품경험요소에 대한 팝업 페이지를 출력하고, 선택된 제품경험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경험 사례를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복수의 컨텐츠들을 목록으로 제시하여 상기 검색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보드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를 검색하던 도중 원하는 사례를 선택하여 보드 항목에 스크랩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해당 사례에 대한 코멘트를 기록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경험요소는 제품/서비스를 인지시 느끼는 오감의 심미적 경험과 그에 따른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감각적 경험(Sensory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를 사용시 느끼는 기능적인 요소에 의한 경험과 그에 따른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기능적 경험(Instrumental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에 관련된 기억과 사건에 의해 형성되는 에피소드적 경험(Episodic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에 개인적인 가치나 사회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형성되는 가치관적 경험(Value Experience), 상기 제품/서비스가 사회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나 상징에 대한 경험이나 그에 대한 만족감에 의해 형성되는 상징적 경험(Symbolic Experience)을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 등록 및 상기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방법.
KR1020160167699A 2016-12-09 2016-12-09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7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99A KR101877521B1 (ko) 2016-12-09 2016-12-09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699A KR101877521B1 (ko) 2016-12-09 2016-12-09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32A KR20180066632A (ko) 2018-06-19
KR101877521B1 true KR101877521B1 (ko) 2018-08-09

Family

ID=6279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699A KR101877521B1 (ko) 2016-12-09 2016-12-09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75B1 (ko) * 2018-11-26 2020-08-14 장태호 태깅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검색 장치
KR102363533B1 (ko) * 2020-03-31 2022-02-16 주식회사 자가돌봄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KR102359355B1 (ko) * 2020-03-31 2022-02-04 주식회사 자가돌봄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201610A1 (ko)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자가돌봄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714A (ja) * 2012-07-31 2014-03-13 Okwave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記憶装置、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検索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記憶方法、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検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711A (ko) * 2008-10-02 2010-04-12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참여에 기초한 상품 정보 수집,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80359B1 (ko) * 2009-09-03 2012-09-06 (주) 다이퀘스트 제품리뷰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4714A (ja) * 2012-07-31 2014-03-13 Okwave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記憶装置、データ表示装置、データ検索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記憶方法、データ表示方法及びデータ検索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ieter Desmet 외 1명. Framework of Product Experience. 2007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32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801B2 (en) Map scree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Patel Beyond binaries: A case for self-reflexive sociologies
Beck et al.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tion, market orientation, and innovation in family firms
US9141693B2 (en) Within an electronic book environment, retrieving and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images or text in the electronic book
KR101324909B1 (ko) 터치포인트 커스터마이제이션 시스템
KR101877521B1 (ko)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5920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visual content items
Lane et al. Fostering smarter colleges and universities
CN106021449A (zh) 用于移动终端的搜索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Makhortykh et al. We are what we click: Understanding time and content-based habits of online news readers
CN110442791A (zh) 数据推送方法和系统
Bolin et al. Audience-metric continuity? Approaching the meaning of measurement in the digital everyday
Jin Construction of digital Korea: the evolution of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21st century
Lynn et al. Is popular more likeable? Choice status by intrinsic appeal in an experimental music market
US20190213611A1 (en) System for online polling
Wiehn Becoming intimate with algorithms: Towards a critical antagonism via algorithmic art
US105528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75207A (ko) 가상 공간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8694211B (zh) 应用分发方法及装置
Pozzi et al. Individuation and diversity: the need for idiographic HCI
Hayden et al. The science of goal setting: A practitioner’s guide to goal setting in the social marketing of conservation
Pesch COUNTER release 5: What’s new and what it means to libraries
JP2015062096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210106285A (ko)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콘텐츠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im iScholar: A mobile research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