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217B1 -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217B1
KR101877217B1 KR1020180004510A KR20180004510A KR101877217B1 KR 101877217 B1 KR101877217 B1 KR 101877217B1 KR 1020180004510 A KR1020180004510 A KR 1020180004510A KR 20180004510 A KR20180004510 A KR 20180004510A KR 101877217 B1 KR101877217 B1 KR 101877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using
pin
head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60Steering arrangements
    • F42B10/62Steering by movement of flight surfaces
    • F42B10/64Steering by movement of flight surfaces of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는 비행체 조종핀을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비행체 조종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비행체 조종핀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control fin of aircraft}
본 발명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비행체 시스템의 경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유도 비행체의 비행자세를 조종하는 조종핀이 구비된다. 이러한 조종핀은 유도 비행체의 비행 중 발생하는 기동하중 또는 발사관 이탈 중 발생하는 발사관과의 마찰 등으로 인해 구동장치의 구동축의 영점이 틀어져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장치 내에 기구적으로 조종핀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유도 비행체가 발사관에 투입되는 경우, 스프링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조종핀을 고정하였다가, 유도 비행체가 발사관을 이탈하는 경우, 조종핀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있었다.
또한, 항공기 장착용 유도 비행체의 경우에는 멜팅 와이어를 이용하는 고정장치가 적용되고, 유도 비행체 발사 전 항공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고정장치의 와이어를 녹여 조종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고정장치들은 조종핀을 고정 해제한 후 재고정할 수 없는 비가역적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가역적 방식의 고정장치의 경우에는, 조종핀의 고정이 해제되고 비행체의 발사 절차가 진행되는 중에 오동작이 발생하여 비행체를 발사할 수 없는 경우, 조종핀을 다시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비가역적 방식의 고정장치의 단점을 개선할 방안으로 가역적 방식의 고정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31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역적 방식으로 비행체용 조종핀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한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는 비행체 조종핀을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비행체 조종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비행체 조종핀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위치하는 관통홀을 중앙부에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제1 수용부를 구비한 제1 머리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제2 수용부를 구비한 제2 머리부; 및 상기 제1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를 연결하는 몸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각각에 수용되는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의 일단과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재; 상기 지지막대부의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트리거부재; 상기 지지막대부의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멈치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 각각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막대부를 가압하여 상기 트리거부재 및 상기 멈치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멈치부재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멈치부재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재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거부재를 직선운동 구동하는 고정해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머리부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머리부를 직선운동 구동하는 고정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트리거부재와 상기 멈치부재가 관통 위치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멈치부재가 관통위치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에 의하면, 일회성 작동을 하는 비가역 방식이 아닌 가역적 방식으로 비행체용 조종핀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 및 고정부에 의한 조종핀의 고정해제 매커니즘을 하나의 스프링으로 작동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조종핀의 고정 해제 기능은 비행체의 전원이 아닌 비행체를 발사하는 발사체계의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조종핀의 고정 기능은 비행체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안정적인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역적 방식의 고정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궁극적으로 고정 장치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고정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고정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고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의 고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30)는, 유도 비행체의 비행자세를 조정하는데 이용되는 조종핀(20)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 고정부(200), 고정해제부(300), 고정해제 구동부(400), 및 고정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종핀(20)은, 구동장치(10)의 구동축(11)에 연결되어 구동축(11)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유도 비행체의 비행자세를 조종할 수 있고. 고정 장치(30)는 구동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비행체 조종핀(20)을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에 개구(110)를 형성한다. 고정부(200)는 하우징(100)의 개구(110)를 관통하여 비행체 조종핀(20)에 끼움 결합 가능한 고정핀(210), 고정핀(210)이 연결되고 하우징(100)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몸체(220)와, 고정몸체(22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고정몸체(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해제부(300)는 하우징(100)과 고정몸체(220)의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몸체(220)를 이동시켜 비행체 조종핀(20)으로부터 고정핀(210)이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지지부(230)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지지부(230)를 직선운동 구동할 수 있다. 고정 구동부(500)는 고정몸체(220)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고정몸체(220)를 직선운동 구동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30)는, 고정 구동부(500)를 이용하여 고정핀(210)이 비행체용 조종핀(2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조종핀(20)을 고정하고, 고정해제 구동부(400)를 이용하여 고정핀(210)이 비행체용 조종핀(20)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조종핀(20)을 고정해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30)는 가역적 방식으로 비행체용 조종핀(20)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3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하우징(100)은 내부가 빈 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0)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단에 개구(110)를 가지고 타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00)은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중심부에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h1)은 제2 관통홀(h2)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관통홀(h1)은 하우징(100)의 타단으로부터 제2 관통홀(h2)보다 먼 쪽에 형성된다. 제1 관통홀(h1)은 제2 관통홀(h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홀(h1)은 지지부(230)의 트리거부재(235)와 멈치부재(237) 둘 다 관통위치되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통홀(h2)은 멈치부재(237)가 관통위치되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트리거부재(235)와 멈치부재(23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고정부(200)는 고정핀(210), 고정몸체(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고정핀(210)은 상하로 길이가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 고정핀(210)은 하우징(100)의 개구(110)에 관통위치한다. 고정핀(210)은 개구(110)에 관통위치하도록 고정핀(210)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210)은 일단이 조종핀(20)에 끼워질 수 있고, 타단이 고정몸체(220)에 연결된다.
고정몸체(220)는 고정핀(210)이 연결되고 하우징(100)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고정몸체(220)는 몸통부(221), 제1 머리부(223), 및 제2 머리부(225)를 포함한다.
몸통부(221)는 상하로 길이가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 몸통부(221)는 하우징(100)의 중앙부 내측면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통부(221)는 제1 머리부(223)와 제2 머리부(225)를 연결한다. 몸통부(221)의 일단에는 제1 머리부(223)가 연결되고, 몸통부(221)의 타단에는 제2 머리부(225)가 연결된다.
제1 머리부(223)는 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머리부(223)는 하우징(10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머리부(223)의 일단에는 고정핀(210)이 연결된다. 제1 머리부(223)의 타단은 내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머리부(223)는 내부에 제1 수용부(ac1)를 구비한다. 제1 머리부(223)의 제1 수용부(ac1)는 지지부(230)의 일단을 수용한다. 제1 머리부(223)는 제1 수용부(ac1)를 형성하는 내측면이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머리부(223)는 내부에 제1 수용부(ac1)와 연통하는 제1 끼움홈(g1)을 구비한다. 제1 끼움홈(g1)에는 지지부(230)의 제1 끼움부재(233a)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끼움부재(233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머리부(225)는 통 형상일 수 있다. 제2 머리부(225)는 하우징(10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머리부(225)의 일단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타단에 위치하고, 제2 머리부(225)의 타단은 내측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머리부(225)는 내부에 제2 수용부(ac2)를 구비한다. 제2 머리부(225)의 제2 수용부(ac2)는 지지부(230)의 타단을 수용한다. 제2 머리부(225)는 제2 수용부(ac2)를 형성하는 내측면이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머리부(225)는 내부에 제2 수용부(ac2)와 연통하는 제2 끼움홈(g2)을 구비한다. 제2 끼움홈(g2)에는 지지부(230)의 제2 끼움부재(233b)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끼움부재(233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부(230)는 고정몸체(22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230)는, 고정몸체(220)가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고정몸체(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230)는 지지막대부(231), 한 쌍의 끼움부재(233), 트리거부재(235), 멈치부재(237), 및 복수의 탄성부재(239)를 포함한다.
지지막대부(231)는 길이가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 지지막대부(231)는 일단이 제1 머리부(223)의 제1 수용부(ac1)에 수용된다. 지지막대부(231)는 타단이 제2 머리부(225)의 제2 수용부(ac2)에 수용된다. 지지막대부(231)의 일단에는 제1 끼움부재(233a)가 제1 끼움홈(g1)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형성된다. 제1 끼움부재(233a)는 제1 끼움홈(g1)에 끼워지도록 제1 끼움홈(g1)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39)는 제1 끼움부재(233a)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탄성부재(239)는 제1 끼움부재(233a)가 제1 끼움홈(g1)에 끼워진 후에 외부 힘이 없는 경우, 제1 끼움부재(233a)를 본 위치로 되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부재(239)는 탄성복원력을 구비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지지막대부(231)의 타단에는 제2 끼움부재(233b)가 제2 끼움홈(g2)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형성된다. 제2 끼움부재(233b)는 제2 끼움홈(g2)에 끼워지도록 제2 끼움홈(g2)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39)는 제2 끼움부재(233b)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탄성부재(239)는 제2 끼움부재(233b)가 제2 끼움홈(g2)에 끼워진 후에 외부 힘이 없는 경우, 제2 끼움부재(233b)를 본 위치로 되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막대부(231)의 중앙부에는 트리거부재(235)와 멈치부재(237)가 수직하게 연장형성된다. 트리거부재(235)와 멈치부재(237)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트리거부재(235)는 하우징(100)의 타단으로부터 멈치부재(237)보다 먼 쪽에 위치한다. 트리거부재(235)는 일단이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트리거부재(235)는 멈치부재(237)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트리거부재(235)에 대한 고정해제 구동부(400)의 동작시, 멈치부재(237)가 제1 관통홀(h1)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해제 구동부(400)의 동작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한다.
멈치부재(237)는 트리거부재(235)를 마주보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멈치부재(237)의 경사진 일면은, 멈치부재(237)가 고정해제 구동부(400)의 동작에 의해 제1 관통홀(h1)을 빠져나오고 나서 고정해제부(300)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제2 관통홀(h2)에 관통위치하도록 도와준다.
고정해제부(300)는 하우징(100)과 고정몸체(220)의 제1 머리부(223) 사이에 구비된다. 고정해제부(300)는 고정핀(21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고정해제부(30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일단면에 맞닿고, 타단이 제1 머리부(223)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고정해제부(300)는 고정몸체(220)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 변형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고정해제부(300)는 고정해제 구동부(400)의 동작시, 고정몸체(220)를 밀어 이동시켜서 비행체 조종핀(20)으로부터 고정핀(210)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직선운동하는 장치이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고정핀(210)이 비행체 조종핀(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트리거부재(235)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트리거부재(235)를 향해 직선운동한다. 여기서, 전원은 비행체 발사하는 발사체계 등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트리거부재(235)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핀(210)이 조종핀(20)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고 조종핀(20)을 고정해제한다.
고정 구동부(50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직선운동하는 장치이다. 고정 구동부(5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타단 또는 제2 머리부(225)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다. 고정 구동부(500)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면, 제2 머리부(225)를 향해 직선운동한다. 여기서, 전원은 비행체 또는 구동 장치(10)등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고정 구동부(500)는 제2 머리부(225)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핀(210)이 조종핀(20)에 끼워지도록하고 조종핀(20)을 고정 가능하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조종핀(20)의 고정해제 동작을 상세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비행체 조종핀(20)은 고정핀(210)이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외부 고정해제 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이 공급되면, 트리거부재(235)를 향해 직선운동한다. 고정해제 구동부(400)는 트리거부재(235)에 맞닿게 되면 트리거부재(235)를 밀어서 하우징(100) 내측으로 더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트리거부재(235)가 연결되어 있는 지지막대부(231)는 고정몸체(220)의 몸통부(221)를 향해 이동한다. 지지막대부(2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끼움부재(233a)는 제1 끼움홈(g1)에 끼워지고, 탄성부재(239)는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지지막대부(23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끼움부재(233b)는 제2 끼움홈(g2)에 끼워지고, 탄성부재(239)는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지지막대부(231)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는 멈치부재(237)는 제1 관통홀(h1)에서 빠져나와 하우징(100)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멈치부재(237)가 제1 관통홀(h1)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멈치부재(237)에 의한 지지력이 사라지면서 고정해제부(300)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형상 변형한다. 고정해제부(300)는, 형상 변형을 통해 제1 머리부(223)를 밀어서 제1 머리부(223)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핀(210)이 조종핀(20)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다. 이때 멈치부재(237)는 하 방향(도3 기준)으로 이동하는 도중 제2 관통홀(h2)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경사진 일면과 복수의 탄성부재(239)에 의해 제2 관통홀(h2)로 이동하게 된다. 즉, 멈치부재(237)가 제2 관통홀(h2)이 시작되는 지점에 도달하면, 복수의 탄성부재(239)는 형상 변형을 통해 지지막대부(231)를 밀게된다. 지지막대부(231)는 제1 및 제2 관통홀(h1, h2) 방향으로 이동한다. 멈치부재(237)는 경사진 일면에 의해 꼭지점부분부터 점진적으로 제2 관통홀(h2)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멈치부재(237)는 경사진 일면과 반대편 타면이 제2 관통홀(h1)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중앙부에 맞닿게 된다. 이때 고정해제부(300)에 의한 고정핀(210), 고정몸체(220), 지지부(230의 이동이 중지되고, 고정핀(210)이 조종핀(2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조종핀(20)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4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조종핀(20)의 고정 동작을 상세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비행체 조종핀(20) 고정핀(210)이 빠져나와 고정해제된 상태이다. 고정 구동부(500)는 외부 고정 신호를 전달받아 전원이 공급되면, 제2 머리부(225)를 향해 직선운동한다. 고정 구동부(500)는 제2 머리부재(225)에 맞닿게 되면 제2 머리부(225)를 밀어서 하우징(100) 내측으로 더 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제2 머리부(225)에 연결되어 있는 몸통부(221) 및 제1 머리부(223)는 하우징(100)의 일단을 향해 이동한다. 제1 머리부(223)에 맞닿아 있는 고정해제부(300)는 압축된다. 제2 머리부(225)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막대부(231)는 하우징(100)의 일단을 향해 이동한다. 지지막대부(231)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는 멈치부재(237)는 경사진 일면이 제2 끼움홈(g2)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중앙부에 맞닿게 된다.
그런 다음 멈치부재(237)는 제2 끼움홈(g2)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중앙부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더욱 들어가게된다. 이때 멈치부재(237)가 연결되어 있는 지지막대부(231)는 고정몸체(220)의 몸통부(221)를 향해 이동한다. 지지막대부(2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끼움부재(233a)는 제1 끼움홈(g1)에 끼워지고, 탄성부재(239)는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지지막대부(23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끼움부재(233b)는 제2 끼움홈(g2)에 끼워지고, 탄성부재(239)는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 멈치부재(237)는 제2 관통홀(h2)에서 빠져나와 상 방향(도5 기준)으로 계속해서 이동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멈치부재(237)가 제2 관통홀(h2)이 시작되는 지점에 도달하면, 복수의 탄성부재(239)는 형상 변형을 통해 지지막대부(231)를 밀게된다. 지지막대부(231)는 제1 및 제2 관통홀(h1, h2) 방향으로 이동한다. 멈치부재(237)는 제1 관통홀(h1)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멈치부재(237)는 경사진 일면과 반대편 타면이 제1 관통홀(h1)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의 중앙부에 맞닿게 된다. 이를 통해 멈치부재(237)는 고정몸체(2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고정위치하도록 지지하고, 고정해제부(300)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고정핀(210)은 조종핀(20)에 끼워져 결합되고, 조종핀(20)은 고정핀(21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구동장치
11: 구동축
20: 조종핀
30: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100: 하우징
110: 개구
h1, h2: 제1, 제2 관통홀
200: 고정부
210: 고정핀
220: 고정몸체
221: 몸통부
223: 제1 머리부
ac1: 제1 수용홈
g1: 제1 끼움홈
225: 제2 머리부
ac2: 제2 수용홈
g2: 제2 끼움홈
230: 지지부
231: 지지막대부
233: 한 쌍의 끼움부재
233a, 233b: 제1, 제2 끼움부재
235: 트리거부재
237: 멈치부재
239: 복수의 탄성부재
300: 고정해제부
400: 고정해제 구동부
500: 고정 구동부

Claims (11)

  1. 비행체 조종핀을 마주보는 방향의 일단에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비행체 조종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고정핀, 상기 고정핀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몸체를 이동시켜 상기 비행체 조종핀으로부터 상기 고정핀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고정해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 위치하는 관통홀을 중앙부에 복수개 형성하는 것인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을 수용하도록 제1 수용부를 구비한 제1 머리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을 수용하도록 제2 수용부를 구비한 제2 머리부; 및
    상기 제1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를 연결하는 몸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 각각에 수용되는 지지막대부;
    상기 지지막대부의 일단과 타단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재;
    상기 지지막대부의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트리거부재;
    상기 지지막대부의 중앙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멈치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 각각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막대부를 가압하여 상기 트리거부재 및 상기 멈치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 위치하도록 하는 복수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재는, 상기 멈치부재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멈치부재는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재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트리거부재를 직선운동 구동하는 고정해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머리부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머리부를 직선운동 구동하는 고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트리거부재와 상기 멈치부재가 관통 위치하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멈치부재가 관통위치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KR1020180004510A 2018-01-12 2018-01-12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KR101877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10A KR101877217B1 (ko) 2018-01-12 2018-01-12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10A KR101877217B1 (ko) 2018-01-12 2018-01-12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217B1 true KR101877217B1 (ko) 2018-07-12

Family

ID=6291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10A KR101877217B1 (ko) 2018-01-12 2018-01-12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2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04A (ko) * 2009-12-03 2011-06-10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발사체 구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204A (ko) * 2009-12-03 2011-06-10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발사체 구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505B2 (en) Autonomous satellite docking system
US4132147A (en) Store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US6446906B1 (en) Fin and cover release system
US6224013B1 (en) Tail fin deployment device
WO2007133247A9 (en) Fin retention and deployment mechanism
CN104089547A (zh) 一种折叠舵面的展开与锁定装置
US3998124A (en) Bomb rack arming unit
KR101852844B1 (ko) 무인 항공기용 고정 장치 및 무인 항공기
US9752601B2 (en) Fastener device for fastening a panel to a structure, and an aircraft
US8967030B2 (en) Attachment device with pyrotechnic bolt
KR101877217B1 (ko) 비행체 조종핀용 고정 장치
US9151578B2 (en) Unlocking device
ITTO20010394A1 (it) Meccanismo di bloccaggio e sbloccaggio per aletta stabilizzatrice di missile, includente un amplificatore di forza meccanico.
KR101976720B1 (ko) 조종날개의 전개 장치
US7669616B2 (en) Apparatus for puncturing a gas filled bottle
US5702069A (en) Unlockable connection device
US5104067A (en) Detonating cord powered canopy breakers
US5291820A (en) Inertial restraint mechanism for rail-mounted missiles
US6308631B1 (en) Mems vertical to horizontal motion translation device
EP3874224B1 (en) Brake assembly, detonator and projectile
KR101853264B1 (ko) 무장 장착대
WO2020249831A1 (es) Dispositivo de sujeción y separación múltiple para naves espaciales, y métodos para separar una nave espacial de un dispensador de un lanzador y para instalar un dispositivo de sujeción y separación múltiple para naves espaciales
JP4712511B2 (ja) 接続及び分離装置
EP3475166B1 (en) A carriage system
JPH1120798A (ja) 飛翔体のノーズフェアリング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