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166B1 -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 Google Patents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166B1
KR101877166B1 KR1020170028746A KR20170028746A KR101877166B1 KR 101877166 B1 KR101877166 B1 KR 101877166B1 KR 1020170028746 A KR1020170028746 A KR 1020170028746A KR 20170028746 A KR20170028746 A KR 20170028746A KR 101877166 B1 KR101877166 B1 KR 10187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late portion
fitting groove
gau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익환
Original Assignee
장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익환 filed Critical 장익환
Priority to KR102017002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1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which is provided to measure an arrangement state of guide rails by arranging a horizontal wire and a vertical wire. The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comprises: a fixing unit (120) detachably fixated and installed to an elevator car guide rail (R); and a gauge plate (110) fixated and installed to the fixing unit (120) and having measurement units (A, B) for checking an arrangement state of a car guide rail and a balance weight guide rail by arranging a horizontal wire (w2), a first vertical wire (w1), and a second vertical wire (w2). The gauge plate (110) comprises: a first board portion (111a) coupled to the fixing unit (120); and a second board portion (111b) formed on an end of the first board portion (111a) to be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same. The measurement units (A, B) comprises: a first measurement unit (A) for firstly checking a rail angle arrange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through the horizontal wire (W2); and a second measurement unit (B) for checking upper and lower arrangement states of the car guide rail through the first vertical wire (W1), and check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 through the second vertical wire (W3).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 by using one gauge devic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설치용 게이지장치{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설치용 게이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설치시 카 가이드레일과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설치용 게이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capable of measuring an alignment state of a car guide rail and a counterweight guide rail when an elevator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카 가이드레일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 설치되어 있고, 카 가이드레일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가 구름 접촉하면서 승강구동한다. 아울러,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에는 균형추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균형추 가이드레일이 서로 연겨로디어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균형추 가이드레일을 따라 균형추에 설치된 가이드롤러가 구름 접촉하면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Generally, a plurality of car guide rails for guiding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are installed vertically i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and the guide rollers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along the car guide rails ascend and descend by rolling contact.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lance weight guide rails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alance weight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hoistway of the elevator, and the guide rollers provided on the balance weight along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s are raised and lowered in rolling contact.

본 출원인은 엘리베이터 설치시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게이지 조립체를 개발하였다.(등록특허 10-1451017호 및 등록특허 10-1653089호)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gauge assembly for confirming the alignment state of a car guide rail when an elevator is install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1451017 and 10-1653089)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451017호 및 등록특허 10-1653089호는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는 있으나, 균형추의 가이드레일 정렬상태를 측정할 수는 없어, 균형추의 가이드레일 정렬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게이지를 더 필요로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Although the alignment states of the car guide rails can be measured, the registration rails of the guide rails of the balance weight can not be measured, There was a need for additional gauge to measure.

등록특허 10-1451017호Patent No. 10-1451017 등록특허 10-1653089호Patent No. 10-165308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게이지장치를 통해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 뿐 아니라,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도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uge device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capable of checking an alignment state of a counterweight guide rail as well as an alignment state of a car guide rail through a single gauge device .

아울러, 본 발명은 하나의 게이지장치를 통해 다양한 인승수의 엘리베이터 설치시에도 용이하게 형태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having improved compatibility because it can be easily deformed and used even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elevators having a number of passengers through a gaug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게이지장치를 통해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 뿐 아니라, 승강장 실(seal)의 설치위치도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having an improved form so that not only car guide rails and balance weight guide rails but also installation positions of lift seats can be checked through one gauge apparatus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는 수평와이어와 수직와이어를 배치하여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레일(R)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닛(120); 상기 고정유닛(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수평와이어(w2), 제1수직와이어(w1) 및 제2수직와이어(w2)를 배치하여,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측정부(A,B)가 형성된 게이지플레이트(110);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는 고정유닛(120)에 결합되는 제1판부(111a)와, 이 제1판부(111a)의 끝단에 양측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2판부(111b)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A,B)는, 상기 수평와이어(W2)를 통해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1측정하는 제1측정부(A); 및, 상기 제1수직와이어(W1)를 통해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배치정렬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수직와이어(W3)를 통해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2측정부(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부(A)는, 상기 제2판부(111b)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12a); 상기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기준공(112b); 상기 고정공(112a)과 상기 기준공(112b)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판부(111b) 상에 표시된 제1기준선(112c);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정부(B)는 상기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와이어(W1)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수용공(113); 상기 제1수용공(114)을 기준으로 "+"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판부(111b)에 표시된 제2기준선(114a) 및 제3기준선(114b); 상기 제1수용공(113)으로부터 상기 제2판부(11b)의 일단부에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와이어(W3)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용공(115); 상기 제3기준선(114b)에 대해 직각되게 "+"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수용공(115)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판부(111b)에 표시된 제4기준선(11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for measuring an alignment state of a guide rail by disposing a horizontal wire and a vertical wire, A fixed unit 120 detachably fixed; A horizontal wire w2, a first vertical wire w1 and a second vertical wire w2 are disposed to be fixed to the fixed unit 120 and arranged in a state of alignment of the car guide rail and an alignment stat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The gauge plate 110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111a coupled to the fixing unit 120 and a second plate portion 111b coupl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a second plate portion 111b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car guide rail at the ends of the car guide rails 111a and 111a, A first measurement unit (A) for performing a first measurement on the basis of the first measurement data; And a second measuring unit for confirming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car guide rail through the first vertical wire W1 and confirming the alignment state of the balance guide rail via the second vertical wire W3 B), wherein the first measuring portion (A) comprises: a fixing hole (112a)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 reference hole 112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a first reference line 112c display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o connect the fixing hole 112a and the reference hole 112b, A first receiving hole 1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11b in the form of a long hole and having the first vertical wire W1 disposed therein; A second reference line 114a and a third reference line 114b display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so as to have a " +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hole 114; A second receiving hole 115 spaced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11b and having the second vertical wire W3 disposed therein, ; And a fourth reference line 116a indicat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so as to be in a " + "shape at right angles to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에는 "ㄷ"형 제1끼움홈(111a-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120)은,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11a-1)에 대응되도록 "ㄷ"형 제2끼움홈(123)이 형성되고, 측면과 상기 제2끼움홈(123)을 연결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홀부(124)가 마련된 고정몸체(121); 및, 상기 스크류홀부(1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끼움홈(111a-1) 및 상기 제2끼움홈(123)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조임볼트(1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홈(111a-1)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일렬배치되는 다수의 볼트통과공(119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에는 상기 제2끼움홈(123)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상기 볼트통과공(119a)과 대응되게 일렬배치되는 다수의 볼트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을 완전히 덮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상태와,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의 일부가 보이도록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몸체(121)의 폭방향으로 위치이동되어 결합된 제2결합상태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first fitting groove 111a-1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The fixing unit 1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 1), a fixed body 121 having a screw hole 124 formed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nnect the side with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 And a tightening bolt 125 screwed to the screw hole 124 to fix the guide rail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 plurality of bolt holes 119a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with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xing body 121,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lt holes 119a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 first engaging state in which an end of the fixed body 121 is fully engag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and a second engaging state in which a distal end of the first plate 111a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body 121, 12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상기 제1판부(111a)와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제1결합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가이드레일(R)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판부(111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어 상기 제1끼움홈(111a-1)의 내측단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표시선(s1); 상기 제1판부(111a)와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제2결합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가이드레일(R)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판부(111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되, 상기 제1결합표시선(s1)과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끼움홈(111a-1)의 내측단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표시선(s1);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body 121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R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ing body 121 are coupled in the first engagement state, A first coupling indication line s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so as to be aligned with an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When the fixed body 121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R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ed body 121 are coupled in the second engaged state, A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upling indication line s1 and positioned to be in line with the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s1) < / RTI >

엘리베이터 체대에 수평되게 설치되며, 선단에 상기 고정몸체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프로파일 빔(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 빔(130)에 상기 고정몸체(12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몸체(121)에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의 끝단이 승강장 실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실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nd a profile beam (130)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elevator body and installed to fix the fixed body to the tip thereof, wherein the fixed body (121) is fixed to the profile beam (130) 121 and the gauge plate 110 is coupled to the gauge plate 110 so that the end of the gauge plate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nding chamber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nding chamber can be confirmed.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게이지장치를 이용해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뿐 아니라, 한꺼번에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전체적인 엘리베이터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s by using one gauge device and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balance guide rail at the same time,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and shortening the overall elevator construction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hortened.

아울러, 본 발명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인승수에 따라, 고정몸체에 대한 게이지플레이트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인승수의 엘리베이터 시공이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설치 인승수에 따른 여러개의 게이지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joining position of the gauge pl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ed elevators, an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levator installation with various numbers of passenger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plurality of gaug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stalled seats.

또한, 본 발명은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뿐 아니라, 프로파일 빔을 추가로 구성하여, 승강장 실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balance guide rail, but also to configu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nding chamber by further constituting the profile bea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수평와이어, 수직와이어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을 배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대해 게이지플레이트가 고정몸체에 대해 결합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a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horizontal wires and vertical wires are arranged in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plan view of Fig. 3,
Fig. 5 is a rear view of Fig. 3 as viewed from the back,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auge plate with respect to the fixing body is changed with respect to FIG. 2,
7 is a view showing a ga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ga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설치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함께 사용된다. 한 쌍의 게이지장치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뿐 그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하나의 게이지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The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a pair and used together as shown in Figs. A pair of gage devices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so only one gage device will be described.

게이지장치(100)는 게이지 플레이트(110)와 고정유닛(120)을 포함한다. The gauge apparatus 100 includes a gauge plate 110 and a fixed unit 120.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게이지플레이트(110)는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며, "T"자 형상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며, 재질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1 to 4, the gauge plate 1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T" shap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made of a metal material.

구체적으로 게이지플레이트(110)는 소정길이를 갖는 제1판부(111a)와,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으로부터 직각되게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판부(111b)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gage plate 110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111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cond plate portion 111b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제1판부(111a)의 일측단에는 "ㄷ" 형태의 제1끼움홈(111a-1)이 형성되고, 제1끼움홈(111a-1)의 양측에는 복수의 볼트통과공(119a)이 각각 일렬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 볼트통과공(119a)이 5개씩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5개가 일렬로 배치된 각각의 볼트통과공(119a)들 줄 중간에 위치한 볼트통과공(119a)은 제1끼움홈(111a)의 내측단과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 중간에 위치한 볼트통과공(119a)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2개씩의 볼트통과공(119a)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A first fitting groove 111a-1 of a "C" sha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a plurality of bolt holes 119a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And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row. In this embodiment, five bolt passing holes 119a are formed. The bolt passage holes 119a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ows of the bolt passage holes 119a arranged in a line are arranged to be arrang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itting grooves 111a, Two bolt holes 119a are arranged in a row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119a.

제2판부(111b)의 상면에는 제1수직와이어(w1), 수평와이어(w2) 및, 제2수직와이어(w2)를 배치하여, 카 가이드레일과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부(A,B)가 형성된다. 이 측정부(A,B)는 수평와이어(W2)를 통해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1측정부(A)와, 제1수직와이어(W1)를 통해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하고 제2수직와이어(W3)를 통해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2측정부(B)를 포함한다. The first vertical wire w1, the horizontal wire w2 and the second vertical wire w2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o measure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balance guide rail Portions A and B are formed. The measuring units A and B are provided with a first measuring unit A for confirming the angular alignment of the rails of the car guide rail through the horizontal wire W2, And a second measuring unit (B) for confirming the arrangement alignment state and confirming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s via the second vertical wire (W3).

제1측정부(A)는 고정공(112a), 기준공(112b), 제1기준선(112c)을 포함한다. 기준공(112b)은 제2판부(111b)의 타단부의 폭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고정공(112a)은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공(112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관통형성된다. 제1기준선(112c)은 고정공(112a)과 기준공(112b)을 연결하도록 제2판부(111b)의 상면에 표시되어 형성된다.The first measuring unit A includes a fixing hole 112a, a reference hole 112b, and a first reference line 112c. The reference hole 112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the fixing hole 112a is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hole 112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late portion 111b. The first reference line 112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so as to connect the fixing hole 112a and the reference hole 112b.

제2측정부(B)는 제1수용공(113), 제1절개홈(113a), 제2기준선(114a), 제3기준선(114b), 제2수용공(115), 제2절개홈(115a), 제4기준선(116a)을 포함한다. The second measuring unit B includes a first receiving hole 113, a first incision groove 113a, a second reference line 114a, a third reference line 114b, a second receiving hole 115, A first reference line 115a, and a fourth reference line 116a.

제1수용공(113)은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고정공(112a)으로부터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수용공(113)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장축이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에 직각되게 형성된다.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hole 112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and the long axis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제1절개홈(113a)은 제2판부(111b)의 일단부의 측면과 제1수용공(113)을 연결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incision groove 113a is formed by being cut so as to connect the side of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the first accommodating hole 113. [

제2기준선(114a) 및 제3기준선(114b)은 "+" 형태가 되도록 제1수용공(113)을 기준으로 제2판부(111b)의 일단부 상면에 표시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reference line 114a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so as to be in a "

제2기준선(114a)은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3기준선(114b)은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reference line 114a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제2기준선(114a)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수용공(113)의 장축범위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판부(111b)의 일단부 상면에 8K 및 13K로 표시된 카 가이드레일 설치규격(117a)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때, 카 가이드레일설치규격(117a)의 13K는 제1끼움홈(111a-1)의 양측부 중 제2판부(111b)와 먼쪽의 측부로부터 한 쌍의 제2기준선(114a) 중 제1판부(111a)와 가까운 쪽의 선까지의 거리규격을 나타내며, 카 가이드레일설치규격(117a)의 8K는 제1끼움홈(111a-1)의 양측부 중 제2판부(111b)와 먼쪽의 측부로부터 한 쌍의 제2기준선(114a) 중 제1판부(111a)와 먼쪽의 선까지의 거리규격을 나타낸다. The second reference lines 114a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axis range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r guide rail installation standard 117a indicated by 8K and 13K is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t this time, 13K of the car guide rail installation standard 117a is a first fitting groove 1 to the line near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out of the pair of second reference lines 114a from the side farther from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in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car guide rail 111a-1, 8K of the installation standard 117a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way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of the pair of second reference lines 114a from th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Of the distance to the line.

본 발명에서 고정공(112a) 중심과 기준공(112b) 중심과 제1수용공(113)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2판부(111b)의 타단부의 폭길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fixing hole 112a and the center of the reference hole 112b and the center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are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and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Respectively.

제2수용공(115)은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제1수용공(113)ㅇ으로부터 제2판부(111b)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수용공(115)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장축이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에 직각되게 형성된다.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having a long axis and a short axis, and the long axis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제2절개홈(115a)은 제2판부(111b)의 일단부의 측면과 제2수용공(115)을 연결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The second cutout 115a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side of one end of the second plate 111b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

제4기준선(116a)은 제3기준선(114b)과 "+" 형태가 되도록 제2수용공(115)을 기준으로 제2판부(111b)의 일단부 상면에 표시되어 형성된다. 성된다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a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so as to be in a "+" shape with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Become

제4기준선(116a)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2수용공(115)의 장축범위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2판부(111b)의 일단부 상면에는 제4기준선(116b) 부근에 8K 및 13K로 표시된 균형추 가이드레일 설치규격(117b)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때, 균형추 가이드레일 설치규격(117b)의 13K는 제1끼움홈(111a-1)의 양측부 중 제2판부(111b)와 먼쪽의 측부로부터 한 쌍의 제4기준선(116a) 중 제1판부(111a)와 가까운 쪽의 선까지의 거리규격을 나타내며, 균형추 가이드레일 설치규격(117b)의 8K는 제1끼움홈(111a-1)의 양측부 중 제2판부(111b)와 먼쪽의 측부로부터 한 쌍의 제4기준선(116a) 중 제1판부(111a)와 먼쪽의 선까지의 거리규격을 나타낸다. The fourth reference lines 116a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 axis range of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 mounting standard 117b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11b in the vicinity of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b at 8K and 13K, Of the pair of fourth reference lines 116a from the side farther from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in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to the line near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8K of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 mounting standard 117b is a pair of fourth reference lines 116a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 And a distance standard to the line farther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is shown.

상기한 구성으로, 도 2과 같이, 한 쌍의 게이지장치를 카 가이드레일(R)의 양측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평와이어(w2)의 양단을 고정공(112a)에 고정시킨 다음, 수평와이어(W2)가 제1기준선(112c)과 일치하는지 또는 수평와이어(W2) 상에 기준공(112b)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카 가이드레일(R)이 전방을 향하는 각도 즉,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수직와이어(W1)를 제1절개홈(113a)을 통해 제1수용공(113) 내에 수용시키고, 제1수직와이어(W1)가 제1수용공(113)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는 지점을 제2기준선(114a)과 제3기준선(114b)의 가상연장선이 제1수용공(113) 내에서 만나는 꼭지점 위치와 비교하여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수직와이어(W3)를 제2절개홈(115a)을 통해 제2수용공(115) 내에 수용시키고, 제2수직와이어(W3)가 제2수용공(115)의 내부영역에 위치하는 지점을 제4기준선(116a)과 제3기준선(114b)의 가상연장선이 제2수용공(115) 내에서 만나는 꼭지점 위치와 비교하여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in a state where a pair of gage device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ar guide rail R, both ends of the horizontal wire w2 are fixed to the fixing hole 112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r guide rail R has a forward angle or in other words a direction in which the car guide rail R is inclined forward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ar guide rail R matches the first reference line 112c or whether the reference hole 112b is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wire W2. You can check the alignment of the rails. The first vertical wire W1 is received in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through the first cutout groove 113a and the first vertical wire W1 is positioned in the inner area of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ar guide rails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 positions of the second guide lines 114a and the third reference lines 114b with the vertex positions of the virtual guide lines in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The vertical wire W3 is received in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through the second cutout 115a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vertical wire W3 is located in the inner area of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by comparing the virtual extension lines of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a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with the vertex positions where the imaginary extension lines of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a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meet in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

한편, 본 발명에서 제1기준선(112c), 제2기준선(114a) 및 제3기준선(114b), 제4기준선(116a)은 제2판부(111b)의 상면에 잉크로 직접 인쇄되어 표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에도 지워지지 않고 뚜렷이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2판부(111b) 상에 음각으로 새기고, 음각홈에 유색잉크를 채운 후 고열로 열처리하여 잉크가 음각홈 내에 고착되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erence line 112c, the second reference line 114a,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and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a are directly printed with in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he ink is engrav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in an engraved manner, the ink is filled in the depressed grooves, and then the ink is heat-treated with the high temperature to fix the ink in the depressed grooves, so that the ink can be formed .

고정유닛(120)은 게이지플레이트(110)의 제1판부(111a)를 카 가이드레일(R)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판부(111a)의 끝단부 하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고정된다. The fixed unit 120 is for fixing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of the gauge plate 110 to the car guide rail R and is detach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고정유닛(120)은 고정몸체(121)와 조임볼트(125)를 포함한다. 고정몸체(11)는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며, 제1끼움홈(111a-1)에 대응되도록 "ㄷ"자 형태의 제2끼움홈(123)이 형성된다. 고정몸체(121)의 폭은 제1판부(111a)의 폭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xed unit 120 includes a fixed body 121 and a tightening bolt 125. The fixed body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a second fitting groove 123 having a "C" shap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The width of the fixed body 121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고정몸체(121)의 상면에는 제1판부(111a)에 형성된 볼트통과공(119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122, 도 6참조)이 형성되어, 게이지플레이트(110)의 제1판부(111a)가 고정몸체(121)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볼트(128)를 볼트통과공(119a)에 통과시켜 볼트결합공(122)에 나사체결함으로써, 게이지플레이트(110)와 고정몸체(121)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A bolt coupling hole 122 (see FIG. 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passage hole 119a formed in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The bolt 128 is passed through the bolt passage hole 119a and screwed into the bolt coupling hole 122 in a state where the bolt 128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12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때, 볼트결합공(122)은 고정몸체(121)의 상면에 형성되되, 볼트통과공(119a)과 대응되도록 제2끼움홈(123)의 양측에 각각 일렬로 5개씩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제1끼움홈(111a-1)과 제2끼움홈(123)이 일치하여 제1판부(111a)의 측단부가 고정몸체(121)의 상면을 완전히 덮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상태와, 도 6과 같이, 제1판부(111a)가 고정몸체(121)의 상면을 완전히 덮지 않고, 폭방향의 측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몸체(121)의 상면 일부가 보여지도록 설치되는 제2결합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lt coupling holes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and five bolt insertion holes 122 are formed in each row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lt holes 119a, The first engaging state in which the first engaging groove 111a-1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123 coincide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side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completely engages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does not complete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but moves laterally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is partially visible, .

고정몸체(121)의 일측에는 스크류홀부(124)가 형성되며, 이 스크류홀부(124)는 고정몸체(121)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제2끼움홈(123)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스크류홀부(1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임볼트(125)에 나사체결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 screw hole 124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xed body 121 and the screw hole 1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through one side of the fixing body 121. The screw hole portion 124 is formed so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can be screwed to the tightening bolt 125.

조임볼트(125)는 스크류홀부(124)에 나사체결되도록 구성되며, 끝단에는 가압블록(125a)이 구비되고, 후단에는 사용자가 조임볼트(125)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바(125b)가 구비된다. 이때, 가압블록(125a)은 조임볼트(125)의 끝단에서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ightening bolt 125 is screwed to the screw hole 124 and has a pressing block 125a at the end and a manipulating bar 125b for rotating the tightening bolt 125 by the user at the rear end . At this time, the pressing block 125a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end of the tightening bolt 125. [

조임볼트(125)를 스크류홀부(124)의 나사산에 나사체결해주면, 조임볼트(125)의 끝단에 구비된 가압블록(125a)이 제2끼움홈(123)의 내측단으로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tightening bolt 125 is screwed into the thread of the screw hole 124 to adjust the degree of the protrusion of the pushing block 125a provided at the end of the tightening bolt 125 to the inner end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

따라서, 제1끼움홈(111-1) 및 제2끼움홈(123)에 카 가이드레일(R)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볼트(125)로 조여주면, 가압블록(125a)이 카 가이드레일(R)을 가압해 줌으로써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가 카 가이드레일(R)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ar guide rail R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1-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nd the fitting bolt 125 is used to tighten the pressing block 125a, R), the gaug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the car guide rail R and mounted.

한편, 본 발명은 게이지플레이트(100)의 제1판부(111a)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111a)의 내측단과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표시선(s1)과, 제1결합표시선(s1)과 평행하게 서로 나란히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결합표시선(s2)이 형성된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indication line s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of the gauge plate 100 so as to be in line with the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s2 formed parallel to the display line s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도 1과 같이, 제1판부(111a)와 고정몸체(121)를 제1결합상태로 결합하여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하는 경우, 제1결합표시선(s1)이 카 가이드레일(R)의 내측단과 일치하고, 도 6과 같이, 제1판부(111a)와 고정몸체(121)를 결합하여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하는 경우, 제2결합표시선(s2)이 카 가이드레일(R)의 내측단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1, when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ing body 121 are coupled to the car guide rail R in the first engagement state, the first engagement indication line s1 passes through the car guide rail R, 6, when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ing body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mounted on the car guide rail R, the second engagement mark s2 is aligned with the car guide rail R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은 게이지플레이트(110)에 보관 걸이용구멍(h)을 형성해줌으로써,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를 손쉽게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uging plate 100 can be easily hung and stored by forming the hole h for holding the gauges plate 110.

이하,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를 이용해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se of measuring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balance guide rail using the gaug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4, and 6. Fig.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고정몸체(121)에 게이지플레이트(110)를 제1결합상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끼움홈(111a-1)과 제2끼움홈(123)에 카 가이드레일(R)이 삽입되게 한 후, 조임볼트(125)를 조여서 게이지장치(100)를 가이드레일(R)에 고정장착할 수 있다. 1, in the state where the gauge plate 110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121 in the first engaged state, the first and second fitting grooves 111a-1 and 123 are fitted with a car guide The gauge unit 100 can be fixedly attached to the guide rail R by tightening the tightening bolt 125 after the rail R is inserted.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나머지 하나의 게이지장치(100)도 반대쪽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한다. The other gauge unit 100 is mounted on the other car guide rail R through the same process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한 쌍의 게이지장치(100)를 도 2과 같이, 양측의 가이드레일(R)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평와이어(W2)의 양단을 제1측정부(A)의 고정공(112a)에 결합하여 수평와이어(W2)와 제1기준선(113)의 위치를 비교하여 카 가이드레의 레일각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제1수직와이어(W1)를 제1절개홈(113a)을 통해 제1수용공(113) 내부로 수용시키고, 이 제1수직와이어(W1)가 제1수용공(113)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지점과 제2기준선(114a) 및 제3기준선(114b)의 가상연장선이 제1수용공(113) 내에서 만나는 꼭지점을 비교하여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수직와이어(W2)를 제2절개홈(115a)을 통해 제2수용공(115) 내부로 수용시키고, 이 제2수직와이어(W2)가 제2수용공(115)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지점과 제4기준선(116a) 및 제3기준선(114b)의 가상연장선이 제2수용공(115) 내에서 만나는 꼭지점을 비교하여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both ends of the horizontal wire W2 are fixed to the fixing holes 112a (112a) of the first measuring portion A,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wire W2 are fixed to the fixing holes 112a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wire W2 and the first reference line 113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heck the angular alignment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first vertical wire W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cision groove 113a And the first vertical wire W1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W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inside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The vertically arranged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s can be checked by comparing the vertexes at which the imaginary extension lines meet in the first reception hole 113 and the second vertical wire W2 can be seen through the second incision groove 115a 2 accommodating hole 115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vertical wire W2 is located in the area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hole 115 and the point where the fourth reference line 116a and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are imaginary Joist the second housing hole 115, can determine the upper and lower alignment arrangement of the balance weight guide rails as compared to the vertices meet within.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는 간단하게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하여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와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게이지로서 카 가이드레일과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모두 확인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매우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gaug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ar guide rail R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s and the vertical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balance guide rail as one gaug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working efficiency.

한편, 본 발명은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인승수에 따라, 도 6과 같이, 고정몸체(121)와 게이지플레이트(110)를 제2결합상태로 결합한 상태에서, 게이지장치(100)를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하여 제2결합표시선(s2)과 카 가이드레일(R)의 내측단이 일치하도록 배치한 다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1측정부(A)와 제2측정부(A)를 통해,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 상하배치정렬상태를 확인하고 아울러,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상하배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6, the gaug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ar guide rail R (see FIG. 6) in a state where the fixed body 121 and the gauge plat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second engaged state, And the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s2 is arrang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inner end of the car guide rail R and then is passed through the first measuring portion A and the second measuring portion A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rails of the car guide rails and the alignment state of the up-and-down arrangement, as well as confirm the vertical alignment of the balance guide rails.

즉, 다양한 인승수를 갖는 여러 사이즈의 엘리베이터 설치시에도, 게이지플레이트(110)와 고정몸체(121)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한 후, 카 가이드레일(R)에 장착하여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even when various sizes of elevators having various numbers of seats are installed, the joining positions of the gage plate 110 and the fixing body 121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n mounted on the car guide rails R, The alignment state of the guide rails can be confirmed, and the compatibility is improved.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는 도 7과 같이, 승강장 실(k)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게이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g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gage function for confirm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nding room k as shown in Fig.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게이지장치(100)는 게이지플레이트(110) 및 고정유닛(130)과 더불어 프로파일빔(13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gage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file beam 130 in addition to the gage plate 110 and the fixed unit 130.

프로파일빔(130)은 사각 빔형태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각면에 슬릿홈(131)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file beam 130 may be formed in a square beam shape, and slit grooves 131 may be formed on each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고정몸체(121)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배면 상에 빔 안착용 단턱부(127a)가 형성되고, 이 단턱부(127a)의 중간부분에는 홈(127b)이 형성되며, 이 홈(127b)에는 고정몸체(121)를 전후 관통하는 볼트홀(127c)이 형성될 수 있다. 1 and 5, the fixed body 12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beam-in-wearing step portion 127a on the rear surface, a groove 127b is form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ep portion 127a And a bolt hole 127c passing through the fixing body 121 may be formed in the groove 127b.

프로파일빔(130)을 엘리베이터 체대(c)의 측면에 고정볼트(134)로 수평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 프로파일빔(130)의 끝단에 게이지플레이트(110)가 결합된 고정몸체(121)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몸체(121)는 조임볼트(125)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profile beam 130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with the fixing bolt 134 on the side of the elevator c and mounted on the end of the profile beam 130 with the fixed body 121 coupled with the gauge plate 110 can do. At this time, the fixing body 121 can be used with the tightening bolt 125 removed.

이때, 프로파일빔(130)은 고정몸체(121)의 단턱부(127a)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136)를 볼트홀(127c)에 관통시키고, 프로파일빔(130)의 슬릿홈(131) 내에 너트(미도시)를 삽입하여 볼트(136)와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프로파일빔(130)에 고정몸체(121)를 고정장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file beam 130 passes through the bolt hole 127c and the slit groove 131 of the profile beam 130 while the bolt 136 is passed through the bolt hole 127c with the profile beam 130 being seated on the step portion 127a of the fixed body 121, The fixing body 121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profile beam 130 by inserting a nut (not shown) into the bolt 136 and the nut.

도 7과 같이, 프로파일빔(130)과, 고정몸체(121), 그리고 게이지플레이트(110)를 장착한 상태에서, 두 게이지플레이트(110)의 끝단이 설치할 승강장 실(k)에 접촉되도록 위치를 설정한 후, 승강장에 고정된 앵글브라켓(P)에 승강장실(k)을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two gauge plates 110 is set such that the end of the gauge plate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nding chamber k to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profile beam 130, the fixed body 121, and the gauge plate 110 are mounted, And the landing room (k) can be welded to the angle bracket (P) fixed to the platform.

이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게이지로서,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레일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승강장 실(k)의 설치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elevator car guide rail and the weight balance guide rail but also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anding room k as one gaug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게이지장치
110...게이지플레이트
111a...제1판부
111b...제2판부
112a...고정공
112b...기준공
112c..제1기준선
113...제1수용공
113a...제1절개홈
114a...제2기준선
114b...제3기준선
115...제2수용공
115a...제2절개홈
116a...제4기준선
120...고정유닛
121...고정몸체
122...볼트결합공
123...제2끼움홈
124...스크류홀부
125...조임볼트
130...프로파일 빔
A...제1측정부
B...제2측정부
100 ... gauge unit
110 ... gauge plate
111a ... first plate
111b ... second plate
112a ... fixed ball
112b ... reference ball
112c. First reference line
113 ... first receiving ball
113a ... first incision groove
114a ... second baseline
114b ... third baseline
115 ... 2nd receiving ball
115a ... second incision groove
116a ... fourth baseline
120 ... fixed unit
121 ... fixed body
122 ... bolt coupling ball
123 ... second fitting groove
124 ... screw hole portion
125 ... tightening bolt
130 ... Profile beam
A ... first measuring unit
B ... second measuring unit

Claims (4)

수평와이어와 수직와이어를 배치하여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측정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가이드레일(R)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고정유닛(120);
상기 고정유닛(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수평와이어(W2), 제1수직와이어(W1) 및 제2수직와이어(W3)를 배치하여, 카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측정부(A,B)가 형성된 게이지플레이트(110);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는 고정유닛(120)에 결합되는 제1판부(111a)와, 이 제1판부(111a)의 끝단에 양측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는 제2판부(111b)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부(A,B)는,
상기 수평와이어(W2)를 통해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레일각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1측정하는 제1측정부(A); 및,
상기 제1수직와이어(W1)를 통해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배치정렬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2수직와이어(W3)를 통해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정렬상태를 확인하는 제2측정부(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부(A)는,
상기 제2판부(111b)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고정공(112a);
상기 제2판부(11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기준공(112b);
상기 고정공(112a)과 상기 기준공(112b)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2판부(111b) 상에 표시된 제1기준선(112c);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정부(B)는
상기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1수직와이어(W1)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수용공(113);
상기 제1수용공(113)을 기준으로 "+"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판부(111b)에 표시된 제2기준선(114a) 및 제3기준선(114b);
상기 제1수용공(113)으로부터 상기 제2판부(111b)의 일단부에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2수직와이어(W3)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수용공(115);
상기 제3기준선(114b)에 대해 직각되게 "+" 형태가 되도록 상기 제2수용공(115)을 기준으로 상기 제2판부(111b)에 표시된 제4기준선(11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
A gauge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guide rail for arranging a horizontal wire and a vertical wire to measure an alignment state of a guide rail,
A fixing unit 120 detachably fixed to the elevator car guide rail R;
The horizontal wire W2, the first vertical wire W1 and the second vertical wire W3 are disposed to be fixed to the fixed unit 120 so that the alignment state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alignment stat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And a gauge plate (110) having measurement portions (A, B)
The gauge plate 110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111a coupled to the fixed unit 120 and a second plate portion 111b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The measuring units (A, B)
A first measuring unit (A) for firstly measuring a rail-aligned state of the car guide rail via the horizontal wire (W2); And
A second measuring unit (B) for checking alignment of the car guide rail through the first vertical wire (W1) and confirming an alignment state of the balance guide rail via the second vertical wire (W3) ≪ / RTI >
The first measuring unit (A)
A fixing hole 112a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 reference hole 112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And a first reference line 112c display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to connect the fixing hole 112a and the reference hole 112b,
The second measuring unit (B)
A first receiving hole 113 formed in the one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in the form of a long hole and having the first vertical wire W1 disposed therein;
A second reference line 114a and a third reference line 114b display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so as to have a " +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A second receiving hole 115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113 in the width direction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111b and in which the second vertical wire W3 is disposed, ;
And a fourth reference line 116a indicated on the second plate portion 111b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ceiving hole 115 so as to be in a " + "shape at right angles to the third reference line 114b Gauge device for elevator guide rail instal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에는 "ㄷ"형 제1끼움홈(111a-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120)은,
사각블록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홈(111a-1)에 대응되도록 "ㄷ"형 제2끼움홈(123)이 형성되고, 측면과 상기 제2끼움홈(123)을 연결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홀부(124)가 마련된 고정몸체(121); 및,
상기 스크류홀부(12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1끼움홈(111a-1) 및 상기 제2끼움홈(123)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레일을 고정시키는 조임볼트(1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홈(111a-1)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일렬배치되는 다수의 볼트통과공(119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에는 상기 제2끼움홈(123)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상기 볼트통과공(119a)과 대응되게 일렬배치되는 다수의 볼트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을 완전히 덮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상태와, 상기 고정몸체(121)의 상면의 일부가 보이도록 상기 제1판부(111a)의 끝단부가 상기 고정몸체(121)의 폭방향으로 위치이동되어 결합된 제2결합상태로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U" -shaped first fitting groove 111a-1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The fixed unit (120)
Shaped second fitting groove 123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and the side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ixed body 121 provided with a screw hole 124 formed with a thread; And
And a tightening bolt 125 screwed to the screw hole 124 to fix the guide rail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and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 plurality of bolt holes 119a are formed i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so as to be linear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A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121 so as to correspond to the bolt holes 119a on both sides of the second fitting groove 123,
A first engaging state in which an end of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is fully engag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21 and a second engaging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is partially viewed, Wherein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rail is movable in a widthwise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to be engaged in a coupled second engagement st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111a)와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제1결합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가이드레일(R)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판부(111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어 상기 제1끼움홈(111a-1)의 내측단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표시선(s1);
상기 제1판부(111a)와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제2결합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몸체(121)가 상기 가이드레일(R)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1판부(111a)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되, 상기 제1결합표시선(s1)과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1끼움홈(111a-1)의 내측단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결합표시선(s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xing body 121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R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ing body 121 are coupled in the first engagement state, A first coupling indication line s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so as to be aligned with an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When the fixed body 121 is mounted on the guide rail R in a state where the first plate portion 111a and the fixed body 121 are coupled in the second engaged state, A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upling indication line ")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upling indication line s1 and positioned to be in line with the inner end of the first fitting groove 111a-1 s2) of the elevator guide rail.
제 3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체대에 수평되게 설치되며, 선단에 상기 고정몸체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프로파일 빔(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 빔(130)에 상기 고정몸체(12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몸체(121)에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지플레이트(110)의 끝단이 승강장 실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실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가이드레일 설치용 게이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profile beam (130)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elevator platform and installed to fix the fixed body to the tip,
The fixed body 121 is fixed to the profile beam 130 and the end of the gauge plate 1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nding chamber in a state where the gauge plate 110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121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anding gear can be confirmed.

KR1020170028746A 2017-03-07 2017-03-07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KR101877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46A KR101877166B1 (en) 2017-03-07 2017-03-07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746A KR101877166B1 (en) 2017-03-07 2017-03-07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166B1 true KR101877166B1 (en) 2018-08-07

Family

ID=6325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746A KR101877166B1 (en) 2017-03-07 2017-03-07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1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0135A (en) * 2019-05-28 2020-12-01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Upper lofting tool, lower lofting line fixing tool, detection tool, elevator guide rail lofting inspection tool and inspe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17B1 (en) 2013-06-14 2014-10-14 장익환 Multi guage assembly for elevator installation
KR101653089B1 (en) 2015-01-21 2016-09-01 장익환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alignment state detectiong method of guide rails using this gauge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17B1 (en) 2013-06-14 2014-10-14 장익환 Multi guage assembly for elevator installation
KR101653089B1 (en) 2015-01-21 2016-09-01 장익환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alignment state detectiong method of guide rails using this gauge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0135A (en) * 2019-05-28 2020-12-01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Upper lofting tool, lower lofting line fixing tool, detection tool, elevator guide rail lofting inspection tool and inspe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7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itches of wire ro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e rope
KR102192189B1 (en) Deformation measurement device of elasticity support for bridge
KR101877166B1 (en)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KR101653089B1 (en) Gauge tool for elevator guide rails and alignment state detectiong method of guide rails using this gauge tool
KR101543257B1 (en) A measurement and method equipment for stabilizer
KR101129874B1 (en) jig for spot welding test piece
KR101631391B1 (en) Multi inspecting jig of an elevator and escalator
JP5331173B2 (en) Wire rope flaw detector
KR10079734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width of rail
US8402670B2 (en) Tensile bar marking fixture
KR101279358B1 (en) A displacement determination device for impact test of vehicles
KR101451017B1 (en) Multi guage assembly for elevator installation
KR100661442B1 (en) Alignment error detecting device for guiderail of elevator
KR101284980B1 (en) Angle measurement apparatus for hopper plate
KR2022014859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lignment state and method for detecting alignment state
KR20080007918A (en) The measurement device for checking block deformation
KR101344458B1 (en) Inspection device of hole position
KR20230088151A (en) A dimension inspection apparatus for bumper bracket of cars
CN115243991B (en) Rope tension measuring device and rope tension measuring method
KR102407037B1 (en) Packing Seal strip Height Measurement Device
KR20140005529A (en) Material supplying apparatus for pressure and modify test and pressure and modify tester of use it
KR101524908B1 (en) Arranging gauge for tensile test
KR0132842Y1 (en) A bumper mounting form check structure of a car longitudinal
JP2004043139A (en) Guide rail installation accuracy measuring jig for elevator
JP2023077563A (en) Method for measuring horizontal deformation of seismic isolation device and seismic iso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