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664B1 -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664B1
KR101876664B1 KR1020170009454A KR20170009454A KR101876664B1 KR 101876664 B1 KR101876664 B1 KR 101876664B1 KR 1020170009454 A KR1020170009454 A KR 1020170009454A KR 20170009454 A KR20170009454 A KR 20170009454A KR 101876664 B1 KR101876664 B1 KR 10187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lloy
user
shape memory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석
Original Assignee
신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석 filed Critical 신용석
Priority to KR102017000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62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3/00Miscellaneous appliances for hat-making, e.g. for making wire forms for hat-frames; Apparatus for changing the form or size of finished hats
    • A42C3/02Hat-bloc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6Shape recovering or form memor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또는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와이어를 구부려서 일정한 형상을 세팅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양측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챙부; 및, 상기 챙부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Removable functional hats}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또는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와이어를 구부려서 일정한 형상을 세팅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레저, 스포츠 및 야외활동 시, 주로 착용하여 특히, 여름철 강한 자외선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면과 두피 등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 및 안면으로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자는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해 줄 수는 있으나, 특히 노출이 심한 여름철일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귀와, 귀 이하의 목과 어깨 부분이 자외선에 노출되어 심하게는 화상까지도 입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자는 사용자의 안면은 물론, 측부로 노출되는 부위에 대해서도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수단이 부가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모자에 차양막을 형성한 경우가 있었으나, 차양막의 형태를 고정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경우, 차양막이 바람에 날려서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노출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차양막은 단순히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가리는 용도로 사용될 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차양막을 세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또는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와이어를 구부려서 일정한 형상을 세팅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양측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챙부; 및, 상기 챙부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차양부의 테두리에 와이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차양부의 상측에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부의 하측 테두리에는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서로 간격이 벌어지고,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이 되면,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차양부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망사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자외선 또는 차가운 바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와이어를 구부려서 일정한 형상을 세팅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이 벌어지거나 닫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계절, 기후에 따라 자동으로 통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의 차양부가 탈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양부의 측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의 동작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의 차양부가 탈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이하 “기능성 모자”라고도 약칭함)는, 수용부(100), 챙부(200), 차양부(301)를 포함한다.
수용부(100)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헝겊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람의 두상에 대응하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팔각모와 같이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수용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수용부(100)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수단(110)은 수용부(100)보다는 경도가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영역에 형성된다. 지지수단(110)은 머리 둘레를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수단(110)이 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관계없이 모자를 착용할 수 있다.
챙부(200)는 수용부(100)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챙부(200)는 지지수단(110)의 끝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보호한다.
챙부(200)는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챙부(200)의 단부가 사용자의 눈 위로 착용되거나, 아래로 착용 되느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즉, 모자(100)를 착용 시, 챙부(200)의 단부가 눈 위로 올라가 있을 경우, 불투명소재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으로 내리쬐는 햇볕을 차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챙부(200)의 단부가 눈 아래로 내려와 사용자의 안면을 가릴 경우에는 투명재질로 하되, 자외선이 차단되는 소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해야할 것이다.
한편, 투명재질의 챙부(200)일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으며 열전도율이 좋아 자외선에 의한 변형이 적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Polycarbonate Film)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챙부(20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 소재의 필름지 내지는 코팅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챙부(200)의 양측 상면에는 체결홈(210)이 형성된다. 체결홈(210)은 일명 똑딱이 단추로 알려진 것으로, 차양부(301)에 형성된 체결돌기(310)와 체결되어, 차양부(301)가 챙부(200)와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챙부(200)와 차양부(301)가 일명 똑딱이 단추로 탈부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찍찍이 테이프로 알려진 벨크로가 형성되거나, 실로 꿰맨 형태의 단추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홈(210)은 지지수단(1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의 차양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부(301)는 챙부(200)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210)을 통해 부착될 수 있으며, 차양부(301)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탈착될 수도 있다.
차양부(301)는 여름철에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노출된 신체부위 즉, 귀와, 귀로부터 연장되는 목 부위까지 감싸도록 하여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목 부위에서 더 연장되어 어깨까지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양부(301)는 겨울철에는 찬 바람으로부터 귀, 목, 어깨 부위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양부(301)는 귀, 목 등을 감쌀 수 있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지며, 상측에는 챙부(200)에 형성된 체결홈(210) 및 지지수단(110)에 형성된 체결홈(210)과 부착/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310)가 형성되고, 하측 테두리에는 와이어(W1)가 삽입될 수 있는 와이어 수용공간(321)이 형성된다.
와이어(W1)는 차양부(301)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에도 모자에 차양막을 형성한 경우가 있었으나, 차양막의 형태를 고정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경우, 차양막이 바람에 날려서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노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차양부(301)의 테두리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바람이 불어도 차양부(301)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목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와이어를 구부려서 일정한 형상을 세팅하면,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양부의 펼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양부의 측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의 동작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는, 차양부(302)의 구성이 상이할 뿐, 수용부(100) 및 챙부(200)의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양부(30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여름철에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노출된 신체부위를 보호하고, 겨울철에는 찬 바람으로부터 귀, 목, 어깨 부위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기능에 더하여 온도에 따라 통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양부(302)의 상측에는 챙부(200)의 체결홈(210)과 부착/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310)가 형성되고, 하측 테두리에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2)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이 형성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은 차양부(302)의 하측 테두리에서 한 쌍으로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2)는 각각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에 수용된다.
또한, 차양부(302)의 내면(즉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있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망사 구조(330)가 형성되고, 차양부(302)의 외면은 밀폐 구조로 형성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2)는 열을 가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합금으로, 니켈-티타늄 합금, 구리-아연-알루미늄 합금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양부(302)의 하측 테두리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2)가 수용된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이 형성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W2)는, 여름철 평균 기온일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 사이가 벌어지도록 설계되고, 겨울철 평균 기온일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 사이가 닫히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여름철 평균 기온은 20 내지 25℃일 수 있고, 겨울철 평균 기온은 0 내지 10℃일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온도에 따라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는 점이 중요할 뿐, 온도 설정은 형상기억합금을 이루는 물질 및 조성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온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외부의 공기는 벌려진 틈 사이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는 차양부(302)의 내면에 형성된 망사 구조(330)를 통해 통풍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접촉하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온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닫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 사이가 닫혀지게 된다. 이때, 외부 공기의 유입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322)이 벌어지거나 닫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계절, 기후에 따라 자동으로 통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수용부
200 : 챙부
301, 302 : 차양부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 하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양측 상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챙부; 및,
    상기 챙부의 양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차양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부의 상측에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될 수 있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부의 하측 테두리에는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서로 간격이 벌어지며,
    외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이 되면, 상기 한 쌍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서로 간격이 좁혀지고,
    상기 차양부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망사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차양부의 외면은 밀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09454A 2017-01-20 2017-01-20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KR10187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54A KR101876664B1 (ko) 2017-01-20 2017-01-20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54A KR101876664B1 (ko) 2017-01-20 2017-01-20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664B1 true KR101876664B1 (ko) 2018-07-10

Family

ID=6291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454A KR101876664B1 (ko) 2017-01-20 2017-01-20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675A (ko) * 2019-11-14 2021-05-24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KR102647467B1 (ko) 2023-08-10 2024-03-15 조시훈 환기 기능 팬 모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506U (ko) * 2010-07-12 2012-01-18 김원호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130004707U (ko) * 2012-01-26 2013-08-05 최용석 안전모용 차양망
KR101657407B1 (ko) * 2015-04-16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506U (ko) * 2010-07-12 2012-01-18 김원호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130004707U (ko) * 2012-01-26 2013-08-05 최용석 안전모용 차양망
KR101657407B1 (ko) * 2015-04-16 2016-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675A (ko) * 2019-11-14 2021-05-24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KR102319458B1 (ko) * 2019-11-14 2021-10-29 김민석 컨버터블 모자
KR102647467B1 (ko) 2023-08-10 2024-03-15 조시훈 환기 기능 팬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KR101876664B1 (ko)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모자
KR101669500B1 (ko) 회전형 썬차양이 구비된 모자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US10165808B2 (en) Supremely adjustable facial mask
KR101482881B1 (ko) 회전가능한 차양막을 갖는 머리띠형 썬캡
US20150351966A1 (en) Visor for protecting eyes without disturbing hairstyle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200282400Y1 (ko) 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363351Y1 (ko) 선글라스 겸용 차양모자
JP4618917B2 (ja) 首部日除付き帽子
KR20200000378U (ko) 이중차양모
KR200458923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햇(Hat) 모자
TWM540523U (zh) 帽子結構
JPS639533Y2 (ko)
KR20190000912U (ko) 선바이저
KR200379222Y1 (ko) 형상 복원 모자
JP3083470U (ja) 首部日除付き帽子
KR100439098B1 (ko) 차양기능을 갖는 패션모자
KR200379221Y1 (ko) 보조커버가 형성된 차광모자
KR200363379Y1 (ko) 차양모자
KR101743033B1 (ko) 차양모자
KR20160055289A (ko) 접이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50026828A (ko)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