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10B1 -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510B1
KR101876510B1 KR1020130127981A KR20130127981A KR101876510B1 KR 101876510 B1 KR101876510 B1 KR 101876510B1 KR 1020130127981 A KR1020130127981 A KR 1020130127981A KR 20130127981 A KR20130127981 A KR 20130127981A KR 101876510 B1 KR101876510 B1 KR 10187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information
card
laun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915A (ko
Inventor
김광철
이대범
안병래
박채향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5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Launcher)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런처 서비스를 적용하여 이용하는데 있어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카드의 별도 제작 없이도 필요한 컨텐츠 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카드로 제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쉽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런처 서비스에서 서비스카드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화면과 인터렉션와 같은 동작, 생활 편의 위젯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launcher service apply to 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system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Launcher)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런처 서비스를 적용하여 이용하는데 있어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진화 속도는 점차 빨라져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다양한 많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요즘에는 단말기에 사용되는 외장 메모리의 용량 증가와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미디어 파일, 도큐먼트 파일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도큐먼트 파일, 미디어 파일 등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 내부에 런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런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미디어 파일, 도큐먼트 파일 등을 미리 등록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가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의 각 기능(예; 인터넷 사이트로의 접속, 응용 프로그램 실행 등)을 이용하는데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해당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UI; User Interface)(예; 바로 가기 등)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한다. 즉, 런처는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의 바탕 화면 또는 메뉴 표시 방식을 변경하고, 응용 어플리케이션 접근 방식(예; 펜 터치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한 실행 등) 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고 미디어 파일 또는 도큐먼트 파일 등을 쉽게 열어볼 수가 있다.
하지만, 기존의 런처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이 수동적인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상위 메뉴, 하위 메뉴를 오가면서 여러 차례의 메뉴 검색 및 선택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조작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외부 개발자가 직접 서비스카드를 제작하여 서버에 등록하면, 다른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된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 받아 런처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되지 않았다.
한국등록특허 10-0764651 B1, 2007년 10월 01일 등록 (명칭: 휴대용 단말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방법 및 장치)
이러한 종래의 런처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이 수동적인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또는 하위 메뉴로 이동 할 경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 외부 개발자가 직접 서비스카드를 제작하여 서버에 등록하면, 다른 사용자가 서버에 등록된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 받아 런처 서비스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런처 서비스로 제공하는데 있어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하고,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서비스카드들을 등록하고,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제공하고,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고,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에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에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고,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기는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단말기가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작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서비스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설정 화면을 통해 서비스카드의 등록, 삭제, 편집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상정보는 모바일 상품권, 쿠폰, 포인트, 마일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단말기가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수신된 데이터를 런처 서비스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서비스카드들 중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터치 신호는 메인 화면 상에서 좌측으로 플리킹(Flicking)되는 터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장치가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등록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계와,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와,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이를 공개하여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카드의 별도 제작 없이도 필요한 컨텐츠 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카드로 제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쉽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런처 서비스에서 서비스카드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화면과 인터렉션와 같은 동작, 생활 편의 위젯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런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기(10a, 10b,…, 10n), 서비스장치(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런처 서비스 마켓(20a)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나 서비스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3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연결되어 오픈 API를 적용하여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오픈 API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20)에 등록한다.
단말기(10)는 제작된 서비스카드가 다른 단말기에 의해 다운로드됨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보상정보는 모바일 상품권, 쿠폰,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다른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 받아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하고, 서비스장치(20)로부터 다른 단말기에 의해 제작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를 선택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선택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단말기(10)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연결되어 런처 서비스를 위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한다. 즉,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응용 프로그램(서비스카드)를 제작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제공된 오픈 API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서비스카드를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 등록한다. 이후, 서비스장치(20)는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이를 공개하여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카드의 별도 제작 없이도 필요한 컨텐츠 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카드로 제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쉽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런처 서비스에서 서비스카드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화면과 인터렉션와 같은 동작, 생활 편의 위젯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및 통신부(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런처 서비스 제공모듈(11a) 및 서비스카드 제작모듈(11b)을 포함하고, 저장부(14)는 어플리케이션(14a)을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런처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신호 및 런처 서비스 제공 중에 발생하는 모든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는 런처 서비스에서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설정 화면,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화면 및 서비스카드를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는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카드를 설정 및 제작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4a)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5)는 런처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효과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서비스장치(2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접속하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6)는 서비스장치(20)와 통신하여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는 런처 서비스를 설정하고, 서비스카드를 제작한다. 이때, 제어부(11)는 런처 서비스 제공모듈(11a)과 서비스카드 제작 모듈(11b)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서비스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하고, 오픈 API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카드의 등록, 삭제, 편집 등의 기능을 설정한다.
제어부(11)는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20)에 등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제작된 서비스카드가 다른 단말기에 의해 다운로드됨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보상정보는 모바일 상품권, 쿠폰,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11)는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런처 서비스로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20)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한다.
제어부(11)는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선택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서비스카드들 중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터치 신호는 메인 화면 상에서 좌측으로 플리킹(Flicking)되는 터치 신호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런처 서비스에 적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서비스제어부(21), 서비스저장부(22) 및 서비스통신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1)는 런처 서비스 제공모듈(21a) 및 오픈 API 제공모듈(21b)을 포함하고, 서비스저장부(22)는 어플리케이션(22a)을 포함한다.
서비스통신부(23)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저장부(22)는 서비스장치(2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저장부(22)는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22a)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제어부(21)는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런처 서비스 제공모듈(21a)을 구동하고,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하여 오픈 API 제공모듈(21b)를 구동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서비스카드를 등록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비스제어부(21)는 단말기(10)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제어부(21)는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고,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21)는 검색된 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서비스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단말기(10)나 서비스장치(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은 런처 코어(46)와 다수의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구성된다. 여기서, 런처 코어는 UI 프레임워크를 포함하고, 다수의 프레임워크로는 카드 프레임워크(41), 위젯 프레임워크(42), 테마 프레임워크(43), 쇼핑 프레임워크(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 중 테마 프레임워크(43)은 테마, 아이콘, 배경화면 변경 등의 서비스카드 꾸미기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위젯 프레임워크(42)는 단말기(10)의 기본 서비스인 시계, 달력, task killer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쇼핑 프레임워크는 신규 테마, 위젯 오퍼링(Offering) 또는 전시 등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말기(10)는 S11 단계에서 런처 서비스를 설정하고, 서비스카드를 제작한다. 즉, 단말기(10)는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하고, 설정 화면을 통해 서비스카드의 등록, 삭제, 편집 등의 기능을 설정한다.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20)에 등록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5 단계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가 다른 단말기에 의해 다운로드됨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보상정보는 모바일 상품권, 쿠폰,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17 단계에서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장치(20)는 S21 단계에서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는 S23 단계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서비스카드를 등록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10)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S25 단계에서 다른 단말기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이 요청되는지 확인한다. 서비스카드의 목록이 요청되면, 서비스장치(20)는 S27 단계에서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장치(20)는 런처 서비스 마켓(20a)에서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장치(20)는 S29 단계에서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하는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런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픈 API를 적용하여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운로드하여 런처 서비스로 제공하는 단말기(10)는 S41 단계에서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20)에 접속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43 단계에서 서비스장치(20)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한다.
단말기(10)는 S45 단계에서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한다(S47 내지 S49). 여기서, 단말기(10)는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서비스카드들 중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터치 신호는 메인 화면 상에서 좌측으로 플리킹(Flicking)되는 터치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를 서비스장치(20)로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2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런처 서비스에 적용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카드(801)과 사용자 페이지(803)를 구분하는데, 기준이 되는 위치는 홈 화면이 표시되는 페이지가 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홈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서비스 카드(801) 또는 사용자 페이지(803)의 정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런처 서비스로 제공하는데 있어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오픈 API 플랫폼을 제공하고, 단말기에서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이를 공개하여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함으로써, 서비스카드의 별도 제작 없이도 필요한 컨텐츠 만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카드로 제공하여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쉽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런처 서비스에서 서비스카드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화면과 인터렉션와 같은 동작, 생활 편의 위젯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a, 10b, …, 10n: 단말기
20: 서비스장치 30: 통신망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21: 서비스제어부
22: 서비저장부 23: 서비스통신부
11a, 21a: 런처 서비스 제공모듈 11b: 서비스카드 제작모듈
14a, 22a: 어플리케이션 21b: 오픈 API 제공모듈
20a: 런처 서비스 마켓
100: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19)

  1.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카드는,
    상기 단말기의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3.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런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된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서비스장치에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단말기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된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해 서비스카드의 등록, 삭제, 편집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정보는
    모바일 상품권, 쿠폰, 포인트, 마일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0. 단말기가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메인 화면 상에서 좌측으로 플리킹(Flicking)되는 상기 터치 신호가 입력될 때, 서비스카드들 중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런처 서비스에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제작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런처 서비스를 위하여 서비스장치로부터 제공된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이용하여 서비스카드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서비스카드를 상기 서비스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의해 상기 서비스카드가 이용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보상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카드의 목록 중에서 특정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해당되는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정보를 기반으로 런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메인 화면 상에서 좌측으로 플리킹되는 상기 터치 신호가 입력될 때, 서비스카드들 중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카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런처 서비스에 적용되는 서비스카드 제작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기 등록된 서비스카드의 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카드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말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카드를 등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기 설정된 보상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메인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서비스 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사용자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127981A 2013-10-25 2013-10-25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87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81A KR101876510B1 (ko) 2013-10-25 2013-10-25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81A KR101876510B1 (ko) 2013-10-25 2013-10-25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15A KR20150047915A (ko) 2015-05-06
KR101876510B1 true KR101876510B1 (ko) 2018-07-09

Family

ID=5338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981A KR101876510B1 (ko) 2013-10-25 2013-10-25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87B1 (ko) * 2021-09-07 2021-11-19 코너스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웹 기반 파일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56A (ko) * 2003-12-02 2005-06-08 김삼용 프로슈머를 위한 모바일 컨텐츠제작 및 인터넷 거래시스템
KR20130106684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공유 방법
KR20130108217A (ko) * 2013-04-10 2013-10-02 안종오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홈스크린 바탕화면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12456B1 (ko) * 2012-11-20 2013-10-08 주식회사 버즈피아 모바일 단말의 홈 스크린 큐레이션 시스템
KR101315452B1 (ko) * 2013-01-21 2013-10-14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256A (ko) * 2003-12-02 2005-06-08 김삼용 프로슈머를 위한 모바일 컨텐츠제작 및 인터넷 거래시스템
KR20130106684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스크린 공유 방법
KR101312456B1 (ko) * 2012-11-20 2013-10-08 주식회사 버즈피아 모바일 단말의 홈 스크린 큐레이션 시스템
KR101315452B1 (ko) * 2013-01-21 2013-10-14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30108217A (ko) * 2013-04-10 2013-10-02 안종오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이용한 유통매장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홈스크린 바탕화면 쇼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15A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930B1 (en) Scrap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358936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TW201447618A (zh) 內容收集的自動化產生
CN103370689A (zh) 跨环境应用兼容
CN105556468A (zh) 从应用本身内初始化和引导的应用定制
US10353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CN102930227A (zh) 用于使用外部存储服务来保存文档的用户界面
WO2017076315A1 (zh) 页面显示方法、装置、系统以及页面显示辅助方法、装置
KR10138302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N111936970B (zh) 交叉应用特征链接和教育消息传送
KR20130122424A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5691A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KR102225413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장치
KR20150090306A (ko) 다수의 단말기 간 컨텐츠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46862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35100A (ko)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876510B1 (ko) 오픈 api를 적용한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46774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11233A (ko) 화면 부분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12869A (ko) 컨텐츠 저작툴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저작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43092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이동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20150047914A (ko)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22541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컨텐츠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080967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067655B1 (ko) 퀵 메뉴 편집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