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443B1 -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443B1
KR101876443B1 KR1020170152833A KR20170152833A KR101876443B1 KR 101876443 B1 KR101876443 B1 KR 101876443B1 KR 1020170152833 A KR1020170152833 A KR 1020170152833A KR 20170152833 A KR20170152833 A KR 20170152833A KR 101876443 B1 KR101876443 B1 KR 10187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gas
electromagnetic induction
induction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관
이병기
탁성제
Original Assignee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의 슬러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가스, 염기성 가스, 중성가스 등의 복합가스와 악취 등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에 있어서, 중공부가 형성된 가열본체;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력코일체; 상기 자력코일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자장발열체; 상기 자장발열체를 이동시켜 발열량을 제어하는 자장발열체구동수단; 및 상기 자력코일체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분사노즐을 통해 흡수제로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분사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가스제거다단흡수탑과, 상기 가스제거다단흡수탑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이 저장되는 흡수탱크를 구비한 철킬레이트처리부;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고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는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GAS REMOVAL APPARATUS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AND GASES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의 슬러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가스, 염기성 가스, 중성가스 등의 복합가스와 악취 등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가 도시화 및 고도화되고, 생활환경이 풍족해짐에 따라 생활용수의 사용량이 증가로 하수 및 폐수의 방출량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하,폐수는 탈수과정을 거쳐 탈수슬러지를 형성한 후 다양한 처리공정을 처리하게 되는데, 처리과정에서 유해가스 및 악취가 발생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 활동이 수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7599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상기한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암모니아(NH3) 흡수탱크(6)와 황화수소(H2S) 흡수탱크(7), 그리고 배출수의 재순환 사용을 위한 전기중화 제거장치(10), 촉매 환원 재생탱크(17), 이온 탈취장치(11)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1차적으로 장치 내에 유입된 저농도 바이오 가스 중 암모니아(NH3) 가스는 암모니아(NH3) 흡수탱크(6)에서 물을 흡수제로 사용하여 1단계 다단 흡수탑에서 오리피스 회전에 의한 노즐 분사로 암모니아 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한 뒤, 잔류하는 가스를 물을 흡수제로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2단계 다단 흡수탑에서 제거 후, 3단계, 4단계 다단 흡수탑을 거치면서 완벽하게 제거한다.
이렇게 암모니아(NH3) 가스가 1차 제거된 바이오가스는 황화수소(H2S) 흡수탱크에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다단 흡수탑에서 오리피스 회전에 의한 노즐 분사로 황화수소(H2S) 가스를 흡수하여 제거한다.
이때 본 충진 흡수탑에서는 폴링으로 체류 시간을 증가 시키고, 데미스트로 잔류 가스를 제거한 후 배출된다.
상기한 공정과 동일하게, 처리된 저농도 바이오 가스 중 황화수소(H2S) 가스의 제거 처리 효율이 떨어질 시에는 부착되어 있는 이송 펌프(22)를 사용하여 황화수소(H2S) 흡수탱크(8)에 있는 액상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를 촉매 환원 재생탱크(17)로 이송한 후 촉매 환원 재생탱크(17)에 충진되어 있는 이미 사전에 재생 처리된 보충 철킬레이트(Fe-chelate) 촉매를 황화수소(H2S) 흡수탱크(8)로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다단 흡수탑에서 유해가스를 제거한다.
전술한 종래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메탄가스로 정제 처리하는 과정에서 대표적인 불순물 성분인 암모니아(NH3) 가스와 황화수소(H2S) 가스를 다단 흡수탑에서 제거함으로써 메탄 가스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처리과정을 거치더라도 황화수소(H2S)와 같은 산성 가스의 제거효율은 비교적 우수하지만 암모니아(NH3) 가스와 염기성 가스의 제거효율이 현저히 낮고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오,폐수의 슬러지 처리시 발생되는 가스 처리시설로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전술한 종래 처리장치는 중성가스나 악취 가스의 제거효율이 낮아 대기를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고, 중성가스나 악취는 고온으로 가열할 경우 산화되므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전기히터와 같은 직접 가열식 전열기기를 이용하여 가열할 경우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이 지나치게 높아 경제성이 낮은 한계점으로 현실적인 실행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58727호 '이동형 철심을 이용한 초전도 자석장치 및 그의 유도가열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27599호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51367호 '바이오메탄가스와 혼합된 가스를 압축과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의 밀도와 비중차에 의해 바이오 메탄가스로 정제하는 정제장치 및 그 정제방법'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오,폐수의 슬러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가스, 염기성 가스, 중성가스 등의 복합가스와 악취 등을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에 있어서, 중공부가 형성된 가열본체;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력코일체; 상기 자력코일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자장발열체; 상기 자장발열체를 이동시켜 발열량을 제어하는 자장발열체구동수단; 및 상기 자력코일체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장발열체구동수단은, 상기 가열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입력측 베벨기어부와 상기 입력측 베벨기어부에 치합되는 출력측 베벨기어부를 구비한 베벨기어; 및 상기 출력축 베벨기어부에 일단이 접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장발열체는 상기 스크류봉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은 수조작에 의한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용 핸들, 또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장발열체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장을 받는 표면적의 상승을 위해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상기 가열본체의 배기측에 배치되는 흡착하우징과, 상기 흡착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 흡착제거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상기 가열본체의 배기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장발열체로부터 생성된 열기에 의한 산화과정이 수행되도록 내부에 산화반응실이 형성된 산화챔버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본체는, 최 외곽에 배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력코일체가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제1 타공판;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타공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분사노즐을 통해 흡수제로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분사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가스제거다단흡수탑과, 상기 가스제거다단흡수탑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이 저장되는 흡수탱크를 구비한 철킬레이트처리부;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고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는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상기 오존처리부의 배기측에 접속되는 흡착하우징과, 상기 흡착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 보조흡착제거부;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의 유입측에 접속되는 수분제거부;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냉각부; 및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 상기 오존처리부, 및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경유하여 공기가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철킬레이트처리부에 의해 황화수소(H2S) 가스와 같은 산성 가스의 제거과정이 수행되고, 오존처리부에 의해 암모니아( NH3)와 같은 염기성 가스가 용이하게 제거될 뿐만 아니라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에 의해 중성 가스나 악취 가스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산성, 염기성 및 중성가스와 악취 가스 등 복합가스의 정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발열장치로서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이 종래 직접가열식 전열기기에 비해 동일 발열량을 기준으로 90% 정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흐름 작업을 통해 장시간 동안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여야 하는 대기환경기술에 적용할 경우 운전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가스 처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모식도,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요부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의 철킬레이트처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의 오존처리부 및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6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6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모식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화하여 도시하였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도면상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요부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는 복합가스 및 악취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본체(11), 자력코일체(12), 자장발열체(13),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 전원공급부(15), 및 가열본체(11)의 배기측에 구성되는 흡착제거부(16)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본체(1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통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11), 단열층(112), 내부하우징(113), 제1 타공판(114), 및 제2 타공판(115)으로 구성된다.
외부하우징(111)은 최 외곽에 배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의 상하단에 프랜지(111a,111b)가 형성된 것으로, 자력코일체(1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미도시) 등의 인입을 위한 홀이 형성된 노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하우징(111)의 유입측 프랜지(111a)에는 프랜지 결합되는 레듀셔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덕트(d)와 접속되는 유입관(116)이 접속되어 있다.
단열층(112)은 외부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에어로겔 소재로 형성된 단열시트 등과 같이 단열성과 함께 내열성을 갖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내부하우징(113)은 단열층(11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내열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타공판(114)은 외부하우징(111)의 하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판 형상의 몸체에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되어 있다.
제2 타공판(115)은 외부하우징(111)의 상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타공판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자력코일체(12)는 가열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시에 전자기유도원리에 따라 자력선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선형의 도체가 코일 형태로 감김된 것으로 내부하우징(113)의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자장발열체(13)는 자력코일체(12)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구성요소로서, 자력코일체(12)의 내부에서 효과적인 발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면 형태나 구조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장발열체(13)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자장발열체(13)는 자력코일체(12)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영역 내에서 발열이 가능하려면 도전체(유전체)로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자장발열체(13)는 카본 소재의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원공급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형상 등 조건이 동일할 경우 자장을 받는 표면적이 증가할 경우 발열량이 상승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132)이 천공되어 있다.
자장발열체(13)는 후술되는 스크류봉(143)의 수나사부(143b)와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이동홀(133)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자장발열체(13)는 내부 이동홀(133)에 스크류봉(143)의 수나사부(143b)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암나사봉(미도시)을 별도로 압입, 설치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은 자장발열체(13)를 이동시켜 발열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자장발열체(13)를 병진이동시켜 자력코일체(12)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선 영역 내에 위치하는 자장발열체의 면적을 증감함으로써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은 자장발열체(13)를 병진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은 가열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41), 이 구동축(141)에 설치되는 입력측 베벨기어부(142a)와 입력측 베벨기어부에 치합되는 출력측 베벨기어부(142b)를 구비한 베벨기어(142), 및 출력축 베벨기어부(142b)에 일단이 접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봉(143)이 구비되어 있다.
구동축(141)은 환봉 형상을 갖는 봉상체가 안내부재(145)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일측에 수조작에 의한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용 핸들(141b)이 일체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안내부재(145)는 구동축이 삽입되는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구동축이 삽입되는 피봇 홈이 형성된 연결구로도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축(141)에는 수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봉(143)은 봉상체의 외주면에 수나사부(143b)가 형성된 것으로, 하단이 출력축 베벨기어부(142b)에 접속되고 상단이 외부하우징(111)에 가로질러 배치된 봉지지부재(1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봉지지부재(146)에는 스크류봉(143)이 접속되는 안내부재(1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은 스크류봉(143)의 회전시에 자장발열체(13)가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아야 승강동작이 가능하므로 자장발열체의 회전을 차단하는 발열체구속수단(미도시)이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발열체구속수단은 자장발열체(13)의 관통홀(132) 내부로 삽입되도록 외부하우징(111)에 상하로 배치되는 봉상의 고정축(미도시)이 설치되어 자장발열체(13)의 회전동작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15)는 자력코일체(13)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기유도방식의 가열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된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속스위칭변환모듈과 주파수발진모듈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흡착제거부(16)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본체(11)의 배기측에 배치되는 흡착하우징(161)과, 이 흡착하우징(16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162)을 구비한다.
흡착하우징(161)은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몸체의 상하단에 프랜지(16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착하우징(161)의 배기측 프랜지(161a)에는 레듀셔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프랜지 결합되고 연결덕트(d)와 접속되는 배기관(117)이 접속되어 있다.
흡착수단(162)은 자장발열체(13)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산화된 악취 가스 등을 흡착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금속촉매펠릿으로 이루어진 금속촉매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촉매층은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촉매펠릿은 대기환경에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금속 촉매펠릿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알루미나 등과 같은 담체에 크롬, 코발트, 팔라듐과 같은 금속을 도입하고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한 후 소성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가열본체(11), 가열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력코일체(12), 자력코일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자장발열체(13), 자장발열체를 이동시켜 발열량을 제어하는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 및 자력코일체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15)를 구비하되, 가열본체(11)의 배기측에 전술한 흡착제거부 대신에 산화챔버(17)가 구비되어 있다.
산화챔버(17)는 가열본체(11)의 배기측에 배치되고 자장발열체(13)로부터 생성된 열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 중에 포함한 가스 및 악취의 산화과정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산화반응실(172)이 마련되도록 원통 형상의 산화챔버하우징(171)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양단에 접속을 위한 프랜지(17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화챔버하우징(171)의 배기측 프랜지(171a)에는 레듀셔(Reducer)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덕트와 접속되는 배기관(117)이 접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가열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된 자력코일체(12)에 전원공급부(15)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로 형성된 자력코일체(12)의 수직방향으로 전자기파가 발생하여 자력선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자력선 내에 자성체로 형성된 자장발열체(13)가 존재하게 되면 전자기유도 원리에 따라 자장발열체(13)는 발열하면서 열기를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자장발열체(13)는 전원공급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자장발열체의 조건이 동일할 경우 자장을 받는 표면적이 증가할 경우 발열량이 상승하므로 자장발열체구동수단(14)을 작동시켜 병진이동 시킴으로써 자력코일체의 자력선 영역내에 존재하는 자장발열체의 면적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용 핸들(141b)의 회전 조작으로 구동축(141)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력이 입력측 베벨기어부(142a)와 출력측 베벨기어부(142b)를 매개로 스크류봉(143)에 전달되므로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봉(143)이 회전되면 수나사부(143b)와 나사결합된 자장발열체(13)는 정방향 회전시에 상승하고 역방향 회전시에 하강하게 되므로 자력선 영역 내에 존재하는 면적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41)의 회전동작을 통해 자장발열체(13)를 승강시키면서 자력선 내에 존재하는 면적의 제어를 통해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열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발열량을 조절하면서 유해 가스나 악취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자장발열체(13)는 내부의 온도가 250 내지 450℃ 정도가 되도록 가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열기는 흡착제거부(16)의 흡착하우징(161) 내부로 발산되므로 금속촉매층을 경유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중성 가스나 악취 가스 등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가열본체(11)의 배기측에 전술한 흡착제거부(16) 대신에 산화챔버(17)가 구비된 구조는 악취 가스의 농도가 클 경우 등 강력한 산화가 필요한 경우에 유효한 구조로서 가열본체(11)의 내부온도가 600 내지 980℃ 정도가 되도록 고온으로 가열하여 산화챔버(17) 내부로 고온의 열풍을 제공함으로써 악취 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유도방식(인덕션 방식)에 의해 자장발열체(13)로부터 열기가 발산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 전기히터봉과 같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직접가열식 전열기기에 비해 동일 발열량을 기준으로 전기에너지의 소비율이 90% 정도 절감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흐름작업을 통해 장시간 동안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대기환경기술에 적용할 경우 매우 효율적인 발열수단임을 알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의 철킬레이트처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의 오존처리부 및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등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5 내지 도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염기성 가스, 중성 가스 등과 같은 복합가스와 악취 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오,폐수슬러지처리부(2), 철킬레이트처리부(3), 오존처리부(4), 및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는 전술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오, 폐수슬러지처리부(2)는 오,폐수로의 탈수 슬러지에 80 ~ 85%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와 톱밥을 혼합하고 발효기(23)에 투입하여 발효함으로써 슬러지의 감량화와 자원화를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지공급기(21), 톱밥공급기(22) 및 발효기(23) 등으로 이루어진 공지된 오,폐수슬러지 처리장치를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철킬레이트처리부(3)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을 통해 흡수제로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분사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가스제거다단흡수탑과, 가스제거다단흡수탑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이 저장되는 흡수탱크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철킬레이트처리부(3)는 분사노즐을 통해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분사하여 바이오 가스 중에 포함된 황화수소(H2S) 가스를 1차 제거하는 1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1), 연이어 황화수소(H2S)를 제거하도록 배치된 2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2), 1단계 및 2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1,32)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이 저장되는 황화수소(H2S) 흡수탱크(34)가 구비되어 있다.
철킬레이트처리부(2)에는 불순물인 유해가스를 부착 및 응집하여 제거하기 위해 후술되는 폴링층(f)의 상부에 액상의 흡수제를 분사하는 분사수단(p)이 구성되어 있다. 이 분사수단(p)은 폴링층(f)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분사노즐(p1)이 배치된 분사배관(p2)과 이 분사배관으로 흡수제를 압송하는 펌프(p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철킬레이트처리부(3)는 위 배경기술에 언급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7599호 참조)과 유사한 처리과정을 통해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작용효과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오, 폐수슬러지처리부(2)로부터 연결덕트(d)를 매개로 복합가스를 포함하는 공기가 공급되면 1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1)에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흡수제로 사용하여 하측 흡수탑(a)에서 1단계로 흡수, 제거하고, 잔류하는 가스를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흡수제로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상측 흡수탑(b)에서 2단계로 제거한 후, 2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2)의 하측 흡수탑(a) 및 상측 흡수탑(b)을 경유하면서 3단계 및 4단계의 처리과정을 통해 황화수소(H2S) 가스의 제거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오존처리부(4)는 철킬레이트처리부(3)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는 오존처리하우징(41)에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42)가 구비된 구성요소로서, 오존발생기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오존과 OH 라디칼 등의 산화성 물질을 이용하여 악취 가스를 CO2 , H2O로 변화시키고 염기성 가스( NH3 )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존발생기(42)는 정해진 기능과 작용을 수행한다면 구조나 형태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오존발생기는 오존처리하우징(41)에 설치되는 접지홀더(미도시), 접지홀더와 접하여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금속코팅층이 형성된 세라믹관(미도시), 이 세라믹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전전극(미도시), 방전전극이 설치되는 전극홀더, 및 방전전극에 (+)단자가 접속되고 접지홀더에 (-)단자가 접속되는 오존발생기용 고전압발생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오존발생기용 고전압발생부는 방전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은 후 발진, 승압 및 배압 처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15㎸ 이내의 고전압(Vout)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오존발생부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고전압발생모듈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세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예컨대 고전압발생모듈은 고조파 방지부, 역전압 방지부, 발진부, 고전압 승압부 및 배전압부 등이 구비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용 고전압발생부는 통상적인 오존발생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AC 7 내지 15KV의 고전압을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한편, 상기 오존처리부(4)의 상부에는 보조흡착제거부(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조흡착제거부(6)는 전술한 흡착제거부(16)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오조처리하우징(41)의 배기측에 배치되는 흡착하우징(61)과, 이 흡착하우징(61)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62)을 구비한다. 이때, 흡착수단(62)은 다수의 금속촉매펠릿으로 이루어진 금속촉매층으로 구성되고, 흡착하우징의 배기측 프랜지에는 레듀셔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덕트와 접속되는 배기관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슬러지처리부(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철킬레이트처리부(3)의 유입측에 접속되는 수분제거부(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수분제거부(7)는 공지된 산업용 에어드라이어 등을 제한 없이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비교적 고온으로 가온된 상태이므로 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부(8)가 구비되어 있다.
냉각부(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냉각챔버(81), 이 냉각챔버(81)의 내부에 설치되고 냉각핀이 구비된 냉각라인(82), 및 이 냉각라인(42)을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수단(미도시), 및 냉각라인의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오,폐수슬러지처리부(2), 철킬레이트처리부(3), 오존처리부(4), 및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 순으로 이어지는 처리과정을 따라 공기가 이동되도록 부압을 작용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흡입수단(8)이 구비되어 있다.
흡입수단(9)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력을 생성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오,폐수슬러지처리부(2)의 배기측에 접속되는 제1 흡입수단(91)과, 냉각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는 제2 흡입수단(9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오, 폐수슬러지처리부(2)의 발효기(23)로부터 배출되는 복합가스와 악취 가스가 연결덕트(d)를 통해 1단계 및 2단계 황화수소제거다단흡수탑(31,32)으로 유입, 이동되면 흡수제로 분사되는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과의 상호작용으로 황화수소(H2S) 가스와 같은 산성 가스의 제거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배기되는 공기가 오존처리부(4)의 오존처리하우징(41) 내부로 유입되면, 오존발생기(42)로부터 생성되는 오존과 OH 라디칼 등의 산화성 물질에 의해 악취 가스가 CO2 , H2O로 변화되고, 암모니아( NH3)와 같은 염기성 가스가 용이하게 제거된다.
상기한 오존처리부(4)를 통과한 공기가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의 가열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면 자력코일체(12)의 동작에 따라 자장발열체(13)가 내부 온도가 250 내지 450℃ 정도가 되도록 가열 되므로 흡착제거부(16)의 금속촉매층을 경유하면서 공기 중에 중성 가스나 악취 가스 등이 산화되어 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은 철킬레이트처리부(3)에 의해 황화수소(H2S) 가스와 같은 산성 가스의 제거과정이 수행되고, 오존처리부(4)에 의해 암모니아( NH3)와 같은 염기성 가스가 용이하게 제거될 뿐만 아니라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에 의해 중성 가스나 악취 가스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산성, 염기성 및 중성가스와 악취 가스 등의 복합가스의 정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1)는 전자기유도방식에 의해 발열장치로서 전기에너지의 소비량이 직접가열식 전열기기에 비해 동일 발열량을 기준으로 90% 정도 절감되므로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11:가열본체
12:자력코일체
13:자장발열체
14:자장발열체구동수단
15:전원공급부
16:흡착제거부
17:산화챔버
2:오,폐수슬러지처리부
3:철킬레이트처리부
4:오존처리부
6:보조흡착제거부
7:수분제거부
8:냉각부
9:흡입수단

Claims (9)

  1.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에 있어서,
    중공부가 형성된 가열본체;
    상기 가열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력코일체;
    상기 자력코일체에 설치되어 발열되는 자장발열체;
    상기 자력코일체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장발열체는 상기 자력코일체의 내부에 병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자장발열체를 병진 이동시켜 발열량을 제어하는 자장발열체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발열체구동수단은, 상기 가열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입력측 베벨기어부와 상기 입력측 베벨기어부에 치합되는 출력측 베벨기어부를 구비한 베벨기어; 및 상기 출력측 베벨기어부에 일단이 접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봉을 포함하고,
    상기 자장발열체는 상기 스크류봉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병진운동을 수행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수조작에 의한 회전동작을 수행하는 회전용 핸들, 또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장발열체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장을 받는 표면적의 상승을 위해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의 배기측에 배치되는 흡착하우징과, 상기 흡착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 흡착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의 배기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장발열체로부터 생성된 열기에 의한 산화과정이 수행되도록 내부에 산화반응실이 형성된 산화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본체는,
    최 외곽에 배치되고 중공부를 갖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력코일체가 내장되는 내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의 하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제1 타공판; 및
    상기 외부하우징의 상측 통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타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8.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분사노즐을 통해 흡수제로서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을 분사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가스를 제거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가스제거다단흡수탑과, 상기 가스제거다단흡수탑의 하부에 배치되고 유기산 철킬레이트(Fe-chelate) 수용액이 저장되는 흡수탱크를 구비한 철킬레이트처리부;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고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부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의 배기측에 접속되는 흡착하우징과, 상기 흡착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스 및 악취를 흡착, 제거하는 흡착수단을 구비한 보조흡착제거부;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의 유입측에 접속되는 수분제거부;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의 배기측에 유입부가 접속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냉각부; 및
    상기 철킬레이트처리부, 상기 오존처리부, 및 상기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경유하여 공기가 이동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KR1020170152833A 2017-11-16 2017-11-16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KR101876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33A KR101876443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33A KR101876443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443B1 true KR101876443B1 (ko) 2018-08-09

Family

ID=6325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833A KR101876443B1 (ko) 2017-11-16 2017-11-16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54B1 (ko) 2018-12-26 2019-09-11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복합 가스 제거 및 탈취를 위한 처리시스템
KR20220010103A (ko) 2020-07-17 2022-01-25 맹창용 유도가열 방식의 고온 산화 및 열분해 작용 열교환기를 구비한 오염기체 정화장치
KR102392053B1 (ko) * 2021-10-12 2022-05-03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텐터기용 배기가스 고온산화 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187B2 (ja) * 2000-03-14 2006-10-18 テルモゼレク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凝縮可能な溶融固体を清掃ピストンを用いて除去する方法
KR20070059892A (ko) * 2005-12-06 2007-06-12 이강문 기화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034636A (ja) * 2007-08-03 2009-02-19 Akiji Nishiwaki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51367B1 (ko) 2008-12-18 2010-04-08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바이오메탄가스와 혼합된 가스를 압축과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의 밀도와 비중차에 의해 바이오 메탄가스로 정제하는 정제장치 및 그 정제방법
KR101424011B1 (ko) * 2014-04-17 2014-08-01 이재석 음식물 쓰레기 건조용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27599B1 (ko) 2014-03-04 2014-08-07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
KR101658727B1 (ko) 2015-03-11 2016-09-2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철심을 이용한 초전도 자석 장치 및 그의 유도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187B2 (ja) * 2000-03-14 2006-10-18 テルモゼレクト・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凝縮可能な溶融固体を清掃ピストンを用いて除去する方法
KR20070059892A (ko) * 2005-12-06 2007-06-12 이강문 기화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034636A (ja) * 2007-08-03 2009-02-19 Akiji Nishiwaki 排ガス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51367B1 (ko) 2008-12-18 2010-04-08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바이오메탄가스와 혼합된 가스를 압축과 냉각수를 이용하여 가스의 밀도와 비중차에 의해 바이오 메탄가스로 정제하는 정제장치 및 그 정제방법
KR101427599B1 (ko) 2014-03-04 2014-08-07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고속 유동순환식 다단흡수탑을 이용한 저농도 메탄가스의 정제방법 및 그 장치
KR101424011B1 (ko) * 2014-04-17 2014-08-01 이재석 음식물 쓰레기 건조용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58727B1 (ko) 2015-03-11 2016-09-2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철심을 이용한 초전도 자석 장치 및 그의 유도가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954B1 (ko) 2018-12-26 2019-09-11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복합 가스 제거 및 탈취를 위한 처리시스템
KR20220010103A (ko) 2020-07-17 2022-01-25 맹창용 유도가열 방식의 고온 산화 및 열분해 작용 열교환기를 구비한 오염기체 정화장치
KR102410117B1 (ko) 2020-07-17 2022-06-20 맹창용 유도가열 방식의 고온 산화 및 열분해 작용 열교환기를 구비한 오염기체 정화장치
KR102392053B1 (ko) * 2021-10-12 2022-05-03 주식회사 이화글로텍 텐터기용 배기가스 고온산화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443B1 (ko) 전자기유도가열식 가스제거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복합가스 처리시스템
KR101312414B1 (ko) 코로나 방전 및 저온복합산화촉매를 이용한 유해가스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해가스 정화 방법
KR20110109111A (ko) 플라즈마 건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34292B1 (ko) 플라즈마 저온산화 흡착촉매 탈취기 및 탈취방법
CN205042345U (zh) 一种废气处理装置
KR20070011640A (ko) 난분해성 및 고농도 오,폐수 정화장치
CN106823798A (zh) 一种超声波协同紫外光净化有机废气装置及处理方法
KR101211823B1 (ko) 플라즈마와 버블을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CN105753088A (zh) 一种回转式微波废水处理装置
KR102019954B1 (ko) 복합 가스 제거 및 탈취를 위한 처리시스템
KR101178999B1 (ko)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축산분뇨의 악취 제거 시스템 및 제거 방법
KR101303832B1 (ko) 스컴 제거를 위한 고전압 방전 시스템
CN107670478A (zh) 一种废水站废气处理工艺
KR20130035435A (ko) 악취제거장치
JP6178522B2 (ja) 高電圧放電と微細気泡を利用した廃水浄化処理システム
JP2005238111A (ja) 臭気ガスの脱臭方法及び装置
KR20120002673A (ko) 가스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212246377U (zh) 一种污染物催化氧化降解设备
KR20160030679A (ko) 수산산화라디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10085171U (zh) 一种微波紫外污水处理装置
KR200413761Y1 (ko) 전기 산화분해를 이용한 대기오염처리장치
CN210699476U (zh) 一种非接触式恶臭异味气体处理装置
CN211659684U (zh) 化学过滤和高能离子光催化组合除臭装置
CN203990278U (zh) 一种工业废气复合氧化净化一体式装置
CN112915739A (zh) 一种有机废气及恶臭废气多相催化氧化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