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337B1 -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337B1
KR101876337B1 KR1020160097376A KR20160097376A KR101876337B1 KR 101876337 B1 KR101876337 B1 KR 101876337B1 KR 1020160097376 A KR1020160097376 A KR 1020160097376A KR 20160097376 A KR20160097376 A KR 20160097376A KR 101876337 B1 KR101876337 B1 KR 10187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uid
high viscosity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528A (ko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러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러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러셀
Priority to KR102016009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3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는, 양단부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개폐단을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이 상기 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을 통해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흡인하는 액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이 구조적으로 그 변위의 폭과 직경에 대한 제한 없이 제작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로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량을 저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의 벨브몸체와 유로개폐부 및 액샘방지부의 일부 부품간 범용성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시간 및 제조비용의 저감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유로개폐부 및 액샘방지부와 각각 연통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인 유로 개폐와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INJECTION DEVICE FOR HIGHLY VISCOUS SOLUTION AND VALVE SYSTEM TO PREVENT LIQUID LEAKAGE USING THIS}
본 발명은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으로 고점도 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 후 유로에 잔류한 용액의 적하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체나 액체 등과 같은 유체의 유량, 압력 및 방향 등을 제어하는 밸브는 일반적으로 사람에 의한 조작력 또는 유체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는 수동식 밸브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작동하는 전자식 밸브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근래에는 공장자동화와 로봇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정밀가공, 반도체, 화학산업 분야 등과 같이 정확한 양의 액성 물질의 공급이 중요한 기술분야나 위험성 물질 등을 취급하는 기술분야에서는, 정량의 액성 물질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액성 물질 공급구로부터 소량의 액성 물질이 적하(滴下)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이슈가 되고 있는 관계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밸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적하(滴下)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정확한 양의 액성 물질을 공급하는 것은, 사실상 수동식 밸브로 구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압이나 유압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작동하는 전자식 개폐밸브과 이와 함께 작동하는 전자식 흡인밸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06072호는 '흡인 밸브'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제1 실린더 챔버로 공급된 압력 유체의 작용하에서 제1 피스톤과 함께 밸브부재가 변위함으로써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온/오프 밸브 기구 및 제2 실린더 챔버로 공급된 압력 유체의 작용하에서 제2 피스톤과 함께 흡인 부재가 변위함으로써 유체 통로에 함유된 압력 유체를 흡수하도록 유통 챔버 내에 변형이 자유롭게 형성된 흡인 부재를 갖는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본 선행기술에 의하면, 온/오프 밸브기구와 동일축상에 일체적으로 조립된 흡인 기구를 구성하는 제2 피스톤 및 흡인 부재가 후방으로 변위되면 유통 챔버의 용적이 증대되면서 흡인작용이 발생함에 따라 액체흘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오프 밸브기구와 흡인 기구를 동일축 상에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에 의해, 소형·경량화가 달성되어 설치공간을 삭감할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흡인 밸브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되며, 꾸준한 개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2 피스톤 및 흡인부재는 온/오프 밸브기구 내측에 설치되는 관계상 작은 구경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고, 제2 피스톤 및 흡인부재의 스트로크 길이 즉, 변위의 폭 또한 길게 형성하는 것이 어려운 구조상의 한계가 있어 대용량의 유체를 흡인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또한, 온/오프 밸브기구와 흡인밸브를 일체화한 점에서 분명한 이점이 있지만, 많은 수의 부품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 완제품으로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에서 제조비용이 증대될 수 있고, 부품의 망실이나 고장이 나면 신속한 수리 내지 부품 교환이 어려우며 부품 간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유지 및 관리상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아울러, 온/오프 밸브기구 및 흡인밸브는 각각 코일스프링에 의해 유체통로 쪽으로 탄성지지되는 구조여서 고압으로 유체통로를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후방으로 변위될 우려가 있고, 이는 의도치 않는 유체의 적하현상을 야기하여 정량의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06072호(공개일: 2005.01.15)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달리 유로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량을 저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와 부품 간 범용성을 갖는 주입장치를 제시하여 조립시간 및 제조비용의 저감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밸브 개폐와 흡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단부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개폐단을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이 상기 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을 통해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흡인하는 액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밸브몸체는, 내측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각각 연통되되 상기 흡인단 및 상기 개폐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제1,2 실린더공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제1,2 실린더공과 상기 개폐단 및 상기 흡인단 사이로 고점도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와 기밀 결합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샘방지부는, 상기 흡인단;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단부에는 상기 흡인단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유체유입공간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가 구비되는 제1 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일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1-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2 파이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개폐부는, 상기 개폐단; 상기 제1 하우징과 나란한 위치에서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단부에는 상기 개폐단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유체유입공간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가 구비되는 제2 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일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2-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2-2 파이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 상기 유로개폐부 및 상기 액샘방지부는,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이용한 밸브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유입구 쪽에 설치되는 제1 유량계와, 상기 유출구 쪽에 설치되는 제2 유량계로 이루어지는 유량정보산출수단; 및 상기 유량정보산출수단과 연결되어 산출된 유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로개폐부 및 상기 액샘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이 구조적으로 그 변위의 폭과 직경에 대한 제한 없이 제작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로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량을 저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조의 벨브몸체와 유로개폐부 및 액샘방지부의 일부 부품 간 범용성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시간 및 제조비용의 저감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유로개폐부 및 액샘방지부와 각각 연통되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인 유로 개폐와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에 의한 유로 개폐와 액샘방지 작동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이용한 밸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에 의한 유로 개폐와 액샘방지 작동을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이용한 밸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는, 정량으로 고점도 용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급 후 유로(112)에 잔류한 고점도 용액의 적하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로(112)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량이 저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조립시간 및 제조비용의 저감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이 도모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안정적인 유로(112)의 개폐와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고점도 용액이란 대략 10000cp(centipoise)이상의 점도를 갖는 용액을 말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10), 유로개폐부(120) 및 액샘방지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밸브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양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12a)와 유출구(112b)를 연결하는 유로(112)가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고점도 용액이 이를 통해 관통하며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밸브몸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12b) 쪽에 유출파이프(118)와 유입구(112a) 쪽에 유입파이프(117)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유입파이프(117)는 외부에 마련된 용액공급원(240)(도 4 참조)과 연결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되는 고점도 용액을 제공받게 된다.
밸브몸체(110)의 형상은 설치공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제작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바디부(114) 및 실링커버(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의 실질적인 작용 즉, 공급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작용과 유로(112)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이를 흡인하는 작용이 함께 일어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바디부(114)는 내측에 유로(112)가 형성되고, 유로(112)와 각각 연통되되 후술할 개폐단(122) 및 흡인단(132)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제1,2 실린더공(114a,114b)이 형성된다.
이때, 유로(112)는 유입구(112a)로부터 공급된 고점도 용액이 유출구(112b)를 통해 토출되도록 이루어지게 되고, 그 형상 및 경로는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종류, 점도나 공급압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112)는 도 2에서처럼, 후술할 개폐단(122)을 통해 유로(112)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영역(개폐공(112c))에서 고점도 용액이 이중으로 꺾이며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때의 유로(112)는 전체적으로 '┌┘'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고점도 용액으로부터 개폐단(122)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개폐단(122) 등의 파손 내지 망실을 저감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달리 직선형태의 유로(112)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린더공(114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흡인단(132)이 삽입된 상태로 유로(1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변위(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흡인된 고점도 용액이 수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제1 실린더공(114a)의 형상은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실린더공(114a)의 직경은 흡인단(132)이 원활하게 변위되면서도 고점도 용액을 빨아들이는 흡인력(부압,negative pressure,負壓)이 작용할 수 있도록, 흡인단(132)의 외주면과 최소한의 유격을 갖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실린더공(114a)은 흡인단(132)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유로(1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린더공(114b)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개폐단(122)이 삽입된 상태로 유로(1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변위(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실린더공(114a)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실린더공(114b)의 형상은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실린더공(114b)의 직경은 개폐단(122)이 원활하게 변위되면서도 개폐단(122)과 제2 실린더공(114b) 사이로 고점도 용액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실린더공(114b)은 제1 실린더공(114a)과 마찬가지로 개폐단(122)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유로(1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제1 실린더공(114a)과 이격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링커버(116)는, 바디부(114)를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이 제1,2 실린더공(114a,114b)과 개폐단(122) 및 흡인단(132) 사이로 누출되지 않도록 바디부(114)와 기밀 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116a), 내부커버(116b) 및 패킹부재(116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외부커버(116a) 및 내부커버(116b) 사이와, 내부커버(116b) 및 바디부(114) 사이에는 각각 패킹부재(116c)가 개재되어 고점도 용액의 외부 누출을 2 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밸브몸체(110)는,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 특히 PTFE(PolyteTraFluoroEthylene)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서, 주로 구조재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데,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거의 완벽한 화학적 비활성을 띠며 내식성, 내약품성, 비점착성, 우수한 절연 안정성, 낮은 마찰계수 등의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내식성 등이 요구되는 화학분야, 윤활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지붕재나 스키플레이트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를 활용하여 밸브몸체(110)를 제작하게 되면, 밸브몸체(110)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제1,2 실린더공(114a,114b)과 개폐단(122) 및 흡인단(132) 간의 마찰저항을 저감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원활한 변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브몸체(110)는, 내부커버(116b)를 바디부(114)에 대하여 패킹부재(116c)가 개재되도록 안착시키고, 외부커버(116a)가 내부커버(116b)에 대하여 패킹부재(116c)가 개재되도록 안착시킨 다음 볼트 등에 의해 가압체결되면, 조립이 완료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동일기능을 갖는 밸브와 비교시 부품 수가 적고, 그 조립 과정 또한 단순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 및 유지 관리의 용이성이 도모될 수 있다.
유로개폐부(12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개폐단(122)을 통해 유로(112)를 개폐함으로써,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단(122), 제2 하우징(124) 및 제2 작동로드(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단(122)은 상술한 제2 실린더공(114b)에 기밀상태로 삽입되어 안내되면서 가변적으로 변위하며 유로(112)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유로(112)를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이 필요한 만큼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개폐단(122)의 형상은 제2 실린더공(114b)에 끼워진 상태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제2 실린더공(114b)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하되, 개폐단(122)의 후단부에는 확장부가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22a,132a)가 형성되어 후술할 클립구(126a,136a)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폐단(122)의 선단부에는 유로(112)와 제2 실린더공(114b)이 만나는 영역에 형성된 개폐공(112c)을 기밀상태로 폐색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막음부재(122b)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4)은 내부에 유체유입공간(124a)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제1 하우징(134)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제2 실린더공(114b)의 후방(개구된 쪽)에서 밸브몸체(110)와 결합된다. 이때, 제2 하우징(124)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유입공간(124a)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타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하우징(124)에는 유체유입공간(124a,13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이 결합된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은, 관체로 되어 유체가 유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제2-1 파이프라인(144a)과 제2-2 파이프라인(14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파이프라인(144a)은 후술할 피스톤부재(126b)를 기준으로 밸브몸체(110)의 유로(112)와 먼 쪽(제2 하우징(124)의 일단부)의 유체유입공간(12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유입을 통해 피스톤부재(126b)(제2 작동로드(126))를 밸브몸체(110)의 유로(112)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2-2 파이프라인(144b)은 피스톤부재(126b)를 기준으로 밸브몸체(110)의 유로(112)와 인접한 쪽(제2 하우징(124)의 타단부)의 유체유입공간(12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유입을 통해 피스톤부재(126b)(제2 작동로드(126))를 유로(112)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2-1 파이프라인(144a)과 제2-2 파이프라인(144b)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라인을 이루며 제2 하우징(124)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작동로드(126)는 후술할 개폐단(12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며 해당 구동력을 개폐단(122)에 전달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유로(112) 방향 쪽의 제2 하우징(124)의 일면을 기밀상태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작동로드(126)의 일단부에는 개폐단(122)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126a)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유체유입공간(124a)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126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클립구(126a,136a)는 개폐단(122) 및 흡인단(13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착되게 하면서 제1,2 작동로드(136,126)로부터 전달되는 직선 구동력을 개폐단(122) 또는 흡인단(132)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클립구(126a,136a)에는 상술한 결합돌기(122a,132a)의 확장부와 측면 쪽에서 억지끼움되는 요홈(126a1,136a1)이 일측에 형성되어 제1,2 작동로드드(136,126)의 직선운동시 개폐단(122) 또는 흡인단(132)과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피스톤부재(126b)는, 제2 작동로드(126)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유체유입공간(124a)을 밀폐된 상태로 분할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제2-1,2-2 파이프라인(144a,144b)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유로(112)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며 제2 작동로드(126)를 직선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유체유입공간(124a)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피스톤부재(126b)의 외주면에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밀폐력 향상을 통해 피스톤부재(126b)의 정밀하고 정확한 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유로개폐부(12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 특히 PTFE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단(122)을 제외한 제2 하우징(124)과 제2 작동로드(126)로 이루어지는 유로개폐부(120)의 구조는, 후술할 액샘방지부(130)와 공통된 구조로 모듈화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필요시 개폐단(122) 또는 흡인단(132)과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화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를 사용함에 있어 부품 간 범용성에 기여하게 됨에 따라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해지고, 비용절감 또한 도모될 수 있다.
액샘방지부(130)는, 유로(112)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이 유출구(112b) 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132)을 통해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흡인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단(132), 제1 하우징(134) 및 제1 작동로드(1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인단(132)은 제1 실린더공(114a)에 기밀상태로 삽입되어 가변적으로 변위하며 유로(112)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을 부압작용을 통해 제1 실린더공(114a)으로 흡인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고점도 용액의 외부 누출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흡인단(132)의 형상은 제1 실린더공(114a)에 끼워진 상태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제1 실린더공(114a)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하되, 흡인단(132)의 후단부에는 확장부가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32a)가 형성되어 상술한 클립구(136a)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인단(13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제1 실린더공(114a)과의 기밀성을 증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 또는 불소수지로 제작된 링형상의 가스켓(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인단(132)을 통한 잔류 고점도 용액의 흡인량 조절은, 대략 2가지 요인을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는, 흡인단(132)의 스트로크 길이 즉, 변위의 폭을 가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둘째, 제1 실린더공(114a)의 내경과 이에 대응하는 흡인단(132)의 외경을 변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흡인량 조절은, 용액의 종류나 점도 등과 같은 용액의 특성과 용액의 공급압 등을 고려하여 액샘방지가 이루어지는 한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4)은, 제2 하우징(124)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유체유입공간(134a)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하우징(124)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제1 실린더공(114a)의 후방(개구된 쪽)에서 밸브몸체(110)와 결합된다. 이때, 제1 하우징(134)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체유입공간(134a)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타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하우징(134)에는 유체유입공간(13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이 결합된다. 이러한 파이프라인은, 관체로 되어 유체가 유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도 3에서처럼 제1-1 파이프라인(142a)과 제1-2 파이프라인(14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파이프라인(142a)은 후술할 피스톤부재(136b)를 기준으로 밸브몸체(110)의 유로(112)와 먼 쪽(제1 하우징(134)의 일단부)의 유체유입공간(13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유입을 통해 피스톤부재(136b)(제1 작동로드(136))를 밸브몸체(110)의 유로(112)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2 파이프라인(142b)은 피스톤부재(136b)를 기준으로 밸브몸체(110)의 유로(112)와 인접한 쪽(제1 하우징(134)의 타단부)의 유체유입공간(134a)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유입을 통해 피스톤부재(136b)(제1 작동로드(136))를 유로(112)의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1-1 파이프라인(142a)과 제1-2 파이프라인(142b)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라인을 이루며 제1 하우징(134)과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작동로드(136)는 흡인단(132)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며 해당 구동력을 흡인단(132)에 전달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유로(112) 방향 쪽의 제1 하우징(134)의 일면을 기밀상태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작동로드(136)의 일단부에는 흡인단(132)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136a)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유체유입공간(134a)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136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립구(136a)와 피스톤부재(136b)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액샘방지부(13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 특히 PTFE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금속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흡인단(132)을 제외한 제1 하우징(134)과 제1 작동로드(136)로 이루어지는 액샘방지부(130)의 작동부 구조 역시도, 상술한 유로개폐부(120)와 공통된 구조로 모듈화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필요시 개폐단(122) 또는 흡인단(132)과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를 운용함에 있어 부품간 범용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의 용이성과 비용절감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에 의한 정량의 용액 공급과 액샘방지 작동은, 소정 압력의 유체를 유로개폐부(120)와 액샘방지부(130)에 각각 공급하는 유체공급원(230)(도 4 참조)을 제어부(220)가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러한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제2-1 파이프라인(144a)에 유체가 공급되게 유체공급원(230)을 작동제어하게 되며, 이때, 유체유입공간(124a)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부재(126b)에 작용하여 피스톤부재(126b)를 유로(112)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2 작동로드(126) 및 개폐단(122)의 막음부재(122b)는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개폐공(112c)은 막음부재(122b)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유로(112) 내에 잔류하게 될 고점도 용액을 흡인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1-1 파이프라인(142a)에 유체가 공급되게 유체공급원(230)을 작동제어하게 된다. 이때, 유체유입공간(134a)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부재(136b)에 작용하여 피스톤부재(136b)를 유로(112)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1 작동로드(136) 및 흡인단(132)은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220)의 동시제어를 통해 외부 용액공급원(240)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고점도 용액(S)은 개폐공(112c)의 폐쇄로 인해 유출구(112b)로의 토출이 억제되게 되며, 이후 잔류 고점도 용액(RS)을 흡인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제2-2 파이프라인(144b)에 유체가 공급되게 유체공급원(230)을 작동제어하게 되며, 이때, 유체유입공간(124a)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부재(126b)에 작용하여 피스톤부재(126b)를 유로(11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2 작동로드(126) 및 개폐단(122)의 막음부재(122b)는 후진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개폐공(112c)은 막음부재(122b)와 이격되면서 개방됨에 따라 외부 용액공급원(240)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고점도 용액은 유로(112)를 통해 유출구(112b)로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20)는 고점도 용액이 설정된 정량으로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파이프라인(144a)에 유체가 공급되게 유체공급원(230)을 작동제어하게 되며, 이때, 유체유입공간(124a)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부재(126b)에 작용하여 피스톤부재(126b)를 유로(112)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2 작동로드(126) 및 개폐단(122)의 막음부재(122b)는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개폐공(112c)은 막음부재(122b)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제1-2 파이프라인(142b)에 유체가 공급되게 유체공급원(230)을 작동제어하게 되며, 이때, 유체유입공간(134a)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부재(136b)에 작용하여 피스톤부재(136b)를 유로(112)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1 작동로드(136) 및 흡인단(132)은 후진하게 되면서 부압작용을 통해 유로(112)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RS)을 제1 실린더공(114a)으로 흡인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출파이프(118) 단부에 잔류하던 고점도 용액(RS)이 적하되는 것(액샘)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220)는 제1 작동로드(136) 및 흡인단(132)의 후방 변위의 폭(스트로크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잔류 고점도 용액(RS)의 흡인량을 저용량에서 대용량까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를 이용한 밸브시스템(200)은, 유출구(112b)로 잔류 고점도 용액이 적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정확한 용량의 고점도 용액을 공급하기 위해 안출된 시스템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 유량정보산출수단(210) 및 제어부(2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의 구체적 구조 내지 구성은 이미 상술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량정보산출수단(210)은,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정량화된 수치로 산출하는 장치로서 차압식 유량계, 가변 면적식 유량계, 터빈식 유량계, 와류식 유량계, 전자식 유량계 및 초음파식 유량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량계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정보산출수단(210)은, 밸브몸체(110)의 유입구(112a) 쪽에 설치되는 제1 유량계(212)와, 유출구(112b) 쪽에 설치되는 제2 유량계(2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유량계로 시스템을 구현한 이유는, 유입측과 유출측에서 각각 산출된 고점도 용액의 양을 상호 비교하여 유입측과 유출측 사이 공간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파악하고, 동시에 정량의 고점도 용액 공급을 위한 개폐공(112c)의 폐쇄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정량의 고점도 용액을 외부 대상물(Ex: 용기(canister) 등)에 반복적으로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220)는, 유량정보산출수단(210), 유로개폐부(120) 및 액샘방지부(130)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생성된 신호 내지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이들을 각각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전송받은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외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전원장치(미도시)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운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유체공급원(230) 및 용액공급원(240)과 연결되어 각각의 공급압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20)는, 유량정보산출수단(210)과 연결되어 산출된 유량정보를 기초로 유로개폐부(120) 및 액샘방지부(130)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측정된 정보(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중앙처리장치 및 외부장치(유량정보산출수단(210) 등)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기판과 배선으로 구성된 주문형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등과 같은 소형 또는 상용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20)를 통한 유량정보산출수단(210), 유로개폐부(120) 및 액샘방지부(130) 등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기계어(machine language, 機械語)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며, 기계어 코딩과 관련된 부분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시스템(200)을 통한 액샘방지기능은,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c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설명은 생략하고, 유로(112) 내에 잔류한 고점도 용액(RS)의 양을 고려하여 외부로 정량의 고점도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다만, 여기서 설명하는 제어과정은, 도 4에서와같이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100)의 유로(112)와 유출파이프(118) 내에 고점도 용액이 자중에 의해 적하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는 구조인 경우를 기초한 설명이지만, 자중에 의해 유로(112)나 유출파이프(118)에 잔류 고점도 용액이 모두 적하되는 구조에서도 이하의 내용을 기초로 적절히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외부 대상물(용기 등)에 고점도 용액을 제1 차 공급(2000ml)하기 위해, 제어부(220)는 용액공급원(240)이 소정의 압력으로 고점도 용액을 공급하도록 제어한 후, 도 3b에서와같이 유로개폐부(120)의 개폐단(122)을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여 유로(112) 및 유출구(112b)를 통해 유출파이프(118)로 고점도 용액이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20)는 제1,2 유량계(212,214)를 통해 실시간으로 각각의 유량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20)는 제1 유량계(212)에서 산출된 고점도 용액의 유량정보가 제1 차 공급 정량치(2000ml)에 도달하게 되면 개폐단(122)을 서서히 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되, 제2 유량계(214)에서 산출되는 실시간 고점도 용액의 유량정보가 제1 차 공급 정량치(2000ml)에 도달하게 되는 순간 개폐단(122)의 막음부재(122b)가 개폐공(112c)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는 고점도 용액(S)이 유로(112)와 유출파이프(118)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한 제어로서,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양의 고점도 용액(S)이 외부 대상물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유로(112) 및 유출파이프(118) 상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RS)이 외부로 적하되지 않도록 흡인단(132)을 신속하게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여 제1 실린더공(114a)으로 잔류 고점도 용액(RS)이 흡인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외부 대상물에 대한 고점도 용액의 제1 차 공급은 액샘 현상 없이 정확한 정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생산라인을 따라 공급되는 또 다른 외부 대상물(용기 등)에 대한 고점도 용액의 제2 차 공급(2000ml)을 위해, 제어부(220)는 제1,2 유량계(212,214)로부터 실시간 측정된 유량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차 공급(정량 2000ml) 후 유로(112) 등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RS)의 양을 산출하게 된다. 이때,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은 제1 유량계(212)에서 측정된 값(2200ml)에서 제2 유량계(214)에서 측정된 값(2000ml)을 공제하는 방식으로 산출(200ml)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흡인단을 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는 한편, 유로개폐부(120)의 개폐단(122)을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여 유로(112) 및 유출구(112b)를 통해 유출파이프(118)로 고점도 용액(S)이 토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20)는 잔류 고점도 용액(RS)의 양(200ml)에 제1 유량계(212)에서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고점도 용액(S)의 유량정보(1800ml)를 더한 값이 대략 제2 차 공급 정량치(2000ml)에 해당하게 될 때, 개폐단(122)을 서서히 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게 되고, 유출구(112b) 쪽의 제2 유량계(214)에서 산출되는 실시간 고점도 용액(S+RS)의 유량정보가 제2 차 공급 정량치(2000ml)에 도달하게 되는 순간 개폐단(122)의 막음부재(122b)가 개폐공(112c)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 또한, 잔류 고점도 용액(RS)이 유로(112)와 유출파이프(118)를 통과하여 토출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한 제어이다.
이러한 제어와 동시에 제어부(220)는 유로(112) 및 유출파이프(118) 상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RS)이 외부로 적하되지 않도록 흡인단(132)을 신속하게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여 제1 실린더공(114a)으로 잔류 고점도 용액이 흡인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20)는 상술한 과정들의 반복을 통해 제3 차 이상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로개폐부(120) 및 액샘방지부(130) 등을 각각 개별제어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110: 밸브몸체 112: 유로
112a: 유입구 112b: 유출구
112c: 개폐공 114: 바디부
114a: 제1 실린더공 114b: 제2 실린더공
116: 실링커버 116a: 외부커버
116b: 내부커버 116c: 패킹부재
117: 유입파이프 118: 유출파이프
120: 유로개폐부 122: 개폐단
122a,132a: 결합돌기 122b: 막음부재
124: 제2 하우징 124a,134a: 유체유입공간
126: 제2 작동로드 126a,136a: 클립구
126a1,136a1: 요홈 126b,136b: 피스톤부재
130: 액샘방지부 132: 흡인단
134: 제1 하우징 136: 제1 작동로드
140: 파이프라인 142a: 제1-1 파이프라인
142b: 제1-2 파이프라인 144a: 제2-1 파이프라인
144b: 제2-2 파이프라인
200: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를 이용한 밸브시스템
210: 유량정보산출수단 212: 제1 유량계
214: 제2 유량계 220: 제어부
230: 유체공급원 240: 용액공급원

Claims (8)

  1. 양단부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 상기 유로를 유동하는 고점도 용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개폐단을 통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개폐부; 및 상기 유로 내에 잔류하는 고점도 용액이 상기 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위하는 흡인단을 통해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며 흡인하는 액샘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몸체는,
    내측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와 각각 연통되되 상기 흡인단 및 상기 개폐단이 각각 위치하게 되는 제1,2 실린더공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제1,2 실린더공과 상기 개폐단 및 상기 흡인단 사이로 고점도 용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와 기밀 결합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샘방지부는,
    상기 흡인단;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단부에는 상기 흡인단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유체유입공간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가 구비되는 제1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개폐부는,
    상기 개폐단; 상기 제1 하우징과 나란한 위치에서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유체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일단부에는 상기 개폐단과 탈착 결합하는 클립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유체유입공간에 유출입되는 유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피스톤부재가 구비되는 제2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액샘방지부 및 상기 유로개폐부의 클립구는, 상기 흡인단 및 상기 개폐단의 후단부에서 확장형성된 결합돌기와 측면 쪽에서 억지끼움되도록 형성된 요홈을 통해 필요시 상기 흡인단 및 상기 개폐단과 선택적으로 탈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상기 밸브몸체의 상기 유입구 쪽에 설치되는 제1 유량계와, 상기 유출구 쪽에 설치되는 제2 유량계로 이루어지는 유량정보산출수단; 및
    상기 유량정보산출수단과 연결되어 산출된 유량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로개폐부 및 상기 액샘방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대상물에 대한 고점도 용액의 제1 차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용액공급원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단을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통해 고점도 용액을 토출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제1 유량계에서 산출된 유량정보가 제1 차 공급 정량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개폐단을 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유량계에서 산출된 유량정보가 제1 차 공급 정량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개폐단이 상기 유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흡인단을 후진시키는 작동제어를 하는 제3 단계; 외부 대상물에 대한 고점도 용액의 제2 차 공급을 위해, 상기 제1,2 유량계로부터 각각 산출된 유량정보에 기초하여 제1 차 공급 후 상기 밸브몸체 내의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산출하고, 상기 흡인단의 전진과 상기 개폐단의 후진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고점도 용액을 토출시키는 제4 단계; 및 산출된 잔류 고점도 용액의 양을 고려하여 제2 차 공급 정량치가 외부 대상물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2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일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1-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1-2 파이프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일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 방향으로 전진시키는 제2-1 파이프라인을 포함하고,
    타단부에서 상기 유체유입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공급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재를 상기 유로의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키는 제2-2 파이프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7. 제1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 상기 유로개폐부 및 상기 액샘방지부는,
    불소수지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8. 삭제
KR1020160097376A 2016-07-29 2016-07-29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KR10187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76A KR101876337B1 (ko) 2016-07-29 2016-07-29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376A KR101876337B1 (ko) 2016-07-29 2016-07-29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28A KR20180013528A (ko) 2018-02-07
KR101876337B1 true KR101876337B1 (ko) 2018-07-10

Family

ID=6120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376A KR101876337B1 (ko) 2016-07-29 2016-07-29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3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902A (ja) * 1993-08-11 1995-02-28 Shibuya Kogyo Co Ltd 液体充填機
JP2001031195A (ja) * 1999-07-16 2001-02-06 Hitachi Zosen Corp ダイヤフラム式液体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902A (ja) * 1993-08-11 1995-02-28 Shibuya Kogyo Co Ltd 液体充填機
JP2001031195A (ja) * 1999-07-16 2001-02-06 Hitachi Zosen Corp ダイヤフラム式液体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528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180A (en) Double diaphragm pump with controlling slide valve and adjustable stroke
US10830364B2 (en) Oil controlled valve
JP2011518986A (ja) 計量ポンプ及び駆動装置
US10914304B2 (en) Pneumatic timing valve
MY150442A (en) Fluid dispenser
CN101646607A (zh) 用于配送液体的计量泵
US9993953B2 (en) Actuator apparatus and method enabling multiple piston velocities
JP2016507048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のポンプ及びインジェクター
CN110651145B (zh) 缸驱动用歧管装置及缸驱动装置
AU2016287501A1 (en) Runaway valve system for a pump
KR101876337B1 (ko)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WO2007058945A3 (en) Spray gun for dispensing precise small liquid volumes
CN111203350A (zh) 用于喷射流体的设备和相关方法
KR200474800Y1 (ko) 급수전용 절환밸브
US10294929B2 (en) Liquid supply device
MX2019014743A (es) Bomba dosificadora.
US9249930B2 (en) Valve greasing system
RU26369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измерени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количества и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KR20160115365A (ko) 공기압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장치
US5984652A (en) Single-piece piston with central bore for use in a pneumatically-activated pump
JP4007430B2 (ja) 流体の最小量を配分供給する装置
KR20110023586A (ko) 트리거식 분무장치
EP3341636B1 (en) Flow control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ow control valve housing
BR0204658A (pt) Bomba de alta pressão com fluxo variável
US20170023136A1 (en) Constant Volum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