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044B1 -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044B1
KR101876044B1 KR1020160100611A KR20160100611A KR101876044B1 KR 101876044 B1 KR101876044 B1 KR 101876044B1 KR 1020160100611 A KR1020160100611 A KR 1020160100611A KR 20160100611 A KR20160100611 A KR 20160100611A KR 101876044 B1 KR101876044 B1 KR 10187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receiving
disposed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807A (ko
Inventor
전상형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전(주) filed Critical 에이스기전(주)
Priority to KR102016010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L)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1)이 형성된 복수의 포스트(110); 각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길이방향(L)의 양 측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121)가 대향 배치된 두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수납홈(122)이 상향 개구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120); 조경을 위한 화초(131)가 케이스(132) 내부에 식재되며 상기 수납홈(122)에 안착되어 수납되는 화분부(130); 및 직립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폭방향(W)의 측부에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소정의 광고이미지가 배치된 광고판(140);을 포함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GUARDRAIL ASSEMBLY WITH LANDSCAPING FUNCTION}
본 발명은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추락이나 교통사고를 방지하거나 부정한 출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광고이미지를 표시하여 광고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주변을 미려하게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도로, 교량, 계단 및 시설물 외곽 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부정한 출입을 차단하는데 이용되는 시설물로서, 설치 영역을 따라 측방으로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는 다수의 포스트 및, 수평배치되어 각 포스트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관공서나 시설물을 운영하는 기관에서는 난간 주변에 화초가 식재된 화분을 배치하여 주변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에는 다수 개의 화분을 난간에 근접하여 바닥에 정렬되게 배치하거나 소형의 화분들을 난간 프레임을 따라 걸어두는 방식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주변 환경과 조화되지 않거나 조경효과가 미비하였으며 보행자의 이동공간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화초에 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화분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해 토사에 흡수되고 남은 용수들이 흘러나오면서 난간이나 주변을 오염시키므로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화분은 평탄한 바닥면이나 난간에 단순히 얹혀지거나 걸이봉에 의지되어 난간프레임에 걸리는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강풍이 불거나 보행자가 부딪히는 경우와 같이 외부가압이 가해지게 되면 전복되거나 낙하하여 쉽게 파손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소형 화분의 경우 토사에 흡수될 수 있는 수분함유량에 제한이 있어 관리자가 수시로 각 화분별로 급수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한편, 종래에는 난간프레임에 광고이미지가 인쇄된 현수막을 걸어 보행자들에게 광고이미지를 노출함으로써 광고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설치된 현수막으로 인해 주변 경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1209호(2014.07.21), 난간용 화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설치되어 이동이나 출입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연결프레임 상에 화분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조경을 꾸밀 수 있고 외부 가압에 따른 전복이나 낙하를 방지하여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급수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어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는, 길이방향(L)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1)이 형성된 복수의 포스트(110); 각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길이방향(L)의 양 측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121)가 대향 배치된 두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수납홈(122)이 상향 개구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120); 조경을 위한 화초(131)가 케이스(132) 내부에 식재되며 상기 수납홈(122)에 안착되어 수납되는 화분부(130); 및 직립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폭방향(W)의 측부에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소정의 광고이미지가 배치된 광고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10)의 체결홈(111) 하단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21)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며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고정시키는 걸림턱(123)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는 상기 체결홈(111)이 형성된 바디(113)와, 상기 바디(113)의 하단에 배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부(114) 및, 상기 바디(113)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하향 가압하는 캡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부(130)의 바닥에는 토사(133)에 공급된 용수를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13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2)의 바닥에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공(134)에서 배수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128)이 장착되며, 상측은 상기 화분부(130)의 토사(133) 내에 배치되고 하측은 상기 수조(124)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분부(130)와 연결프레임(120)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흡입하여 토사(133)에 공급하는 급수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150)는 내부에 중공(151)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61)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임펠러(1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베어링(16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회전축(162) 및, 상기 회전축(162)의 노출된 타단에 고정되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임펠러(161)를 회전시켜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부에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프로펠러(164)를 포함하는 용수공급수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에는 중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124)의 측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넘침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넘침홀(125)과 상기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연통홀(117)을 통해 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24)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일정 단위시간당 일정량의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미세홀(126)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미세홀(12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미세홀(126)과 상기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110) 내에서 상기 제2연통홀(119)의 하부 위치의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내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내벽을 따라 나선형태로 하향 연장된 받이판(171) 및, 상기 받이판(171)의 측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형태로 받이판(171)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홀(119) 통해 배수된 용수를 수용하여 증발시키기 위한 수로(173)를 형성하는 측판(172)을 포함하는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따라 흐르면서 증발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16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판(171)의 상부면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수평설치되어 이동이나 출입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연결프레임(120) 상에 화초(131)가 식재된 화분부(130)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조경을 꾸밀 수 있음은 물론 강풍이나 보행자와 부딪히는 경우와 같이 외부가압이 가해지더라도 전복되거나 낙하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포스트(110)의 체결홈(111) 하단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2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21)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된 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2)과 걸림턱(123)의 끼움결합에 의해 걸림홈(112)에 체결된 걸림턱(123)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포스트(110)의 상부에는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하향 가압하는 캡부(115)가 장착되어 상하 유동에 따라 연결프레임(120)의 체결돌기(121)가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으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용수가 저장되는 수조(124)가 마련되고, 상측은 상기 화분부(130)의 토사(133) 내에 배치되고 하측은 상기 수조(124) 내에 배치되도록 직립되게 설치되는 급수부(150)를 통해,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흡수하여 토사(133)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 의한 급수주기를 대폭 연장시켜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화초에 공급되어 토사에 흡수되고 남은 용수는 수조(124)로 배수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급수된 후 남은 용수가 난간을 적시거나 주변을 오염시켜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급수부(150)는 내부에 중공(151)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로펠러(164)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으로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에 배치된 임펠러(161)를 회전시켜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부에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용수공급수단(160)이 구비되므로, 풍량에 비례하여 증발되는 수분의 손실량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에는 중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124)의 측부와 포스트(110)의 측부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측방으로 개구된 넘침홀(125) 및 제1연통홀(117)이 형성되어, 상기 넘침홀(125)을 초과하여 수조(124)의 내부로 유입된 용수를 상기 포스트(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조(124)의 상부에 수납된 화분부(130)이 넘친 용수에 잠기거나 용수가 외부로 누출되어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넘침홀(125)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일정 단위시간당 일정량의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미세홀(126) 및 제2연통홀(119)을 통해 화분부(130)에 공급되고 남은 용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용수가 장시간 수조(124)에 저장되어 부폐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내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내벽을 따라 나선형태로 하향 연장된 받이판(171) 및, 상기 받이판(171)의 측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형태로 받이판(171)을 따라 연장형성된 측판(172)으로 이루어진 배수받이 프레임(170)이 마련되어, 상기 미세홀(126) 및 제2연통홀(119)을 통해 배수된 용수를 수용하여 포스트(110) 내에서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난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된 용수를 별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홉째,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태양광 및 밀폐된 포스트(110)의 내부공간의 보온효과에 의해 가열된 열을 축열할 수 있으며, 상기 받이판(171)의 상부면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74)이 형성되므로 용수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 및 급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 저장된 용수가 포스트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공급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받이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100)는 수화분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조경을 꾸밀 수 있고 외부 가압에 따른 전복이나 낙하를 방지하여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급수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어 관리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난간 조립체로서,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스트(110), 연결프레임(120), 화분부(130) 및 광고판(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포스트(110)는 난간 조립체(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으로서, 길이방향(L)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각 포스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이나 출입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각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길이방향(L)의 양 측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121)가 대향 배치된 두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수납홈(122)이 상향 개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10)의 체결홈(111) 하단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체결돌기(121)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고정시키는 걸림턱(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110)는 체결홈(111)이 형성된 바디(113)와, 상기 바디(113)의 하단에 배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도는 받침부(114) 및, 상기 바디(113)의 상단에 장착되어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하향 가압하는 캡부(115)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115)를 통해 상하 유동에 따라 연결프레임(120)의 체결돌기(121)가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으로부터 상향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캡부(115)에는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발광구동하며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181)가 장착되어 난간 조립체(100)가 설치된 주변을 조명하거나 인테리어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조명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를 통해 상용전원 전원선을 연결하여 상기 조명부(181)가 발광구동하는데 필요한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캡부(115)의 상단에 솔라셀(182)이 장착되어 자체적으로 생성된 태양광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15)는 포스트(110)의 상단까지 삽입되어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포스트(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화분부(130)는 화초(131)를 수용하는 화분부재로서, 통상의 화분과 유사 또는 동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조경을 위한 화초(131)가 케이스(132) 내부에 식재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수납홈(122)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설치되어 이동이나 출입을 차단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연결프레임(120) 상에 화초(131)가 식재된 화분부(130)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조경을 꾸밀 수 있음은 물론 강풍이나 보행자와 부딪히는 경우와 같이 외부가압이 가해지더라도 전복되거나 낙하되지 않으므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화분부(130)에 공급된 용수는 바닥의 배수공(134)을 통해 수조(124)로 배수되므로 용수가 외부로 누출되어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부(130)의 바닥면에는 토사(133)에 공급된 용수를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13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2)의 바닥에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져 배수공(134)에서 배수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128)이 장착된다.
상기 광고판(140)은 광고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판재로서, 직립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폭방향(W) 측부에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소정의 광고이미지가 배치된다. 이러한 광고판(140)을 통해 종래에 현수막을 난간프레임에 걸어 광고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광고판(140)을 설치할 수 있어 주변 경광이 저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고이미지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광고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 조립체(100)는 관리자에 의한 급수주기를 대폭 연장하여 관리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수납홈(122)의 하부 위치에 일정량의 용수가 저장되는 수조(124)가 마련된다.
또한, 상측은 화분부(130)의 토사(133) 내에 배치되고 하측은 상기 수조(124)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분부(130)와 연결프레임(120)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흡수하여 토사(133)에 공급하는 급수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부(150)는 실이나 천, 스폰지, 관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투압 현상이나 증산작용 등에 의해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토사(133)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직립되게 설치되는 급수부(150)를 통해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흡수하여 토사(133)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에 의한 급수주기를 대폭 연장시켜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수분 증발에는 온도와 함께 풍량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풍량이 많은 날에는 평상시보다 토사(133)에 함유된 수분 증발량이 증대되어 상기 급수부(150)에 의한 급수량이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 조립체(100)는 풍량에 비례하여 용수 공급량이 자동적으로 증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부(150)는 내부에 중공(151)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용수공급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수공급수단(160)은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61)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부에 관통사입되어 일단이 상기 임펠러(1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베어링(16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회전축(162) 및, 상기 회전축(162)의 노출된 타단에 고정되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임펠러(161)를 회전시켜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부에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프로펠러(16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급수부(150)는 화분부(130)나 수조(124)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내부 형상에 따라 굴곡지도록 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분부(130)에 장착되는 상부부분과 수조(124)에 장착되는 하부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화분부(130)이 연결프레임(120)의 수납홈(122)에 안착되면서 분리된 상태가 조립가능한 착탈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프로펠러(164)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으로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에 배치된 임펠러(161)를 회전시켜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부에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용수공급수단(160)이 구비되므로, 풍량에 비례하여 증발되는 수분의 손실량을 효과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즉, 풍량이 적은 날에는 프로펠러(164)의 회전이 감소되어 상승수류 압력이 낮아지면서 자동적으로 용수의 급수량이 낮아지게 되고, 풍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날에는 프로펠러(164)의 회전이 증가하여 상승수류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자동적으로 용수의 급수량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 조립체(100)는 수조(124)의 저장용량을 초과하도록 용수가 공급되는 경우 포스트(110)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에는 중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124)의 측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넘침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과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개구되어 넘침홀(125)과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연통홀(117)을 통해 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넘침홀(125)을 초과하는 용수가 공급되면 넘침홀(125) 및 제1연통홀(117)을 통해 포스트(110)의 중공(116)으로 배수되며 배수된 용수는 배출공(118)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수조(124)의 상부에 수납된 화분부(130)이 넘친 용수에 잠기거나 용수가 외부로 누출되어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110)에는 상기 배출공(118)과 연통되어 외부로 돌출되게 배수구(118a)가 마련되어 이 배수구(118a)에 호스 등을 연결함으로써 배수된 용수를 지정된 배수처리 장소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배수된 용수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124)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일정 단위시간당 일정량의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미세홀(126)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미세홀(12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미세홀(126)과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홀(126) 및 제2연통홀(119)을 통해 화분부(130)에 공급되고 남은 용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용수가 장시간 수조(124)에 저장되어 부폐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 조립체(100)는 미세홀(126)을 통해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로 배수된 용수를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0) 내에서 상기 제2연통홀(119)의 하부 위치의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내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내벽을 따라 나선형태로 하향 연장된 받이판(171) 및, 상기 받이판(171)의 측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형태로 받이판(171)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홀(119) 통해 배수된 용수를 수용하여 증발시키기 위한 수로(173)를 형성하는 측판(172)을 포함하는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따라 흐르면서 증발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16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세홀(126) 및 제2연통홀(119)을 통해 배수된 용수를 수용하여 포스트(110) 내에서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난간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된 용수를 별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태양광 및 밀폐된 포스트(110)의 내부공간의 보온효과에 의해 가열된 열을 축열할 수 있으며, 상기 받이판(171)의 상부면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74)이 형성되므로, 도 5의 하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74) 내에 고인 용수는 표면장력에 받이판(171)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고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되거나 흐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수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난간 조립체 110...포스트
120...연결프레임 130...화분부
140...광고판 150...급수부
160...용수공급수단 170...배수받이 프레임

Claims (7)

  1. 길이방향(L)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배치되며 상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체결홈(111)이 형성된 복수의 포스트(110);
    각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길이방향(L)의 양 측단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121)가 대향 배치된 두 포스트(110)의 체결홈(111)에 각각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며, 상부에는 수납홈(122)이 상향 개구되어 형성된 연결프레임(120);
    조경을 위한 화초(131)가 케이스(132) 내부에 식재되며 상기 수납홈(122)에 안착되어 수납되는 화분부(130); 및
    직립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폭방향(W)의 측부에 장착되며, 외부면에는 소정의 광고이미지가 배치된 광고판(140);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부(130)의 바닥에는 토사(133)에 공급된 용수를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134)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2)의 바닥에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공(134)에서 배수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거름망(128)이 장착되며,
    상측은 상기 화분부(130)의 토사(133) 내에 배치되고 하측은 수조(124)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화분부(130)와 연결프레임(120)을 상하로 관통하는 형태로 직립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조(124)에 저장된 용수를 흡입하여 토사(133)에 공급하는 급수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150)는 내부에 중공(151)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161)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측부에 관통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임펠러(16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베어링(163)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회전축(162) 및,
    상기 회전축(162)의 노출된 타단에 고정되며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임펠러(161)를 회전시켜 상기 급수부(150)의 중공(151) 내부에 상승수류를 형성하는 프로펠러(164)를 포함하는 용수공급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0)의 체결홈(111) 하단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의 걸림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21)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며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고정시키는 걸림턱(123)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는 상기 체결홈(111)이 형성된 바디(113)와, 상기 바디(113)의 하단에 배치되어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부(114) 및, 상기 바디(113)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체결홈(111)에 끼움결합된 체결돌기(121)를 하향 가압하는 캡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0)의 내부에는 중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124)의 측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된 넘침홀(125)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넘침홀(125)과 상기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1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연통홀(117)을 통해 배수된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18)이 형성되고,
    상기 수조(124)의 측부 상에서 상기 넘침홀(125)의 하부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일정 단위시간당 일정량의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미세홀(126)이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측부 상에서 상기 미세홀(126)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측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미세홀(126)과 상기 중공(116)을 상호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10) 내에서 상기 제2연통홀(119)의 하부 위치의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내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내벽을 따라 나선형태로 하향 연장된 받이판(171) 및, 상기 받이판(171)의 측단으로부터 상향 절곡된 형태로 받이판(171)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연통홀(119) 통해 배수된 용수를 수용하여 증발시키기 위한 수로(173)를 형성하는 측판(172)을 포함하는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을 따라 흐르면서 증발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공(11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받이 프레임(1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이판(171)의 상부면에는 하향 오목하게 함몰된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용수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용홈(17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KR1020160100611A 2016-08-08 2016-08-08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KR10187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11A KR101876044B1 (ko) 2016-08-08 2016-08-08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611A KR101876044B1 (ko) 2016-08-08 2016-08-08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07A KR20180016807A (ko) 2018-02-20
KR101876044B1 true KR101876044B1 (ko) 2018-07-09

Family

ID=6139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611A KR101876044B1 (ko) 2016-08-08 2016-08-08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94Y1 (ko) 2018-04-03 2018-07-02 전찬대 베란다 난간 설치용 화분
CN111149546A (zh) * 2020-01-13 2020-05-15 徐州工程学院 一种利用太阳能自动浇水的花架隔离栏
KR102354205B1 (ko) * 2020-09-21 2022-01-21 유한회사 덕성 화분을 이용한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620849B1 (ko) * 2022-02-08 2024-01-03 주식회사 안전드림 시선유도봉
CN115362847B (zh) * 2022-08-30 2024-04-19 华能西藏雅鲁藏布江水电开发投资有限公司 一种绿化用护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559Y1 (ko) * 2005-01-13 2005-04-14 유영만 화단 및 광고수단이 구비된 휀스
KR20100030315A (ko) * 2008-09-10 2010-03-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KR101012028B1 (ko) * 2010-08-09 2011-01-31 동양기업(주)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559Y1 (ko) * 2005-01-13 2005-04-14 유영만 화단 및 광고수단이 구비된 휀스
KR20100030315A (ko) * 2008-09-10 2010-03-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KR101012028B1 (ko) * 2010-08-09 2011-01-31 동양기업(주) 화분 및 관수 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펜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807A (ko)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044B1 (ko) 조경기능이 구비된 난간 조립체
CA2568493A1 (en) Planting device and planting structure for plants
JP2010239878A (ja) 壁面緑化装置
CA2652763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CN206625646U (zh) 林业美化防护栏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CN109699338A (zh) 一种建筑物垂直绿化装置
KR100723447B1 (ko) 화분거치대가 설치된 발코니 난간
JP2006241960A (ja) 緑化と一体化自在の防護柵。
JP2011097883A (ja) 立面緑化パネルユニット
CN208029685U (zh) 一种太阳能大棚
CN110714648A (zh) 一种园林综合式绿化设施施工方法
CN105042448A (zh) 一种带盆栽的路灯
CN212260223U (zh) 一种具有防水功能的园林除蚊虫装置
KR102390416B1 (ko) 조경용 화분
KR100846722B1 (ko) 꽃탑용 화분
KR20090004025U (ko) 화초재배가 가능한 다리난간 및 그 다리난간의 급수설비시스템
CN211200194U (zh) 一种多功能的绿化护栏
JP4657683B2 (ja) 壁面緑化設備
KR20100051493A (ko) 식생용 휀스
CN113062444A (zh) 一种景观廊架结构
KR200207153Y1 (ko) 파고라
CN206786536U (zh) 一种绿化节能的路灯
FR2966013A1 (fr) Contenant pour vegetaux
JP5149857B2 (ja) 雨水利用型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