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906B1 -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5906B1 KR101875906B1 KR1020170148774A KR20170148774A KR101875906B1 KR 101875906 B1 KR101875906 B1 KR 101875906B1 KR 1020170148774 A KR1020170148774 A KR 1020170148774A KR 20170148774 A KR20170148774 A KR 20170148774A KR 101875906 B1 KR101875906 B1 KR 1018759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ipitation
- reflectivity
- differential
- field
- phase differe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8—Testing or calibrating meteorological apparat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강수장 가중치 사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합성이 가능하며, 강수장 가중치 변경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없이 합성 방식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최적 강수량 추정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집중호우로 인한 재해 유발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방재 및 물 관리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집중호우에 대한 방재 및 물 관리를 위해서는 강우량의 정량적인 관측 및 예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전국 10 대의 단일편파기상레이더와 642 대의 우량계로 시간 및 공간 해상도의 지상 강우정보를 득하며, 이들 정보는 수자원 관리 및 방재, 수문, 생태학적 모델링 등에 이용된다.
지상에 설치된 우량계는 지상의 강우를 연속적,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우량계 미설치 영역에 대한 공간적인 강우 분포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량계 설치 지점에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우량계가 과소 추정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부터 우량계보다 정확한 강우의 공간 분포 정보를 제공하지만, 우량계처럼 지상의 강우량을 직접 측정하지 않고, 대기 중 강수입자에 대한 레이더 반사도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기상레이더의 강우강도는 레이더 반사도(Z)와 강우강도(R)의 R-Z 관계식으로 강우를 추정하기 때문에, 강우 추정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일 강수추정 방식으로는 정확한 강수강도의 산출 보장이 어려운 상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중대형 레이더의 경우, 실제 관측되는 자동기상관측장치(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의 우량계 측정값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강수 추정식을 보정하는 방식(rain-gauge correction)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반경 1Km 이내의 관측이 가능한 전파 강수계는 관측 반경이 좁아 관측지 내의 우량계를 이용한 보정이 불가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소형 강수계에서 제한된 하드웨어 사양을 극복하여 제한된 연산처리 성능에서 운영이 가능하면서 유연하게 강수 추정식을 합성하여 관측 영역 내의 면적 강수를 산출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방법은 면적 강수 산출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에 의해,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 및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을 근거로 상기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및 비차등위상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최종 강수장과 관련한 평균 강수강도, 중앙 강수강도, 최대 강수강도, 최저 강수강도 및 강수강도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장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에 있어서,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집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 및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을 근거로 상기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강수장 가중치 사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합성이 가능하며, 강수장 가중치 변경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없이 합성 방식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최적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소형 강수계에서 제한된 하드웨어 사양을 극복하여 제한된 연산처리 성능에서 운영이 가능하면서 유연하게 강수추정식을 합성하여 관측 영역 내의 면적 강수를 산출함으로써, 관측 상황에 관계없이 같은 연산량에 의해 면적 강수를 산출함에 따라 연산량의 정량적 평가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측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장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강수장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측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장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강수장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는 통신부(100), 저장부(200), 표시부(300), 음성 출력부(400) 및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레이더, 관측 장치,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Fi),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0)는 상기 레이더(또는 상기 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관측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관측 영역에 대한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레이더(또는 상기 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측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레이더(또는 상기 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측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40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400)는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레이더(또는 상기 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측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면적 강수 산출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20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상기 레이더(또는 상기 관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관측 데이터(또는 관측 자료)를 수신(또는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관측 영역에 대한 반사도(또는 레이더 반사도 인자)(Z), 차등반사도(ZDR), 차등위상차(ΦDP), 비차등위상차(KDP)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도(Z)는 상기 레이더에서 관측되는 신호 세기(단위: dBZ)이고, 상기 차등반사도(ZDR)는 수직파와 수직파로 편향하여 송수신한 수직편파 반사도에 대한 수평편파 반사도의 비율(단위: dB)이고, 상기 차등위상차(ΦDP, Differential Phase)는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펄스 간의 위상 차이(단위: deg)이고, 상기 비차등위상차(KDP, Specific differential phase)는 단위 거리에 따른 차등위상차의 변화율(단위: deg/km)로 상기 차등위상차(ΦDP)에 대해 공간 차분을 수행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신된 관측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하거나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신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복수의 강수장(또는 강수추정식별 강수장)을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강수장(R, Rain Rate)은 단위 시간에 내리는 강수량(단위: mm/hr)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3]에 의해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a, b, c, d는 각 강수추정식의 계수(coefficient)를 나타내며, 각 강수추정식에 따라 독립적인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각각 산출된 강수장을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대해서 각각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Wi), 특정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또는 위치)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wi) 및 상기 산출된 강수추정식별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은 순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수추정식 가중치(Wi)는 상기 순서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수추정식 중 i번째에 해당하는 특정 강수추정식의 가중치를 나타내며, 설계자(또는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수장 가중치(wi)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 중 i번째에 해당하는 특정 강수추정식에서 구한 강수장에서의 공간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내며, 관측값 또는 설계자(또는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x-y의 좌표계(예를 들어 관측 거리 및 관측 방향의 극 좌표계 또는, 동서방향 및 남북방향의 격자 좌표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차등반사도를 이용한 강수추정식에서는 차등반사도가 작은 경우 오차가 크게 발생하므로 상기 차등반사도에 비례하는 강수장 가중치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한 강수추정식에서는 원거리에서 약점을 지니므로 거리에 반비례하는 강수장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6]에 의해 가중치를 반영한 강수장을 공간에 따른 최종 가중치로 나눠 상기 최종 강수장(Rfinal)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의 강수추정식에서 산출한 강수장(Ri(x,y)) 및 각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필드(Wi(x,y), wi(x,y))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6]에서의 분모는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의 곱으로 공간에 따른 최종 가중치를 나타내며, 분자는 가중치를 반영한 강수장으로 최종 가중치의 값이 1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최종 가중치로 나누어 상기 최종 강수장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수추정식 가중치 및 상기 강수장 가중치가 미리 설정된 상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상기 강수장을 산출하는 전/후 단계에서 사용자 입력(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강수추정식 가중치 및/또는 상기 강수장 가중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강수추정식 가중치, 강수장 가중치 및 및 상기 산출된 강수추정식별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최종 강수장과 관련한 평균 강수강도, 중앙 강수강도, 최대 강수강도, 최저 강수강도, 강수강도 표준편차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7]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평균 산출을 통한 평균 강수강도(Rmea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8]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중앙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중앙 강수강도(Rmedia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9]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최대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최대 강수강도(Rmax)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10]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최저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최저 강수강도(Rmi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11]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표준편차 산출을 통한 강수강도 표준편차(Rsd)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통계 정보를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통계 정보를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또는 지점별 면적)을 근거로 해당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또는 면적강수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다음의 [수학식 12]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Area(x,y))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또는 면적강수량)을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또는 면적강수량)을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통계 정보, 상기 산출된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 등을 임의의 서버(미도시)나 다른 단말(미도시)에 상기 통신부(100)를 통해 전송한다.
이와 같이,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소형 강수계에서 제한된 하드웨어 사양을 극복하여 제한된 연산처리 성능에서 운영이 가능하면서 유연하게 강수추정식을 합성하여 관측 영역 내의 면적 강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적 강수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부(100)는 레이더(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또는 관측 자료)를 수신(또는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관측 영역에 대한 반사도(또는 레이더 반사도 인자)(Z), 차등반사도(ZDR), 차등위상차(ΦDP), 비차등위상차(KDP)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도(Z)는 상기 레이더에서 관측되는 신호 세기(단위: dBZ)이고, 상기 차등반사도(ZDR)는 수직파와 수직파로 편향하여 송수신한 수직편파 반사도에 대한 수평편파 반사도의 비율(단위: dB)이고, 상기 차등위상차(ΦDP, Differential Phase)는 수평편파와 수직편파 펄스 간의 위상 차이(단위: deg)이고, 상기 비차등위상차(KDP, Specific differential phase)는 단위 거리에 따른 차등위상차의 변화율(단위: deg/km)로 상기 차등위상차(ΦDP)에 대해 공간 차분을 수행하여 산출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수신된 관측 데이터를 표시부(30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200)에 저장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100)는 상기 레이더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제 1 레이더 반사도 인자(Z), 제 1 차등반사도(ZDR), 제 1 차등위상차(ΦDP), 제 1 비차등위상차(KDP) 등을 포함하는 제 1 관측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 1 관측 데이터는 일정 시간 동안 관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신된 제 1 관측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S210).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신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복수의 강수장(또는 강수추정식별 강수장)을 각각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강수장(R, Rain Rate)은 단위 시간에 내리는 강수량(단위: mm/hr)을 나타낸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1]에 의해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3]에 의해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4]에 의해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5]에 의해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한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반사도를 이용한 제 1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1) 및 상기 제 1 반사도를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제 2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2) 및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를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와 제 1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제 3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3) 및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와 제 1 차등반사도를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반사도와 제 1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제 4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4) 및 상기 제 1 반사도와 제 1 차등반사도를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반사도, 제 1 차등 반사도와 제 1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제 5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5) 및 상기 제 1 반사도, 제 1 차등 반사도와 제 1 비차등위상차를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한다(S220).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대해서 각각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Wi), 특정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또는 위치)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wi) 및 상기 산출된 강수추정식별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은 순서가 미리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수추정식 가중치(Wi)는 상기 순서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강수추정식 중 i번째에 해당하는 특정 강수추정식의 가중치를 나타내며, 설계자(또는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수장 가중치(wi)는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 중 i번째에 해당하는 특정 강수추정식에서 구한 강수장에서의 공간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내며, 관측값 또는 설계자(또는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은 x,y의 좌표계(예를 들어 관측 거리 및 관측 방향의 극 좌표계 또는, 동서방향 및 남북방향의 격자 좌표계)를 나타낸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6]에 의해 가중치를 반영한 강수장을 공간에 따른 최종 가중치로 나눠 상기 최종 강수장(Rfinal)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복수의 강수추정식에서 산출한 강수장(Ri(x,y)) 및 각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필드(Wi(x,y), wi(x,y))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반사도를 이용한 제 1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1)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1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제 1 강수장 가중치,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제 2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2)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2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제 2 강수량 가중치, 상기 제 1 비차등위상차와 제 1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제 3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3)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3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제 3 강수량 가중치, 상기 제 1 반사도와 제 1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제 4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4)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4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제 4 강수량 가중치, 상기 제 1 반사도, 제 1 차등 반사도와 제 1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제 5 강수추정식(또는 상기 수학식 5)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 5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제 5 강수량 가중치 및, 상기 산출된 제 1 내지 제 5 강수장을 근거로 제 1 최종 강수장을 산출한다(S230).
이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통계 정보는 평균 강수강도, 중앙 강수강도, 최대 강수강도, 최저 강수강도, 강수강도 표준편차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7]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평균 산출을 통한 평균 강수강도(Rmea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8]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중앙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중앙 강수강도(Rmedia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9]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최대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최대 강수강도(Rmax)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10]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최저값 산출(또는 도출)을 통한 최저 강수강도(Rmin)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11]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상기 최종 강수장의 표준편차 산출을 통한 강수강도 표준편차(Rsd)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통계 정보를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제 1 최종 강수장을 근거로 제 1 평균 강수강도, 제 1 중앙 강수강도, 제 1 최대 강수강도, 제 1 최저 강수강도, 제 1 강수강도 표준편차 등을 포함하는 제 1 통계 정보를 산출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제 1 통계 정보(1000)를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S240).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또는 지점별 면적)을 근거로 해당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또는 면적강수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앞선 [수학식 12]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Area(x,y))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또는 면적강수량)을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제 1 최종 강수장 및 제 1 관측 영역 내의 면적을 근거로 상기 제 1 관측 영역 내의 제 1 총강수량(예를 들어 87㎥/h)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총강수량을 상기 표시부(300)에 표시한다(S2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하여, 강수장 가중치 사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합성이 가능하며, 강수장 가중치 변경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없이 합성 방식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최적 강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격지에서 운영되는 소형 강수계에서 제한된 하드웨어 사양을 극복하여 제한된 연산처리 성능에서 운영이 가능하면서 유연하게 강수추정식을 합성하여 관측 영역 내의 면적 강수를 산출하여, 관측 상황에 관계없이 같은 연산량에 의해 면적 강수를 산출함에 따라 연산량의 정량적 평가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의 기상 레이더를 통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강수추정식에 따른 복수의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과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에 대한 강수추정식 가중치와 강수장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과 관측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관측 영역 내의 시간당 총 강수량을 산출함으로써, 강수장 가중치 사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강수장에 대한 가중치 합성이 가능하며, 강수장 가중치 변경을 통해 별도의 프로그램 수정없이 합성 방식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며, 최적 강수량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강수추정식 활용 분야, 면적강수 활용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면적 강수 산출 장치 100: 통신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400: 음성 출력부 500: 제어부
200: 저장부 300: 표시부
400: 음성 출력부 500: 제어부
Claims (8)
- 면적 강수 산출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에 의해,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수집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 및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을 근거로 상기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적 강수 산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및 비차등위상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상기 최종 강수장과 관련한 평균 강수강도, 중앙 강수강도, 최대 강수강도, 최저 강수강도 및 강수강도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방법. - 면적 강수 산출 장치에 있어서,
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집된 관측 데이터 및 상기 관측 데이터와 관련된 복수의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강수추정식별로 강수장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강수추정식별로 미리 설정된 강수추정식 가중치, 강수추정식 내의 특정 값에 대한 강수장 가중치 및 상기 강수추정식별로 산출된 복수의 강수장을 근거로 최종 강수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 및 관측 영역의 면적을 근거로 상기 관측 영역 내의 총 강수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데이터는,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및 비차등위상차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1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2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비차등위상차,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비차등위상차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3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반사도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반사도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4 강수장을 산출하며,
상기 반사도, 상기 차등 반사도, 상기 비차등위상차 및, 상기 반사도와 차등 반사도와 비차등위상차와 관련한 강수추정식을 근거로 제 5 강수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최종 강수장에 대한 통계 처리를 통해 통계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강수 산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774A KR101875906B1 (ko) | 2017-11-09 | 2017-11-09 |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8774A KR101875906B1 (ko) | 2017-11-09 | 2017-11-09 |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5906B1 true KR101875906B1 (ko) | 2018-07-06 |
Family
ID=6292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8774A KR101875906B1 (ko) | 2017-11-09 | 2017-11-09 |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59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50510A (zh) * | 2019-11-05 | 2020-02-28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基于星地链路扫描重构垂直降雨场的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6315A (ko) * | 2013-12-06 | 2015-06-16 | 대한민국(기상청장) | 이중편파 레이더 기반의 강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23688B1 (ko) * | 2015-06-01 | 2016-05-24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정량적 강수량 추정 방법 |
KR101755521B1 (ko) * | 2016-01-19 | 2017-07-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레이더 폴리곤 기법을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방법 |
-
2017
- 2017-11-09 KR KR1020170148774A patent/KR1018759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6315A (ko) * | 2013-12-06 | 2015-06-16 | 대한민국(기상청장) | 이중편파 레이더 기반의 강수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23688B1 (ko) * | 2015-06-01 | 2016-05-24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정량적 강수량 추정 방법 |
KR101755521B1 (ko) * | 2016-01-19 | 2017-07-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레이더 폴리곤 기법을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적강우량 측정방법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1 *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2 * |
노성진 외 4인, '이중 편파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강수 추정 알고리즘의 오차 분석’, 한국방재학회지, 제14권, 제6호, 2014.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50510A (zh) * | 2019-11-05 | 2020-02-28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技大学 | 基于星地链路扫描重构垂直降雨场的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87297B2 (ja) | 地図上の経路に沿って短時間予報を表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KR101966639B1 (ko) | 수치 예보 모델을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 |
US9418562B2 (en) | Onboard weather radar flight strategy system with bandwidth management | |
US20190041225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ehicle routes within signal coverage zones | |
US9007948B2 (en) | Distance measurement and alarm method and apparatus | |
US924416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ce detection | |
US20090160700A1 (en) | Monitoring and Mapping of Atmospheric Phenomena | |
US10761242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orecasting lightning and severe storms | |
WO2019028380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LAYING COMMUNICATIONS USING AUTONOMOUS DRONES | |
EP3190435B1 (en) | Estimation apparatus,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19028389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DYNAMIC THREE-DIMENSIONAL COMMUNICATION CARD | |
JP6689396B2 (ja) | 気象予測装置、気象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984623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ce detection | |
WO2017122408A1 (ja) | 気象予測装置、気象予測方法、および気象予測プログラム | |
WO2019028356A1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ROUTES IN LIMITED LIMITS | |
US9581727B1 (en) | Severe weather situational awareness system and related methods | |
JP2017003416A (ja) | 降水予測システム | |
KR101924792B1 (ko) | 레이더 관측망 구성을 위한 설치 위치 선정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875906B1 (ko) | 면적 강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
EP2722693B1 (en) | Generating an atmospheric model using one or more pressure-sensing mobile devices | |
CN117687125A (zh) | 构建覆冰格点数据集的方法、处理器、装置及存储介质 | |
JP2006220445A (ja) | 砂嵐予測システムとその砂嵐警報発令方法 | |
CN103558809A (zh) | 配置过程控制设备的方法和装置 | |
Brazda et al. | Combination of two visibility sensors to predict fog attenuation on FSO links | |
US20210025930A1 (en) | Airborne antenna ground proj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