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217B1 -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217B1
KR101875217B1 KR1020160011584A KR20160011584A KR101875217B1 KR 101875217 B1 KR101875217 B1 KR 101875217B1 KR 1020160011584 A KR1020160011584 A KR 1020160011584A KR 20160011584 A KR20160011584 A KR 20160011584A KR 101875217 B1 KR101875217 B1 KR 101875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cellular phone
mobile phone
case body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793A (ko
Inventor
김도희
김영민
하희수
Original Assignee
김도희
김영민
하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희, 김영민, 하희수 filed Critical 김도희
Priority to KR102016001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형을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감이 향상되고, 무선 이어폰을 수납하여 분실의 우려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몸체의 외형을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우면서 향상된 미감을 제공하며, 이어폰 수납부의 수납홈을 이어폰의 폴리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납홈의 둘레에 수납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이어폰의 폴리캡이 수납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외력을 가해야만 이어폰을 수납홈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을 분실의 우려 없이 이어폰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으며, 이어폰을 사용할 때마다 간편하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Case for Mobile Phone with Detachable Wireless Earphones}
본 발명은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형을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여 미감이 향상되고, 무선 이어폰을 수납하여 분실의 우려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이동 중에 음악 또는 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할 때 소음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이어폰을 사용한다. 아울러 시끄러운 곳에서 통화를 하거나, 양손을 사용하는 중에 통화를 할 때도 이어폰을 사용한다. 이어폰은 유선 이어폰이나 무선 이어폰을 주로 사용한다.
유선 이어폰은 사용할 때는 케이블을 펼쳐야 하고, 보관할 때는 접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아울러 유선 이어폰은 케이블을 접었다 펼쳤다 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자주 엉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무선 이어폰의 사용이 늘고 있다. 무선 이어폰에는 헤드셋 형태, 목걸이처럼 목에 걸고 다니는 형태 등이 있다. 그러나 무선 이어폰은 항상 머리에 쓰고다니거나, 목에 걸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다.
아울러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 공통으로 휴대폰과 별도로 휴대하므로 분실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외측을 보호하는 용도로 휴대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외형과 재질이 다른 여러 형태의 휴대폰 케이스가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을 외부 충격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기능 외에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20874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외형을 전조등, 자동차 바퀴 등이 구비된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조등으로 휴대폰의 충전 상태를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자동차 바퀴를 기능 버튼 및 이어폰을 탈착식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미감이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무선 이어폰을 케이스에 쉽게 결합할 수 있어 무선 이어폰을 분실의 우려 없이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외부 충전 케이블 또는 데이터 케이블로 휴대폰용 케이스에 연결하여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고, 휴대폰을 충전하는 중에 전조등의 색상을 제어해서 휴대폰 충전 상태를 손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외형에서 자동차 앞바퀴 위치에 휴대폰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여, 케이스에 수납된 휴대폰을 제어할 수 있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형이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서 휴대폰(10)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보드(110)와,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는 외부단자(120)가 구비된 케이스 몸체(1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10)이 수납되며, 한 쪽은 상기 휴대폰(10)의 연결단자(12)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어보드(110)와 연결되는 내부단자(230)가 구비된 휴대폰 수납부(2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엘이디부(3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보드(11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10)을 조작하는 버튼부(4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자동차 뒷바퀴 형상으로 뒷바퀴 자리에 하나씩 대향되게 형성되는 이어폰 수납부(500); 상기 이어폰 수납부(500)에 각각 수납되는 이어폰(600);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500)는, 상기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510)과, 상기 수납홈(510)의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폴리캡(620)이 상기 수납홈(5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돌기(52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600)의 한쪽의 마이크(630)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630)은 폴리캡(620)이 수납홈(510)에 억지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마이크 거치대(140)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 몸체(100)는, 상부에 슬라이딩창(1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창(1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휴대폰(10)의 카메라(14)를 노출 또는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엘이디부(300)는,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의해 상기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제1엘이디(310)와,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헤 의해 상기 휴대폰(10)의 충전량을 나타내는 제2엘이디(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휴대폰 수납부(200)는, 휴대폰(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파여진 휴대폰 수납홈(210)과, 상기 휴대폰(10)이 상기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10)의 카메라(14)가 상기 슬라이딩창(130)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절개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10)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폰 수납부(200)를 구비하며, 케이스 몸체(100)의 외형을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 몸체(100) 내부에 제어보드(110)를 내장하며, 엘이디부(300)는 자동차의 전조등으로 형상화하여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버튼부(400)는 자동차의 앞바퀴로 형상화하여 휴대폰(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어폰 수납부(500)는 자동차의 뒷바퀴를 형상화하여 이어폰(600)을 탈착식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우면서 향상된 미감을 제공하면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어폰 수납부(500)의 수납홈(510)을 이어폰(600)의 폴리캡(6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납홈(510)의 둘레에 수납홈(5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520)를 형성하여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이 수납홈(5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외력을 가해야만 이어폰(600)을 수납홈(510)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이어폰(600)을 사용하지 않을때에 이어폰 수납부(500)에 이어폰을 수납할 수 있어 이어폰의 분실 우려가 전혀 없으며, 이어폰(600)을 사용할 때마다 간편하게 탈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폰 수납부(200)에 휴대폰(10)이 수납되되, 휴대폰(10)의 연결단자(12)가 휴대폰 수납부(200)의 내부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부단자(230)는 케이스 몸체(100)의 외부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케이스 몸체(100) 내부에 외부단자(120) 및 내부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보드(110)를 구비하여, 제어보드(110)를 통해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엘이디부(300)가 휴대폰(10)의 충전 상태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여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버튼부(400)를 통해 제어보드(110)와 연결된 휴대폰(10) 또는 이어폰(600)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휴대폰 충전부에 충전 케이블 잭을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하여 휴대폰 충전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에서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는 휴대폰(10)과 연결되는 제어보드(110)와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는 외부단자(120)가 구비되는 케이스 몸체(100)와, 케이스 몸체(100)의 하부에서 휴대폰(10)이 수납되며, 휴대폰(10) 및 제어보드(110)와 연결되는 내부단자(230)가 구비된 휴대폰 수납부(200)와,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어보드(110)에 의해 제어되는 엘이디부(300)와,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서 제어보드(110)와 연결되어 휴대폰(10)을 조작하는 버튼부(400)와, 케이스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이어폰 수납부(500)와, 이어폰 수납부(500)에 수납되는 이어폰(600)을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100)는 외형이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100)는 앞범퍼부(102), 라디에이터 그릴, 앞펜더, 프론트 도어, 루프부(104), 필러, 리어 도어, 뒷펜더, 트렁크, 뒤범퍼부(106), 하체부(108) 등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바디 전방 및 후방 하부에 각각 구비된 프론트 타이어와 리어 타이어 등이 자동차 형상의 외형을 이룬다. 도면에서는 앞서 설명한 자동차 형상의 외형 중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에만 도면 부호를 도시하였다.
케이스 몸체(100)는 전방에 앞범퍼부(10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뒤범퍼부(106), 상부에는 루프부(104) 및 하부는 하체부(108)가 각각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10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어보드(110)가 내장된다. 앞범퍼부(102)에는 외부단자(120)가 형성되며, 엘이디부(300)가 설치된다. 앞범퍼부(102) 측 하부 양옆에는 한 쌍의 버튼부(400)가 설치된다. 뒤범퍼부(106) 측 하부 양옆에는 한 쌍의 이어폰 수납부(500)가 설치된다. 하체부(108)에는 휴대폰 수납부(200)가 형성된다.
이때, 제어보드(110)는 케이스 몸체(100) 내부에서 하체부(108) 상부에 설치된다. 제어보드(110)는 휴대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폰(10)에서 신호를 받거나, 휴대폰(10)으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제어보드(110)는 휴대폰 수납부(200)에 형성된 내부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단자(230)는 휴대폰(10)에 형성된 연결단자(12)가 연결된다. 이로써 휴대폰(10)이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외부단자(120)에는 외부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때, 외부 케이블은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및 휴대폰(10)의 충전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 또는 휴대폰(1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 케이블일 수 있다.
외부단자(120)는 외부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다른 외부 기기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컴퓨터, 노트북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외부단자(120)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면, 외부단자(120)를 통해 내부단자(230)와 연결된 휴대폰(10)이 충전되거나, 휴대폰(10)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와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보드(110)는 휴대폰(10)이 충전되는 과정에서 휴대폰(10)의 충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제어보드(110)는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충전 중, 충전 완료 상태 또는 휴대폰(10)의 충전량에 대한 모니터링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제어보드(110)는 모니터링 신호로 엘이디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110)는 엘이디부(300)의 on/off 및 색상을 제어하여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케이스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루프부(104)에는 슬라이딩창(13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창(130)은 케이스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루프부(104)에 형성된다. 슬라이딩창(130)은 휴대폰 수납부(200)에 수납된 휴대폰(10)의 카메라(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딩창(130)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카메라(14)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거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슬라이딩창(130)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132)가 형성된다. 즉 손잡이(132)를 파지하여 슬라이딩창(130)을 열면 카메라(14)가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10)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해준다. 반대로 슬라이딩창(130)을 닫으면 카메라(14)를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해준다. 슬라이딩창(130) 하부에는 투명창을 추가로 형성하여 휴대폰(10)의 카메라(14) 기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먼지 및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 몸체(100)의 양측면 중 한쪽 측면에는 마이크 거치대(140)가 형성된다. 마이크 거치대(140)는 케이스 몸체(100)의 뒤범퍼부(106) 측 하부 양쪽에 설치된 이어폰 수납부(500)에 형성된 수납홈(510)에 수납되는 이어폰(600)에 마이크(630)가 구비된 경우, 마이크(630)를 임시로 끼워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수납홈(510)에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을 끼우고, 이어폰 본체(610)에서 연장된 마이크(630)를 마이크 거치대(140)에 고정할 수 있다. 마이크 거치대(140)는 마이크(630)의 직경에 대응되게 개방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마이크 거치대(140)는 마이크(630) 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이크(630)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휴대폰 수납부(200)는 케이스 몸체(100)의 하체부(108)에 형성된다. 휴대폰 수납부(200)에는 휴대폰 수납홈(210)이 형성된다. 즉 하체부(108)의 중앙부에 휴대폰 수납홈(210)이 파여진다.
휴대폰 수납홈(210)은 휴대폰(1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휴대폰 수납홈(210)에는 휴대폰(10)이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수납된다. 휴대폰 수납홈(210)의 둘레 전 길이에 걸쳐서 수납단턱(220)이 휴대폰 수납홈(210)의 내측을 향하여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된 휴대폰(10)은 수납단턱(220)에 의해 걸려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휴대폰(10)은 디스플레이(16)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된다. 사용자는 도 2와 같이 케이스 몸체(100)을 뒤집은 상태로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16)를 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 몸체(100)를 손으로 파지한 채 휴대폰(10)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 수납홈(210)의 길이 방향 상부 또는 하부에는 내부단자(230)가 형성된다. 내부단자(230)에는 휴대폰(10)이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될 때, 휴대폰(10)의 연결단자(12)기 끼워진다. 내부단자(230)는 연결단자(12)의 규격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휴대폰 수납홈(210)의 둘레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파지홈(240)이 형성된다. 파지홈(240)을 통해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된 휴대폰(10)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즉 파지홈(240)으로 노출된 휴대폰(10)의 둘레를 사용자가 파지한 채 휴대폰(10)을 휴대폰 수납홈(210)에서 쉽게 꺼낼 수 있다.
휴대폰 수납홈(210)의 바닥면에는 절개부(250)가 형성된다. 절개부(250)는 휴대폰(10)이 휴대폰 수납홈(210)에 끼워졌을 때 휴대폰(10)의 카메라(1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해준다. 즉 카메라(14)가 케이스 몸체(10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창(130)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해준다.
이때 절개부(250)는 휴대폰(10)의 카메라(14)에 대응되는 위치 및 대응되는 크기로 휴대폰 수납홈(210)의 바닥면에서 절개된다. 절개부(250)를 통해 휴대폰 수납부(200)에 수납된 휴대폰(10)의 카메라(14)를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다.
한편, 휴대폰 수납부(200)는 휴대폰(10)을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휴대폰 수납부(200)에 휴대폰(10)을 수납할 때, 손으로 힘을 가하여 휴대폰 수납홈(210) 및 수납단턱(220)을 휴대폰(10)이 휴대폰 수납홈(210)에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벌릴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 수납부(200)의 휴대폰 수납홈(210), 수납단턱(220), 내부단자(230), 파지홈(240) 및 절개부(250)는 적용되는 휴대폰(10)의 종류에 따라 크기 및 모양이 달라진다.
엘이디부(300)는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 앞범퍼부(102) 측에 설치된다. 엘이디부(300)는 자동차의 전조등을 형상화한 것이다. 엘이디부(300)는 휴대폰(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엘이디부(300)는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엘이디부(300)는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따라 On/Off 되며, 색상도 변경된다.
엘이디부(300)는 전방측 앞범퍼부(102)에 제1엘이디(310)와 제2엘이디(320)로 나뉘어 복수 설치된다. 엘이디부(300)는 휴대폰(10)을 전원으로 렌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엘이디부(300)는 휴대폰(10)의 충전 상태와 충전량을 나타낼 수 있다.
엘이디부(300)는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제1엘이디(310)와, 휴대폰(10)의 충전량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2엘이디(320)로 나뉜다.
제1엘이디(310)는 앞범퍼부(102)의 중앙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1엘이디(310)는 외부단자(12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면,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색상으로 나타내준다.
여기서 외부단자(120)는 USB 인터페이스를 예시로 설명하나, 휴대폰(10)을 충전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른 규격의 케이블도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10)의 충전 상태 신호를 제어보드(110)가 수신하여, 제어보드(110)는 휴대폰(10)의 충전 상태 신호에 따라 제1엘이디(310)의 색상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제1엘이디(310)는 복수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LED 소자가 적용된다. 제1엘이디(310)는 예를 들어 휴대폰(10)을 충전중일 때는 빨간색,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녹색 또는 충전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주황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2엘이디(320)는 제1엘이디(310)와 마찬가지로 외부단자(120)에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면,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따라 휴대폰(10)의 충전량을 나타내준다. 즉 제어보드(110)는 휴대폰(10)이 충전됨에 따라 배터리량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따라 제2엘이디(320)의 On/Off를 제어한다.
이때 제2엘이디(320)는 복수의 LED소자가 적용된다. 제2엘이디(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범퍼부(102)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엘이디(320)는 앞범퍼부(102)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켜지는 LED 소자가 많을수록 휴대폰(10)의 충전이 많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제2엘이디(320)의 전체 LED 소자에 불이 들어온 경우 휴대폰(10)의 완전 충전 상태를 나타내준다.
도면상에서는 앞범퍼부(102)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제2엘이디(320)의 복수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LED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버튼부(400)는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된다. 즉 버튼부(400)는 케이스 몸체(100)의 앞범퍼부(102) 측 하부에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설치된다.
버튼부(400)는 자동차의 바퀴를 형상으로 형성된 푸쉬 방식의 버튼이다. 버튼부(400)의 외형은 자동차의 앞바퀴를 형상화 한 것이다. 버튼부(400)는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버튼부(400)를 눌러서 휴대폰(10)에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버튼부(400)는 케이스 몸체(100)의 앞범퍼부(102) 측 좌측 하부에는 제1버튼(410)이 설치되며, 우측 하부에는 제2버튼(420)이 설치된다.
제1버튼(410)을 누르면 제어보드(110)를 통해 휴대폰(10)의 음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휴대폰(10)에 보내진다. 그러면 휴대폰(10)의 음량이 제1버튼(410)을 누른 횟수에 상응하도록 줄어든다.
제2버튼(420)을 누르면 제어보드(110)를 통해 휴대폰(10)의 음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휴대폰(10)에 보내진다. 그에 따라 휴대폰(10)의 음량이 제2버튼(420)을 누른 횟수에 상응하도록 높아진다.
아울러 제1버튼(410) 및 제2버튼(420)은 휴대폰(10)과 무선으로 연결된 이어폰(600)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시로써, 제1버튼(410)과 제2버튼(420)을 휴대폰(10)의 음량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설명하였으나, 휴대폰(10)을 제어하는 다른 신호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버튼(410)와 제2버튼(420)의 외측에는 각 버튼에 해당하는 기능을 형상화한 아이콘이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버튼(410)에는 음량을 줄이는 기능을 형상화한 '-'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제2버튼(420)에는 음량을 높이는 기능을 형상화한 '+'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표시되는 제1버튼(410)과 제2버튼(420)에 표시되는 기호는 그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이어폰 수납부(500)는 케이스 몸체(100)의 후방측 하부에 설치된다. 즉 이어폰 수납부(500)는 케이스 몸체(100)의 뒤범퍼부(106) 측 하부에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설치된다.
이어폰 수납부(500)는 외형이 자동차의 바퀴를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어폰 수납부(500)는 자동차의 뒷바퀴를 형상화한 것이다. 이어폰 수납부(500)에는 이어폰(600)의 폴리캡(6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납홈(510)이 형성된다.
수납홈(510)에 폴리캡(620)을 끼웠다 뺐다 하면서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600)을 이어폰 수납부(500)에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어폰(600)을 케이스 몸체(100)와 함께 휴대하므로 이어폰(600) 분실 위험을 최소화해줄 수 있다.
수납홈(510)의 테두리에는 둘레를 따라 고정돌기(520)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고정돌기(520)은 수납홈(5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수납홈(510)의 입구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래서 수납홈(510)에 폴리캡(620)을 끼울 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하고, 빼낼 때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 힘을 주어 폴리캡(620)을 수납홈(5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납홈(510)의 내측에는 중앙의 직경이 입구와 끝단의 직경보다 커서 폴리캡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돌기(520)를 통해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이 수납홈(5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지 전까지 견고하게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폰(600)은 이어폰 본체(610)와 사용자의 귀에 꽂는 폴리캡(620)으로 이루어져 한 쌍이 이어폰 수납부(500)의 수납홈(510)에 각각 수납된다. 이어폰(600)은 한 쌍으로 하나의 이어폰(600)에 마이크(630)가 추가 구비된다. 이어폰(600)은 무선 음성 전송 인터페이스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이어폰(600)은 회로부와 배터리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610)와, 사용자의 귀에 꽂아 착용할 수 있는 폴리캡(6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배터리는 수은 건전지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내장된다.
폴리캡(620)은 사용자의 귀 내부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수납홈(510)에 억지 끼움 고정된다. 이어폰(600)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 수납부(500)에 끼워져 보관된다. 그리고 이어폰(600)은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이어폰 수납부(5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한다. 이어폰(600)을 필요할 때만 탈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어폰(600)의 분실을 방지해준다. 사용자는 이어폰 본체(610)를 파지하여 폴리캡(620)을 수납홈(510)에서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이어폰(600)은 휴대폰(10)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소리를 주고받는다. 이어폰(600)은 사용자의 음성을 무선으로 휴대폰(10)에 전송하기 위하여 마이크(63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630)는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이 수납홈(510)에 억지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마이크 거치대(140)에 임시로 끼워져 고정된다. 그래서 이어폰(600)을 이어폰 수납부(500)에 보관하는 중에 이어폰(600)에 구비된 마이크(630)를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케이스 몸체(100)의 루프부(104) 측에 케이스 몸체(100)의 상부 일부를 창문처럼 개방할 수 있는 슬라이딩창(130)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132)로 슬라이딩창(130)을 좌우로 개폐하여 휴대폰(10)의 카메라(140)를 노출시키거나 폐쇄할 수 있다. 슬라이딩창(130)으로 카메라(140)를 외부에 노출시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에서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들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휴대폰(10)에 형성된 연결단자(12)는 휴대폰 수납부(200)에 형성된 내부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부단자(220)는 제어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이를 통해 제어보드(110)은 휴대폰(1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보드(110)와 제1엘이디(310) 및 제2엘이디(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보드(110)를 통해 제1엘이디(310) 및 제2엘이디(320)의 On/Off 및 색상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110)와 제1버튼(410) 및 제2버튼(420)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보드(110)로 제1버튼(410) 또는 제2버튼(420)이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로 휴대폰(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보드(110)은 외부단자(120)와 연결되고, 외부단자(120)는 앞서 설명한 외부 케이블과 연결된다.
10 : 휴대폰
12 : 연결단자 14 : 카메라 16 : 디스플레이
100 : 케이스 몸체
102 : 앞범퍼부 104 : 루프부 106 : 뒤범퍼부
108 : 하체부
110 : 제어보드 120 : 외부단자
130 : 슬라이딩창 132 : 손잡이
140 : 마이크 거치대
200 : 휴대폰 수납부
210 : 휴대폰 수납홈 220 : 수납단턱 230 : 내부단자
240 : 파지홈 250 : 절개부
300 : 엘이디부
310 : 제1엘이디 320 : 제2엘이디
400 : 버튼부
410 : 제1버튼 420 : 제2버튼
500 : 이어폰 수납부
510 : 수납홈 520 : 고정돌기
600 : 이어폰
610 : 이어폰 본체 620 : 폴리캡 630 : 마이크

Claims (5)

  1. 외형이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서 휴대폰(10)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보드(110)와, 외부 케이블이 연결되는 외부단자(120)가 구비된 케이스 몸체(1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10)이 수납되며, 한 쪽은 상기 휴대폰(10)의 연결단자(12)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어보드(110)와 연결되는 내부단자(230)가 구비된 휴대폰 수납부(2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엘이디부(3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보드(110)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10)을 조작하는 버튼부(400);
    상기 케이스 몸체(100)의 후방 하부에 자동차 뒷바퀴 형상으로 뒷바퀴 자리에 하나씩 대향되게 형성되는 이어폰 수납부(500);
    상기 이어폰 수납부(500)에 각각 수납되는 이어폰(600);을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수납부(500)는,
    상기 이어폰(600)의 폴리캡(6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510)과, 상기 수납홈(510)의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폴리캡(620)이 상기 수납홈(5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돌기(52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600)의 한쪽의 마이크(630)이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630)은 폴리캡(620)이 수납홈(510)에 억지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마이크 거치대(140)에 끼워져 고정되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100)는,
    상부에 슬라이딩창(1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창(130)의 개폐에 따라 상기 휴대폰(10)의 카메라(14)를 노출 또는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엘이디부(300)는,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에 의해 상기 휴대폰(1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제1엘이디(310)와, 상기 제어보드(110)의 신호헤 의해 상기 휴대폰(10)의 충전량을 나타내는 제2엘이디(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수납부(200)는,
    휴대폰(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파여진 휴대폰 수납홈(210)과, 상기 휴대폰(10)이 상기 휴대폰 수납홈(2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10)의 카메라(14)가 상기 슬라이딩창(130)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되는 절개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KR1020160011584A 2016-01-29 2016-01-29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KR101875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84A KR101875217B1 (ko) 2016-01-29 2016-01-29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584A KR101875217B1 (ko) 2016-01-29 2016-01-29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93A KR20170090793A (ko) 2017-08-08
KR101875217B1 true KR101875217B1 (ko) 2018-07-05

Family

ID=5965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84A KR101875217B1 (ko) 2016-01-29 2016-01-29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766S1 (en) 2020-04-13 2020-07-21 elago CO. LT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O202116218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40B1 (ko) * 2012-03-08 2012-12-11 정우철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WO2015126611A1 (en) * 2014-02-21 2015-08-27 Alpha Audiotronics, Inc.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740B1 (ko) * 2012-03-08 2012-12-11 정우철 자가발전이 가능한 핸드폰 케이스
WO2015126611A1 (en) * 2014-02-21 2015-08-27 Alpha Audiotronics, Inc. Earbud charging case for mobil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18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D890766S1 (en) 2020-04-13 2020-07-21 elago CO. LT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93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353B2 (en) Transport and/or storage container for rechargeable wireless earphones
US6868284B2 (en) Headset with retractable battery pack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100842607B1 (ko) 헤드 셋 장치의 충전 거치대 및 헤드 셋 장치의 스피커커버
US8688174B2 (en) Integrated, detachable ear bud device for a wireless phone
US20030156729A1 (en) Method for securing a headset
US20160004277A1 (en) Power band for a wearable computer
US20060057973A1 (en) Adapter for a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7329954A (ja) 自動車電話、電話、スイッチボード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マイクロホン/イヤホン
JP2008527324A (ja) イヤホン機能付き腕時計
ITMI991042A1 (it) Dispositivo per l'utilizzo sicuro di un telefono cellulare portatile durante la guida
GB2405049A (en) Spectacles with integral hands free kit for mobile phone
KR20060097686A (ko) 휴대용 무선 헤드셋
KR101875217B1 (ko) 탈착식 무선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용 케이스
CN105940662B (zh) 用于将耳机设备附接于头盔的接合器
DK200500021U4 (da) Hovedsæt med bærestil
WO2008053502A1 (en) Padding element for heimets
CN211128124U (zh) 颈带式耳机
CN212660309U (zh) 无线耳麦
KR100774369B1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483250Y1 (ko) 목걸이형 무선 이어폰 장치
KR101538785B1 (ko) 구조물의 안전진단 점검을 위한 스마트형 안전모
JPH1168904A (ja) マイク・イヤホン分離型携帯電話機
KR20070040950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CN101771735A (zh) 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