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947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947B1
KR101874947B1 KR1020170162003A KR20170162003A KR101874947B1 KR 101874947 B1 KR101874947 B1 KR 101874947B1 KR 1020170162003 A KR1020170162003 A KR 1020170162003A KR 20170162003 A KR20170162003 A KR 20170162003A KR 101874947 B1 KR101874947 B1 KR 10187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martphone
electric
controller
electr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진환
Original Assignee
(주)하트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트비트 filed Critical (주)하트비트
Priority to KR102017016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61B5/0404
    • A61B5/04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후면에서 인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생체 접촉부(100);와 상기 생체 접촉부(100)의 인체 접촉 부위에 형성되어 인체의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감지 센서( S );와 상기 생체 접촉부(100)의 상기 감지 센서( S ) 주위에 인체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전기자극( E );과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자극( E )을 전기적으로 차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차폐재( P );와 상기 감지 신호(101a)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 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 개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본인 인증 모듈(201); 및 서버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ING SMART-PHONE AND USING METHOD }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후면에 인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생체 접촉부에 감지 센서와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비되는 전기자극 및 수집되는 감지 신호를 처리하고 전기 신호를 제어하도록 스마트폰에 제어부를 구비하여, 심정지가 발생한 응급 상황에 신속 대응하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장마비라 함은, 심장근육을 수축시키는 심근 세포의 불규칙한 활동에 의한 심장의 부정맥을 의미하는 심장 세동 혹은 심장이 정지하는 심정지에 의해 인체 여러 곳에 혈액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됨에따라 산소부족에 의해 사망에 이르는 병이다.
상기 심장마비는 급성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과 같은 관상동맥질환, 확장성 심근병증 또는 비후성 심근병증과 같은 심근질환, 대동맥 박리증과 같은 대동맥질환, 대동맥 판막 협착증과 같은 판막질환 등 심장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질환들이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심장 마비 상황에서 전기 충격법을 환자에게 시술하기 위해서는 심장 전기충격기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상기 심장 전기충격기는 병원이나 응급구조센터 등에 설치되어 있어 심장 마비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응급 구조 요원이 도착하기 전에는 일반인들은 환자에 대해 심폐 소생술 외에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는 실정이다.
2008년 5월 자동제세동기의 공공시설 설치가 의무화되면서 일반인들도 상기 공공시설용 심장 전기충격기를 이용하여 갑작스런 심장마비환자에 대한 응급구조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이 시행되어 있음에도 심장 마비 상황에서 심장 전기 충격기를 환자에게 즉시 적용하여야만 하는 불합리한 여건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0008] 제10-0864073호(2016.08.03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들에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심장 충격기를 제공하여 심장 마비 환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적용하여 생명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인 인증 절차 및 특정한 시간 이상의 본인 인증을 통하도록 하여 전기 충격기의 오용 또는 불필요한 동작을 제한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자극 인가재와 인체 표면 감지 센서재를 생체 접촉부 하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자극 순간과 감지 센서 센싱 순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감지 신호 수집의 오류를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집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 충격기의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의 상부와 하부에 생체 접촉부를 형성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신호을 양극과 음극을 서로 변경하며 제공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부에 감지 신호 및 전기 충격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등과 같은 외부 지정처에 알리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후속 처리를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는 먼저, 스마트폰(10) 배면에 배치되어 심장 충격기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되어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서 심장 박동에 관련되는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감지 센서( S )의 역할과 심장 표면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자극( E )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생체 접촉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 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제어부(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 개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본인 인증 모듈(201); 및 서버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인가되는 순간에는 상기 감지 센서( S )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센서( S )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전극을 인체의 심장부위 인체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심장박동에 의한 인체 표면의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패치( P ) 또는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패치( P )는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 후면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전기자극( E )의 어느 하나는 양극으로 나머지는 음극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상부와 하부의 양 끝에 각각 한 쌍씩 4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자극( E )에 인가되는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극성을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이 통신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본인 인증을 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인 인증은 사전에 정해진 특정 시간 이상 진행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사용 방법은 상기 서버부(3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개시되는 정보, 수집되는 상기 감지신호(101a) 및 인가하는 상기 전기 신호(102a)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제공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감지신호(101a)가 심정지인 경우에 사전에 설정된 지정처에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심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계속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강도를 사전에 설정된 강도로 증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순간에는 상기 감지 센서( S )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0)에서 본인 인증 모듈(201)을 이용하여 제어부(200)를 기동시키는 기동 단계(S1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의 생체 접촉부(100)를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시키는 생체 접촉 단계(S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로 부터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 단계(S3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가 수집된 상기 감지 신호(101a)로 심장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 분석 단계(S4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심장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감지 신호(101a) 회로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 단계(S5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 자극 단계(S6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전기 신호(102a) 회로를 차단하는 전극 차단 단계(S70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 이후 상기 신호 수집 단계(S300),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 상기 신호 차단 단계(S500),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및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에서는 상기 제어부(200)는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에서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시간이 일정하게 경과 하여도 다시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가 계속 비정상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세기로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증강 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제공하여,
첫째, 개인들에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심장 충격기를 제공하여 심장 마비 환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적용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둘째, 본인 인증 절차 및 특정한 시간 이상의 본인 인증을 통하도록 하여 전기 충격기의 오용 또는 불필요한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셋째, 전기자극 인가재와 인체 표면 감지 센서재를 생체 접촉부 하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하게 한다.
넷째, 전기자극 순간과 감지 센서 센싱 순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감지 신호 수집의 오류를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다섯째, 수집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전기 충격기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여섯째, 스마트폰의 상부와 하부에 생체 접촉부를 형성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일곱째, 전기 신호를 양극과 음극을 서로 변경하며 제공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여덟째, 서버부에 감지 신호 및 전기 충격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등과 같은 외부 지정처에 알리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후속 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결되는 생체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전기자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심장 마비 발생 환자의 심장에 적용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사용 정보를 외부 지정처에 전송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연결되는 생체 접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전기자극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심장 마비 발생 환자의 심장에 적용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사용 정보를 외부 지정처에 전송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 후면에서 인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생체 접촉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에 배치되어 심장 충격기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되어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서 심장 박동에 관련되는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감지 센서( S )의 역할과 심장 표면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자극( E ) 역할을 하도록 상기 생체 접촉부(100)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 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제어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0)가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생체 접촉부(100)가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감지 센서( S ) 또는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자극( E )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 개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본인 인증 모듈(201); 및 서버부(300); 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인가되는 순간에는 상기 감지 센서( S )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감지 신호(101a)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 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마트폰에 제어부(200)가 앱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의 개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본인 인증 모듈(201)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미인가자에 의한 구동 또는 오동작을 예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전극을 인체의 심장부위 인체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심장박동에 의한 인체 표면의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 전기 자극을 인가하도록 은, 염화은, 동, 니켈이 도금된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후면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극( E )의 어느 하나는 양극으로 나머지는 음극으로 구비되어 양극과 음극의 전기적인 흐름이 심장 표면 인체에 미치도록 하여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상부와 하부의 양 끝에 각각 한 쌍씩 4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자극( E )에 인가되는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극성을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패치( P )로 구비되며 상기 패치( P )는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생체 접촉부(100)의 상기 전기자극( E )의 극성을 변경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위치에 따른 상기 전기자극( E )을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변화를 주어 심장 주변에 다양한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이 통신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전기 충격기로 사용하는 현재 정상적으로 통신사에 개통되어 있는 스마트폰(10)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보안성과 사용 기기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본인 인증을 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본인 인증은 사전에 정해진 특정 시간 이상 진행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한다.
즉, 지문 인식등의 본인 인증 절차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되, 본인 인증에 최소 4 에서 5초의 인증 시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 충격기로 사용하는데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본인 인증을 통과하여 상기 제어부(200)을 구동하는 앱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바른 상기 생체 접촉부(100) 접촉예를 상기 스마트폰(1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버부(3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개시되는 정보, 수집되는 상기 감지신호(101a) 및 인가하는 상기 전기 신호(102a)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제공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감지신호(101a)가 심정지인 경우에는 사전에 설정된 지정처인 외부서버(400)에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응급 메시지를 수신한 병원 또는 119 응급구조대에서는 상기 외부서버(400)에 수신된 상기응급 메시지와 상기 서버부(300)에 저장된 상기 감지신호(101a) 및 인가하는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이용하여 심정지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처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심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계속 제공 여부를 판단하며,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 앱을 통하여 심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정상 상태임을 알려주도록 한다.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되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정상 상태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강도를 사전에 설정된 강도로 증강 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심정지 환자가 초기의 상기 전기 신호(102a) 강도에도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강도를 높이도록 하되,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을 따르도록 하여, 임의 사용에 따른 오동작 또는 환자의 부상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순간에는 상기 감지 센서( S )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을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과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의 동시 처리를 방지하여 상호 간섭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10) 외부의 보조 배터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스마트폰(10)은 케이블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생체 접촉부(100)가 동작하고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케이블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어부(200)에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폰(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보조 전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상기 생체 접촉부(1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마트폰(10)과 스마트폰 케이스가 케이블 또는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생체 접촉부(100)가 동작하고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서 수집되는 정보는 케이블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제어부(200)에 전송되어 상기 스마트폰(1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사용 방법은 스마트폰(10)에서 본인 인증 모듈(201)을 이용하여 제어부(200)를 기동시키는 기동 단계(S100)가 구비된다.
이렇게 하여 스마트폰(10)의 제어부(200)가 기동 되면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의 생체 접촉부(100)를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시키는 생체 접촉 단계(S200)가 구비된다.
이렇게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로 부터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 단계(S30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수집된 상기 감지 신호(101a)로 심장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 분석 단계(S400)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를 통해 심장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감지 신호(101a) 회로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 단계(S50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 자극 단계(S60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전기 신호(102a) 회로를 차단하는 전극 차단 단계(S7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 이후 상기 신호 수집 단계(S300),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 상기 신호 차단 단계(S500),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및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를 반복적으로 사용자 종료시 또는 감지 신호(101a)가 정상 상태로 판단될 때까지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에서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시간이 일정하게 경과 하여도 다시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가 계속 비정상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세기로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증강 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10) 후면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생체 접촉부(100)의 상기 전기자극( E )의 어느 하나는 양극으로 나머지는 음극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소지한 사용자는 지문 인식등으로 본인 인증을 하여 심장 충격기 사용을 준비한다.
이때 본인 인증은 4 에서 5 초 스마트폰(10)의 지문 인식기를 터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4 내지 5 초를 통하여 본인 인증이 되면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이용하기 위한 앱이 본격적으로 구동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마트폰(10) 후면의 생체 접촉부(100)을 환자의 심장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시키도록 한다.
스마트폰(10)의 제어부(200)는 생체 접촉부(100)의 감지 센서( S )를 이용하여 감지신호(101a)를 수집하여 심 정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기자극( E )에 전기 신호(102a)를 보내는 것이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보내지는 전기 신호(102a)에도 환자가 깨어나지 않거나, 감지신호(101a)에 변화가 없다면 전기 신호(102a)의 강도가 더 높아지며, 전기자극( E )에 가해지는 전기 신호(102a)의 극성을 변경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렇게 전기 충격하는 도중에도 제어부(300)는 환자의 감지신호(101a) 정보와 제공되는 전기자극( E ) 정보를 저장하고 119 구급센터 또는 스마트폰(1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병원등과 같은 외부서버(400)에 알림 메시지와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여 필요한 구급 요청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119 구급 대원 또는 병원에서 환자 처리에 활용되는 것이다.
이렇게 활용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통하여, 개인들에게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심장 충격기를 제공하여 심장 마비 환자에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적용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상부와 하부에 생체 접촉부를 형성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전기 신호를 양극과 음극을 서로 변경하며 제공하여 심장 전기 충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 ... 스마트폰
100 ... 생체 접촉부
S ... 감지 센서
101a ... 감지신호
P ... 전기자극
102a ... 전기 신호
E ... 패치
200 ... 제어부
201 ... 본인 인증 모듈
300 ... 서버부
400 ... 외부서버

Claims (12)

  1. 보조배터리, 스마트폰 케이스 또는 스마트폰(10) 배면에 배치되거나 연결되어 심장 충격기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되어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서 심장 박동에 관련되는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감지 센서( S )의 역할과 심장 표면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자극( E )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생체 접촉부(100);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를 처리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 인가를 제어하도록 상기 스마트폰(10)에 구비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 개시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되는 본인 인증 모듈(201); 및 서버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 신호(102a)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인가되는 순간에는 상기 감지 센서( S )의 회로를 차단하여 상기 감지신호(101a) 수집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지 센서( S )는,
    금속의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는 고정전극을 인체의 심장부위 인체 표면에 직접 접촉시켜 심장박동에 의한 인체 표면의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인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패치( P )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패치( P )는 상기 스마트폰(10), 보조배터리 또는 스마트폰 케이스로부터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에 직접 배치되는 전극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 배면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극( E )의 어느 하나는 양극으로 나머지는 음극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이 통신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본인 인증을 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신호(102a)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이 일정 시간 이상 경과해도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가 계속 비정상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세기로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증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접촉부(100)는,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 상부와 하부의 양 끝에 각각 한 쌍씩 4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기자극( E )에 인가되는 상기 전기 신호(102a)의 극성을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은 사전에 정해진 특정 시간 이상 진행한 경우에만 상기 감지 센서( S )와 상기 전기 신호(102a)를 통한 상기 전기자극( E )을 동작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300)는,
    상기 본인 인증 모듈(201)이 개시되는 정보, 수집되는 상기 감지신호(101a) 및 인가하는 상기 전기 신호(102a)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제공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감지신호(101a)가 심정지 상태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외부서버(400)에 응급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응급 메시지는 수집된 상기 감지신호(101a), 인가한 상기 전기 신호(102a) 및 상기 스마트폰(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10. 삭제
  11. 제 1 항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에서 본인 인증 모듈(201)을 이용하여 제어부(200)를 기동시키는 기동 단계(S100);
    상기 스마트폰(10) 배면의 생체 접촉부(100)를 시술 대상자 심장 표면에 접촉시키는 생체 접촉 단계(S2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로 부터 감지 신호(101a)를 수집하는 신호 수집 단계(S300);
    상기 제어부(200)가 수집된 상기 감지 신호(101a)로 심장 상태를 판별하는 신호 분석 단계(S400);
    심장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감지 신호(101a)의 회로를 차단하는 신호 차단 단계(S5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생체 접촉부(100)에 전기 신호(102a)를 인가하는 전기 자극 단계(S600);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전기 신호(102a)의 회로를 차단하는 전극 차단 단계(S700); 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 이후 상기 신호 수집 단계(S300),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 상기 신호 차단 단계(S500),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및 상기 전극 차단 단계(S70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호 분석 단계(S400)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로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 수행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에서 상기 전기 신호(102a) 제공 시간이 일정하게 경과 하여도 다시 수집되는 상기 감지 신호(101a)가 계속 비정상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세기로 상기 전기 신호(102a)를 증강 시키도록 구비되며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10)의 디스플레이에 정상 상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전기 자극 단계(S600)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스마트폰(10) 후면 상부와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생체 접촉부(100)의 상기 전기자극( E )의 어느 하나는 양극으로 나머지는 음극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사용 방법.
  12. 삭제
KR1020170162003A 2017-11-29 2017-11-29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1874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03A KR101874947B1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003A KR101874947B1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947B1 true KR101874947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003A KR101874947B1 (ko) 2017-11-29 2017-11-29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9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992A (ja) * 2000-03-08 2001-09-11 Nippon Koden Corp 電気治療装置およびその電気エネルギー供給方法
US20140222096A1 (en) * 2013-02-07 2014-08-07 National Central University Cell phone with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US20170189702A1 (en) * 2016-01-03 2017-07-06 Igor Abramov Automatic defibril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5992A (ja) * 2000-03-08 2001-09-11 Nippon Koden Corp 電気治療装置およびその電気エネルギー供給方法
US20140222096A1 (en) * 2013-02-07 2014-08-07 National Central University Cell phone with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US20170189702A1 (en) * 2016-01-03 2017-07-06 Igor Abramov Automatic defibrill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6832B2 (en) Wearable cardiac defibrillator (WCD) system sounding alert to bystanders
US9079045B2 (en) Wearable defibrillator system communicating vi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6142442B2 (ja) ユーザの応答性を検証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医療器具
US200702709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efibrillator
US808632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efibrillator
US20160174857A1 (en) Wearab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ardiac Arrest and Alerting Emergency Response
KR20180033520A (ko) 심장소생을 위한 인지 및 치료 시스템
US20140114142A1 (en) Intelligent patient monitor pendant
US20190105505A1 (en) Wear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wcd) system using security nfc tag for requests of data from memory
KR10187494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심장 충격기 및 그 사용 방법
US20230372722A1 (en) Managing alerts in a wcd system
US20230347158A1 (en) Response mechanisms
CN108969888B (zh) 使用安全标签上传配置数据的可穿戴心律转复除颤器系统
KR101206581B1 (ko)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용 환자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심장제세동기
US20130150909A1 (en) Modes of operation for atrial defibrillation using an implantable defibrillator
US20050043639A1 (en) Method for decreasing mortality of hemodialysis patients
WO2017147977A1 (zh) 一种贴片式健康监测设备
EP3329963B1 (en) Wear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wc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