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25B1 -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25B1
KR101874625B1 KR1020160088405A KR20160088405A KR101874625B1 KR 101874625 B1 KR101874625 B1 KR 101874625B1 KR 1020160088405 A KR1020160088405 A KR 1020160088405A KR 20160088405 A KR20160088405 A KR 20160088405A KR 101874625 B1 KR101874625 B1 KR 10187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supply device
siz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429A (ko
Inventor
장광일
Original Assignee
장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일 filed Critical 장광일
Priority to KR102016008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 원하는 음식물과 용기의 크기와 용량별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하는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Pa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o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매자 원하는 음식물과 용기의 크기와 용량별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의 고도화 및 복잡화와 함께 정보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현대인의 생활은 더욱 더 바빠지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단시간에 손쉽게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보존이 간단하며 수송 및 휴대가 편리한 인스턴트식품 또는 농축수산 가공식품의 소비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이나 가공식품의 포장은 일반적으로 경제성 및 성형의 용이성 측면에서 높은 위생성을 지니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제를 이용하여 만든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제조공장이나 식품가공공장에서는 이러한 인스턴트식품이나 가공식품의 포장을 위한 용기를 높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서 정확하게 공급하는 일은 공정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3979호(2010.09.16 등록)는 식품의 포장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포장장치 및 포장용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포장용기에 식품을 충진수과 함께 담아서 밀폐시키는 포장방법에 있어서, 바닥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포장용기에 식품과 충진수를 담아서 이송하는 단계와, 포장용기의 상부에 리드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포장용기의 바닥면이 처짐을 억제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개봉부를 리드재로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실링시 포장용기가 충진수와 식품의 중량에 의해 처짐을 유발하지 않도록 지지됨으로써 포장용기의 실링부위에 대한 변형 유발을 억제하여 실링의 불완전 및 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실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포장용기의 실링부위에 대한 변형을 억제한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상부에 표면장력에 의해 돌출된 충진수를 실링전 또는 실링중에 배출시킴으로써 실링후 과도하게 충진된 충진수에 의해 리드재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다단 적층시 자립을 가능하도록 하며, 포장용기의 실링부위에 대한 충진수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실링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73790호(2006.04.18. 등록)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원통 형상의 용기에 내용물을 담은 다음 그 용기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겉 포장할 수 있게 열수축 필름을 용기 외부에 설치작업을 자동화에 의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 포장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열수축 필름이 롤 상으로 감겨지게 설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감겨진 열수축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그 열수축 필름의 상하부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롤러와 이동롤러와 드럼의 사이에 열수축 필름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열수축 필름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들로 이루어진 열수축 필름 공급부와, 상기 열수축 필름 공급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열수축 필름을 원형상으로 벌려 주기 위한 원통 형상의 지그와, 지그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용기를 상기 지그의 일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실린더와, 실린더에 의해 지그의 일측면에 용기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열수축 필름을 용기의 외주면에 삽입하도록 열수축 필름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게 벌어지게 작동됨과 됨과 동시에 좌우로 슬라이딩 작동되게 설치된 작동바로 이루어진 열수축 필름 포장부와, 지그의 양측으로 배치되며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되게 설치되어 용기의 외주면에 삽입된 열수축 필름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반원 형상의 커팅날로 이루어진 열수축 필름 커팅부와, 열수축 필름 포장부에 의해 용기의 외주면에 열수축 필름이 삽입된 후 열수축 필름 커팅부에 의해 열수축 필름이 절단된 용기를 배출하도록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용기를 밀어 배출하도록 한 배출실린더와 배출실린더에 의해 배출되는 용기를 안내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 가이드로 이루어진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포장장치 및 방법은, 음식물의 정량을 공급하기 위해 수작업을 통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작업자가 저울을 통하여 일정한 질량을 맞추어서 음식물을 용기에 담는 사용함으로써, 용기에 음식물을 공급할 시에, 음식물에 이물질이 혼입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최종 제품을 생산할 시에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며, 대량 생산을 하는 경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포장장치 및 방법은, 제공할 수 있는 음식물의 용량이 정해져 있어, 판매자가 각자 원하는 음식물의 양을 제공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39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7379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매자 원하는 음식물과 용기의 크기와 용량별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하는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음식물 포장 장치은,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음식물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는, 음식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를 상기 용기공급장치에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용기공급장치는,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를 상기 메모리장치에서 확인하여 공급해 주며, 공급되는 용기의 사이즈를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는, 상기 용기공급장치로부터 통보되는 용기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음식물의 양을 상기 메모리장치에서 확인하며, 확인된 음식물의 양만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음식물 포장 장치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포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용기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음식물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식물 종류를 통보하며, 용기 사이즈를 선택하고 선택된 용기 사이즈를 통보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상기 메모리장치에서 확인하여 전달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통보되는 용기 사이즈에 따라 상기 용기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음식물 포장 장치은, 상기 용기공급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용기를 운송하기 위한 용기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각각 공급하는 다수 개의 용기공급장치;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각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각 음식물을 각각 공급하는 다수 개의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각 음식물을 공급한 각 용기를 각각 포장하는 다수 개의 포장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용기공급장치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하는 단계; 음식물공급장치가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포장장치가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식물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자 원하는 음식물과 용기의 크기와 용량별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제공업체로부터 대량의 음식물을 공급받아 공급장치에 투입함으로써, 용기에 음식물을 공급할 시에, 음식물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이에 최종 제품을 생산할 시에 불량률이 낮아지게 되고, 대량 생산을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음식물과 음식물별로 공급되는 용기와 용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어, 판매자(또는, 판매업체)별로 판매자가 원하는 음식물의 양을 원하는 개수만큼 판매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식물 포장 장치(100)는, 용기공급장치(110), 음식물공급장치(120), 포장장치(130)를 포함한다.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용기, 비닐주머니 등과 같은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는, 원하는 음식물이 공급된 용기를 판매하는 판매점(예를 들면, 편의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김치 등과 같이 향이 강하고 무거우며 국물이 외부로 새기 쉬운 음식물인 경우에,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하며, 시금치, 나물 등과 같이 향이 강하지 않고 가벼운 음식물인 경우에, 다소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별 사이즈를 각각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용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공급하여 판매자가 원하는 크기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소'자(즉, 중간크기 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200g인 크기), '중'자(즉, 중간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400g인 크기), '대'자(즉, 중간크기 보다 큰 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600g인 크기)와 같이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 용기별 사이즈를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김치 또는 장조림의 용기가 '소'자, '중'자, '대'자의 크기별로 각각 공급되는 경우에, 용기에 김치를 담는 용기의 사이즈(즉, 김치를 담는 소, 중, 대의 크기)가 장조림을 담는 용기의 사이즈(즉, 장조림을 담는 소, 중, 대의 크기)보다 각각 더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은, 예를 들면, 김치, 불고기, 나물, 장조림 등과 같은 반찬, 밥, 된장국, 김칫국 등과 같은 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의 종류(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에 대응하는 용기를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여 공급해 주며, 공급되는 용기의 사이즈를 음식물공급장치(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선택된 음식물이 장조림인 것을 통보받으면, 메모리장치(140)에서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를 확인하여, 장조림을 담을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선택된 음식물이 장조림인 것과 입력된 용기의 사이즈가 '소'자인 것을 통보받으면, 메모리장치(140)에서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와,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의 사이즈 중에서 '소'자를 확인하여 공급하며, 공급되는 용기의 '소'자 사이즈를 음식물공급장치(120)에 통보할 수 있다.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음식물 제공업체(또는, 음식물 제공점, 음식물 제공자)로부터 다양한 음식물을 제공받아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한 용기에 다양한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내부로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음식물이 용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이 하부방향으로 밀려 내려가도록 할 수 있으며, 하부의 내부지름을 용기의 내부길이보다 좁게 형성하여, 용기의 외부로 음식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음식물을 넣은 후에,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음식물(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를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장조림을 넣은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장조림을 선택하면, 해당 선택한 장조림을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용기의 개수를 200개로 입력하면, 해당 입력된 개수(즉, 200개)를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용기공급장치(110)로부터 통보되는 용기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음식물의 양을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며, 확인된 음식물의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용기공급장치(110)로부터 용기의 사이즈가 '소'자인 것을 통보받아, 해당 '소'자에 대응하는 장조림의 양을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조림의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포장장치(130)는,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장치(130)는, 예를 들면, 압착장치로서, 비닐(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비닐)을 용기(예를 들면, 플라스틱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압착하여, 용기를 포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장치(130)는, 예를 들면, 접합장치로서, 용기(예를 들면, 비닐주머니)의 매듭부분을 접합하여, 용기를 포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장치(130)는,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용기의 상부를 덮어줌으로써, 용기를 포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장장치(130)는,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비닐(예를 들면, 실링지, 투명비닐 등)을 압착한 다음에, 별도의 덮개를 덮어주어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외부로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식물 포장 장치(200)는, 메모리장치(140), 용기운송장치(170), 적재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140)는,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공급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음식물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공급하는 각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장치(140)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공급하는 음식물이 반찬일 경우에, 반찬에 대응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 반찬의 용기 사이즈별 정보(예를 들면, 200ml 크기의'소'자 용기, 400ml 크기의'중' 용기, 600ml 크기의'대'자 용기), 반찬의 용기 사이즈별에 대응하여 반찬을 공급하는 양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소'자 용기에 200g, '중'자 용기에 400g, '대'자 용기에 600g 공급)를 설정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용기운송장치(170)는, 용기공급장치(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하는 용기를 운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운송장치(170)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로서, 용기공급장치(110)에서 용기가 공급된 다음에, 해당 용기에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음식물을 공급하도록(즉, 용기가 공급된 이후에 음식물이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용기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적재장치는, 음식물공급장치(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장이 완료된 용기를 적재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적재장치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의 좌측에 용기운송장치(170)가 형성되는 경우에, 음식물공급장치(12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식물 포장 장치(100)는, 판매자 원하는 음식물과 용기의 크기와 용량별로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으로써, 음식물 제공업체로부터 대량의 음식물을 공급받아 음식물공급장치(120)에 투입하여,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하는 용기에 음식물을 공급할 시에, 음식물에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으며, 이에 최종 제품을 생산할 시에 불량률이 낮아지게 되고, 대량 생산을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포장 장치(100)는, 용기공급장치(110)와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음식물과 음식물별로 공급되는 용기와 용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어, 판매자(또는, 판매업체)별로 판매자가 원하는 음식물의 양을 원하는 개수만큼 판매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 포장 장치(200)는, 용기공급장치(110), 음식물공급장치(120), 포장장치(130), 메모리장치(140), 제어장치(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공급장치(110), 음식물공급장치(120), 포장장치(130), 메모리장치(140)는,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장치(250)는,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포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음식물공급장치(120) 및 용기공급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250)는, 메모리장치(140)로부터 음식물 종류의 정보를 확인하여, 용기공급장치(110) 및 음식물공급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250)는, 메모리장치(140)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확인하여, 용기공급장치(110) 및 음식물공급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제어장치(250)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해당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와 용기 사이즈에 해당하는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제어장치(250)로부터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해당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을 해당 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장치(250)는, 입력부(251), 제어부(252), 디스플레이부(253)를 포함한다.
입력부(251)는, 음식물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식물 종류를 제어부(252)에 통보하며, 용기 사이즈를 선택하고 선택된 용기 사이즈를 제어부(252)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251)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장조림을 선택하면, 장조림을 선택한 것을 먼저 제어부(252)에 통보하고, 장조림을 담을 용기의 사이즈를 '중'자로 선택하면, 선택된 사이즈를 제어부(252)에 통보해줄 수 있다.
제어부(252)는, 입력부(251)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253)로 전달하고, 입력부(251)로부터 통보되는 용기 사이즈에 따라 용기공급장치(110) 및 음식물공급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52)는, 입력부(251)로부터 통보되는 용기 사이즈에 해당하는 음식물의 양을 음식물공급장치(120)로 통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52)는, 예를 들어, 입력부(251)로부터 통보되는 용기가 장조림용 용기이며, 용기 사이즈가 '중'자일 경우에, 메모리장치(140)에서 이에 해당하는 장조림용 용기와, 장조림용 용기의 '중'자 용량이 200g를 임을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253)로 전달하며, 용기공급장치(110) '중'자 사이즈의 장조림용 용기가 공급되도록 용기공급장치(110)를 제어하고, 장조림 200g가 공급되도록 음식물공급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3)는, 제어부(252)로부터 전달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표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53)는, 예를 들면, LCD, LE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서, 제어부(252)로부터 전달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식물 포장 장치(300)는, 다수 개의 용기공급장치(310), 다수 개의 음식물공급장치(320), 다수 개의 포장장치(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공급장치(310), 음식물공급장치(320), 포장장치(330)는,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공급장치(310)는,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각 음식물공급장치(320)에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310)는, 음식물공급장치(320) 및 포장장치(33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공급장치(310)는, 예를 들어 세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 '소'자, '중'자, '대'자 사이즈의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음식물공급장치(320)는, 용기공급장치(310)에서 공급한 각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각 음식물을 각 용기에 각각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음식물공급장치(320)는, 예를 들어 용기공급장치(310)가 세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각 '소'자, '중'자, '대'자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을 공급할 수 있다.
포장장치(330)는, 음식물공급장치(320)에서 각 음식물을 공급한 각 용기를 각각 포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용기공급장치(110)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한다(S110).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는, 플라스틱 용기, 비닐주머니 등과 같은 용기일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판매자는, 원하는 음식물이 공급된 용기를 판매하는 판매점(예를 들면, 편의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김치 등과 같이 향이 강하고 무거우며 국물이 외부로 새기 쉬운 음식물인 경우에,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하며, 시금치, 나물 등과 같이 향이 강하지 않고 가벼운 음식물인 경우에, 다소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별 사이즈를 각각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용기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공급하여 판매자가 원하는 크기의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용기의 사이즈에 따라 '소'자(즉, 중간크기 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200g인 크기), '중'자(즉, 중간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400g인 크기), '대'자(즉, 중간크기 보다 큰 크기)(예를 들면, 음식물이 담기는 양이 600g인 크기)와 같이 구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각 용기별 사이즈를 다르게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김치 또는 장조림의 용기가 '소'자, '중'자, '대'자의 크기별로 각각 공급되는 경우에, 용기에 김치를 담는 용기의 사이즈(즉, 김치를 담는 소, 중, 대의 크기)가 장조림을 담는 용기의 사이즈(즉, 장조림을 담는 소, 중, 대의 크기)보다 각각 더 클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음식물은, 예를 들면, 김치, 불고기, 나물, 장조림 등과 같은 반찬, 밥, 된장국, 김칫국 등과 같은 국일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의 종류(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에 대응하는 용기를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여 공급해 주며, 공급되는 용기의 사이즈를 음식물공급장치(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선택된 음식물이 장조림인 것을 통보받으면, 메모리장치(140)(도 2 참조)에서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를 확인하여, 장조림을 담을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예를 들어, 음식물공급장치(120)로부터 선택된 음식물이 장조림인 것과 입력된 용기의 사이즈가 '소'자인 것을 통보받으면, 메모리장치(140)에서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와, 장조림에 대응하는 용기의 사이즈 중에서 '소'자를 확인하여 공급하며, 공급되는 용기의 '소'자 사이즈를 음식물공급장치(120)에 통보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 있어서, 용기공급장치(110)는, 제어장치(250)(도 4 참조)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해당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와 용기 사이즈에 해당하는 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10에서 음식물공급장치(120)가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한다(S120).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음식물 제공업체(또는, 음식물 제공점, 음식물 제공자)로부터 다양한 음식물을 제공받아 용기공급장치(110)에서 공급한 용기에 다양한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 형성되어, 내부로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투입된 음식물이 용기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이 하부방향으로 밀려 내려가도록 할 수 있으며, 하부의 내부지름을 용기의 내부길이보다 좁게 형성하여, 용기의 외부로 음식물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음식물을 넣은 후에,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음식물(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또는, 용기의 사이즈나 개수)를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장조림을 넣은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장조림을 선택하면, 해당 선택한 장조림을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운용자 또는 관리자가 용기의 개수를 200개로 입력하면, 해당 입력된 개수(즉, 200개)를 용기공급장치(11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용기공급장치(110)로부터 통보되는 용기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음식물의 양을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며, 확인된 음식물의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예를 들어, 용기공급장치(110)로부터 용기의 사이즈가 '소'자인 것을 통보받아, 해당 '소'자에 대응하는 장조림의 양을 메모리장치(140)에서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장조림의 양만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 있어서, 음식물공급장치(120)는, 제어장치(250)(도 4 참조)로부터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해당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을 해당 용기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20에서, 포장장치(130)가 음식물공급장치(120)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한다(S130).
상술한 단계S130에 있어서, 용기 포장 단계(S120)는, 포장장치(130)(예를 들면, 압착장치)가 비닐(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비닐)을 용기(예를 들면, 플라스틱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압착하여, 용기를 포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30에 있어서, 용기 포장 단계(S120)는, 포장장치(130)(예를 들면, 접합장치)가 기(예를 들면, 비닐주머니)의 매듭부분을 접합하여, 용기를 포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S130에 있어서, 용기 포장 단계(S120)는, 포장장치(130)(예를 들면, 압착장치)가 비닐(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비닐)을 용기(예를 들면, 플라스틱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압착한 다음에, 별도의 덮개를 덮어주어 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외부로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300: 음식물 포장 장치
110, 310: 용기공급장치
120, 320: 음식물공급장치
130, 330: 포장장치
140: 메모리장치
170: 용기운송장치
250: 제어장치
251: 입력부
252: 제어부
253: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하되,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하는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하는 포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음식물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 및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포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용기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장치로부터 확인하여, 상기 용기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용기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와 용기 사이즈에 해당하는 용기를 공급하며;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을 용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는,
    음식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음식물의 종류를 상기 용기공급장치에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장치는,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를 상기 메모리장치에서 확인하여 공급해 주며, 공급되는 용기의 사이즈를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 통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음식물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음식물 종류를 통보하며, 용기 사이즈를 선택하고 선택된 용기 사이즈를 통보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통보되는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상기 메모리장치에서 확인하여 전달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통보되는 용기 사이즈에 따라 상기 용기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용기 및 용기 사이즈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공급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용기를 운송하기 위한 용기운송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장치.
  9. 삭제
  10. 용기공급장치가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공급하되,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의 종류를 각각 다르게 공급하는 단계; 음식물공급장치가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한 용기에 해당하는 양만큼 음식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포장장치가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음식물을 공급한 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어장치는,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를 판매자별로 구분해서 포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음식물공급장치 및 상기 용기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 음식물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공급장치에서 공급하는 용기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한 정보, 각 용기별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장치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용기공급장치 및 상기 음식물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용기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 및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음식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질의 용기와 용기 사이즈에 해당하는 용기를 공급하며;
    상기 음식물공급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의 정보를 통보받아, 음식물 종류와 용기 사이즈에 대응하는 음식물의 양을 용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 방법.
KR1020160088405A 2016-07-13 2016-07-13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KR10187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05A KR101874625B1 (ko) 2016-07-13 2016-07-13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05A KR101874625B1 (ko) 2016-07-13 2016-07-13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29A KR20180007429A (ko) 2018-01-23
KR101874625B1 true KR101874625B1 (ko) 2018-07-05

Family

ID=6107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05A KR101874625B1 (ko) 2016-07-13 2016-07-13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86A (ko) * 2019-09-25 2021-04-02 한병엽 인공지능 기반의 포장용기 재고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018B1 (ko) * 2019-09-11 2021-08-30 한병엽 포장용기 자동 주문발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9500A (ja) 2013-01-17 2016-03-31 フランケ・カフェーマシーネン・アー・ゲーFranke Kaffeemaschinen Ag 飲料調製機器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飲料調製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9500A (ja) 2013-01-17 2016-03-31 フランケ・カフェーマシーネン・アー・ゲーFranke Kaffeemaschinen Ag 飲料調製機器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飲料調製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86A (ko) * 2019-09-25 2021-04-02 한병엽 인공지능 기반의 포장용기 재고 처리 장치
KR102353505B1 (ko) * 2019-09-25 2022-01-20 한병엽 인공지능 기반의 포장용기 재고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29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4404C (en) Innovative shipping package
US6671578B1 (en) Structures and processes for packaging perishable and other products
US629339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ackaging and distributing combinations of foods and beverages
US3654746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packages
KR101874625B1 (ko) 음식물 포장 장치 및 방법
US108133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eat products in a modified atmosphere
US3144130A (en) Package assembly
KR100374238B1 (ko) 외부 컨테이너로 용기를 삽입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작동방법
KR101929744B1 (ko) 누수 검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음료용 파우치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US20010012531A1 (en) Retail snack food package with dip in the bag
US20100012658A1 (en) Container having two distinct compartments
Hughes Food packaging machinery
CN206665367U (zh) 一种运输用防震水果箱
KR101970277B1 (ko) 자동 포장 및 묶음이 가능한 김자반 제조 장치
US11377282B2 (en) Use of a tray for conveying pouches for flexible containers and methods and machines using such tray
JP3379822B2 (ja) 金属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包装装置
WO2023194936A1 (en) System for weighing and packaging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CN218258792U (zh) 一种方便菜肴无菌包装线的送料装置
CN209427142U (zh) 一种食品包装用凹槽设备
KR20190076115A (ko) 대용량 케이스 두부 자동 절단 및 밀봉 포장기계
KR20160002915U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의 포장장치
JP2009078841A (ja) 容器搬送設備
JP2010013149A (ja) 位置決め包装方法及び装置
KR20210151630A (ko) 식품의 자동으로 연속 포장되는 기계 장치
JP3672624B2 (ja) 果菜物集出荷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