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68B1 -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68B1
KR101873768B1 KR1020170098910A KR20170098910A KR101873768B1 KR 101873768 B1 KR101873768 B1 KR 101873768B1 KR 1020170098910 A KR1020170098910 A KR 1020170098910A KR 20170098910 A KR20170098910 A KR 20170098910A KR 101873768 B1 KR101873768 B1 KR 101873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source
music
chair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7009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3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display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는 등받이, 다리받침대, 팔받침대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다리받침대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팔 받침대는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고 네일아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의자 본체, 상기 의자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채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헤드레스트에 마련되는 스피커,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음원저장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음원끼리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상기 생체정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음원저장영역 중 하나에 저장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Multi Beauty Chair}
본 발명은 멀티 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일 케어와 동시에 뮤직 테라피 또는 아로마 테라피를 통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추구하는 신체적 아름다움의 표현 방식의 하나로 미용 산업은 발달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이후 급격한 시장 확대와 함께 일반인들에게 미용 산업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 중에서도,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의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래, 네일 아트는 미용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디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네일의 길이나 모양 또는 색깔은 시대의 문화의 변화와 가치를 반영하여 표현되어 왔다.
종래의 네일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상 안료를 도포하는 방법은 안료 도포 후 이를 건조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조 후 내구성이 매우 떨어져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안료에 UV 경화 수지를 포함하여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한 후 이를 UV 램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UV 젤 네일(ultraviolet gel nail)이 각광받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젤네일 시술은 줄칼로 손톱 또는 발톱의 모양을 다듬고 따뜻한 비눗물에다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담근 후큐티클 리무버(표피제거제)로 마사지하고 푸셔(pusher)로 손톱 또는 발톱의 뿌리부분의 피부를 누르고 니퍼(nipper;손톱 발톱용 가위)로 잘라낸 후 비눗물로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씻고 버퍼(buffer)로 잘 문지른다. 그리고 손 또는 발 전체를 마사지한 후, 손톱의 보호와 젤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손톱에 베이스젤(base gel)을 먼저 바른 후에 그 위에 칼라젤(color gel)과 탑젤(top gel)을 바르는 과정을 거친다. 각각의 젤을 바른 후에는 젤을 굳히기 위한 큐어링(curing) 처리가 이루어진다.
UV 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장점을 갖는데,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되지 않고, 광택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은 UV 젤은 UV 젤층 형성용 조성물을 천연 네일에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 천연 네일이 글로시(glossy)하고 샤이니(shiny)한 고급스러운 효과를 낼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소비자의 경제력이 높아짐에 따라 자신의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손톱이나 발톱의 모양을 예쁘게 말들어 주는 네일아티스트가 생기게 되었으며, 이를 전문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사업장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네일 케어 서비스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객이 앉을 수 있는 의자와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탁자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필요 실내 공간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객의 발톱 관리를 위해서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별도의 테이블이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상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테이블로 이루어지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네일 케어를 실시하였으나 젤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네일 케어용 작업대와 경화기가 따로 마련되어 작업 동선이 길어 능률이 떨어지며, 작업대와 경화기 그리고 발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이 각각 마련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지고 작업하는 공간이 정리 정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네일 케어용 작업대는 네일 케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부스러기, 거스러미)나 유해물질을 빨아드릴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건강에 해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팔 받침대에 손톱이나 발톱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톱이나 발톱 분진을 배출하는 진공배출기와 경화기가 마련되는 미용 의자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네일 케어에 걸리는 시간이 최소 30분을 넘어가는 만큼, 네일 케어를 받는 도중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미용 의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39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5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82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음악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멀티 미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향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멀티 미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는 의자 본체, 생체정보 인식부, 스피커, 음원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자 본체는 등받이, 다리받침대, 팔받침대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다리받침대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팔 받침대는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고 네일아트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생체정보 인식부는 상기 팔 받침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채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마련된다.
상기 음원 저장부는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음원저장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음원끼리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음원저장영역 중 하나에 저장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등받이의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사용자의 머리 양 측에서 한 쌍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 즉 한 쌍의 상기 헤드레스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원은 음악의 비트 또는 템포에 따라 복수의 군으로 분류되어, 상기 음원저장영역에는 각각의 군에 속하는 음원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멀티 미용 의자는 복수의 향을 각각 저장하는 향 저장부 및 한 쌍의 상기 헤드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향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향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상기 향 저장부에 저장된 향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멀티 미용 의자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스트레스 지수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음악 또는 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추천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음악 또는 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거나 향을 분사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로부터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매칭되는 음악을 재생하거나 향을 분사하여 네일 케어를 받는 동안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로부터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합한 음악 또는 향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음악 또는 향을 취향대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가 베드로 변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내부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가 베드로 변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의 내부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는 의자 본체(100), 생체정보 인식부(132), 스피커(114), 음원 저장부(15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의자 본체(100)는 등받이(110), 다리 받침대(120), 팔 받침대(130), 헤드레스트(112)를 포함한다. 등받이(110) 및 다리 받침대(12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110) 및 다리 받침대(120)의 각도를 조절하여 등받이(110)와 다리 받침대(120)가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의자에서 베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로써,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네일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다리 받침대(120)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피스톤에 의해 다리 받침대(12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리 받침대(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라면 피스톤 외에 어떤 것이든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팔 받침대(130)에는 사용자가 팔과 손을 올려놓고 네일 케어를 받을 수 있으며, 팔 받침대(130)에는 네일 케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발톱 분진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진공배출기와 매니큐어 등의 도료를 신속하게 건조하는 건조기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112)는 등받이(110)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머리 양 측에서 한 쌍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레스트(112)에는 스피커(114)가 마련된다. 스피커(114)는 헤드레스트(112)의 내측, 즉 한 쌍의 헤드레스트(1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형 헤드레스트(1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스피커(114)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귀 근처에서 음악이 재생되기 때문에 볼륨을 매우 낮게 하여 음악 재생이 가능하다. 네일 샵에는 복수의 미용 의자가 설치될 수 있는데, 미용 의자에서 네일 케어를 받는 사용자에게는 인접한 미용 의자에서 재생되는 음악이 들리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착석한 미용 의자에서 재생되는 음악이 다른 미용 의자에서 재생되는 음악과 뒤섞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팔 받침대(130)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정보 인식부(132)가 마련된다. 생체정보 인식부(132)로는 손 끝 모세혈관의 맥파를 측정할 수 있는 맥파 측정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파 측정 센서는 이미 판매되고 있는 소형의 기존 제품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음원 저장부(150)에는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음원 저장영역(152, 154, 156)으로 구분하여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음원끼리 저장한다. 음원은 음악의 비트 또는 템포에 따라 복수의 군으로 분류되고, 음원 저장영역(152, 154, 156)에는 각각의 군에 속하는 음원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음원은 제 1 템포 이하의 템포를 가지는 제 1군, 제 1 템포와 제 2 템포 사이의 템포를 가지는 제 2군, 제 2 템포 이상의 템포를 가지는 제 3군으로 분류되고, 제 1군의 음원들은 제 1 음원 저장영역(152)에, 제 2군의 음원들은 제 2 음원 저장영역(154)에, 제 3군의 음원들은 제 3 음원 저장영역(156)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음원들은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가 있는 음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원을 세 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세 개의 음원 저장영역(152, 154, 156)에 각각 저장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음원의 분류 및 저장은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40)는 생체정보 인식부(132)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맥파 측정 센서인 생체정보 인식부(132)로부터 측정된 맥파를 입력받아 심박수를 분석하고, 심박수를 기초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복수의 음원 저장영역(152, 154, 156) 중 하나에 저장된 음원을 스피커(114)를 통해 재생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가 제 1값 이상이면 제 1 음원 저장영역(152)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고, 제 1값에서 제 2값 사이이면 제 2 음원 저장영역(154)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며, 제 2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3 음원 저장영역(156)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는 비교적 빠른 템포의 음악을 재생시켜 사용자의 기분을 명랑하게 해주고,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는 비교적 빠름 템포의 음악을 재생시켜 심신이 이완되고 마음이 평화로워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체어는 향 저장부(170) 및 향 분사부(170)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아로마 테라피로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향 저장부(170)는 복수의 향 저장공간(162, 164, 166)을 가지며, 각각의 향 저장공간(162, 164, 166)에는 서로 다른 향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향 저장부(170)는 제 1 향이 저장되는 제 1 향 저장공간(162), 제 2향이 저장되는 제 2 향 저장공간(164), 제 3향이 저장되는 제 3 향 저장공간(166)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향 저장부(170)는 향 분사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향 분사부(170)는 한 쌍의 헤드레스트(1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분사노즐(172) 및 각각의 향 저장공간(162, 164, 166)과 분사노즐(172)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172)은 전방으로 향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얼굴로 향이 분사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172)이 헤드레스트(1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코 부근에서 향을 분사함으로써 향을 조금만 분사하여도 사용자가 아로마 테라피 효과를 크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미용 의자에서 네일 케어를 받는 사용자에게는 인접한 미용 의자에서 분사된 향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착석한 미용 의자에서 분사되는 향이 다른 미용 의자에서 분사되는 향과 혼합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향 저장부(170)에 저장된 향 중 하나를 분사노즐(172)을 통해 분사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가 제 1값 이상이면 제 1 향 저장공간(162)에 저장된 향을 분사하고, 제 1값에서 제 2값 사이이면 제 2 향 저장공간(164)에 저장된 향을 분사하며, 제 2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3 향 저장공간(166)에 저장된 향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트레스 관리 기능을 가지는 멀티 미용 의자는 제어부(140)에서 산출된 상기 스트레스 지수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음악 또는 향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하여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원하는 음악 또는 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거나 향을 분사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가 제 1값 이상이면 제 1 음원 저장영역(152)에 저장된 음원을 추천하고, 제 1값에서 제 2값 사이이면 제 2 음원 저장영역(154)에 저장된 음원을 추천하며, 제 2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3 음원 저장영역(156)에 저장된 음원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스트레스 지수가 제 1값 이상이면 제 1 향 저장공간(162)에 저장된 향을 추천하고, 제 1값에서 제 2값 사이이면 제 2 향 저장공간(164)에 저장된 향을 추천하며, 제 2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 3 향 저장공간(166)에 저장된 향을 추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의자 본체 110: 등받이
114: 스피커 120: 다리 받침대
130: 팔 받침대 132: 생체정보 인식부
140: 제어부 150: 음원 저장부
160: 향 저장부 170: 향 분사부

Claims (6)

  1. 등받이, 다리받침대, 팔받침대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및 상기 다리받침대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팔 받침대는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고 네일아트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의자 본체;
    상기 의자 본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생채 정보를 입력받는 생체정보 인식부;
    상기 헤드레스트에 마련되는 스피커;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음원저장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음원끼리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상기 생체정보 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음원저장영역 중 하나에 저장된 음원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등받이의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사용자의 머리 양 측에서 한 쌍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 즉 한 쌍의 상기 헤드레스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와 상기 스피커가 가까이 위치함으로써 상기 스피커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볼륨을 낮게 하여 음악 재생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착석한 미용 의자에서 재생되는 음악과 인접한 미용 의자에서 재생되는 음악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멀티 미용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은 음악의 비트 또는 템포에 따라 복수의 군으로 분류되어, 상기 음원저장영역에는 각각의 군에 속하는 음원이 저장되는 멀티 미용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향을 각각 저장하는 향 저장부;
    한 쌍의 상기 헤드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향 저장부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향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라 상기 향 저장부에 저장된 향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멀티 미용 의자.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상기 스트레스 지수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지수에 따른 음악 또는 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추천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음악 또는 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재생하거나 향을 분사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멀티 미용 의자.
KR1020170098910A 2017-08-04 2017-08-04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KR101873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10A KR101873768B1 (ko) 2017-08-04 2017-08-04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10A KR101873768B1 (ko) 2017-08-04 2017-08-04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68B1 true KR101873768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10A KR101873768B1 (ko) 2017-08-04 2017-08-04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817S1 (en) 2020-01-31 2022-07-05 Abbyson Living, Llc Furniture controller
KR20220128203A (ko) 2021-03-12 2022-09-20 코웨이 주식회사 테라피 의자
US20220408925A1 (en) * 2020-01-31 2022-12-29 Abbyson Living Llc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US11612251B2 (en) * 2020-01-31 2023-03-28 Abbyson Living, Llc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17B1 (ko) * 2014-06-25 2015-03-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힐링 음악 안마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17B1 (ko) * 2014-06-25 2015-03-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힐링 음악 안마의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817S1 (en) 2020-01-31 2022-07-05 Abbyson Living, Llc Furniture controller
USD957855S1 (en) 2020-01-31 2022-07-19 Abbyson Living, Llc Furniture and furniture controller
US20220408925A1 (en) * 2020-01-31 2022-12-29 Abbyson Living Llc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US11612251B2 (en) * 2020-01-31 2023-03-28 Abbyson Living, Llc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US11779116B2 (en) 2020-01-31 2023-10-10 Abbyson Living Llc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USD1004619S1 (en) 2020-01-31 2023-11-14 Abbyson Living Llc Furniture controller
KR20220128203A (ko) 2021-03-12 2022-09-20 코웨이 주식회사 테라피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768B1 (ko)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한 멀티 미용 의자
Jakubietz et al. Defining the basic aesthetics of the hand
US20090145452A1 (en) Devices and methods of use for treatment of skin and hair
MXPA02012541A (es) Composiciones cosmeticas para el cuidado de la piel y que contienen mastique de goma.
ATE410096T1 (de)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einem produkt insbesondere kosmetika
JP5279891B2 (ja) 多数のセクションを有する人工爪またはチップ配列
EP3484322A1 (en) Brush for the application of cosmetic products
WO2020079726A1 (ja) 付け爪とその施術方法
Draelos Nail cosmetic issues
Brauer et al. Cosmetics: The care and adornment of nail
JP2011121915A (ja) 化粧方法
Brown Bobbi Brown makeup manual: For everyone from beginner to pro
Straughan Facing touch in the beauty salon: Corporeal anxiety
US20230329419A1 (en) Automated nail styling machine
Delamar The complete make-up artist: working in film, fashion, television and theatre
Padgett The green beauty rules: The essential guide to toxic-free beauty, green glamour, and glowing skin
US20070207100A1 (en) Method for hair loss disguise
KR20100125969A (ko) 화장용 진동 브러쉬
KR20170122079A (ko) 립글로스 조립체
Rauf Working as a Hairstylist in Your Community
US20200000203A1 (en) Beauty blender system
Von Mueffling Ageless Beauty the French Way: Secrets from Three Generations of French Beauty Editors
Richert et al. Nail care, nail modification techniques, and camouflaging strategies
Ganchy A Career as a Cosmetologist
JPWO2020026529A1 (ja) 疑似皮膚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該疑似皮膚フィルムを有する化粧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