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51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51B1
KR101873751B1 KR1020120011379A KR20120011379A KR101873751B1 KR 101873751 B1 KR101873751 B1 KR 101873751B1 KR 1020120011379 A KR1020120011379 A KR 1020120011379A KR 20120011379 A KR20120011379 A KR 20120011379A KR 101873751 B1 KR101873751 B1 KR 101873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er
flange
compresso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224A (ko
Inventor
이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온도 영역대에 따라 분리 작동되는 열교환 유니트에서 경계 영역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 영역대에 따라 분리 작동되는 열교환 유니트에서 경계 영역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증발기와 실내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간을 난방(히트펌프 사이클)시키거나 냉방(냉동 사이클)시킬 수 있다.
터보 냉동기는 저압의 유체를 흡입하여 고압의 유체로 압축하는 기기로서, 압축기와 증발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Impeller)와 임펠러가 수용되는 쉬라우드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로는 냉수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수는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로는 냉각수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수는 가열된다.
이때 냉동 사이클로 작동하는 냉동기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축기, 증발기, 응축기 등의 구성요소의 용량을 증가시켜 냉동기 자체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2대의 냉동기를 연결하여 열교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2대의 냉동기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 증발기와 각 응축기는 서로 다른 온도대역에서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인접하는 증발기들 사이 및 응축기들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지며 공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온도 영역대에 따라 분리 작동되는 열교환 유니트에서 경계 영역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증발기와 상기 제1 증발기와 장착된 제2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 유니트와 냉각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와 장착된 제2 응축기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 유니트와 제1 증발기와 제2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1 압축기 및 제2 증발기와 제1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2 압축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장치에는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되고,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격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부에는 단열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에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에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길이방향의 평면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길이방향의 평면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는 양정이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는 온도 영역대에 따라 분리 작동되는 열교환 유니트에서 경계 영역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단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단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는 냉수가 유입 및 토출되는 제1 열교환 유니트(10)와 냉각수가 유입 및 토출되는 제2 열교환유니트(20)를 포함하며, 냉수 및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제1 압축기(31) 및 제2 압축기(32)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의 용량을 높이기 위하여 2개의 냉매 사이클을 가지며, 이에 따라 듀얼 냉동기라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냉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증발기(11)와 상기 제1 증발기(11)와 장착된 제2 증발기(12)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 유니트(10)와 냉각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응축기(21)와 상기 제1 응축기(21)와 장착된 제2 응축기(22)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 유니트(20)와 제1 증발기(11)와 제2 응축기(22)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1 압축기(31) 및 제2 증발기(12)와 제1 응축기(21)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2 압축기(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즉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되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된다.
한편 KS표준을 예로 들면, 상기 제1 증발기(11)로 유입되는 냉수(chilled water)의 온도는 12℃이고, 상기 냉수는 제1 증발기(11) 및 제2 증발기(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압축기(31) 및 제2 압축기(32)에 의하여 각각 압축된 냉매와 차례로 열교환되며, 제2 증발기(12)로부터 토출되는 냉수의 온도는 7℃이다. 즉,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수의 온도는 낮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응축기(21)로 유입되는 냉각수(condenser water)의 온도는 32℃이고, 상기 냉각수는 제1 응축기(21) 및 제2 응축기(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2압축기(32) 및 제1 압축기(31)에 의하여 각각 압축된 냉매와 차례로 열교환되며, 제2 응축기(22)로부터 토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이다. 즉, 상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온도는 올라간다.
또한,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와 제1 응축기(21) 및 제2 응축기(22)는 쉘(shell)-튜브(tub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제1 증발기(11)에는 다수의 튜브가 마련되며, 상기 튜브로는 냉수가 유동하고, 상기 제1 증발기 내부에는 상기 튜브를 둘러싸도록 냉매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냉수는 튜브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와 열교환 된다.
한편, 제1 압축기(31) 및 제2 압축기(32)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는 쉬라우드 및 압축된 냉매의 토출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 디퓨저를 포함하는 터보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터보 칠러일 수 있다.
또한, 냉수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직렬로 연결되고, 냉각수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상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수는 제1 증발기(11)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1 증발기(11)의 타단부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수는 제2 증발기(12)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2 증발기(12)의 타단부로 토출된다. 마찬가지로, 냉각수는 제1 응축기(21)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1 응축기(21)의 타단부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각수는 제2 응축기(22)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2 응축기(22)의 타단부로 토출된다.
즉 냉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직렬로 연결되며, 냉각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직렬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열교환유니트(10)에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의 배치구조 및 제2 열교환유니트(20)에서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의 배치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용량을 높이기 위한 듀얼 냉동기의 경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와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의 부피는 상당히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냉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직렬로 연결되며, 냉각수의 흐름을 기준으로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직렬로 연결된 경우라 할지라도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를 펼친 상태로 배치시키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를 펼친 상태로 배치시키게 되면 설치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실질적으로 평팽하게 배치되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냉매의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열교환 유니트(10)와 제2 열교환 유니트(20)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역시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으나, 냉매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길이방향의 평면부(11a, 12a)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길이방향의 평면부(21a, 22a)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 대칭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 대칭된 구조를 갖는다(도 4 참조).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 대칭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설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리 대칭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상호 체결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리 대칭된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상호 체결된 구조를 가지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상호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에는 제1 플랜지(13)와 제2 플랜지(14)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13)와 제2 플랜지(14)는 체결부재(15)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에는 제1 플랜지(23)와 제2 플랜지(24)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23)와 제2 플랜지(24)는 체결부재(25)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에서는 서로 다른 온도 대역에서 냉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에서는 서로 다른 온도 대역에서 냉각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길이방향의 평면부(11a, 12a)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되며,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길이방향의 평면부(21a, 22a)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의 경계 영역에서는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인접하는 증발기들(11, 12) 사이 및 인접하는 응축기들(21, 22) 사이에서 열전달이 일어나면 열교환 유니트들(10, 20)의 효율이 감소하고, 제1 압축기(31) 및 제2 압축기(32)의 운전 영역대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조화장치(1)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는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는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결과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되고,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에 이격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이격부)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이격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의 열교환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 (이격부)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이격부)에 배치되는 단열부재(40, 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40, 50)는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의 열교환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의 열교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제1 증발기(11)와 제2 증발기(12) 사이 및 제1 응축기(21)와 제2 응축기(22)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는 증발기들(11, 12) 사이 및 응축기들(21, 22)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단열부재(40, 50)를 형성할 경우 상기 단열부재(40, 50)는 열전달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1)의 일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KS표준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12℃의 냉수는 제1 증발기(11)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1 증발기(11)의 타단부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수는 제2 증발기(12)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2 증발기(12)의 타단부로 토출되고, 제2 증발기(12)의 타단부로 토출되는 냉수의 온도는 7℃이다
마찬가지로, 32℃의 냉각수는 제1 응축기(21)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1 응축기(21)의 타단부로 토출되며, 토출된 냉각수는 제2 응축기(22)의 일단부로 유입되었다가 제2 응축기(22)의 타단부로 토출되고, 제2 응축기(22)의 타단부로 토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37℃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압축기(31)와 제2 압축기(32)는 양정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는 동일한 압축기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는 온도 영역대에 따라 분리 작동되는 열교환 유니트에서 경계 영역의 열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공기조화장치
10: 제1 열교환 유니트
11: 제1 증발기
12: 제2 증발기
20: 제2 열교환 유니트
21: 제1 응축기
22: 제2 응축기
31: 제1 압축기
32: 제2 압축기
40, 50: 단열부재

Claims (10)

  1. 냉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증발기와 상기 제1 증발기와 장착된 제2 증발기를 포함하는 제1 열교환 유니트;
    냉각수가 차례로 통과하는 제1 응축기와 상기 제1 응축기와 장착된 제2 응축기를 포함하는 제2 열교환 유니트;
    제1 증발기와 제2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1 압축기; 및
    제2 증발기와 제1 응축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제2 압축기를 포함하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 사이에 이격부를 구비하고,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 사이에 이격부를 구비하고,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 사이의 열교환 및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 사이의 열교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격부에는 단열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에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에는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동일한 체적 및 대칭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대칭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증발기와 제2 증발기는 길이방향의 평면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응축기와 제2 응축기는 길이방향의 평면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는 양정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20011379A 2012-02-03 2012-02-03 공기조화장치 KR101873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379A KR101873751B1 (ko) 2012-02-03 2012-02-03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379A KR101873751B1 (ko) 2012-02-03 2012-02-03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24A KR20130090224A (ko) 2013-08-13
KR101873751B1 true KR101873751B1 (ko) 2018-07-03

Family

ID=4921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379A KR101873751B1 (ko) 2012-02-03 2012-02-03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6222A (zh) * 2021-09-28 2021-12-10 广州恒星制冷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模块机组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8612B2 (ja) 1997-07-25 2005-03-16 ヨー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冷凍冷却器、凝縮器及び冷凍冷却器での遠心圧縮機の作動方法
JP2007178098A (ja) * 2005-12-28 2007-07-12 Showa Denko Kk 蒸発器
US20110036114A1 (en) * 2008-04-25 2011-02-17 Ls Mtron Ltd Dual centrifugal chi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8612B2 (ja) 1997-07-25 2005-03-16 ヨー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コーポレーション 冷凍冷却器、凝縮器及び冷凍冷却器での遠心圧縮機の作動方法
JP2007178098A (ja) * 2005-12-28 2007-07-12 Showa Denko Kk 蒸発器
US20110036114A1 (en) * 2008-04-25 2011-02-17 Ls Mtron Ltd Dual centrifugal chi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24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8112B (zh) 一种空调热回收系统
EP2543941B1 (en) Chiller
KR101639814B1 (ko)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CN101223837B (zh) 用于通讯设备的空调系统
US10161658B2 (en) Modular coil for air cooled chillers
KR102014616B1 (ko) 공기 조화 장치
EP2629031B1 (en) Gas heat pump system
KR102033933B1 (ko) 냉장고
JP2011158250A (ja)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搭載した冷凍冷蔵庫
CN102563763A (zh) 除湿机
CN103968593A (zh) 带有自冷却循环系统的空调器
KR10128123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873751B1 (ko) 공기조화장치
JP2007051788A (ja) 冷凍装置
US9810457B2 (en) Air conditioner
KR101563620B1 (ko)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07597B1 (ko) 배터리 큐비클 에어컨
KR102014441B1 (ko) 공조 냉장 복합 시스템
EP2889560B1 (en) Refrigerating device
JP2016125746A (ja) 冷凍又は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71938B1 (ko)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재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동기
JP2008170134A (ja) 冷凍装置
CN205305316U (zh) 焊接电源
KR20240077156A (ko) 다중 열매체를 이용한 프리쿨링 냉동시스템 및 그 냉동시스템의 실외기
KR20090024536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