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165B1 -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165B1
KR101873165B1 KR1020170082543A KR20170082543A KR101873165B1 KR 101873165 B1 KR101873165 B1 KR 101873165B1 KR 1020170082543 A KR1020170082543 A KR 1020170082543A KR 20170082543 A KR20170082543 A KR 20170082543A KR 101873165 B1 KR101873165 B1 KR 101873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ula hoop
end body
bodies
middl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희
Original Assignee
이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희 filed Critical 이두희
Priority to KR102017008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165B1/ko
Priority to PCT/KR2018/005950 priority patent/WO2019004604A1/ko
Priority to EP18824919.7A priority patent/EP3646924A1/en
Priority to US16/618,029 priority patent/US20210121725A1/en
Priority to JP2019565547A priority patent/JP2020527375A/ja
Priority to CN201880035461.9A priority patent/CN11070914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63B19/02Freely-movable rolling hoops, e.g. gyrowheels or spheres or cylinders, carrying the user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8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slideably retracted in a housing when not in use

Abstract

본 발명은 훌라후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와 보관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시에는 인출하여 원형으로 연결하여 운동과 놀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단면이 원형이면서 평면상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다수개로 분할하여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수납 및 인출되는 여러 개의 미들바디와; 상기 미들바디 중 마지막 미들바디에 결합되어 수납 인출되면서 메인바디의 타측과 연결되는 엔드바디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바디와 미들바디 및 엔드바디는 안테나 또는 낚시대 형태의 다단계로 수납 및 인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훌라후프{HULA HOOP}
본 발명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부피를 줄여 보관과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출하여 원형으로 만든 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훌라후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훌라후프는, 지름이 1m 내외 정도의 플라스틱재질의 링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링체에 몸을 끼우고 떨어지지 않도록 몸을 흔들어 돌리는 놀이 또는 운동기구의 일종이며, 최초로는 1957년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행하여 미국, 일본, 한국 등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인체의 허리부분에 걸친 상태에서 회전시킨 후 허리에 일정한 회전반동을 반복해서 부여하면 회전 원심력을 발생시키면서 사용자의 허리주위를 반복적으로 눌러주어 허리의 유연성 및 근력강화 그리고 복부비만을 해결하는 운동 및 놀이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훌라후프는 초기에는 허리의 유연성 및 근력강화 그리고 복부비만을 해소할 수 있는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더 많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예를 들어 훌라후프의 내경면에 지압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지압돌기를 형성하여 지압과 더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훌라후프가 제공되고 있으며, 야간에 운동을 수행할 때 훌라후프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훌라후프에 야광 또는 축광기능을 부여한 훌라후프의 제공 및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소형 건전기를 이용하여 장시간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한 엘이디를 장착한 훌라후프 등이 제공되고 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19820 - 0000 호 (문헌 2)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27439 - 0000 호 (문헌 3) 특허 제 10 - 0803447 - 0000 호
이러한 훌라후프는 둥근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 가정마다 하나 이상씩 구비하고 있는 데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고, 야외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도 차량의 트렁크 등에 수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야외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훌라후프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트렁크에 수납하는 것이 어렵지 않으나, 여행이나 캠핑 등의 목적에 맞게 많은 짐들이 있을 경우에는 훌라후프를 수납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훌라후프를 분리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여러 종류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데, 기장 대표적인 예로서는 텐트를 구성하는 뼈대에 적용되는 것을 응용하여 여러조각으로 분리한 훌라후프의 내경부에 탄성을 가지는 밴드 또는 스프링을 내장하여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타입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훌라후프를 여러 조작으로 분리 구성한 후 별도의 가방을 제공하여 이동과 보관시에는 가방에 넣고 사용시에는 조립하여 원형의 링체를 구성하도록 하는 타입이 있다.
전자의 경우, 초기에는 탄성밴드의 탄성력이 있기 때문에 조립되었을 때 원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나 반복적인 사용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성밴드의 손상이나 마모 또는 탄성저하로 인하여 조립 후 원 형태의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것이 힘들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분해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분해 및 조립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와 같은 문제는 없으나, 잦은 분해와 결합으로 분해결합부위의 마모와 손상에 의한 사용불가 현상을 배제할 수 없고, 사용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분해하고 조립하는 것이 반복됨으로서 사용에 불편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분해한 상태의 훌라후프의 부피 또한 어느 정도 차지하기 때문에 보관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사실이고, 주 사용층이 어린이가 많기 때문에 사용 후 분해하여 보관하는 과정에서 여러 조각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다음에 정상적으로 훌라후프를 사용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단면이 원형이면서 평면상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다수개로 분할하여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수납 및 인출되는 여러 개의 미들바디와; 상기 미들바디 중 마지막 미들바디에 결합되어 수납 인출되면서 메인바디의 타측과 연결되는 엔드바디로 구성하고; 상기 메인바디와 미들바디 및 엔드바디는 안테나 또는 낚시대 형태의 다단계로 수납 및 인출되게 구성하여;
훌라후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와 보관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시에는 인출하여 원형으로 연결하여 운동과 놀이로 활용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안테나 또는 낚시대와 같은 형태로 접철가능하게 구성하여 접었을 때 부피를 최소화하여 때휴대와 보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사용상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하지 않어 접었을 때 훌라후프 구성품들의 분실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신규한 훌라후프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면서 훌라후프의 품질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파절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연결상태의 일부생략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접은 상태로 도시한 파절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를 도시한 연결상태의 일부생략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훌라후프(100)는, 단면이 원형이면서 평면상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다수개로 분할하여 메인바디(101)와, 상기 메인바디(101)의 일측에 수납 및 인출되는 여러 개의 미들바디(102,103..)와, 상기 미들바디(102,103..) 중 마지막 미들바디(103)에 결합되어 수납 인출되면서 메인바디(101)의 타측과 연결되는 엔드바디(104)로 구성한다.
상기 훌라후프(101)의 분할 수는 최소 3개 이상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4개에서 6개가 좋으며, 그 보다 많아도 관계는 없으나 불필요하게 많을 경우에는 분해조립의 어려움과 더불어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는 않다.
상기 메인바디(101)와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의 결합은 안테나 또는 낚시대와 같이 다단계로 수납 및 인출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메인바디(101)의 직경이 제일 크고, 순차적으로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물론, 메인바디(101)의 내경 선측은 미들바디(102)의 외경 후측보다 미세하게 작은 형태, 미들바디(102)의 내경 선측은 다음의 미들바디(103) 외경 후측보다 미세하게 작은 형태, 미들바디(103) 내경 선측은 엔드바디(104)의 외경 후측보다 미세하게 작은 형태로 하여 인출시 직경차이로 인하여 스토핑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는 메인바디(101)의 내경 선측과 미들바디(102,103..)의 내경선측과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의 외경후측에는 각각 치합될 수 있는 형태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인출시 스토핑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인바디(101)의 내경부에는 수납되는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격벽(105)을 형성하도록 하고, 엔드바디(104)의 선측과 메인바디(101)의 타측에는 인출되어진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를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106)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106)은, 엔드바디(104)의 선측에 형성하는 웅(雄)체(107)와, 상기 웅체(107)와 결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01)의 타측에 형성하는 자(雌)체(108)로 구성한다.
상기 웅체(107)는, 엔드바디(104)의 선측 내경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09)를 내장하고, 상기 탄성체(109)의 돌출부(110)는 엔드바디(104)에 형성되는 탄성체홀(111)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자체(108)는, 메인바디(101)의 타측에 엔드바디(104)의 선측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엔드바디홀(112)을 형성하고, 상기 엔드바디홀(112)의 내측에는 탄성체(109)의 돌출부(1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부홈(11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돌출부(110)와 돌출부홈(113)의 분해는 당김에 의한 강제로 분해되는 형태로 하여도 되고, 다른 예로서는 메인바디(101)에 해제버턴(114)을 더 설치하여 이탈을 용이하게 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메인바디(101)와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에는 서로 치합되는 형태의 요입홈(115)과 돌기(116)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수납 및 인출시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여 훌라후프 완성시 정상적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메인바디(101)에 수납된 엔드바디(104)의 선측과 메인바디 타측에 형성되는 엔드바디홀(112)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캡을 별도로 더 구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훌라후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훌라후프(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인바디(101)에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를 수납시켜 부피를 메인바디(101) 크기로 만든 후 보관하거나 또는 이동하면 되며, 부피가 작기 때문에 보관과 더불어 휴대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훌라후프(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바디(101)에 수납된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를 인출하여 원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되는 데, 엔드바디(104)의 선측을 잡고 당기면 순차적으로 미들바디(102,103..)가 인출되어 지게 된다.
물론, 메인바디(101)와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의 전체를 모두 인출하였을 경우에는 당연하여 원형의 링형태가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엔드바디(104)의 선측과 메인바디(101)의 타측에 구비되는 연결수단(106)을 서로 결합시키면 원형으로 연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훌라후프 운동과 놀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이 없게 된다.
특히 메인바디(101)와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에는 인출과 수납시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입홈(115)과 돌기(11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수납과 인출시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훌라후프를 완성하는 것과 부피를 줄이기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수납시에는 엔드바디(104)와 미들바디(102,103..)를 메인바디(101)로 밀어 넣으면 메인바디(101)에 형성되는 격벽(105)에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의 후미 끝단부가 밀착되어지게 되므로 더 이상의 수납은 멈춰지게 되며, 인출시에는 엔드바디(104)의 후측은 미들바디(102,103..)의 선측에 걸림되고, 미들바디(102,103..)의 후측은 메인바디(101)의 선측에 걸림되는 형태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훌라후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납하여 부피를 줄여 휴대와 보관 및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사용시에는 인출하여 원형으로 연결하여 운동과 놀이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훌라후프
101; 메인바디
102,103..; 미들바디
104; 엔드바디
106; 연결수단
107; 웅체
108; 자체
109; 탄성체
112; 엔드바디홀
115; 요입홈
116; 돌기

Claims (3)

  1. 안테나 또는 낚시대 형태의 다단계로 수납 및 인출되도록 단면이 원형이면서 평면상 원호형상을 가지는 메인바디(101)와;
    상기 메인바디(101)의 일측에 수납 및 인출되는 여러 개의 미들바디(102103..)와;
    상기 미들바디(102,103..) 중 마지막 미들바디(103)에 결합되어 수납 인출되면서 메인바디(101)의 타측과 연결되는 엔드바디(104)와;
    상기 메인바디(101)와 미들바디(102,103..) 및 엔드바디(104)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수납 및 인출시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도록 서로 치합되는 형태의 요입홈(115) 및 돌기(116)와;
    상기 엔드바디(104)의 선측과 메인바디(101)의 타측에는 인출되어진 미들바디(102,103..)와 엔드바디(104)를 원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엔드바디(104)의 선측에 형성하는 웅(雄)체(107)와, 상기 웅체(107)와 결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01)의 타측에 형성하는 자(雌)체(108)로 구성하는 연결수단(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체(107)는, 엔드바디(104)의 선측 내경에 내장하는 탄성체(109)와, 상기 엔드바디(104)에 형성되는 탄성체홀(111)과, 상기 탄성체홀(111)에 노출시키는 탄성체(109)의 돌출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108)는, 메인바디(101)의 타측에 엔드바디(104)의 선측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엔드바디홀(112)과, 상기 엔드바디홀(112)의 내측에 탄성체(109)의 돌출부(110)가 수용될 수 있게 형성하는 돌출부홈(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
  3. 삭제
KR1020170082543A 2017-06-29 2017-06-29 훌라후프 KR10187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43A KR101873165B1 (ko) 2017-06-29 2017-06-29 훌라후프
PCT/KR2018/005950 WO2019004604A1 (ko) 2017-06-29 2018-05-25 훌라후프
EP18824919.7A EP3646924A1 (en) 2017-06-29 2018-05-25 Hula-hoop
US16/618,029 US20210121725A1 (en) 2017-06-29 2018-05-25 Hula-hoop
JP2019565547A JP2020527375A (ja) 2017-06-29 2018-05-25 フラフープ
CN201880035461.9A CN110709141A (zh) 2017-06-29 2018-05-25 呼啦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43A KR101873165B1 (ko) 2017-06-29 2017-06-29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165B1 true KR101873165B1 (ko) 2018-06-29

Family

ID=6278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43A KR101873165B1 (ko) 2017-06-29 2017-06-29 훌라후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21725A1 (ko)
EP (1) EP3646924A1 (ko)
JP (1) JP2020527375A (ko)
KR (1) KR101873165B1 (ko)
CN (1) CN110709141A (ko)
WO (1) WO2019004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942A (zh) * 2020-02-17 2020-05-29 金华市高登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呼啦圈
USD1010035S1 (en) * 2021-01-05 2024-01-02 Custom Product Innovations, Inc. Handle and strap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80Y1 (ko) * 2000-03-09 2000-09-01 정성식 훌라후프
KR200199655Y1 (ko) 2000-04-21 2000-10-02 김무겸 훌라후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9860A (en) * 1972-04-04 1973-05-01 A Kargul Centrifugally expansible hula hoop
CN2119250U (zh) * 1992-04-11 1992-10-21 吴元山 折叠式健身圈
KR200240619Y1 (ko) * 2001-04-13 2001-10-11 유영실 절첩식 훌라후프
JP3942012B2 (ja) * 2002-01-11 2007-07-11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3089623U (ja) * 2002-04-26 2002-10-31 リン リチャード 多機能の健康輪
CN2748112Y (zh) * 2004-12-02 2005-12-28 周少华 一种可拆装的按摩呼啦圈
CN2897323Y (zh) * 2006-04-26 2007-05-09 金孝春 可拆装呼啦圈
TWM362017U (en) * 2009-01-22 2009-08-01 Singlong Fountain Plastic Ind Co Ltd Structure of assembled hula hoop
KR101120616B1 (ko) * 2009-01-29 2012-03-16 김정윤 훌라후프
CN201384820Y (zh) * 2009-04-23 2010-01-20 王魏 一种便携式呼啦圈
JP2010253180A (ja) * 2009-04-28 2010-11-11 Ehara:Kk フラフープ
KR20120028608A (ko) * 2010-09-15 2012-03-23 유진곤 훌라후프
CN201938238U (zh) * 2011-02-09 2011-08-24 张龙 一种伸缩鱼竿
CN202566038U (zh) * 2012-03-29 2012-12-05 生昌云 中通鱼竿
WO2013187642A1 (ko) * 2012-06-11 2013-12-19 Lee Jong Ah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훌라후프
CN203060664U (zh) * 2013-02-04 2013-07-17 王玉英 一种健身圈
TWM474188U (zh) * 2013-03-04 2014-03-11 Disk King Technology Co Ltd 可延伸的紅外線觸控屏
CN203105406U (zh) * 2013-03-05 2013-08-07 于志建 可伸缩定位的台钓竿
CN206198534U (zh) * 2016-09-12 2017-05-31 广州光朔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呼啦圈固定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480Y1 (ko) * 2000-03-09 2000-09-01 정성식 훌라후프
KR200199655Y1 (ko) 2000-04-21 2000-10-02 김무겸 훌라후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604A1 (ko) 2019-01-03
EP3646924A1 (en) 2020-05-06
CN110709141A (zh) 2020-01-17
JP2020527375A (ja) 2020-09-10
US20210121725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65B1 (ko) 훌라후프
US9186824B2 (en) Snowman making device
KR200474666Y1 (ko) 주꾸미 낚시채비
US6418577B1 (en) Portable hammock
CN103603513B (zh) 不充气按摩水池
JP3195498U (ja) キャディバッグ
US20120031830A1 (en) Transporting and Treating Water
KR101207879B1 (ko) 자바라 훌라후프
US9550086B1 (en) Exercise apparatus
US10206450B1 (en) Quick release and interchangeable sandal strap/flip flop strap crafting system
KR102258346B1 (ko) 등산스틱 겸용 우산
US20180064995A1 (en) Detachable exercise pad
CN104207436B (zh) 握把可拆分式自锁伞
CN106388161A (zh) 一种户外登山辅助手杖
US20060180189A1 (en) Children's toy playfort
US11839828B2 (en) Portable ride-on toy
KR101259046B1 (ko) 우산케이스
US20190269211A1 (en) Elf transporter case
US11865471B2 (en) Apparatus for embedding a magnet in flexible elastic material
KR200240619Y1 (ko) 절첩식 훌라후프
KR200343054Y1 (ko) 화장용관
JP3077973U (ja) ステッキ
US20150122756A1 (en) Loom bracelet holder, display and transport apparatus
TWM602161U (zh) 組合式營柱組
US6776506B2 (en) Connector for decorative lamp 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