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39B1 -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39B1
KR101872839B1 KR1020160158570A KR20160158570A KR101872839B1 KR 101872839 B1 KR101872839 B1 KR 101872839B1 KR 1020160158570 A KR1020160158570 A KR 1020160158570A KR 20160158570 A KR20160158570 A KR 20160158570A KR 101872839 B1 KR101872839 B1 KR 10187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l
female
fastened
mai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248A (ko
Inventor
정요승
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5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3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측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타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를 구비한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이 상기 메일 하우징에 완전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의 일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확인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CONNECTOR HAVING CONFIRMATION PART FOR COMBINE}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는 내부에 메일 단자(미도시)가 구비된 메일 하우징(10)과, 메일 하우징(10)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피메일 단자(21)가 구비된 피메일 하우징(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일 하우징(10)은 일측이 피씨비(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타측은 피메일 하우징(20)이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메일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피메일 하우징(20)은 메일 하우징(10)의 개구된 타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2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피메일 하우징(20)의 전면도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피메일 단자(21)가 배치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전면을 통하여 메일 단자(미도시)가 내부로 삽입되어 피메일 단자(21)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메일 하우징(10)에 피메일 하우징(20)을 체결하여 커넥터를 조립시에 메일 하우징(10)에 구비된 메일 단자(미도시)와 피메일 하우징(20)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21)가 정확하게 결합이 이루어진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메일 하우징(10)과 피메일 하우징(20)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됨으로써 제품의 조립 완성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접속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조립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는, 타측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타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를 구비한 피메일 하우징과; 상기 메일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이 상기 메일 하우징에 완전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의 일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확인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확인부는 상기 메일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 형성된 통과공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시에 상기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메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통과공을 통하여 상기 메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에 시각적으로도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은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돌출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을 체결시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가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이 체결된 상태에서 폭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재가 상기 피메일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접속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조립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분리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의 메일 하우징과 피메일 하우징이 완전 체결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는, 타측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메일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타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10)를 구비한 피메일 하우징(200)과;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이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200)의 일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확인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일 하우징(100)은 일측이 피씨비(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며, 타측은 피메일 하우징(200)이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복수의 메일 단자(미도시)가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일 하우징(100)이 피씨비(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피씨비 커넥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다른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일 하우징(100)의 하측에 피씨비(1)가 배치되어 메일 하우징(100)이 피씨비(1)의 상면에 안착된 형태로 피씨비(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메일 하우징(100)이 제품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피메일 하우징(200)은 메일 하우징(100)의 개구된 타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2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피메일 하우징(200)의 전면도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는 피메일 단자(210)가 배치되어 있으며, 개구 형성된 전면을 통하여 메일 단자(미도시)가 내부로 삽입되어 피메일 단자(210)와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피메일 하우징(200)의 양측면에는 메일 하우징(100)에 피메일 하우징(200)을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220)가 피메일 하우징(200)의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부(220)가 피메일 하우징(200)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피메일 하우징(200)을 메일 하우징(100)에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200)이 이동해야 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메일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피메일 하우징(200)이 어긋남으로 인하여 메일 단자(미도시)와 피메일 단자(210)의 결합위치가 상이하게 이들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메일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메일 하우징(100)에 피메일 하우징(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폭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재(230)가 피메일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피메일 하우징(200)의 상면에 유동방지부재(230)가 피메일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으로써 메일 하우징(100)에 체결된 피메일 하우징(200)이 폭 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체결확인부(300)는 메일 하우징(100)의 일측에 개구 형성된 통과공(310)과, 피메일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메일 하우징(100)과 피메일 하우징(200)이 완전 체결시에 통과공(310)을 통하여 메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재(320)가 통과공(310)을 통하여 메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에 시각적으로도 신속하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메일 하우징(100)과 피메일 하우징(200)은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부재(320)의 상면에는 메일 하우징(100)과 피메일 하우징(200)이 완전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돌출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기는 피메일 하우징(200)을 메일 하우징(100)에 체결시에 돌출부재(320)가 통과공(310)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조립자는 촉감으로도 메일 하우징(100)와 피메일 하우징(200)의 완전 체결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돌기의 전체 개수는 3개이고, 피메일 하우징(200)이 메일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시에만 돌출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재(320)까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손가락의 촉감으로 3개의 돌기가 느껴지면 완전 체결된 상태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일일히 눈으로 확인하지 않더라도 메일 하우징(100)와 피메일 하우징(200) 사이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단자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피메일 커넥터(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부(220)가 메일 커넥터(200)에 형성된 홈과 맞도록 피메일 커넥터(20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 일정 정도 피메일 커넥터(200)를 메일 커넥터(100)의 내부로 가압하게 된다.
피메일 커넥터(200)가 메일 커넥터(100)의 내부로 가압되면 피메일 커넥터(200)의 상면에 구비된 유동방지부재(230)가 메일 커넥터(100)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피메일 커넥터(200)를 더욱 가압시키게 되면 메일 단자와 피메일 단자(210)의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와 동시에, 메일커넥터 내부의 걸림홈과 피메일 컨넥터 상부의 걸림 돌기가 상호 체결되면서 체결음이 1차로 발생하여 1차 락킹이 완료된다.
그리고, 피메일 커넥터(200)를 메일 커넥터(100)의 내부로 완전히 가압하면 피메일 커넥터(200)에 구비된 돌출부재(320)가 통과공(310)을 통과하면서 돌출되게 된다.
조립자는 돌출부재(320)가 통과공(310)을 통과하여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메일 하우징(100)와 피메일 하우징(200) 사이에 완전 체결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하게 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메일 하우징(100)과 피메일 하우징(200)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조립자가 피메일 하우징(200)을 메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가압한 후에 돌출부재(32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 전체가 외부로 노출됨을 손가락의 촉감으로 인식함으로써 시각으로 확인하지 않고서도 메일 하우징(100)과 피메일 하우징(200) 사이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하여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 사이의 접속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제품의 조립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피씨비 100 : 메일 하우징
200 : 피메일 하우징 210 : 피메일 단자
220 : 가이드돌부 230 : 유동방지부재
300 : 체결확인부 310 : 통과공
320 : 돌출부재

Claims (6)

  1. 타측이 개구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메일 단자를 구비한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메일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타측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메일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피메일 단자(210)를 구비한 피메일 하우징(200)과;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접촉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이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완전 체결시에 피메일 하우징(200)의 일부가 상기 메일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완전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확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확인부(300)는 상기 메일 하우징(100)의 일측에 개구 형성된 통과공(31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이 완전 체결시에 상기 통과공(310)을 통하여 상기 메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320)의 상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이 완전 체결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돌기가 상기 돌출부재(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을 체결시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부(220)가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폭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기 메일 하우징(100)에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폭방향을 따라 유동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재(230)가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320)가 상기 통과공(310)을 통하여 상기 메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에 시각적으로도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일 하우징(100)과 상기 피메일 하우징(200)은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8570A 2016-11-25 2016-11-25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10187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70A KR101872839B1 (ko) 2016-11-25 2016-11-25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570A KR101872839B1 (ko) 2016-11-25 2016-11-25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48A KR20180059248A (ko) 2018-06-04
KR101872839B1 true KR101872839B1 (ko) 2018-06-29

Family

ID=6262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570A KR101872839B1 (ko) 2016-11-25 2016-11-25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1331B2 (ja) * 1993-04-21 1999-07-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3467185B2 (ja) * 1998-04-08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20060127477A (ko) * 2005-06-07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KR101063212B1 (ko) *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KR101707147B1 (ko) * 2010-07-12 2017-0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20160000223U (ko) * 2014-07-11 2016-01-2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체결 전후 확인 마킹부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48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6533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US9548564B2 (en) Wire connection terminal holding structure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130301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44420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038963A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331654A (zh) 板安装连接器
US11456553B2 (en)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US200502824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70069983A1 (en) Connector
US20150147900A1 (en) Plug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3304625A (ja) 電気接続箱
JP4133431B2 (ja) 電気接続プラグ
KR101872839B1 (ko)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101290675B1 (ko) 커넥터 장치
KR101872837B1 (ko)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JP4652890B2 (ja) リセプタクル
JP4968793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08292812A (zh) 壁板连接器系统
KR102429481B1 (ko) 커넥터
JP4028439B2 (ja) 回路基板内蔵型コネクタ
US694895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383030B1 (en) Electrical connector
EP238024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0635289A (zh) 组合跨接器的接线端子装置及跨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