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33B1 -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 Google Patents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33B1
KR101872833B1 KR1020160183889A KR20160183889A KR101872833B1 KR 101872833 B1 KR101872833 B1 KR 101872833B1 KR 1020160183889 A KR1020160183889 A KR 1020160183889A KR 20160183889 A KR20160183889 A KR 20160183889A KR 101872833 B1 KR101872833 B1 KR 10187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us bar
temperature sensor
fixed cover
ce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원
김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83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Provided is a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cell module, which comprises: a battery cell unit formed a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there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d along a later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any one point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 upper plate arranged on one later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is placed, and having an opening for the temperature sensor to be exposed; and a fixing cover coupled for the opening to be sealed, and attached to an elastic pad fixing a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while elastically deformed on a lower surface.

Description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for a battery cell modu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내의 전기모터 등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배터리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module for providing electric energy to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in an electric vehicle.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 보조 전력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종래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이 갖는 대기 오염 등의 각 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주된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auxiliary power devic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condary batter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main power source of electric automobiles,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which are proposed as alternatives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of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다만, 전기자동차 등에는 고출력 대용량 배터리의 필요성으로 인해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적층시킨 후 이를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 연결한 배터리셀 모듈이 사용된다. 그러나, 복수 개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배터리셀 모듈은 일부 배터리셀에서 과전압, 과전류, 과발열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 battery cell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due to the necessity of a high-output large-capacity battery, and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is used for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However, in a battery cell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overvoltage, overcurrent, and overheating may occur in some battery cells.

이는 배터리셀 모듈의 안전성이나 작동 효율 등에 영향을 미치는 바, 이를 미리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요청된다. 또한, 전기자동차 등은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 등에 노출되어 있는데 이는 배터리셀 모듈에도 일부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affects the safe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the battery cell module, and a means for detecting this in advance is required. In addition, an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is exposed to vibrations transmitted from a road surface during traveling or an impact due to collision with other objects, which is partially transmitted to the battery cell module.

배터리셀 모듈에는 대용량의 전기가 흐르는 이유로 버스바가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 이런 버스바는 융착보스 등에 끼워진 후 융착 공정을 통해 배터리셀 모듈에 고정 결합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융착 지그에 대한 초기 투자비의 발생과, 융착 공정에 의한 작업 소요 시간의 증가와, 시간의 경과나 외력에 의해 융착 부위가 파손되면서 버스바가 배터리셀 모듈로부터 이탈되는 현상 등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A bus bar is used for the reason that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flows in the battery cell module. Conventionally, such a bus bar is fixed to a battery cell module through a fusion bonding process after being inserted into a fusion boss or the like. However, this method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occurrence of an initial investment cost for the fusing jig, an increase in the time required for the fusing process,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fusing site is broken due to the passage of time or external force, .

또한, 배터리셀 모듈에 사용되는 연성회로기판은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먼저 배터리셀 모듈의 외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버스바와 마찬가지로 연성회로기판이 융착보스에 먼저 끼워진 후 융착 공정을 통해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In additi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us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module befor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However, this method is a process of fixing the flexible circuit board to the fusing boss first and fixing it through the fusion process as in the case of the bus.

그 결과, 연성회로기판의 융착 부위가 외력 등에 의해 파손되면서 찢어지거나,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된 전기소자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터리셀 모듈에 가해지는 심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연성회로기판 내의 솔더링된 부분에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융착 공정은 일 부분에 한해 이루어져 고정이 요구되는 부분이 배터리셀 모듈에 전부 고정되지 않아 부분적으로 들뜨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usion-bonded portion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is broken due to external force or the like, or the 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is broken.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are generated in the soldered parts in the flexible circuit board due to severe vibration or impact applied to the battery cell module. Further, the fusing process is limited to only one part, and a part where fixation is required is not fixed to the battery cell module at all, resulting in a problem of partial lifting.

또한, 배터리셀 모듈은 배터리셀의 외측에 배치되는 프레임이나 플레이트 등이 서로 힌지 결합되게 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힌지 구조 중 일체형 구조는 반복적인 개폐 동작에 의해 그 구조에 백화 현상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힌지 구조 중 분리형 구조는 그 결합 부위를 통해 배터리셀이 노출되는 이유로 절연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레진 작업 등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module includes a hinge structure for hinging a frame, a plate, and the like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ell to each other. However, the integral structure of such a hing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whitening phenomenon occurs in its structure due to repetitiv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r in case of severe breakage, durability is poor. In addition, the separabl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hing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battery cell must be additionally subjected to resin work for insulation because of the exposure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joint portion.

또한, 배터리셀 모듈에는 배터리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온도센서는 배터리셀 일측에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일체 형성된 텐션을 갖는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었는데, 이에 심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서 해당 구조물이 파손되는 경우 온도센서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어 온도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고정 방식은 작업자가 정확한 위치에 온도센서가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is dispos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However, the conventional temperature sensor is fixed by a structure having a tension formed integrally with an upper plate disposed at one side of a battery cell. When a vibration or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if the structure is broken, the fixed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rel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ix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can not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sensor is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2144 (공개일자 2016년 11월17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2144 (published on November 17, 20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339 (등록일자 2013년 06월04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73339 (registered on June 04, 201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6477 (공개일자 2016년 4월29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6477 (published on Apr. 29, 20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41331 (공개일자 2016년 4월18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1331 (Publication date April 18, 20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온도센서의 파손 염려가 작고, 온도센서의 고정 효과가 우수한 온도센서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온도센서의 부착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온도센서를 부착 가능하고 이를 통해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온도센서 고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which is small in fear of breakag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excellent in fixing effect of the temperature sens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reby attaching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Furth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which can provide convenience of ope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셀유닛; 상기 배터리셀유닛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면 어느 일 지점에 실장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셀유닛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되고, 하면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온도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패드가 부착된 고정커버;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tacked and formed; A flexible circuit board dispos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An upper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unit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is located and having an opening to expose the temperature sensor; And a fixed cover to which the opening is hermetically coupled and to which an elastic pad is attach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고정커버는 원터치 푸쉬 방식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fixed cover may be hooked to the upper plate by a one-touch push method.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부재와 상기 외팔보부재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cover may include a hook that protrudes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xed cover and includes a cantilevered member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a hook member formed at a free end of the cantilevered member.

상기 탄성패드는 발포체로 형성되는 패드이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고정커버에 접착될 수 있다.The elastic pad is a pad formed of a foam, and the elastic pad may be bonded to the fixed cover.

상기 개구에는 상기 고정커버의 테두리가 지지되는 지지턱과,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may be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edge of the fixed cover and a retaining groove for retaining the retaining hook.

상기 지지턱에는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이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걸림홈 주변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jaw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and a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around the securing groove to contact the hoo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 고정 구조는 텐션을 갖는 구조물이 아닌 탄성패드가 부착된 별도 고정커버를 사용하는 바, 온도센서의 파손 염려가 작고, 온도센서의 고정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고정커버는 스냅핏 고정 구조를 채택하여 원터치 푸쉬 방식을 통해 상부플레이트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ses a separate fixed cover with an elastic pad instead of a structure having a tension, so that there is little fear of breakage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xing effect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excellent. In addition, the fixed cover adopts the snap fit fixing structure and can be conveniently mounted on the upper plate through the one-touch push method.

또한, 작업자는 온도센서의 부착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 온도센서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성, 온도 측정의 정확성 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커버와 상측플레이트의 결합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더 배치되어 밀폐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identify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attach the temperature sensor to the correct position. As a result, workability, accuracy of temperature measurement, and the like are improved. Further, a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dispos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fixed cover and the upper plate, so that the seal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버스바프레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하단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상단 확대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버스바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버스바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11에서 보강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1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a-a'방향 단면도.
도 15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1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
도 18은 도 17의 고정커버에 대한 저면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3 is a side view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frame of Fig. 1;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Fig. 4;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4;
FIG. 7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8 is a top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4;
9A to 9D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bus bars.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of Fig. 1;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2 is a view of the reinforcing plate separated in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FIG. 17 is a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stationary cover is removed in FIG. 16; FIG.
1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cover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버스바프레임(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하단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상단 확대 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d는 버스바(200)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버스바(200)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FIG. 1, 4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Fig. 4, Fig. 7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8 is an enlarged top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s bar 200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은 배터리셀유닛(10), 버스바프레임(100), 버스바(200), 연성회로기판(300), 보강플레이트(400), 상부플레이트(500) 등을 포함한다.1 to 10, a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ttery cell unit 10, a bus bar frame 100, a bus bar 200, a flexible circuit board 300, a reinforcing plate 400, An upper plate 500, and the like.

배터리셀유닛(10)은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배터리셀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전압을 제공한다.The battery cell unit 10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voltage.

버스바프레임(100)은 배터리셀유닛(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에서 버스바프레임(100)은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버스바프레임(100)의 외측면에는 버스바고정부(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버스바고정부(110)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버스바(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버스바프레임(100)의 내측면에는 홀더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적층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bus bar frame 1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In the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s bar frame 100 is disposed on both opposite sides. At least one bus bar assembly 1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The bus bar assembly 110 allows the bus bar 200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to be couple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of which is stacked,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by forming a holder portion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버스바(200)는 먼저 그 하단이 끼움 결합되고, 그 다음 버스바(200)가 가압에 의해 버스바(200)의 하단을 기준으로 축 회동하면 비로소 버스바(200)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는 스냅핏 고정 방식에 따라 버스바고정부(110)에 결합된다. 버스바(200)는 도전성 재질 중 전기 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스바(200)는 배터리셀의 전압과 전류에 관한 정보를 연성회로기판(300)으로 전달한다.When the lower end of the bus bar 200 is first fitted and then the bus bar 200 is pivoted about the lower end of the bus bar 200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200 is engaged And is coupled to the bus bar fixing part 110 according to the snap fit fixing method. The bus bar 200 is preferably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The bus bar 2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battery cell to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즉, 스냅핏 구조에 따른 조립은 종래 융착 방식과 대비할 때 1) 조립 시간이 최소 50% 이상 단축되며, 2) 융착 설비에 대한 최초 구매비와 그 유지 관리비가 절감되고, 3) 융착 불량에 따라 추후 버스바(200)가 분리 이탈되는 등의 품질 관련 이슈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snap fit structure reduces the assembly time by at least 5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elding method, 2) the initial purchase cost for the welding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cost are reduced, and 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quality-related issue such as detachment of the bus bar 200 in the future.

구체적으로, 버스바고정부(110)는 고정홈(112), 끼움편(114), 걸림후크(116a)를 포함한다. 고정홈(112)은 버스바(200)의 후면이 전부 밀착되는 평탄면과 평탄면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수직리브로 이루어진다. 이 때, 평탄면은 버스바프레임(100)의 외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s bar fixing portion 110 includes a fixing groove 112, a fitting piece 114, and a latching hook 116a. The fixing groove 112 is formed of a flat surface o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bus bar 200 is fully in contact and a vertical rib arranged on the rim of the flat surface. At this time, the flat surfac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끼움편(114)은 버스바(200)가 버스바고정부(110)에 결합될 때 버스바(200)의 하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끼움편(114)은 버스바고정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특히, 이런 끼움편(114)은 하단부의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리브와 결합되어 고정홈(112)을 일부 덮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itting piece 114 allows the lower end of the bus bar 200 to be fitted to the bus bar 200 when the bus bar 200 is coupled to the bus bar assembly 110. To this end, the fitting piece 1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us bar fixing portion 110. In particular, the fitting piece 114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a vertical rib located at a corner of the lower end portion to partially cover the fixing groove 112.

끼움편(114)은 수직리브와 수직 관계를 갖고 결합되는 수평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끼움편(114)은 하단부의 코너에 형성되는 각 수직리브와 각각 결합되는 수평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끼움편(114)은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piece 114 may be formed of a horizontal rib which is coupled with the vertical ribs in a vertical relationship. That is, the fitting piece 114 may be formed of a horizontal rib that is coupled to each vertical rib formed at the corner of the lower end portion.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r more fitting pieces 114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전술한 것처럼, 버스바(200)는 먼저 그 하단이 끼움편(114)에 끼움 결합된 후, 그 상단이 걸림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버스바고정부(110)의 상단에는 걸림후크(116a)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걸림후크(116a)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부재와 외팔보부재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bus bar 200 is first fitted into the fitting piece 114, and then the upper end thereof is engaged. To this end, at least one latching hook 116a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us barrel 110. The hooking hook 116a is composed of a cantilevered member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ok member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ed member.

여기서, 상 방향은 버스바(200)가 걸림되기 바로 직전 걸림후크(116a)가 가압되는 버스바(200)에 의해 휘어지는 일측 방향을 의미하고, 하 방향은 그 반대 방향을 지시한다. 한편, 이런 걸림후크(116a)는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ward direction refers to one direction in which the hooking hook 116a immediately before the bus bar 200 is hooked is bent by the bus bar 200 to be pressed, and the downward direction refers to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hooking hook 116a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이와 같은 끼움편(114)과 걸림후크(116a)는 버스바프레임(100)을 사출 성형할 때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사출 성형된 걸림후크(116a)는 MPPO재질 특성상 취성이 강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The fitting piece 114 and the latching hook 116a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hen the bus bar frame 100 is injection molded. However, since the injection-molded hook 116a is brittle due to the nature of MPPO material, it can be broken easily.

이를 위해, 걸림후크(116a)에 걸림되는 버스바(200)의 상단 테두리는 라운딩 처리된다. 즉, 버스바(200)의 어느 일측 테두리는 라운딩 처리된 곡면을 포함한다. 이런, 라운딩 처리된 곡면은 버스바(200)의 일 측면과 버스바(200)의 전면이 만나는 모서리, 그리고, 전술한 버스바(200)의 일 측면과 버스바(200)의 후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라운딩 처리된 곡면은 약 0.5mm 이상의 필렛(fillet)이나 챔버(chamber)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upper edge of the bus bar 200 which is hooked on the hook 116a is rounded. That is, one side edge of the bus bar 200 includes a rounded surface. The curved surface of the bus bar 200 is rounded so that the corner where the bus bar 200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bus bar 200 and the corner where the bus bar 200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bus bar 200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rounded surface has a fillet or chamber of about 0.5 mm or more.

그 결과, 버스바(200)는 걸림 결합되는 과정에서 라운딩 처리된 곡면으로 인해 이와 접촉되는 후크부재를 점진적으로 가압하면서 걸림후크(116a)에 걸림될 수 있다. 그 결과, 후크부재는 버스바(200)와 접촉된 상태에서 버스바(20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외팔보부재 역시 버스바(200)에 의해 가압되어 상 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As a result, the bus bar 200 can be hooked on the hook 116a while gradually pressing the hook member contacting the bus bar 200 due to the rounded surface in the process of being engaged. As a result, even if the hook member is pressed by the bus bar 200 in contact with the bus bar 200, the hook member is not easily broken. In addition, the cantilevered member is also pressed by the bus bar 200 so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even if it is bent upward.

한편, 버스바(200)가 끼움편(114)과 걸림후크(116a)에 의해 버스바고정부(110)에 결합되면 버스바(200)의 후면은 고정홈(112)에 밀착된다. 이 때, 버스바프레임(100)에서 버스바(200)의 전면까지 높이는 수직리브의 높이와 일치한다. 이는 버스바(200)의 전면과 연성회로기판(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us bar 200 is coupled to the bus bar fixing part 110 by the fitting part 114 and the hook 116a, the rear surface of the bus bar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112. At this time, the height from the bus bar frame 100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us bar 200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vertical ribs. This facilitates coupling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us bar 200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도 11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보강플레이트(400)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버스바프레임(100)에는 버스바(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300)의 말단부(310)가 고정 결합된다. 연성회로기판(300)은 배터리셀유닛(1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절곡되어 말단부(310)가 버스바프레임(100)에 배치된다.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and Fig. 12 is a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removed in Fig. 11 and 12, the distal end 310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is dispos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and is bent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310 is disposed on the bus bar frame 100.

연성회로기판(300)은 잘 휘어지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내부에 복수 개의 선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각 배터리셀의 전압과 전류에 관한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300)은 일단이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배터리셀의 전압과 전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비엠에스(BMS, baterry management system)(미도시) 측으로 전달한다. 비엠에스는 배터리셀 모듈에 포함되는 각 배터리셀의 충전과 방전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비엠에스는 충전 모드에서 서로 다른 전압 레벨로 방전된 복수 개의 배터리셀을 균일한 전압 레벨을 갖도록 충전한다.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at it is bent easily and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parallel inside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so that signals related to voltage and current of each battery cell can be transmitted. 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voltage and current of each battery cell and transmits it to a BMS (BMS) (not shown). The BMS manage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each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cell module. For example, the BMS charg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discharged at different voltage levels in a charge mode to have a uniform voltage level.

이런 연성회로기판(300)은 소정 모양으로 형성되는 말단부(310)와 말단부(310)에서 연장 형성되되, 연장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는 가지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이 때, 말단부(310)는 버스바프레임(100)의 어느 일 측면에 밀착되며, 말단부(310)가 버스바프레임(100)에 밀착 고정되면 가지연결부(320)는 버스바프레임(100)의 외측 공간에 배치된다.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includes a distal end portion 310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 branch connecting portion 320 extended from the distal end portion 310 and bent at least once in the extend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distal end portion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us bar frame 100. When the distal end portion 310 is tightly fixed to the bus bar frame 100, the branch connecting portion 320 is connected to the bus bar frame 100 And is disposed in the outer space.

보강플레이트(400)는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되 적어도 말단부(310)를 전부 덮는 형상을 갖는다. 보강플레이트(400)는 심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외력을 흡수하여 말단부(310)에 실장된 전기소자의 솔더부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보강플레이트(400)는 결합 상태에서 말단부(310)를 가압하여 버스바프레임(100)의 표면에 대한 말단부(310)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런 보강플레이트(400)는 절연 재질이면 어떤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The reinforcing plate 400 has a shape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and covers at least the distal end portion 310 at all. The reinforcing plate 400 absorbs an external force due to a severe vibration or an impact and prevents a crack or the like from being generated in a solder portion of the electric element mounted on the terminal portion 310. Further, the reinforcing plate 400 presses the distal end portion 310 in the engaged state, thereby maintaining the close contact state of the distal end portion 31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The reinforcing plate 40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an insulating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플레이트(400)는 원터치 푸쉬 방식으로 버스바프레임(10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즉, 보강플레이트(400)는 후크 결합만으로 버스바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바프레임(100)은 버스바프레임(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부재와 외팔보부재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후크(116b)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후크(116b)는 보강플레이트(40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걸림 결합되도록 배치된다.The reinforcing plate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hooked to the bus bar frame 100 in a one-touch push manner.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400 can be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only by hooking. To this end, the bus bar frame 100 includes a hooking hook 116b formed of a cantilevered member that protrudes outwardly of the bus bar frame 10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hook member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ed member. The hooking hook 116b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4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한편, 버스바프레임(10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융착보스(120)가 형성될 수 있다. 융착보스(120)는 원형 돌기 형상을 갖는다. 융착보스(120)는 융착 공정을 시작할 때, 상단부터 녹아 내리는데, 그 후에 이 부분이 냉각되어 경화되면 결합력이 발생되게 한다. 이런 융착보스(120)는 다른 한편으로 말단부(310)에 대한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응하여 연성회로기판(300)의 말단부(310)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using bosses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The fusing boss 120 has a circular projection shape. The fusing boss 120 melts from the top when the fusing process is started. When the fusing boss 120 is cooled and hardened after that, a bonding force is generated. This fusing boss 120, on the other hand, serves to guide the fastening position for the distal end 310. Corresponding to this, a through hole 410 is formed in the distal end 310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플레이트(400)는 걸림 결합이 아닌 융착에 의해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융착은 열융착이나 초음파융착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보강플레이트(400)에는 융착보스(120)에 대응하여 관통홀(410)이 형성된다.The reinforcing plat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by fusion welding rather than engaging. Here, fusing includes heat fusion, ultrasonic fusion, and the like. For this, a through hole 410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4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using boss 120.

따라서, 말단부(310)의 관통홀(410)이 먼저 융착보스(120)에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말단부(310)가 버스바프레임(100)에 밀착되면, 그 상면에 보강플레이트(400)의 관통홀(410)이 융착보스(120)에 삽입되어 관통되면서 말단부(310)의 상면을 덮는다. 그 다음, 융착 지그를 사용하여 융착 공정을 진행하면 보강플레이트(400)가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hrough hole 410 of the distal end 310 is first inserted into the fusing boss 120 and the distal end 3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frame 100, the through hole 410 of the reinforcing plate 400 (410) is inserted into and passes through the fusion boss (12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310). Then, when the fus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fusing jig, the reinforcing plate 40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즉, 보강플레이트(400)는 융착 결합만으로 버스바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보강플레이트(400)는 말단부(310)에 형성된 관통홀(410)이 심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400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only by fusion bonding.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late 400 serves to prevent breakage of the through hole 410 formed in the distal end portion 310, such as tearing due to severe vibration, impact, or the like.

다만, 융착만에 의한 결합은 융착보스(120)의 강성이 취약한 이유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이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관통홀(410)과 융착보스(120)의 접촉면이 박리되는 등 그 결합력이 지속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weak stiffness of the fusing boss 120, if the time passes or a severe impact is applied to the fusing boss 120,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through hole 410 and the fusing boss 120 is peeled off, There is a drawback that it can no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플레이트(400)는 보강플레이트(400)의 일부가 융착에 의해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후크 결합에 의해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는 2가지 복합 결합에 의해 버스바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플레이트(400)의 관통홀(410)은 상측에 형성되고, 걸림후크(116b)는 보강플레이트(400)의 하단이 걸림 결합되도록 버스바프레임(100)에 배치된다. 즉, 보강플레이트(400)의 상측은 융착 결합되고, 그 하단은 걸림 결합된다.The reinforcement plat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reinforcement plate 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by fusion and another part is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by hook engagement, The busbar frame 10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100 by two composite couplings. The through hole 410 of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engaging hook 116b is disposed on the bus bar frame 1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engaged.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fusion-bonded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engaged.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300)의 말단부(310)의 상면에 보강플레이트(400)가 결합되면, 가지연결부(320) 중 일부는 버스바(2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310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0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branch connection portions 32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200.

도 1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a'방향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셀유닛(1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상부플레이트(500)가 배치된다. 그리고, 버스바프레임(100)은 상부플레이트(500)와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플레이트(50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모서리 부근에는 힌지핀부(510)가 형성된다.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FIG. 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3, and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Referring to FIGS. 13 to 15, an upper plate 5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The bus bar frame 100 is hinged to the upper plate 500 and can rotate about the hinge axis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o this end, a hinge pin portion 510 is formed near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upper plate 500.

이 때, 버스바프레임(100)은 배터리셀유닛(10)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결합을 위해, 버스바프레임(100)에는 힌지핀부(5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핀결합부(130)가 더 형성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결합은 착탈 가능한 분리형 구조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bus bar frame 1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In addition, for the hinge coupling, the bus bar frame 100 is further formed with a hinge pin coupling portion 130 detachably coupled to the hinge pin portion 510. That is, the hinge joi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 detachable detachable struc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플레이트(500)와 버스바프레임(100)은 힌지 결합되는 결합 부위를 통해 배터리셀유닛(10)이 노출되지 않는 힌지 구조를 갖는다. 이런 힌지 구조에 의하면 배터리셀유닛(10)이 외부로 노출되는 빈 공간(틈)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500 and the bus bar fram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e a hinge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ell unit 10 is not exposed through the hinged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such a hinge structure, there is no void space (gap) where the battery cell unit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 결과, 배터리셀의 쇼트 현상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연 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버스바프레임(100)의 회동 각도가 0ㅀ∼110ㅀ 범위를 갖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a result, an additional insulation operation for blocking the short circuit phenomenon of the battery cell is unnecessary. 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bus bar frame 100 is in the range of 0 占 ㅀ to 110 占 되어, so that the workability is improved.

구체적으로, 상부플레이트(500)는 배터리셀유닛(10)의 측면을 덮는 메인커버(520)와 메인커버(520)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연장커버(525)를 포함한다. 메인커버(520)는 배터리셀유닛(10)의 측면 면적을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 결과, 연장커버(525)의 단측면이 배터리셀유닛(10)과 접촉되는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upper plate 500 includes a main cover 520 covering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and an extension cover 525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one end of the main cover 520. The main cover 520 is formed to have a size exceeding the side surface area of the battery cell unit 10. As a result, an interference phenomenon in which the short side of the extension cover 525 contacts the battery cell unit 10 does not occur.

힌지핀부(510)는 연장커버(525)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힌지핀부(510)는 전술한 외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핀지지부(512)와 핀지지부(512) 사이를 연결하는 핀 형상의 핀부(514)를 포함한다. 이 때, 힌지핀부(510)는 안정적인 힌지 결합을 위해 외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The hinge pin portion 51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cover 525. The hinge pin portion 510 includes a pin-shaped fin portion 514 that connects between the pin support portion 512 and at least two or more pin support portions 51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inge pin portions 510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for stable hinge engagement.

힌지핀결합부(130)는 버스바프레임(100)의 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힌지핀부(510)에 끼움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이런 힌지핀결합부(130)는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턱(132)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530)를 포함한다. 핀부(514)는 개구(530)를 통해 삽입되면서 걸림턱(132)의 탄성 변형에 따라 걸림턱(132) 내측으로 끼움 결합된다.The hinge pin coupl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and is fitted into the hinge pin portion 510 and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The hinge pin engagement portion 130 includes a pair of engagement protrusions 132 opposed to each other and an opening 530 formed therebetween. The fin portion 514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jaw 132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ngaging jaw 132 while being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530.

또한, 걸림턱(132)의 내측면에는 핀부(514)가 끼움 결합된 후 회동 가능하도록 핀부(514)의 횡단면 반경과 동일한 크기의 곡률로 이루어진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걸림턱(132)의 높이, 걸림량, 걸림턱(132) 사이의 거리는 핀부(514)의 횡단면 반경 등을 고려하여 설계 변경될 수 있다.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equal to the cross-sectional radius of the fin portion 514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rotrusion 132 so as to be rotatable after the fin portion 514 is fitted.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engaging jaw 132, the engaging amount, and the engaging jaw 132 can b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radius of the fin portion 514 and the like.

버스바프레임(100)이 상부플레이트(500)에 힌지 결합되면 버스바프레임(10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연장커버(525)의 단측면과 버스바프레임(100)의 측면이 서로 접촉된다. 다만 이는 버스바프레임(100)과 상부플레이트(500)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국한된다. 이 때, 버스바프레임(100)의 회동 각도를 0ㅀ라고 지정한다. 이와 같은 힌지 구조에 의해 배터리셀유닛(10)은 힌지 결합되는 결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When the bus bar frame 100 is hinged to the upper plate 500, the short side of the extension cover 525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us bar frame 100. However, this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bus bar frame 100 and the upper plate 500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of the bus bar frame 100 is set to 0 mm. The hinge structure prevents the battery cell unit 1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inged coupling portion.

또한, 메인커버(520)의 하면에는 버스바프레임(100)의 축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522)가 형성된다. 스토퍼돌기(522)는 버스바프레임(100)의 회동 각도가 0ㅀ인 경우 버스바프레임(100)의 측면과 스토퍼돌기(522)의 단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버스바프레임(100)이 배터리셀유닛(10) 측으로 과도하게 회동됨에 따라 배터리셀유닛(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A stopper protrusion 522 for restricting axial rotation of the bus bar frame 1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cover 520. The stopper protrusion 522 is formed such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100 and the end surface of the stopper protrusion 5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bus bar frame 100 is 0.. This prevents the battery cell unit 10 from being damaged as the bus bar frame 100 is excessively rotated toward the battery cell unit 10 side.

도 16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커버(540)가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18은 도 17의 고정커버(540)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배터리셀 모듈은 배터리셀유닛(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600)를 더 포함한다. 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Fig. 17 is a view in which the fixed cover 540 is separated in Fig. 16, and Fig. 1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ixed cover 540 in Fig. Referring to FIGS. 16 to 18, the battery cell module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60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그리고, 이런 온도센서(600)는 배터리셀유닛(10)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305)의 상면 어느 일 지점에 실장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플레이트(500)에는 온도센서(600)가 노출되도록 개구(530)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셀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는 온도센서(600)의 배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600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305 dispos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10. [ Corresponding to this, an opening 530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500 so that the temperature sensor 600 is exposed. Therefore, the operator who assemble the battery cell module can accurately identify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600. [

한편, 배터리셀 모듈은 개구(530)가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커버(540)를 더 포함한다. 고정커버(540)는 원터치 푸쉬 방식으로 상부플레이트(500)에 후크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고정커버(540)는 고정커버(54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부재와 외팔보부재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후크(116c)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battery cell module further includes a fixed cover 540 to which the opening 530 is hermetically coupled. The fixed cover 540 is hooked to the top plate 500 in a one-touch push manner. To this end, the fixed cover 540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fixed cover 540, and includes a cantilevered member capable of being deformed elastically and a hooking hook 116c formed of a hook member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cantilevered member.

또한, 고정커버(540)의 하면에는 탄성 변형되면서 온도센서(6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패드(542)가 부착된다. 탄성패드(542)는 예를 들어, 발포체로 형성되는 패드를 포함한다. 이런, 탄성패드(542)는 고정커버(540)에 접착되는 방법 등으로 고정커버(540)에 부착된다.An elastic pad 54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540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600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The elastic pad 542 includes, for example, a pad formed of a foam. The elastic pad 542 is attached to the fixed cover 540 by a method such as adhering to the fixed cover 540 or the like.

탄성패드(542)는 고정커버(540)가 개구(530)에 결합되면 온도센서(600)에 의해 눌린다. 그러면, 그 눌린 부위는 부분적인 탄성 변형이 발생하고, 동시에 그 반작용으로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이 온도센서(600)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고정커버(540)는 배터리셀 모듈에 심한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온도센서(6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pad 542 is pres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00 when the fixed cover 540 is coupled to the opening 530. Then, a partial elastic deformation occurs at the presse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by the reaction pushes the temperature sensor 600. As a result, the fixed cover 540 can prevent the temperature sensor 600 from deviating even if a severe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to the battery cell module.

한편, 상부플레이트(500)의 개구(530)에는 고정커버(540)의 테두리가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지지턱(532)과 걸림후크(116c)가 걸림되는 걸림홈(534)이 형성된다. 이는 고정커버(5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 상태에서 고정커버(540)가 상부플레이트(500)와 설계상 미리 설정된 단차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opening 530 of the upper plate 50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532 supported by the edge of the fixed cover 540 and a locking groove 534 for locking the locking hook 116c. This not only facilitates the engagement of the stationary cover 540 but also allows the stationary cover 54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pre-set step with the top plate 500 in the engaged state.

또한, 지지턱(532)에는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되어 지지턱(532)과 이와 접촉되는 고정커버(540)의 하면 사이에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홈(534) 주변에도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걸림홈(534) 주변과 이와 접촉되는 걸림후크(116c) 사이에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A seal member (not shown) is disposed on the support jaw 532 to improve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jaw 53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54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jaw 532. A sealing member is also disposed around the latching groove 534 so that the sealing force is improved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latching groove 534 and the latching hook 116c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atching groove 534.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모듈은 버스바프레임(100)이 배치되는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둘러싸는 단일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런, 단일프레임은 배터리셀 모듈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부플레이트(500)와 배터리셀유닛(1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고정커버(54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The battery cell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single frame (not shown) that surrounds the remaining sides except at least one side where the bus bar frame 100 is disposed. This single frame is disposed outside the battery cell module to protect the upper plate 500 and the battery cell unit 10, as well as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stationary cover 5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배터리셀유닛 100: 버스바프레임
110: 버스바고정부 112: 고정홈
114: 끼움편 116a, 116b, 116c: 걸림후크
200: 버스바 300, 305: 연성회로기판
310: 말단부 320: 가지연결부
400: 보강플레이트 120: 융착보스
410: 관통홀 500: 상부플레이트
510: 힌지핀부 130: 힌지핀결합부
520: 메인커버 525: 연장커버
512: 핀지지부 514: 핀부
522: 스토퍼돌기 600: 온도센서
530: 개구 540: 고정커버
542: 탄성패드 532: 지지턱
534: 걸림홈
10: Battery cell unit 100: Bus bar frame
110: bus swing gate 112: fixed groove
114: fit piece 116a, 116b, 116c:
200: bus bar 300, 305: flexible circuit board
310: distal end 320:
400: reinforcing plate 120: fusing boss
410: through hole 500: upper plate
510: hinge pin part 130: hinge pin coupling part
520: Main cover 525: Extension cover
512: pin support portion 514:
522: stopper projection 600: temperature sensor
530: opening 540: fixed cover
542: elastic pad 532: support jaw
534:

Claims (6)

복수 개의 배터리셀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터리셀유닛;
상기 배터리셀유닛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면 어느 일 지점에 실장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가 위치하는 상기 배터리셀유닛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온도센서가 노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개구가 밀폐되도록 결합되고, 하면에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온도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탄성패드가 부착된 고정커버; 및
상기 고정커버의 하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에는 상기 고정커버의 테두리가 지지되고, 상기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A battery cell unit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flexible circuit board dispos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unit;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An upper plat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unit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is located and having an opening to expose the temperature sensor;
A fixed cover to which the opening is hermetically coupled and to which an elastic pad is attached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And a sealing member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cover,
Wherein the opening is supported by a rim of the fixed cover, and a support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disposed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원터치 푸쉬 방식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후크 결합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xed cover is hooked to the upper plate by a one-touch push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고정커버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부재와 상기 외팔보부재의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걸림후크;를 포함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cover comprises: a locking hook protru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xing cover, the locking hook including a cantilever member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hook member formed at a free end of the cantilever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커버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lastic pad is formed of a foam and attached to the fixed cover in an adhesive mann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opening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for latching the latching hook.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걸림후크에 접촉되고, 상기 걸림홈 주변으로 배치되는 배터리셀 모듈의 온도센서 고정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al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latching hook and is disposed around the latching groove.
KR1020160183889A 2016-12-30 2016-12-30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KR1018728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89A KR101872833B1 (en) 2016-12-30 2016-12-30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89A KR101872833B1 (en) 2016-12-30 2016-12-30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833B1 true KR101872833B1 (en) 2018-06-29

Family

ID=6278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89A KR101872833B1 (en) 2016-12-30 2016-12-30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3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9326A (en) * 2019-06-21 2019-11-08 宣城市泰宇电池有限公司 A kind of self protection type's lithium battery and its guard method
EP3675271A1 (en) * 2018-12-29 2020-07-0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WO2020138819A1 (en)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structured so as to allow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and battery pack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161215B1 (en) * 2019-11-06 2020-09-29 고려전자주식회사 Temperature Senso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1090974A1 (en) * 2019-11-06 2021-05-14 고려전자주식회사 Temperature senso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3934004A4 (en) * 2019-11-25 2022-06-22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39B1 (en)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이랜텍 Battery cell of lamination type
JP2015230200A (en) * 2014-06-04 2015-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Structure for mounting temperature sensor
KR20160041331A (en) 2014-10-07 201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Cell Module
KR20160046477A (en)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KR20160132144A (en) 2011-12-09 201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ce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39B1 (en)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이랜텍 Battery cell of lamination type
KR20160132144A (en) 2011-12-09 201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cell
JP2015230200A (en) * 2014-06-04 2015-12-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Structure for mounting temperature sensor
KR20160041331A (en) 2014-10-07 2016-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attery Cell Module
KR20160046477A (en) 2014-10-21 2016-04-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819A1 (en) * 2018-12-26 2020-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structured so as to allow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and battery pack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ame
CN111971848A (en) * 2018-12-26 2020-11-20 株式会社Lg化学 Battery module configured to allow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21521607A (en) * 2018-12-26 2021-08-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Battery modules with a structure capable of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battery packs and automobiles including them
JP7237090B2 (en) 2018-12-26 2023-03-10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A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ccurate temperature sensing,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an automobile
EP3675271A1 (en) * 2018-12-29 2020-07-01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US20200212418A1 (en) * 2018-12-29 2020-07-02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CN110429326A (en) * 2019-06-21 2019-11-08 宣城市泰宇电池有限公司 A kind of self protection type's lithium battery and its guard method
KR102161215B1 (en) * 2019-11-06 2020-09-29 고려전자주식회사 Temperature Senso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1090974A1 (en) * 2019-11-06 2021-05-14 고려전자주식회사 Temperature senso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3934004A4 (en) * 2019-11-25 2022-06-22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072B1 (en) Hinge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KR101844852B1 (en) Fpcb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KR101872833B1 (en) Temperature senso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US8294293B2 (en) High-voltage electrical component unit for vehicles
KR101996449B1 (en) Battery cell module with protective structure of fpcb
KR20180078778A (en) Bus-bar fixing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JP5722438B2 (en) Power storage device
JP5360042B2 (en) Plug cover device
KR101156350B1 (en) Battery pack assembly and battery pack and method of the same
RU2454754C1 (en) Accumulator storage battery with device for connection of electrode outputs
KR102087699B1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EP2617082B1 (en) Battery connector
JP4530711B2 (en) Pack battery
US10665835B2 (en) Assembled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ssembled battery
JP3540651B2 (en) Power supply
JP6619087B2 (en) Secondary battery pack
JP3540649B2 (en) Power supply
KR20170075484A (en) Secondary Battery Pack
KR20180118920A (en) Damping Member for Preventing Shake of BMS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JP2013110039A (en) Battery pack
JP6808283B2 (en) Batteries
KR101783333B1 (en) Terminal for module
US20210126314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CN219226520U (en) Protective cover structure of battery module
CN115579594B (en) BDU box, BDU unit and PACK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