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638B1 - 욕실용 슬리퍼 - Google Patents

욕실용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638B1
KR101872638B1 KR1020170046095A KR20170046095A KR101872638B1 KR 101872638 B1 KR101872638 B1 KR 101872638B1 KR 1020170046095 A KR1020170046095 A KR 1020170046095A KR 20170046095 A KR20170046095 A KR 20170046095A KR 101872638 B1 KR101872638 B1 KR 10187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wer window
slipper
window main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7004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specially adapted for sweaty feet;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용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퍼 내로 유입되는 물이 슬리퍼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배수가 되도록 하여 항상 슬리퍼가 건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욕실용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마직한 일 실시예는 하부창과, 하부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갑피로 이루어지는 슬리퍼에 있어서, 하부창은, 전방의 두께가 두껍고 후방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창 본체부와; 하부창 본체부 보다 일정 폭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 단부와 갑피의 내측면의 사이의 하부창 본체부 상부에는 배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면의 후방 단부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되며,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욕실용 슬리퍼{Slipper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리퍼 내로 유입되는 물이 슬리퍼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배수가 되도록 하여 항상 슬리퍼가 건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욕실용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용 슬리퍼는 단순히 상면부가 평면이거나 매우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욕실에서 사용 후에 물기가 슬리퍼 하부창의 상부면에 남아 있기 때문에 양말을 착용한 상태에서 슬리퍼를 신으면 양말이 물에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슬리퍼 하부창에 별도의 배수공을 통공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물기가 있는 욕실에서 사용시에는 오히려 배수공을 통하여 하부창의 상부면으로 물기가 올라와 발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308106호 "욕실용 슬리퍼"(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욕실용 슬리퍼에 있어서, 상기 슬리퍼의 뒤축부에 설치되어 슬리퍼를 신으면 체중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되어 그 뒷축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의 중공관들이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식으로 결합된 작동체; 및 상기 작동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슬리퍼를 벗으면 압축된 중공관들이 소정 시간 경과된 후 복원되게 하여 슬리퍼의 뒤축부가 들어올려져 슬리퍼가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욕실용 슬리퍼를 벗은 상태에서만 경사를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사용중에는 물기의 배출이 불가능하며 탄성체가 녹이 슬거나 훼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0308106호 "욕실용 슬리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창을 하향 경사를 갖는 하부창 본체부와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에 상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리퍼의 하부창에 별도의 배수를 위한 구멍이나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착 물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슬리퍼를 신은 상태에서나 벗어둔 상태에서 모두 슬리퍼 하부창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하부창 본체부와 후방 지지부의 경사에 의하여 슬리퍼의 후방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슬러퍼가 건조되도록 하여 물 사용이 많은 욕실에서의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창과, 하부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갑피로 이루어지는 슬리퍼에 있어서, 하부창은, 전방의 두께가 두껍고 후방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창 본체부와; 하부창 본체부 보다 일정 폭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 단부와 갑피의 내측면의 사이의 하부창 본체부 상부에는 배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면의 후방 단부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되며,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부창 본체부의 전방 단부가 상부로 일정 높이 들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 지지부의 전방 단부는 일정 높이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 지지부의 전방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 지지부는 폭방향 중앙부가 높고 폭방향 양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후방 지지부는 후방 단부가 하부창 본체부의 후방 단부에서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 지지부의 폭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 공간부가 하부창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는 하부창을 하향 경사를 갖는 하부창 본체부와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에 상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리퍼의 하부창에 별도의 배수를 위한 구멍이나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착 물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슬리퍼를 신은 상태에서나 벗어둔 상태에서 모두 슬리퍼 하부창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하부창 본체부와 후방 지지부의 경사에 의하여 슬리퍼의 후방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슬러퍼가 건조되도록 하여 물 사용이 많은 욕실에서의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1)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하부창(10)과 하부창(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갑피(20)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슬리퍼와 외형상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1)는 하부창(10)을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하부창 본체부(11)와, 후방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후방 지지부(12)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기가 하부창 본체부(11)와 후방 지지부(12)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부창(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하부창 본체부(11)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으로의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데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의 두께가 두껍고 후방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도록 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창 본체부(11)를 형성하면,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의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기는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면에서 경사면을 따라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부창 본체부(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기가 빠르게 후방으로 흘러내리지만,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으로의 물기의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 단부가 상부로 일정 높이 들려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하부창 본체부(11)는 전방의 두께가 두껍고 후방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화감을 위하여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에는 후방 지지부(12)가 형성되도록 한다.
후방 지지부(12)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 하부의 중앙부 및 뒤꿈치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착화시에 뒤꿈치 부분의 높이를 높여 안정적인 착화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후방 지지부(12)는 하부창 본체부(11)와 동일 또는 다른 재질로 별도 제작하여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하부창 본체부(11)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제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후방 지지부(12)는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하부창 본체부(1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에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물기는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흐르고, 후방 지지부(12)의 후방이나 상부로 유입되는 물기는 후방 지지부(12)의 상부면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의 방향으로 흘러내려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면으로 흘러내리고 다시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면에서 후방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방 지지부(12)는 하부창 본체부(11) 보다 일정 폭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 단부와 갑피(20)의 내측면의 사이의 하부창 본체부(11) 상부에는 배수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로 유입되는 물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흘러내리며 후방 지지부(12)와 접하는 부분에서 다시 측면의 배수 공간부(15)를 통하여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흘러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는 도 2에서와 같이,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가 형성되는 하부창 본체부(11)의 중앙부 상부면 보다 일정 높이 높게 형성되어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에서 턱이 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물이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 지지부(12)의 상부로 올라가지 않고 후방 지지부(12)의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물이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에 위치할때 라운드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 지지부(12)의 폭방향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후방 지지부(12)는 폭방향 중앙부가 높고 폭방향 양단부가 낮게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 지지부(12)의 상부로 유입되는 물을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하면서 동시에 폭방향 양측으로 흐르게 하여 배수 공간부(15)로 낙하를 유도하도록 한다.
특히, 후방 지지부(12)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하부창 본제부(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를 따라 흐르는 물이 후방 지지부(12)의 전방에서 후방 지지부(12)의 폭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배수 공간부(15)를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데,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의 단부까지 자연스러운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후방 지지부(12)는 후방 단부가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 단부에서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 지지부(12)의 폭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 공간부(15)가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욕실용 슬리퍼는 하부창을 하향 경사를 갖는 하부창 본체부와 하부창 본체부의 상부에 상향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리퍼의 하부창에 별도의 배수를 위한 구멍이나 배수를 위한 별도의 부착 물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슬리퍼를 신은 상태에서나 벗어둔 상태에서 모두 슬리퍼 하부창 상부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하부창 본체부와 후방 지지부의 경사에 의하여 슬리퍼의 후방의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 내에 슬러퍼가 건조되도록 하여 물 사용이 많은 욕실에서의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욕실용 슬리퍼
10 : 하부창
11 : 하부창 본체부
12 : 후방 지지부
15 : 배수 공간부
20 : 갑피

Claims (6)

  1. 하부창(10)과, 하부창(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갑피(20)로 이루어지는 슬리퍼에 있어서,
    하부창(10)은,
    전방의 두께가 두껍고 후방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상부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창 본체부(11)와;
    하부창 본체부(11) 보다 일정 폭 좁은 폭으로 이루어져 폭방향 양측 단부와 갑피(20)의 내측면의 사이의 하부창 본체부(11) 상부에는 배수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하부창 본체부(11)의 상부면의 후방 단부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되며, 전방의 두께가 얇고 후방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후방 지지부(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창 본체부(11)의 전방 단부가 상부로 일정 높이 들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는,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가 형성되는 하부창 본체부(11)의 중앙부 상부면 보다 일정 높이 높게 형성되어 턱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12)의 전방 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5.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12)는 폭방향 중앙부가 높고 폭방향 양단부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 지지부(12)는 후방 단부가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 단부에서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후방 지지부(12)의 폭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 공간부(15)가 하부창 본체부(1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슬리퍼.
KR1020170046095A 2017-04-10 2017-04-10 욕실용 슬리퍼 KR10187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95A KR101872638B1 (ko) 2017-04-10 2017-04-10 욕실용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95A KR101872638B1 (ko) 2017-04-10 2017-04-10 욕실용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638B1 true KR101872638B1 (ko) 2018-08-02

Family

ID=6325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95A KR101872638B1 (ko) 2017-04-10 2017-04-10 욕실용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67A (ko)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아이콘 욕실용 실내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08Y1 (ko) 2002-01-18 2002-05-03 박광희 욕실용 슬리퍼
KR101211468B1 (ko) 2010-03-10 2012-12-12 김용원 욕실용 슬리퍼
US20150320140A1 (en) 2014-05-06 2015-11-12 Yu-Chang Liao Sandal having grooves for drain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08Y1 (ko) 2002-01-18 2002-05-03 박광희 욕실용 슬리퍼
KR101211468B1 (ko) 2010-03-10 2012-12-12 김용원 욕실용 슬리퍼
US20150320140A1 (en) 2014-05-06 2015-11-12 Yu-Chang Liao Sandal having grooves for drain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67A (ko)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아이콘 욕실용 실내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0966A1 (en) Footwear
KR101872638B1 (ko) 욕실용 슬리퍼
US20030106240A1 (en) Water drainable sole for footwear
KR101211468B1 (ko) 욕실용 슬리퍼
KR200299090Y1 (ko) 배수기능을 갖는 욕실용 슬리퍼
KR200482957Y1 (ko) 측면 배수구가 구비된 물 유입 방지 슬리퍼
KR200278188Y1 (ko) 욕실용 슬리퍼
CN207855134U (zh) 一种浴室用拖鞋
CN207987659U (zh) 一种具有防溢出功能的园林铺地砖
CN217065542U (zh) 一种用于拖鞋或凉鞋的鞋底
CN204969702U (zh) 一种浴室拖鞋
CN209846268U (zh) 一种防溅水鞋底
CN219373938U (zh) 一种速干防臭拖鞋
CN215014036U (zh) 一种具有快速排水排沙功能的透气鞋子
KR200426121Y1 (ko) 실내 및 욕실용 슬리퍼
JP2013135773A (ja) 靴底およびそれを用いた靴
KR100935888B1 (ko) 물자동배출형 슬리퍼의 밑창 구조
KR200459800Y1 (ko) 욕실용 슬리퍼
KR200455401Y1 (ko) 슬리퍼
CN208403407U (zh) 一种简易速干拖鞋
CN210112648U (zh) 一种新型换气鞋垫
CN114427248A (zh) 一种脚踏自洁,蹲姿舒适的蹲便器
CN209547101U (zh) 一种防溅水鞋底
KR20110112991A (ko) 신발
KR20080006590U (ko) 욕실끌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