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339B1 - 다단 화분 - Google Patents

다단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339B1
KR101872339B1 KR1020160180218A KR20160180218A KR101872339B1 KR 101872339 B1 KR101872339 B1 KR 101872339B1 KR 1020160180218 A KR1020160180218 A KR 1020160180218A KR 20160180218 A KR20160180218 A KR 20160180218A KR 101872339 B1 KR101872339 B1 KR 10187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water
container
planting container
collecting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아
이민지
이소정
이지영
문일봉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상기 식재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개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식재공간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식재용기와, 상기 식재용기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은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상측에 위치한 식재용기에 물을 공급하면 자동으로 최하측에 위치한 식재용기까지 물이 공급되어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단 화분{Multilayer flowerpot}
본 발명은 다단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식재된 다수의 식재용기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단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환경이 급진적으로 변천해 감에 따라 인간생활의 주거환경과 주변미화도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요구되고 있다. 즉, 주변을 자연친화적으로 가꾸기 위하여 정원이나 꽃밭등에서 꽃을 재배하고, 계절마다 화초나 꽃등을 화분이나 분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실내외에서 취미생활이나 장식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화훼원에서 꽃, 열매나 잎등을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기위하여 가꾸고 있는 관상식물은 보통 실내 조건에 맞고 자연그대로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화분, 분재, 꽃병, 그리고 별도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계절이나 장소, 또는 취향에 맞게 미려하고 아름답게 자라날 수 있도록 가꾸게 된다.
그러나 화분 즉, 식물이 식재된 식재용기가 증가하면 관리시 각 식재용기마다 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번거럽고, 비교적 많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43322호: 다단식 화분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단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상기 식재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개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식재공간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식재용기 및 상기 식재용기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식재용기의 상부 및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식재용기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식재용기의 하부가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상면에 대향되도록 배열된 다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식재용기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용기에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이 상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들은 각각 상측에 인접된 안착부의 수직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거치대 및 상기 안착부들 사이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로부터 배출된 물을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로 공급하는 물 유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토출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 유도부는 상기 식재용기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에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부에 설치된 수집호퍼 및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의 하측에 인접된 상기 식재용기 상측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수집호퍼에 수집된 물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내부유로의 물이 상기 식재용기로 배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공급관을 구비한다.
상기 물 유도부는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은 상기 식재용기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상기 식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 내부에 충진된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토양 수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토양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최하측 상기 식재용기의 토양 수분 값이 기설정된 수분 값 이하이면 관리자에게 경고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은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상측에 위치한 식재용기에 물을 공급하면 자동으로 최하측에 위치한 식재용기까지 물이 공급되어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단 화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화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다단 화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 화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 화분(100)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121)이 마련된 다수의 식재용기(120)와, 상기 식재용기(120)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유닛(110)을 구비한다.
식재용기(1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식재용기(120)는 후술되는 지지유닛(110)의 지지부재(112)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부 외주면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재용기(120)는 상기 식재공간(121)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하면에는 상기 식재공간(121)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다수의 배출구(122)가 형성된다. 식재용기(120)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식재용기(120)의 식재공간(121)에는 토양이 충진되고, 충진된 토양에 식물이 식재된다.
한편, 식재용기(1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을 식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식재공간(121)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배출구(122)가 마련된 용기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지지유닛(110)은 식재용기(120)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재용기(120)의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120)의 식재공간(12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유닛(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상기 식재용기(120)의 상부 및 배출구(122)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식재용기(12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112)를 구비한다.
연장부재는 다수의 연장로프(111)와, 연장로프(1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된 연결체(113)를 구비한다. 연장로프(11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연결체(113)는 연장로프(111)들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112)는 식재용기(12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중공이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112)는 식재용기(120)의 단차부에 걸릴 수 있도록 식재용기(120)의 상단부 외경보다는 작고, 식재용기(120)의 하단부 외경보다는 큰 내경을 갖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재(112)는 브라켓(114)에 의해 연장로프(111)들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114)은 지지부재(112)와 연장로프(111)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지지부재(112) 및 연장로프(111)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브라켓(114)을 관통하여 지지부재(112) 및 연장로프(1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 또는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브라켓(114)은 지지부재(112) 및 연장로프(1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2)의 중공에 식재용기(120)는 삽입되므로 식재용기(120)의 상부 및 배출구(122)가 개방되게 지지부재(112)에 지지된다.
한편, 다수의 지지부재(112)는 상기 연장로프(111)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식재용기(120)의 하부가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120)의 상면에 대향되도록 배열된다. 즉, 지지부재(112)들은 중심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지지부재(112)들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최상측에 위치한 식재용기(12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 식재용기(120) 내부에 충진된 토양을 통과하여 식재용기(120)의 배출구(122)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식재용기(120)들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식재용기(120)의 배출구(122)로 배출된 물은 하측에 인접된게 위치된 또 다른 식재용기(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식재용기(120)에 유입된 물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최하측에 위치한 식재용기(120)까지 공급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100)은 상기 식재용기(120)의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120)의 식재공간(121)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상측에 위치한 식재용기(120)에 물을 공급하면 자동으로 최하측에 위치한 식재용기(120)까지 물이 공급되어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유닛(2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유닛(200)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식재용기(120)가 각각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211)가 형성된 거치대(210) 및 상기 안착부(211)들 사이의 상기 거치대(210)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120)로부터 배출된 물을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120)로 공급하는 물 유도부(220)를 구비한다.
거치대(210)는 전방부가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단차진 부분의 상면 및 거치대(210)의 상면에 각각 안착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안착부(211)들은 각각 상측에 인접된 위치의 안착부(211)의 수직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므로 상기 식재용기(120)에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이 상측에 인접된 식재용기(120)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안착부(211)는 식재용기(120)의 하단부 일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거치대(210)의 상면 및 단차진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211)는 식재용기(120)의 배출구(122)를 통해 토출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212)가 형성되어 있다.
물 유도부(220)는 상기 식재용기(120)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212)에 연통되도록 상기 안착부(211)에 설치된 다수의 수집호퍼(222)와, 수집호퍼(222)들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공급관(221)을 구비한다.
상기 수집호퍼(222)는 거치대(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하측에 위치한 안착부(211)를 제외한 안착부(211)들의 하부에 설치된다. 수집호퍼(222)는 안착부(211)의 배수구(212)에 연통되게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공급관(22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공급관(221)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222)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222)의 하측에 인접된 상기 식재용기(120)의 상부에 인접되도록 상기 거치대(210)에 설치된다. 이때, 공급관(221)의 타단은 상기 수집호퍼(222)의 하측에 인접된 상기 식재용기(12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221)은 내부에 상기 수집호퍼(222)에 수집된 물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내부유로의 물이 상기 식재용기(120)로 배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된다. 식재용기(120)로부터 배출된 물은 수집호퍼(222)로 수집되고, 공급관(221)을 통해 수집호퍼(222) 하측에 세팅된 식재용기(120)로 공급된다.
한편, 물 유도부(220)는 상기 공급관(221)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1)와, 상기 감지센서(231)로부터 측정된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230)을 구비한다.
상기 감지센서(231)는 다수개가 공급관(221)들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관(221) 내부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231)는 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유닛(230)은 상기 감지센서(231)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각 공급관(221)으로 물의 통과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232)와, 판별부(232)에서 판별된 정보 및 감지센서(231)로부터 측정된 감지정보를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3)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니터와 같은 표시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231) 및 표시유닛(230)에 의해 관리자는 공급관(221)으로 물이 유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정보를 통해 식재용기(120)로의 물공급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최상측 식재용기(120)에 물 공급시 감지센서(231)를 통해 공급관(221)의 물 공급이 미감지되면 공급되는 물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공급되는 물의 늘리거나 최상측 식재용기(120) 외의 다른 식재용기(120)에 직접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화분(100)은 상기 식재용기(120)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상기 식재용기(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120) 내부에 충진된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토양 수분 센서를 더 구비한다. 이때, 표시유닛(230)의 판별부(232)는 상기 토양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최하측 상기 식재용기(120)의 토양 수분 값이 기설정된 수분 값 이하이면 경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3)를 통해 관리자에게 표시한다. 상기 경고 정보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이미지이거나 문장일 수도 있다.
상기 토양 수분 센서를 통해 최하측 식재용기(120) 내의 토양의 수분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최상측 식재용기(12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최하측 식재용기(120)까지 공급되기에 충분한 양인지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단 화분
110: 지지유닛
111: 연장로프
112: 지지부재
113: 연결체
114: 브라켓
120: 식재용기
121: 식재공간
122: 배출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재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상기 식재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개방되며, 하부에는 상기 식재공간을 통과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식재용기와;
    상기 식재용기들을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의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식재용기가 각각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식재용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식재용기에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이 상측에 인접된 식재용기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부들은 각각 상측에 인접된 안착부의 수직중심선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된 거치대 및
    상기 안착부들 사이의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로부터 배출된 물을 하측에 인접된 식재용기로 공급하기 위한 물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유도부는
    상기 식재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토출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통되어 상기 식재용기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집하는 수집호퍼와,
    일단이 상기 수집호퍼에 연결되며, 상기 수집호퍼에 수집된 물이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유로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수집호퍼의 하측에 배치된 식재용기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거치대의 내부에 설치된 공급관;을 구비하되,
    상기 공급관은 상기 수집호퍼로 유입된 물이 바로 하부로 이동하여 하부측 식재용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체구간 없이 상기 수집호퍼로부터 하부측 식재용기까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도부는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감지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유닛;을 더 구비하는,
    다단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용기들 중 최하측에 위치한 상기 식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용기 내부에 충진된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는 토양 수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토양 수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최하측 상기 식재용기의 토양 수분 값이 기설정된 수분 값 이하이면 관리자에게 경고 정보를 표시하는,
    다단 화분.
KR1020160180218A 2016-12-27 2016-12-27 다단 화분 KR10187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18A KR101872339B1 (ko) 2016-12-27 2016-12-27 다단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18A KR101872339B1 (ko) 2016-12-27 2016-12-27 다단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339B1 true KR101872339B1 (ko) 2018-06-28

Family

ID=6278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218A KR101872339B1 (ko) 2016-12-27 2016-12-27 다단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4673B1 (en) * 2022-05-10 2024-06-11 Ruta Bandzeviciene Multiple plant han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448U (ko) * 1985-05-16 1986-11-25
KR0117208Y1 (ko) * 1995-04-26 1998-04-22 구형우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200317057Y1 (ko) * 2003-03-08 2003-06-25 강재용 식물의 성장환경 제어장치를 갖는 화분
KR100843322B1 (ko) 2006-07-13 2008-07-03 민용기 다단식 화분대
KR101179866B1 (ko) * 2011-09-28 2012-09-05 박철수 양액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8448U (ko) * 1985-05-16 1986-11-25
KR0117208Y1 (ko) * 1995-04-26 1998-04-22 구형우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200317057Y1 (ko) * 2003-03-08 2003-06-25 강재용 식물의 성장환경 제어장치를 갖는 화분
KR100843322B1 (ko) 2006-07-13 2008-07-03 민용기 다단식 화분대
KR101179866B1 (ko) * 2011-09-28 2012-09-05 박철수 양액공급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4673B1 (en) * 2022-05-10 2024-06-11 Ruta Bandzeviciene Multiple plant 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1099B2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4170089A (en) Hanging flower pot
US6516563B1 (en) Plant container
EP2540155B1 (en) Self-watering pot assembly for plants
KR200479346Y1 (ko) 조립식 실내 녹화용 화분구조체
KR101872339B1 (ko) 다단 화분
US9572309B2 (en) Adjustable planter disk
US20200128767A1 (en) Plant pot insert
KR102511318B1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KR200317057Y1 (ko) 식물의 성장환경 제어장치를 갖는 화분
KR102059916B1 (ko)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 및 상기 실내 작물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내 작물 재배용 트레이
KR101793079B1 (ko) 물주는 주기를 알려주는 화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1614197B1 (ko) 데스크용 전자 화분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CN207185367U (zh) 一种相框式壁挂花盆
US4308690A (en) Planter
KR101920412B1 (ko) 자동배수 및 수위감지 기능을 갖는 화분
KR102702492B1 (ko) 식물 수직 재배기
US20110179707A1 (en) Sloped Slot Pot
KR102375389B1 (ko) 화분용 받침대
CN107624422A (zh) 可蓄水的花盆结构
CN208462470U (zh) 一种组合式可悬挂花盆
KR20150088765A (ko) 데스크용 전자 화분
KR20150106526A (ko) 데스크용 전자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