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330B1 -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 Google Patents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330B1
KR101872330B1 KR1020160151258A KR20160151258A KR101872330B1 KR 101872330 B1 KR101872330 B1 KR 101872330B1 KR 1020160151258 A KR1020160151258 A KR 1020160151258A KR 20160151258 A KR20160151258 A KR 20160151258A KR 101872330 B1 KR101872330 B1 KR 10187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ork
adjusting member
fram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999A (ko
Inventor
원영욱
홍장표
박인보
김영식
성홍근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5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3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63B2001/123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interconnected by a plurality of beams, or the like membe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13/02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을 위한 보수작업단정에 있어서, 수면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보수작업유닛;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유닛; 및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보수작업유닛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체 상에 높이조절부재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너비조절부재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컨트롤러를 통해 높이조절부재와 너비조절부재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심해수조나 해상에 설치된 구조물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에게 비교적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수상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REPAIR WORKING BOAT EASY TO OFFSHORE WORK}
본 발명은 선체 상에 설치되는 작업대의 높이와 너비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구성을 통해 심해수조에 설치된 구조물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작업대에서 자유롭고 효율적인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해수조 구조물이란, 바닥면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등 유동이 발생하는 심해수조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플랜트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컨대, Oi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플랜트뿐만 아니라 화물선, 컨테이너선, LNG 수송선, 시추선 등과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심해수조에 설치되는 각종의 구조물을 관리하거나 수선하는 등 수상작업을 위해 수조의 물을 모두 배수하거나 소형 선박(단정)을 이용하여 접근해서 작업을 해왔으나, 상기 방법에 따르는 경우,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거나, 작업이 어려운 부분들이 작업이 어려운 부분이 발생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상기 심해수조 구조물을 관리 및 수선하기 위한 작업수단으로서, 두 개의 선체로 이루어지는 작업용 쌍동선이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작업용 쌍동선은 두 개의 선체를 나란히 연결하여 쌍동선의 형태로 만들고, 선체 하부에는 프로펠러를 장착하며, 선체 상부에서는 프로펠러와 연결되는 페달을 밟아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목적지로 이동하여 심해수조 내에서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 관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작업용 쌍동선은 리프팅((lifting)되는 심해수조의 바닥면에 프로펠러가 걸려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이 선체의 크기, 높이, 두 선체 간의 간격 등에 따라 한정되므로, 구조물의 크기에도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동성 및 수조의 수심에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은 물론, 구조물의 크기에도 제약을 받지 않는 자유롭고 효율적인 수상작업용 선박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9898호(발명의 명칭: 탈부착 가능한 자전거로 구동되는 쌍동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선체 상에 설치되는 작업대의 높이와 너비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구성을 통해 심해수조에 설치된 구조물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작업대에서 자유롭고 효율적인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프로펠러를 선체 각각의 선미 부분에 수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유동적인 수심 변화에도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인 기동성을 가질 수 있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은,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을 위한 보수작업단정에 있어서, 수면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보수작업유닛;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유닛; 및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보수작업유닛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수작업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으로 제작되어 유압을 통해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 형상의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단에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너비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 및 너비조절부재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프레임; 상기 작업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작업 프레임이 수용되는 프레임 하우징; 및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외부로 상기 작업 프레임을 인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 및 너비조절부재는, 상기 작업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슬립 패드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유닛은, 상기 선체의 선미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업현장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선체의 위치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체 상에 높이조절부재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너비조절부재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컨트롤러를 통해 높이조절부재와 너비조절부재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심해수조나 해상에 설치된 구조물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에게 비교적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수상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추진유닛을 선체 말단에 수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유동적인 수심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단정의 기동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배면도.
도 3은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보수작업유닛이 가변하는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배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보수작업단정의 보수작업유닛이 가변하는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 또는 심해수조에 설치되는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을 위한 보수작업단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100)은 선체(110), 보수작업유닛(120), 추진유닛(130)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체(110)는 수면 상에 부유하는 몸체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기 위해서는, 두 개의 선체(110)를 나란히 정렬한 쌍동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110)는 작업자 및 작업공구 등의 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홀을 형성하여 설정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체(110)는 수면에 부유하는 성질을 갖도록 무게, 크기, 재질 등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수작업유닛(120)은 선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자체높이와 자체너비가 가변되면서 상기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와 수선작업을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선체(1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설치되고, 이는 높이조절부재(120a) 및 너비조절부재(120b)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는 선체(110)의 상부 일측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와 너트, 고정 프레임 등 다양한 공지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선체(11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작업자가 발을 딛고 용이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을 통해 다단으로 자체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는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작업공간의 높이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될 너비조절부재(120b)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너비조절부재(120b)의 설명 후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너비조절부재(120b)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의 상단에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와 상호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어, 상기 선체(110)와는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와 너트, 고정 프레임 등 다양한 공지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체길이가 조절되면서 작업자가 수면과 설정된 간격의 수평면 상에서 기립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너비조절부재(120b)는 전술한 높이조절부재(120a)의 형상과는 다르게, 평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 및 너비조절부재(120b)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 및 너비조절부재(120b)는 유압을 이용한 텔레스코프(telescope)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해 작업 프레임(121), 프레임 하우징(122) 및 유압구동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 프레임(121)은 후술되는 프레임 하우징(122)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뼈대로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에서의 작업 프레임(121)은 작업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용이하도록 사다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너비조절부재(120b)에서의 작업 프레임(121)은 작업자가 안전하게 기립하여 활동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프레임(121)의 일부분에는 작업자가 발을 딛는 부분을 고려하여 물로 인한 작업자의 슬립(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논슬립(non-slip) 패드(121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논슬립 패드(121a)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마찰력이 강한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을 주거나, 돌기를 형성하거나, 유약을 거칠게 처리하는 등의 제조방법으로 논슬립을 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논슬립 패드(121a)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4-비닐페놀(P4VP), 폴리스티렌-부타디엔-블록(SBS), 폴리이미드(PI), 폴리우레탄(PU),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카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PC/ABS),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나일론,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가교 폴리에틸렌(XLPE),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TEOS),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SS), 폴리피롤,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폴리p-페닐렌 설파이드,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티오펜-폴리티에닐렌비닐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은 작업 프레임(1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고, 양측에 설정된 깊이의 삽입홈(부호 미표시)을 형성하여 상기 작업 프레임(121)의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은 작업 프레임(121)의 실린더 몸체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에서의 프레임 하우징(122)은 외면 일측에 작업자가 발을 딛을 수 있도록 걸림턱(122a)을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사다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20a)의 작업 프레임(121)을 타고 상부를 향해 올라갈 경우,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에 형성된 걸림턱(122a)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이어 올라갈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122a)에도 전술한 논슬립 패드(121a)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구동기(123)는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내외부로 상기 작업 프레임(121)을 인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로드(123a), 피스톤(123b) 및 압력조절관(123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드(123a)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삽입홈에 일부분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로드(123a)의 관통된 일단에는 설정된 크기의 피스톤(123b)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 내로 수용되는 상기 작업 프레임(121)이 지지된다.
상기 압력조절관(123c)은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 또는 흡입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23b)이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즉, 상기 피스톤(123b)이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로드(123a)는 물론, 상기 로드(123a)에 지지된 작업 프레임(121)까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업 프레임(121)은 프레임 하우징(122)의 내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 프레임(121)의 인출범위를 확장시켜 보다 효율적인 텔레스코프(telescope)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을 길이방향으로 구획시키는 격벽(123d)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격벽(123d)을 통해 구획된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에는 로드(123a), 피스톤(123b) 및 압력조절관(123c)이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하우징(122)의 내부를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피스톤(123b)의 왕복운동 가능범위 또한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추진유닛(130)은 선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10)를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프로펠러와 구동기(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추진유닛(130)은 선체(110)의 선미에 수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체(11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보수작업유닛(120)과 추진유닛(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상기 선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작업유닛(120)과 추진유닛(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40)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다양한 공지의 제어모듈을 선택하여 자유롭게 변경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수작업단정(100)은 카메라(111) 및 위치감지센서(11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1)는 선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작업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업현장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카메라(111)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가 바람직하나, 상기 작업현장을 촬영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이미지 센서가 취급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12)는 선체(1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1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선체(11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선체(110)의 위치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위치감지센서(112)는 GPS 센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선체(110) 상에 높이조절부재(120a)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너비조절부재(120b)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컨트롤러(140)를 통해 높이조절부재(120a)와 너비조절부재(120b)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심해수조나 해상에 설치된 구조물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에게 비교적 넓은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수상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추진유닛(130)을 선체(110) 말단에 수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통해 유동적인 수심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단정(100)의 기동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보수작업단정 110 : 선체
111 : 카메라 112 : 위치감지센서
120 : 보수작업유닛 120a : 높이조절부재
120b : 너비조절부재 121 : 작업 프레임
121a : 논슬립 패드 122 : 프레임 하우징
122a : 걸림턱 123 : 유압구동기
123a : 로드 123b : 피스톤
123c : 압력조절관 123d : 격벽
130 : 추진유닛 140 : 컨트롤러

Claims (9)

  1.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을 위한 보수작업단정에 있어서,
    수면에 부유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관리 및 수선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보수작업유닛;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유닛; 및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보수작업유닛과 추진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고, 각각의 상부에는 상기 보수작업유닛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설치되며,
    상기 보수작업유닛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으로 제작되어 유압을 통해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사다리 형상의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단에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너비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 및 너비조절부재는,
    길이가 가변되면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프레임;
    상기 작업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작업 프레임이 수용되는 프레임 하우징; 및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하우징의 내외부로 상기 작업 프레임을 인출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구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프레임 하우징은,
    외면 일측에 걸림턱을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 및 너비조절부재는,
    상기 작업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패드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유닛은,
    상기 선체의 선미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업현장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상기 선체의 위치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GPS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KR1020160151258A 2016-11-14 2016-11-14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KR10187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58A KR101872330B1 (ko) 2016-11-14 2016-11-14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258A KR101872330B1 (ko) 2016-11-14 2016-11-14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99A KR20180053999A (ko) 2018-05-24
KR101872330B1 true KR101872330B1 (ko) 2018-06-29

Family

ID=6229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258A KR101872330B1 (ko) 2016-11-14 2016-11-14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831B1 (ko) * 2019-03-27 2019-09-05 이화선 해상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선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1B1 (ko) * 2009-02-26 2009-12-21 김영권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작업대 승강형 작업용 바지선
KR101350274B1 (ko) * 2012-10-31 2014-01-16 주식회사 에프나인 센서기술을 이용한 수상 무인로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365A (ko) * 2012-04-30 2013-11-07 신성산건 주식회사 터널방음벽용 작업대차
KR101209898B1 (ko) 2012-08-14 2012-12-20 김윤성 탈부착 가능한 자전거로 구동되는 쌍동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971B1 (ko) * 2009-02-26 2009-12-21 김영권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작업대 승강형 작업용 바지선
KR101350274B1 (ko) * 2012-10-31 2014-01-16 주식회사 에프나인 센서기술을 이용한 수상 무인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831B1 (ko) * 2019-03-27 2019-09-05 이화선 해상 구조물 유지보수용 작업선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99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363B1 (ko) 수중 운송 수단의 부력 제어를 위한 재사용 가능한 부력 모듈
AU2020200815B2 (en) Inflatable surf board with an electric drive
KR101416141B1 (ko) 수중 로봇의 작업지원 플랫폼 및 그 방법
EP2657125B1 (en) Underwater mobile apparatus and moving method thereof
JP6523568B2 (ja) 水中ドローン
US8733267B2 (en) Telescopic submarine
US8739724B2 (en) Inflatable dry-dock
AU2013234263B2 (en) Retractable propulsion container with thruster
US20080121165A1 (en) Unmanned Underwater Vessel
WO2003037710A1 (en) Drive-on dry dock
KR101872330B1 (ko) 작업이 용이한 보수작업단정
WO2015120862A1 (en) A boat heel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and a boat with said system
KR101195150B1 (ko) 포드형 선박 추진 장치
CN101348163A (zh) 船舶吃水深度调节装置及可调吃水深度的运输船
WO2013165423A1 (en) Inflatable dry-dock
WO2018026289A1 (en) Inflatable dry dock
US20220402582A1 (en) Floating dock system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40090396A (ko) 논 밸러스트 선박
KR101444149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879723B1 (ko) 조파저항감쇠가 용이한 다선체 선박
KR20150021983A (ko) 논 밸러스트 선박
US4326478A (en) Water-removing system for a catamaran boat
KR101598694B1 (ko) 계류 장치를 갖는 선미 구조 및 이를 갖는 드릴쉽
KR101607875B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