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235B1 -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235B1
KR101872235B1 KR1020160150052A KR20160150052A KR101872235B1 KR 101872235 B1 KR101872235 B1 KR 101872235B1 KR 1020160150052 A KR1020160150052 A KR 1020160150052A KR 20160150052 A KR20160150052 A KR 20160150052A KR 101872235 B1 KR101872235 B1 KR 10187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member
partial pressure
carbon dioxide
air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908A (ko
Inventor
김성
최해영
이윤호
정회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5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2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06Biological oxygen demand [BOD] 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수에 일부가 잠겨 내부에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가 형성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해수에 잠기며, 상기 플로팅 부재의 하부에 연통되는 버블 도입관;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부에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1 순환 배관;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2 순환 배관; 상기 제1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및 상기 제2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산소분압을 측정하는 산소분압측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Device for continuous measuring pO2 and pCO2 of aquarium without biofouling on the sensors using air-water equilibriu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이 해양생물 서식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해수의 산성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수조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조 내의 해수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해수를 고압 펌프를 통해 밀폐된 측정 챔버 내로 고압 분사하여 해수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 및 챔버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이 평형을 이루는 것을 디텍팅 하여 해수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조 내 해수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고압 펌프를 통해 측정 챔버 내부로 고압 분사하여 해수 내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할 경우 수조 내의 미세 해양생물도 해수와 함께 유입되어 측정 챔버 내부로 고압분사되어 집단 폐사하기 때문에 해양 생물의 관측 및 배양에 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63012호에서는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수조 내의 해수의 이산화탄소 분압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도중 미세 해양 생물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한 수중 생물 폐사 방지용 해수의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장치에 대해 제안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에서 제안한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측정 장치는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하는 측정기와 공기순환을 담당하는 공기펌프를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측정기로 공급되는 샘플링된 공기의 압력과 공기순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플로팅 부재 내부에 해수면의 수위가 압력차가 발생할 때마다 변화하여 격리 공간으로부터 샘플링되는 공기의 양이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플로팅 부재에 직접적으로 압력조절관을 부설하여 설치함으로써 플로팅 부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격리공간 중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나 버블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물방울에 의해 막힘이 발생되었으며, 이 때문에 측정기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측정오류가 발생됨으로써 측정기에서 정확하게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하기 어렵고, 산소분압의 측정은 전혀 불가능 하였다.
또한, 수조 내의 수질 관리를 위해 용존산소를 전기화학센서(갈바닉센서), 광전기센서(optode), 화학적 적정방법 등으로 측정한다. 간헐적 측정이 가능한 화학적 적정방법에 비해 용존산소 측정센서로 물속에 넣어 측정하는 경우 장시간 연속 측정이 가능하나, 수중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를 장기간 수중 환경에서 운용할 경우 생물 오염으로 인해 측정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장기적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기와 수중 환경에서 기체상태의 가스를 분석하므로 생물 오염이 없이 생물의 호흡률 지표인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일 시스템으로 연속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측정 대상 양식장 배양수와 무환 순환 측정 매질의 기체를 연속으로 접촉시켜 두 매질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이 평형을 이루게 하여, 양식장 배양수와 기체에 포함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이 평형을 이룬 측정 매질의 기체를 연속으로 추출한 후 측정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이용하여 양식장의 수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양생물의 대표적인 호흡률 지표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용존산소법 대비 이산화탄소 분압의 변화를 활용한 호흡률 측정감도가 수십 배 향상되도록 하여, 생물의 오염 없이 물속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연속으로 장기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측정하여 생물의 에너지 대사 상태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기에서 해수나 담수에 양측을 오가는 생물의 생활사 변화에 따른 호흡률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는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수에 일부가 잠겨 내부에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가 형성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해수에 잠기며, 상기 플로팅 부재의 하부에 연통되는 버블 도입관;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부에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1 순환 배관;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2 순환 배관; 상기 제1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및 상기 제2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산소분압을 측정하는 산소분압측정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순환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기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내로 유입시키는 제1 순환 펌프; 및 상기 제2 순환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기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산소분압측정기 내로 유입시키는 제2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조절 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순환 배관; 및 상기 공기 순환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블 도입관 내에 배치되는 버블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블 도입관 내에서 상기 버블 발생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버블이 포함된 해수를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공급하는 버블 도입관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로팅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의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플로팅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의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수가 수납되는 수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부재는 상기 수조 내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와 수중 환경에서 기체상태의 가스를 분석하므로 생물 오염이 없이 생물의 호흡률 지표인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일 시스템으로 연속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 양식장 배양수와 무환 순환 측정 매질의 기체를 연속으로 접촉시켜 두 매질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이 평형을 이루게 하여, 양식장 배양수와 기체에 포함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이 평형을 이룬 측정 매질의 기체를 연속으로 추출한 후 측정된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이용하여 양식장의 수질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생물의 대표적인 호흡률 지표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용존산소법 대비 이산화탄소 분압의 변화를 활용한 호흡률 측정감도가 수십 배 향상되며, 생물의 오염 없이 물속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연속으로 장기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측정하므로 생물의 에너지 대사 상태를 분석이 가능하며, 대기에서 해수나 담수에 양측을 오가는 생물의 생활사 변화에 따른 호흡률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양식장의 생물 서식 환경은 생물의 밀도와 발생단계, 사료 급이량, 잔여 사료의 부패, 미생물의 활동도, 온도, 배설물 등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변한다. 이러한 양식장의 환경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관리의 필수 지표인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을 동시에 연속으로 측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는 양식장 배양수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생물 오염 없이 동시에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다. 두 종류의 수질 변화 지표 산출을 위해 플로팅 부재 내에서 해수를 무한 순환 기체로 연속 접촉시켜 해수와 공기 간 평형을 이루게 하고, 평형을 이룬 기체의 일부를 추출하여 해수와 공기(기체) 간 평형상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한 후 측정된 공기(기체)를 다시 플로팅 부재 내로 주입한다. 이때 산소와 이산화탄소 측정센서가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 수중 생물에 의한 오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는 플로팅 부재(110), 버블 도입관(120), 제습기(130), 제1 순환 배관(140), 제2 순환 배관(150),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 및 산소분압측정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로팅 부재(110)는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수(161)에 일부가 잠겨 내부에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로팅 부재(110)는 상기 해수(161) 상에서 일부는 잠기고 일부는 보다 높게 떠 있는 상태로 부양되며, 상기 플로팅 부재(110)의 내부에는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 111) 즉, 격리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 스페이스(111) 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플로팅 부재(110)는 수위 변화에 따른 액체(해수)와 기체(공기) 간의 평형기의 수위 변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헤드 스페이스(111)는 기체(공기)의 회수 및 액체(해수)와 기체(공기) 간의 평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플로팅 부재(110)의 하부에는 버블 도입관(120)이 연통된다. 즉, 상기 버블 도입관(120)은 해수에 잠기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10)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블 도입관(120) 내에는 버블 발생기(17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블 발생기(175)는 공기 순환 배관(170)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 순환 배관(170)은 압력 조절 관(17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 조절 관(171)으로부터 공기 순환 배관(17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버블 발생기(175)를 통해 버블 도입관(120)내에 버블 형태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버블 형태의 공기는 플로팅 부재(110)의 헤드 스페이스(111) 내로 유입되어 제습기(130)를 통해 제1 순환 배관(140) 및 제2 순환 배관(150)으로 순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습기(130)는 상기 플로팅 부재(110)의 상부에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1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제습하고, 상기 제습된 공기는 제1 순환 배관(140) 및 제2 순환 배관(150)으로 순환된다.
이때, 제1 순환 배관(140)에는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가 설치되며, 제2 순환 배관(150)에는 산소분압측정기(155)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습기(130)로부터 제1 순환 배관(14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에 의해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습기(130)로부터 제2 순환 배관(150) 내로 유입된 공기는 산소분압측정기(155)에 의해 산소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기(130)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순환 배관(140)에는 펌프(1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습기(130)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산소분압측정기(155)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순환 배관(150)에도 펌프(15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습기(130) 내부에는 공기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공성 물질로 구성된 제습제를 충진할 수 있으며, 이때 제습제로는 실리카겔, 활성탕 등의 다공성 재질의 고형 흡습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순환 배관(140)과 제2 순환 배관(150)을 순환한 공기는 다시 플로팅 부재(110)의 헤드 스페이스(111)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에 따르면, 공기 순환 배관(170)으로부터 버블 발생기(175)를 통해 버블 도입관(120) 내로 유입된 공기의 부력으로 인해 버블 도입관(120) 내의 해수가 상승하고, 공기와 해수가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해수와 공기 사이에 가스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주변의 해수가 무한히 공급되고 공기는 폐쇄 공간에서 연속으로 순환되며, 이와 같이 순환되는 공기의 일부를 추출하여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와 산소분압측정기(155)를 통해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기체는 지속적으로 재사용되며, 측정된 기체 상태의 산소분압을 산소와 액체간의 평형계수를 이용하여 용존산소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181)는 상기 플로팅 부재(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10) 내의 해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염도 센서(182)는 상기 플로팅 부재(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10) 내의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고, 산소 센서(183)는 상기 플로팅 부재(1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10) 내의 해수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와 같은 해수의 온도와 염도를 이용해 산소와 액체 간의 평형계수 보정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는 수조(160) 내에 수납되어 측정이 가능하며, 플로팅 부재(110)는 상기 수조(160) 내에서 부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도,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플로팅 부재(110), 버블 도입관(120), 제습기(130), 제1 순환 배관(140), 제2 순환 배관(150),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 및 산소분압측정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로팅 부재(110)는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수에 일부가 잠겨 내부에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가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 부재(110)의 하부에는 버블 도입관(120)이 연통된다.
상기 버블 도입관(120) 내에는 버블 발생기(17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버블 발생기(175)는 공기 순환 배관(17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순환 배관(170)은 압력 조절 관(17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조절 관(171)으로부터 공기 순환 배관(17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버블 발생기(175)를 통해 버블 도입관(120)내에 버블 형태의 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블 도입관(120)은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이와 같이 보다 길게 형성된 버블 도입관(120) 내에 형성된 버블 형태의 공기를 플로팅 부재(110)의 헤드 스페이스(111) 내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시키기 위하여 펌프(12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발생된 버블 형태의 공기는 플로팅 부재(110)의 헤드 스페이스(111) 내로 유입되어 제습기(130)를 통해 제1 순환 배관(140) 및 제2 순환 배관(150)으로 순환되며, 제1 순환 배관(140) 및 제2 순환 배관(150)에 각각 설치된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145)와 산소분압측정기(155)는 각각 이산화탄소분압과 산소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팅 부재의 헤드 스페이스 내의 공기 상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구성비 및 주변 해수의 용존산소의 동시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생물의 호흡으로 해수 내의 용존산소가 낮아지기 시작하면(a), 그 즉시 공기와 해수가 접촉한 해수와 공기 사이에 가스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3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스페이스내의 산소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해수의 용존산소와 해수와 기체간 평형상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분압의 연속 모니터링 값들은 상호 99%이상의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플로팅 부재
111: 헤드 스페이스
120: 버블 도입관
125: 펌프
130: 제습기
140: 제1 순환 배관
141: 펌프
145: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150: 제2 순환 배관
151: 펌프
155: 산소분압측정기
160: 수조
161: 해수
170: 공기 순환 배관
175: 버블 발생기
181: 온도 센서
182: 염도 센서
183: 산소 센서

Claims (6)

  1. 미세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수에 일부가 잠겨 내부에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가 형성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해수에 잠기며, 상기 플로팅 부재의 하부에 연통되는 버블 도입관;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부에 일측이 연통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로부터 제공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1 순환 배관;
    상기 제습기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유입되는 제2 순환 배관;
    상기 제1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이산화탄소분압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상기 제2 순환 배관 내로 제공되는 공기 내의 산소분압을 측정하는 산소분압측정기;
    상기 제1 순환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기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이산화탄소분압측정기 내로 유입시키는 제1 순환 펌프;
    상기 제2 순환 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기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상기 산소분압측정기 내로 유입시키는 제2 순환 펌프;
    압력 조절 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순환 배관;
    상기 공기 순환 배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블 도입관 내에 배치되는 버블 발생기; 및
    상기 해수가 수납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부재는 상기 수조 내에서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의 연속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블 도입관 내에서 상기 버블 발생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버블이 포함된 해수를 상기 플로팅 부재 내로 공급하는 버블 도입관 펌프;
    를 더 포함하는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의 연속 측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의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플로팅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 내의 해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센서;
    를 더 포함하는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및 산소분압의 연속 측정 장치.
  6. 삭제
KR1020160150052A 2016-11-11 2016-11-11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KR10187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52A KR101872235B1 (ko) 2016-11-11 2016-11-11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52A KR101872235B1 (ko) 2016-11-11 2016-11-11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08A KR20180052908A (ko) 2018-05-21
KR101872235B1 true KR101872235B1 (ko) 2018-06-28

Family

ID=6245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52A KR101872235B1 (ko) 2016-11-11 2016-11-11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2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335A (ja) 1999-04-05 2000-10-20 Hiroyuki Katayama 液体中の溶存物質の分圧測定方法及び分圧測定装置
KR101363012B1 (ko) * 2012-11-28 2014-0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생물 폐사 방지용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측정 장치
KR101631867B1 (ko) 2014-12-26 2016-06-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병렬공기순환형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연속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2103A (ja) * 1992-02-18 1993-09-07 Fukuichi Fujiwara 水中に溶解した二酸化炭素の分圧を、迅速、かつ精度よく測定する方法
KR101070873B1 (ko) * 2010-02-03 2011-10-06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영향 실시간 평가 장치
KR20150031390A (ko) * 2013-09-13 2015-03-24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수족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335A (ja) 1999-04-05 2000-10-20 Hiroyuki Katayama 液体中の溶存物質の分圧測定方法及び分圧測定装置
KR101363012B1 (ko) * 2012-11-28 2014-0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생물 폐사 방지용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측정 장치
KR101631867B1 (ko) 2014-12-26 2016-06-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병렬공기순환형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연속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908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0551B (zh) 光学溶解氧传感器原位自校准装置及方法
ATE222951T1 (de) Verfahren, gefäss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toffwechselaktivität von zellkulturen in flüssigen medien
Sanni et al. A continuous flow system (CFS) for chronic exposure of aquatic organisms
KR20220130835A (ko) 멤브레인 생물막 반응기를 위한 플로팅 장치 및 물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CN102109512A (zh) 一种检测水质毒性的装置及方法
CN107615037B (zh) 氢气浓度的连续测定方法和在其中使用的氢气浓度测定装置
CN104090014B (zh) 一种水质急性毒性的检测方法及其装置
CN102062772A (zh) 大型浮标水质传感器防附着装置
JP2017079628A (ja) 飼育水中の溶存酸素濃度を制御する方法
KR101872235B1 (ko) 센서의 생물오염 없이 양식장의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
KR101810810B1 (ko) 물 샘플에서의 미생물을 판정하는 방법과 기기
CN201935910U (zh) 一种检测水质毒性的装置
KR101302734B1 (ko) 유압 유량 버퍼를 가지는 총잔류 산화물 농도 센서
KR101631867B1 (ko) 병렬공기순환형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연속 측정 장치
US20160187311A1 (en) Respirometer
US422085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hange in water quality
CN201909784U (zh) 大型浮标水质传感器防附着装置
KR101363012B1 (ko) 수중 생물 폐사 방지용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측정 장치
Borges et al. Direct and continuous dissolved CO2 monitoring in shallow raceway systems: From laboratory to commercial-scale applications
US9603345B2 (en) Aquatic organism rearing system and aquatic organism rearing method
CN211978896U (zh) 一种快速获得活性污泥最大呼吸速率装置
CN206725548U (zh) 一种测定物质对淡水鱼急性毒性影响的装置
ES2554395B1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ensuciamiento de membranas en plantas de ósmosis inversa, nanofiltración o ultrafiltración y dispositivo asociado
JP2013215680A (ja) 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Langenfeld et al. Dissipation rates of oxygen nanobubbles in recirculat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