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80B1 - 기판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80B1
KR101872180B1 KR1020180020878A KR20180020878A KR101872180B1 KR 101872180 B1 KR101872180 B1 KR 101872180B1 KR 1020180020878 A KR1020180020878 A KR 1020180020878A KR 20180020878 A KR20180020878 A KR 20180020878A KR 101872180 B1 KR101872180 B1 KR 10187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ubstrate
weight
frame
substrat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김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명 filed Critical 김동명
Priority to KR102018002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이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송되는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판 이송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기판을 이송하는 것이다.
기판 이송 장치는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 장치는, 일측벽에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홈이 형성된 프레임; 일단이 상기 개구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에 복수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되,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의 두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 통과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판; 상기 홀에 삽입되고, 흡입유닛이 제공하는 흡입력을 통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이송 장치{Explosion-proof equipmen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기판 이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송되는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판 이송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시와 같이, 기판상에 증착, 세정 건조 등 여러 가지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제조공정에서는, 롤러 또는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각 공정으로 이송시키고 있다.
종래의 이송장치는 회전을 통해 기판을 이송시키는 롤러에 의해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이송장치가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축에는 모두 같은 위치에 롤러가 배치되었고, 이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이 롤러와 맞닿게 되었다.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은 상기 롤러와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롤러와 맞닿지 않는 영역과 대비하여 손상이 심했다.
이에 따라 기판이 롤러와 맞닿는 영역을 최대한 분산시켜서 기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송시키는 기판 이송 장치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출원공개공보 제2008-981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기판을 이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도가 약해진 롤러 표면에 밀봉재를 도포하여 롤러 수명도 연장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기판 이송 장치는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 장치는, 일측벽에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홈이 형성된 프레임; 일단이 상기 개구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에 복수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되,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의 두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 통과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판; 상기 홀에 삽입되고, 흡입유닛이 제공하는 흡입력을 통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한다.
기판 이송 장치는 상기 인접한 두개의 삽입 통과부 상에 배치되는 UV조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도가 약해진 롤러 표면에 밀봉재를 도포하여 롤러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기판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 이송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기판 이송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롤러 및 제 2 롤러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6은 고정와이어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기판 이송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기판 이송 장치(10)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기판 이송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 장치(10)는, 일측벽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홈이 형성된 프레임(14); 일단이 상기 개구(미도시)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18); 상기 개구(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8)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31); 및 상기 회전축(18)에 복수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롤러(19);를 포함하되, 인접하는 두 회전축(18)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롤러(19)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혈(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8)과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의 두 회전축(18)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통과부(16);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4)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판(22); 상기 홀에 삽입되고, 흡입유닛이 제공하는 흡입력을 통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23); 및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4)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판(12);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14)은 일측벽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일측벽과 타측벽은 y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다. 상기 프레임(14)은 기판 이송 장치(10)의 다른 구성이 결합되는 뼈대이다. 프레임(14) 하부에는 바닥과 상기 프레임(14)을 이격시키는 바닥 지지부(24)가 배치된다. 바닥 지지부(24)는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프레임(14)에 결합된다.
복수의 회전축(18)은 일단이 상기 개구(미도시)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부(31)는 상기 개구(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8) 일단을 고정한다. 고정부(31)가 개구에 삽입되어 개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프레임(14)에 형성된 개구(미도시)에 일단이 거치된 회전축(18)은 상기 고정부(31)가 상기 개구(미도시)에 체결됨에 따라 프레임(14)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18)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18)의 일단이 개구(미도시)에서 유동가능한 유동범위가 최소화된다. 개구(미도시)의 전체 영역 중 회전축(18)의 일단이 차지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고정부(31)가 결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바닥 지지부(24)가 연장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미도시)에 삽입 체결되거나, 분리된다. 즉 상기 고정부(31)는 z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미도시)에 체결 또는 분리된다.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프레임(14)에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8)을 교체가 간편하다.
제 1 롤러(19)는 상기 회전축(18)에 복수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19)는 기판과 직접 맞닿고 회전하여 기판을 이송시킨다. 상기 제 1 롤러(19)의 표면에는 밀봉재(25)가 형성된다. 상기 밀봉재(25)는 제 1 롤러(19) 표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롤러(20), 가이드 롤러(26)를 포함한 모든 롤러에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롤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현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에 따라 기판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강도가 약한 롤러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롤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25)는 실리콘 수지, 이황화 몰리브덴, 구리 분말 및 소듐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밀봉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는 밀봉재(25)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로서, 분자구조는 규소와 산소가 번갈아 있는 실록산 결합(Si-O 결합)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규소는 메틸기, 페닐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촉매를 사용하여 금속 규소와 염화메틸을 약 300℃ 에서 반응시키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얻어지는데,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는 화강암 속에 함유 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밀봉용 조성물의 접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밀봉용 조성물의 접착성이 떨어지게 되면 롤러 표면에 밀봉재(25)가 고정되기 어렵다.
구리 분말은 이황화 몰리브덴과 같이 윤활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분말은 마찰면에 자기윤활(self-lubricanting) 및 자기복구(self-repairing) 코팅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밀봉재(25)의 항마모성 및 항마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리분말은 윤활성분의 보조성분으로서,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구리 분말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밀봉용 조성물의 혼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롤러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실리케에트가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밀봉용 조성물은 밀봉재(25)의 기능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인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 안티몬(Sb2O3)을 포함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클레이(cl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에어로젤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 안티몬은 밀봉재(25)의 내열성 향상 및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안티몬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열팽창계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밀봉용 조성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롤러는 기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롤러 표면에 형성된 밀봉재(25)는 내열성이 커야 한다.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로서, 밀봉재(25)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클레이는 해포석 및/또는 벤토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해포석과 벤토나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클레이에 의한 내구성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밀봉재(25) 조성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밀봉재(25)가 효과적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실리카 에어로젤은 높은 표면적(500~1,200 m2/cm3)을 가지고 많은 나노 기공을 가지고 있으며(88~99.8%) 낮은 밀도(~0.003 g/cm3), 높은 열 차단성(0.005 W/mK)을 가진 것으로서,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고, 밀봉재(25)가 챔버(10) 내벽과의 마찰에 의한 열을 플런저(20)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실리카 에어로젤은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에어로젤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밀봉재(25)의 내구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조예 1]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15 중량부, 구리 분말 3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밀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산화 안티몬 8 중량부, 클레이 2 중량부(해포석과 벤토나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 실리카 에어로젤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밀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내마모성 테스트]
제조예 1 및 2의 밀봉용 조성물을 롤러 표면에 도포 및 건조하여 밀봉재(25)를 형성하고, 기판 이송 작업을 24시간 수행 후, 밀봉재(25)의 외관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기준은 ○(마모흔적 거의 없음), △(10%~30% 마모), X(30% 이상의 마모)로 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예 1, 2 모두 밀봉재(25)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제조예 2의 밀봉재(25)의 내마모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테스트]
도금 부착량이 편면 기준 25/㎡ 인 전기아연도금강판 상에 파카라이징사의 인산아연계 인산염 처리제인 PALBOND 3050을 이용하여 인산염층을 3g/m2 부착량으로 형성시킨 후, 상기 인상염층 상에 제조예 1 및 2의 밀봉용 조성물을 3g/m2 부착량으로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후, 500℃ 전기 오븐에서 24시간 유지하고 피막에 X-컷(cu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 : 박리폭 3mm 이하, X : 박리폭 3mm 초과)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제조예 1, 2 모두 밀봉재(25)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제조예 2의 밀봉재(25)의 내열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롤러의 표면에 밀봉재(25)가 도포되어 있음에 더 나아가,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러의 배치가 회전축(18)마다 상이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회전축(18)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롤러(19)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복수의 회전축(18)에는 모두 같은 위치에 롤러가 배치되었고, 이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이 롤러와 맞닿게 되었다. 상기 기판의 일부 영역은 상기 롤러와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롤러와 맞닿지 않는 영역과 대비하여 손상이 심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 1 롤러(19)는 인접한 두 회전축(18)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기판이 상기 제 1 롤러(19)와 맞닿는 영역이 종래 기술에 비해 넓어진다.
회전축(18)과 제 2 롤러(20)가 교번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인접한 두 회전축(18)은 제 2 롤러(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두 회전축(18)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 롤러(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두 회전축(18)에 체결된 제 1 롤러(19)의 위치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롤러(19)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것은 y축 방향으로 2 롤러(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두 회전축(18)에 체결된 제 1 롤러(19)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것이다.
도 4는 제 2 롤러(20) 및 제 2 롤러(20)를 프레임(14)에 고정하는 세부 구성(150)을 도시한다. 자세하게는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롤러의 중심을 y축으로 절단한 단면이다.
또한,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 기판 이송 장치(10)는 제 2 롤러(20), 제 2 롤러(20)를 고정시키는 가변형 삽입구(412)와 고정형 삽입구(4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롤러(20)는 제 1 롤러(19)보다 폭이 더 크다. 상기 폭은 y축 방향의 길이다.
상기 회전축(18)과 제 2 롤러(20)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 2 롤러(20)는 제 1 롤러(19)와 달리 폭이 넓어 기판이 제 2 롤러(20)와 맞닿는 면적이 넓다. 기판은 넓은 면적이 제 2 롤러(20)와 맞닿으면서 이송됨에 따라 기판의 손상이 최소화 된다. 그렇다고, 기판 이송 장치(10)에 제 2 롤러(20)만 배치하게 되면, 기판 이송 장치(10)의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18)과 제 2 롤러(20)는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 2 롤러(20)는 가변형 삽입구(411)와 고정형 삽입구(418)에 고정되며, 삽입구들(411, 418)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기판은 제 2 롤러(20)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가변형 삽입구(411)와 고정형 삽입구(418)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거나 인접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레일(419)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롤러(20)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각각의 삽입구(411, 418)를 서로 이격시키며, 제 2 롤러(20)가 연결된 이후에는 각각의 삽입구(411, 418)를 서로 인접시킨다.
가변형 삽입구(411)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제 2 롤러(20)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면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변형 삽입구가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모터(미도시)의 동력이 삽입구(411, 418)에 전달되어, 상기 삽입구(411, 418)가 회전가능함은 자명하다.
가변형 삽입구(411)는 가압 디스크(412)와, 고정 샤프트(413)와, 이동 샤프트(414)와, 고정측 링크(415)와, 이동측 링크(416)와, 가압편(41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디스크(412)는 각각의 삽입구(411, 418)가 서로 인접함에 따라 제 2 롤러(20)의 측면을 가압하여 제 2 롤러(2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고정 샤프트(413)는 가압 디스크(412)의 중심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동 샤프트(414)는 고정 샤프트(413)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측 링크(415)는 일단이 고정 샤프트(4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측 링크(416)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측 링크(416)는 일단이 고정측 링크(4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이동 샤프트(4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압편(417)은 고정측 링크(415)와 이동측 링크(416)가 연결되는 회동축 상에 연결된다. 가압편(417)은 이동 샤프트(414)가 고정 샤프트(413)로부터 인출되거나 고정 샤프트(413)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른 링크들(415, 416)의 회동에 의해 샤프트들(413, 414)로부터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제 2 롤러(20)의 내경부(151a)를 가압한다.
고정형 삽입구(418)는 제 2 롤러(20)의 내경부(151a)로 삽입되어 내경부(151a)를 가압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고정측 링크(415), 이동측 링크(416) 및 가압편(417)이 샤프트들(413, 41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링크들(415, 416), 제 2 동력 전달 기어(29)와 가변형 삽입구를 연결하는 구성 및 가압편(417)이 생략되었다는 점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롤러 표면에 도포된 밀봉재(25), 회전축(18)마다 롤러를 상이하게 배치, 회전축(18)과 제 2 롤러(20)를 교번하여 배치한 점은 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종래기술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삽입통과부(16)는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혈(2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8)과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의 두 회전축(18) 사이에 배치된다. 종래에는 삽입통과부(16)가 존재하지 않았다. 삽입통과부(16)가 존재함에 따라 기판이 롤러 상에서 이송될 때, 적절한 방향으로 이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기판이 공혈(21)을 통과하면 적절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공혈(21)을 통과하지 못한다면, 적절한 방향으로 이송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공혈(21)의 높이는 기판의 두께보다 1cm 더 크다. 공혈(21)의 폭은 기판의 폭보다 1cm더 크다.
하부판(22)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4) 하부에 결합한다. 하부판(22)은 복수개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고, 프레임(14) 하부에 결합한다. 흡입관(23)은 상기 홀에 삽입되고, 흡입유닛이 제공하는 흡입력을 통해 유체를 흡입한다. 흡입유닛은 흡입력을 제공하여 흡입관(23)을 통해 유체를 흡입한다. 즉, 기판이 롤러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롤러 하부의 흡입관(23)은 유체를 흡입하여, 기판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판(12)은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4) 상부에 결합한다. 하부판(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판(12)이 프레임(14) 상부에 결합한다. 상부판(12)은 프레임(14) 상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중심부에 손잡이(13)가 형성된다.
기판 이송 장치(10)는 상기 인접한 두개의 삽입통과부(16) 상에 배치되는 UV조사부;를 더 포함한다. UV조사부는 기판의 살균을 위해 UV를 조사한다. UV조사부가 삽입통과부(16)에 거치되어 프레임(14) 상부에 배치된다. 즉, UV 조사부(11)는 x축방향으로 중심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는 상부판(12)이 배치된다. 하부판(22), 상부판(12) 및 UV 조사부(11)가 배치됨에 따라 기판 이송 장치(10)의 내부는 밀폐되고, 회전축(18)과, 제 1롤러(19), 제 2 롤러(20) 등의 구성은 기판 이송 장치(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기판 이송 장치(10)는 가이드 롤러(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26)는 상기 회전축(18)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이드 롤러(26)는 이송하는 기판의 측면과 맞닿고, 상기 기판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기판 이송 장치(10)는 모터(미도시), 모터 기어(미도시), 동력 전달축(27), 제 1 동력 전달 기어(28), 제 2 동력 전달 기어(29), 회전축 기어(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미도시)는 프레임(14)에 설치되고, 모터 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킨다. 상기 동력 전달축(27)은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회전축(18)으로 전달한다. 자세하게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은 모터 기어(미도시)를 통해 제 1 동력 전달 기어(28)로 전달된다. 제 1 동력 전달 기어(28)로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제 1 동력 전달 기어(28)가 회전하고, 상기 제 1 동력 전달 기어(28)와 일체로 형성된 동력 전달축(27)도 같이 회전한다. 동력 전달축(27)이 회전함에 상기 동력 전달축(27)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동력 전달 기어(29)가 회전된다. 제 2 동력 전달 기어(29)로 전달된 동력은 회전축 기어(30)에 전달되어, 회전축 기어(30)도 회전한다. 회전축 기어(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 기어(30)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8)도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모터(미도시)가 생성한 동력은 회전축(18)에 전달되어, 회전축(18)에 배치된 제 1 롤러(19) 및 제 2 롤러(20)가 회전하고, 제 1 롤러(19) 및 제 2 롤러(20)의 회전으로 제 1 롤러(19) 상부에 배치된 기판이 이송된다.
기판 이송 장치(10)는 동력 전달축(27)을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5)는 동력 전달축(27)을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수용부(15)는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및 제조된 수용부(15)를 취급하는 작업자에게 유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용부(15)는 수용된 동력 전달축(27)을 보호하기 위해 내구성이 높아야 하고, 기어와 기어의 마찰에 따른 열을 견디는 내열성이 커야하고, 열로 인한 비틀림 현상이 없어야 하며, 기판 이송 장치(10) 인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유해함이 없어야 한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수용부(15) 또는 제품 제조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130 중량부, 탈크 170~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수용부(15)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기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혼합성, 성형성, 항균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첨가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마늘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탈크 등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수용부(15)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때, 마늘 추출액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당은 조성물 전체의 혼합성을 개선하여 수용부(15)를 제조하기 위한 연신 과정에서 박막 형태로 압출될 수 있도록 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12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1~120 ㎛ 입자 크기가 95 wt% 이상 포함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당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균일한 시트의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토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백토(Kaolin)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의 점토로, 마모 및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백토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토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약한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등 기계적 물성의 상승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플라스틱 조성물은 이산화티탄(TiO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산화티탄은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다. 이산화티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15)의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배합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플라스틱 조성물은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플라스틱 조성물의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제로 기능한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 알루미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7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수용부(15)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마늘 추출액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고, 수산화알루미늄은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3
[실험예 1]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가열한 후,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및 5는 길이방향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으며, 실시예 2~4는 길이방향, 폭방향, 길이방향 순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다.
[표 2]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4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5의 경우, 제조된 시트의 균일도는 모두 양호한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3의 균일도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가열한 후,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이때, 최종 제품의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및 5는 길이방향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으며, 실시예 2~4는 길이방향, 폭방향, 길이방향 순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다. 참고로, 도 2는 양호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불량한 상태(비틀림 현상)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 3]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5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2~4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불량률이 매우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이취 테스트]
암모니아 가스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3에 대해 이취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최초 농도 측정 후, 5분 후의 농도를 측정하여 탈취율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6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탈취 효과가 거의 없었으나, 실시예 3의 경우 일부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항균성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대장균)을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018502458-pat00007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실시예 3의 경우, γ-보헤마이트에 의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컨트롤러(17)의 블록도이다.
상기 기판 이송 장치(10)는 상기 수용부(15) 일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7)는 상기 기판 이송 장치(10)를 총괄제어한다.
컨트롤러(17)는 일측에 위치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메시지 출력부(193)를 포함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후에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컨트롤러(17)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쉬는 시간입니다." 등이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5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에서 5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6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에서 6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7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에서 7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8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에서 8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모터(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많이 지날 수록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구동하여 작업자들은 작업 후 쉬어야 할 시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작업자들은 고도의 집중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기판 이송 장치(10)를 통해 이송되는 기판을 주시해야하고, 상기 집중력을 위해 작업자들에게 주기적인 쉬는시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기판 이송 장치(10)의 구조에만 관심이 있었을 뿐, 작업자들의 작업 능률에 대한 고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자들에게 작업 시간에 따라 상이한 소리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컨트롤러(17)는 통신부를 통해 작업자의 가슴에 부착된 심박 센서로부터 분당 심박수를 수신하는 분당 심박수 수신부(19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박 센서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 심박 센서는 비침습으로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심박 센서는 상기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작업자가 졸거나 작업자에게 졸음이 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에 따라, 메시지 출력부(193)는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50회 이상 55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에서 5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5회 이상 50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에서 6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0회 이상 45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에서 7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3회 이상 40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에서 8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1회 이상 33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에서 9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심박수가 적을수록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졸음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 자동심장충격기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는 작업자의 심장부근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은 작업자가 잠을 깰정도의 작은 충격이다.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작업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작업자의 심장 박동이 멈추는 심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안전벨트에 부착된 자동심장충격기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50회 이상 55회 미만인 경우 자동심장충격기의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1000V 이상 2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5회 이상 50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2000V 이상 3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0회 이상 45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3000V 이상 4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3회 이상 40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4500V 이상 47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1회 이상 33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4700V 이상 5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심박수가 적을수록 높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고정와이어를 도시한다.
기판 이송 장치(10)는 회전축(18)이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개의 가이드 롤러의 축(32)을 연결하는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은 가이드 롤러(26)가 결합되는 부분은 회전하지만, 상기 가이드 롤러(26)가 결합하지 않는 부분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과 가이드 롤러(26)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이드 롤러(26)는 y축 방향으로 힘을 받고, 결과적으로 가이드 롤러(26)의 축이 상기 힘의 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가이드 롤러(26) 축의 위치가 바뀌면, 이에 따라 이송되는 기판의 방향도 바뀔 여지가 커진다. 가이드 롤러(26) 축의 위치 변동을 막기 위해 상기 고정 와이어(300)의 하나의 고리는 어느 하나의 가이드 롤러(26)의 축에 연결되고, 다른 고리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 롤러(26)의 축에 연결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가이드 롤러(26)는 도 2 에 도시된 가이드 롤러이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롤러(26)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가이드 롤러(26)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1개의 가이드 롤러(26)만을 도시하였다.공혈을 통과한 기판의 양단은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도록 이송된다. 즉, 가이드 롤러(26)는 y축 상에 2개씩 배치되는 것이다. 고정 와이어(300)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y축 상에 존재하는 두개의 가이드 롤러(26) 축(32)을 연결한다.
고정 와이어(300)는 제 1수나사, 암나사(310), 고리(340), 스프링(351), 고정판(353), 제 2 수나사(335)를 포함한다. 고리(340)와 제 1 수나사(330)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수나사가 회전하여 상기 제1수나사와 암나사(310)가 결합될 때 고정 와이어(300)도 제1수나사와 함께 회전한다. 제 1수나사의 일단에는 고리(340)가 연결되고 수나사의 타단은 회전을 통해 암나사(310)와 결합한다.
암나사(310)의 일단은 수나사와 결합하고, 암나사(310)의 타단은 결합판과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암나사(310)의 타단은 결합판에 연결된 제 2 수나사(335)와 결합될 수 있다.
두개의 고정판(353) 사이에는 스프링(351)이 부착된다.
즉, 고정와이어의 두 고정판(353) 사이에는 스프링(351)이 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와이어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판(353)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 2 수나사(335)가 존재하여 제 1 수나사(330)의 회전과 무관하게 제 2 수나사(335)는 회전하여 암나사(3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고리(340)와 스프링(351)은 서로 독립적으로 암나사(31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기판 이송 장치
11: UV 조사부
12: 상부판
13: 손잡이
14: 프레임
15: 수용부
16: 삽입통과부
17: 컨트롤러
18: 회전축
19: 제 1 롤러
20: 제 2 롤러
21: 공혈
22: 하부판
23: 흡입관
24: 바닥 지지부
25: 밀봉재
26: 가이드 롤러
27: 동력 전달축
28: 제 1 동력 전달 기어
29: 제 2 동력 전달 기어
30: 회전축 기어
31: 고정부
32: 가이드 롤러의 축
151a: 제 2 롤러의 내경부
191: 통신부
193: 메시지 출력부
195: 분당 심박수 수신부
300: 고정 와이어
310: 암나사
330: 제 1 수나사
335: 제 2 수나사
340: 고리
351: 스프링
353: 고정판
411: 가변형 삽입구
412: 가압 디스크
413: 고정 샤프트
414: 이동 샤프트
415: 고정측 링크
416: 이동측 링크
417: 가압편
418: 고정형 삽입구
419: 슬라이드 레일

Claims (2)

  1.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 장치는,
    일측벽에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에 홈이 형성된 프레임;
    일단이 상기 개구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회전축;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회전축에 복수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되,
    인접하는 두 회전축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롤러는 엇갈려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이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임의의 두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삽입 통과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하부에 결합하는 하부판;
    상기 홀에 삽입되고, 흡입유닛이 제공하는 흡입력을 통해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롤러의 표면에는 밀봉재가 형성되고,
    상기 밀봉재는 실리콘 수지, 이황화 몰리브덴, 구리 분말 및 소듐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밀봉용 조성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용 조성물은 산화 안티몬, 클레이 및 실리카 에어로젤을 더 포함하는,
    기판 이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두개의 삽입 통과부 상에 배치되는 UV조사부;
    제 2 롤러;
    상기 제 2 롤러를 고정시키는 가변형 삽입구; 및 고정형 삽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롤러는 제 1 롤러보다 폭이 더 크고, 상기 가변형 삽입구와 고정형 삽입구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거나 인접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2 롤러와 교번하여 배치하는,
    기판 이송 장치.



KR1020180020878A 2018-02-22 2018-02-22 기판 이송 장치 KR10187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78A KR101872180B1 (ko) 2018-02-22 2018-02-22 기판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878A KR101872180B1 (ko) 2018-02-22 2018-02-22 기판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180B1 true KR101872180B1 (ko) 2018-06-27

Family

ID=6279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878A KR101872180B1 (ko) 2018-02-22 2018-02-22 기판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1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710A (ko) * 2006-07-13 2008-01-17 주식회사 케이씨텍 대면적 기판의 건조 장치
JP2008098198A (ja) 2006-10-05 2008-04-24 Ihi Corp 基板搬送装置
KR20130023113A (ko) * 2011-08-24 2013-03-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KR20130057766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710A (ko) * 2006-07-13 2008-01-17 주식회사 케이씨텍 대면적 기판의 건조 장치
JP2008098198A (ja) 2006-10-05 2008-04-24 Ihi Corp 基板搬送装置
KR20130023113A (ko) * 2011-08-24 2013-03-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KR20130057766A (ko) * 2011-11-24 2013-06-03 주식회사 에스아이이 박판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u et al. Photothermal bactericidal surfaces: killing bacteria using light instead of biocides
JP5863768B2 (ja) ポリマーフィルムにおいて抗菌剤の有効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004510791A (ja) 抗菌性ポリアルファオレフィン組成物
CA2186858A1 (en) Surface-modifying endgroups for biomedical polymers
CA1198257A (en) Sterilization of packaging materials
GB0314983D0 (en) Breathable, biodegradable/compostable laminates
EP3028743A3 (en) Compositions for mucositis and oncology therapies
WO2011156603A3 (en) Articles having non-fouling surfa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without altering bulk physical properties
WO2009100716A3 (de) Implantierbare nanopartikel-enthaltende produkte
WO2007137211A3 (en) Tissue synthetic-biomaterial hybrid medical devices
KR101763368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CN101862470A (zh) 一种抑菌水胶体敷料及其制备方法
BR0110985A (pt) Composição polimérica adequada para introdução em uma estrutura de pelìcula soldável por radiofrequência, estrutura de pelìcula soldável por radiofrequência e produto obtido
EP3719055A1 (en) Antibacterial synthetic leather,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872180B1 (ko) 기판 이송 장치
US4494357A (en) Sterilization of packaging material
Diez-Pascual et al. Antibacterial SnO2 nanorods as efficient fillers of poly (propylene fumarate-co-ethylene glycol) biomaterials
Thanakkasaranee et al. Effects of incorporating calcined corals as natural antimicrobial agent into active packaging system for milk storage
Carrillo‐Rodríguez et al. Composite based on poly (acrylic acid‐co‐itaconic acid) hydrogel with antibacterial performance
Sun et al. Study on montmorillonite–chlorhexidine acetate–terbinafine hydrochloride intercalation composites as drug release systems
KR101878124B1 (ko) 판재 가공 장치
KR101684444B1 (ko)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살균도마 및 그 제조방법
KR101896110B1 (ko) 기저귀 교환대
Čech Barabaszová et al. Antibacterial LDPE nanocomposites based on zinc oxide nanoparticles/vermiculite nanofiller
KR101899768B1 (ko) 라미네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