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71B1 -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71B1
KR101872171B1 KR1020177001687A KR20177001687A KR101872171B1 KR 101872171 B1 KR101872171 B1 KR 101872171B1 KR 1020177001687 A KR1020177001687 A KR 1020177001687A KR 20177001687 A KR20177001687 A KR 20177001687A KR 101872171 B1 KR101872171 B1 KR 10187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dis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107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이동 단말기이다.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101)을 통해서 네트워크(102)로 송신한다.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102)에 설치된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1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LTE(Long Term Evolution)나 LTE-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근접한 단말기끼리 직접 통신을 행하는 ProSe(Proximity-based Services: 단말기간 직접 통신 기능)에 관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머신형 통신) 디바이스의 그룹 관리 기능이나 MTC 디바이스간 통신 등에 관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2 참조).
「Study on architecture enhancements to support Proximity-based Services(ProSe)」, 3GPP TR 23. 703, Release 12, 2014년 「Architecture enhancements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with packet data networks and applications」, 3GPP TS 23. 682, Release 11, 2012년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디바이스간 통신을 행할 때, 디바이스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나 서비스의 디스커버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디바이스간 통신의 통신처가, 좁은 범위 내의 디바이스에 한정된다.
하나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광범위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설치된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범위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접속 링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DSF를 설치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ProSe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ProSe 다이렉트 디스커버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a는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1)이다.
도 6b는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2)이다.
도 7은 EPC 레벨의 ProSe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M2M을 서포트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각 디바이스 및 서버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각 서비스에 있어서의 지연 내력과 각 경로에 있어서의 링크 지연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DSF가 수집하는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DSF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DSF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c는 DSF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서비스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DSF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필터링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각 디바이스에 관한 필터링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UE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낸 UE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c는 UE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d는 도 19c에 나타낸 UE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a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은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와, 통신 장치(130)를 포함한다.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이동 단말기이다.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복수인 경우에는, 제2 이동 단말기(120) 각각은, 다른 기지국에 의해 무선 접속하고 있어도 되고, 동일한 기지국에 무선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이동 단말기(120) 중 기지국(101)에 접속한 1개의 제2 이동 단말기(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이동 단말기(120)는, 기지국(101)을 통해서 네트워크(102)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송신부(121)를 구비한다.
송신부(121)는 자단말기(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101)을 통해서 네트워크(102)로 송신한다. 단말기간 통신에는, 예를 들어 단말기끼리 직접 행하는 통신과, 단말기끼리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를 통해서 행하는 통신이 포함된다. 단말기간 통신에 의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예를 들어 단말기간의 직접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이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간의 통신에 의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이다.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102)에 설치된 통신 장치이다. 통신 장치(130)는 수신부(131)와, 송신부(132)를 구비한다. 수신부(131)는 제2 이동 단말기(120)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130)는 수신부(131)에 의해 수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10)에 의해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추출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30)는 추출한 제1 이동 단말기(110)에 의해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송신부(132)에 의해 제1 이동 단말기(110)로 송신한다.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제2 이동 단말기(1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여도 된다. 송신부(132)에 의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의 송신은,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10)가 무선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103)을 통해서 행해진다. 기지국(103)은 기지국(101)과 동일한 기지국이어도 되고, 기지국(101)과 다른 기지국이어도 된다.
제1 이동 단말기(110)는 수신부(111)를 구비한다. 수신부(111)는 네트워크(102)의 통신 장치(130)로부터,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 중 자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이동 단말기(110)는, 예를 들어 수신부(111)에 의해 수신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이동 단말기(120)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단말기간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르면, 네트워크(102)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130)가, 제2 이동 단말기(120)로부터 수집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단말기간 통신의 서비스를 제1 이동 단말기(110)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 통신 가능한 상태가 아닌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2 이동 단말기(120) 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10)와 단말기간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직접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한하지 않고, 광범위한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이동 단말기(110)에도 송신부(121)를 설치하고,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자단말기(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103)을 통해서 네트워크(102)로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통신 장치(130)는, 제1 이동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제1 이동 단말기(110)와는 다른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추출에 사용해도 된다.
<통신의 지연량에 기초하는 통신 서비스의 추출>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과,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통신의 지연량의 추정값에 기초하여,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추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 중, 지연량의 추정값이 허용 지연량을 초과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외한 통신 서비스 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추출한다. 이에 의해, 지연량의 추정값이 허용 지연량 이하인 통신 서비스를 제1 이동 단말기(110)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송신하는 서비스 정보에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의해,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서비스 정보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은, 통신 서비스의 종류마다 미리 통신 장치(130)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10) 및 제2 이동 단말기(120)의 각 접속처(기지국이나 오퍼레이터망 등)에 따른,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 경우에는, 통신 장치(130)는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지연량의 추정값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30)는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직접 통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지연량의 추정값을 취득해도 된다.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직접 통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제1 이동 단말기(110)와 제2 이동 단말기(120) 사이의 접속 경로에는 직접 통신이 포함되어, 지연량은 적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에 속하는 제2 이동 단말기>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에 속하는 각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속하는 각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통신 장치(관리 장치)를 통해서 제2 이동 단말기(120)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의 통신 서비스>
통신 장치(130)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네트워크(102))에 접속된 서버가 기지국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제1 이동 단말기(110))에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서버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통신 장치(130)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0)는 취득한 서버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제2 이동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한하지 않고, 서버가 기지국을 통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제2 이동 단말기가 검출한 서비스>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검출용 신호를 사용해서 검출한 제2 이동 단말기(12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기지국(101)을 통해서 네트워크(102)로 송신해도 된다. 통신 장치(130)는 제2 이동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제2 이동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검출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에서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제1 이동 단말기(110)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는, 제2 이동 단말기(120)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한하지 않고, 제2 이동 단말기(120)가 검출용 신호에 의해 검출한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
도 2a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은, UE(201 내지 208)(User Equipment: 유저 단말기)와, eNB(211 내지 213)(evolved Node B)와, 오퍼레이터망(221, 222)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200)은 SGW(231 내지 233)(Serving Gateway)와, PGW(241, 242)(Packet Data Network-Gateway)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200)은 PDN(250)(Packet Data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과, 클라우드 서버(251)(H)를 포함한다.
eNB(211 내지 213) 각각은, 자셀의 UE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이다. 셀(211a 내지 213a)은 각각 eNB(211 내지 213)의 셀이다.
UE(201 내지 204)(A 내지 D)는 eNB(211)에 접속하고 있다. UE(201)는 UE(202)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2)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2)는 UE(201)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1)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3)는 UE(202, 204)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2, 204)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4)는 UE(203)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3)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5 내지 207)(E 내지 G)는 eNB(213)에 접속하고 있다. UE(205)는 UE(206)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6)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6)는 UE(205, 207)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5, 207)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UE(207)는 UE(206)로부터의 검출용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206)를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검출하고 있다.
eNB(211)는 오퍼레이터망(221)의 SGW(231)에 접속되어 있다. eNB(212)는 오퍼레이터망(221)의 SGW(232)에 접속되어 있다. eNB(213)는 오퍼레이터망(222)의 SGW(233)에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망(221)은 SGW(231, 232) 및 PGW(241)를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퍼레이터망(221)의 식별 정보인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공중 육상 이동체 네트워크) ID는 「1」이다. SGW(231)는 eNB(211)와 오퍼레이터망(221)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SGW(232)는 eNB(212)와 오퍼레이터망(221)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SGW(231, 232)는 PGW(241)에 접속되어 있다. PGW(241)는 오퍼레이터망(221)과 PDN(250)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오퍼레이터망(222)은 SGW(233) 및 PGW(242)를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퍼레이터망(222)의 식별 정보인 PLMN ID는 「2」이다. SGW(233)는 eNB(213)와 오퍼레이터망(222)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SGW(233)는 PGW(242)에 접속되어 있다. PGW(242)는 오퍼레이터망(222)과 PDN(250) 사이의 게이트웨이이다.
PDN(250)은 오퍼레이터망(221, 222) 등의 EPC(Evolved Packet Core: 모바일 코어)가 접속하는 외부 네트워크이다. PDN(250)에는 PGW(241, 242) 및 클라우드 서버(251)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접속 링크)
도 2b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접속 링크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에 있어서, 도 2a에 나타낸 부분과 마찬가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UE(202)(B)의 접속 링크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다른 UE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UE(202)의 접속 링크로서, 접속 링크(260 내지 264)가 있다.
접속 링크(260)는 서로 근접해 있는 각 UE가,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서로 D2D 통신(ProSe)을 행하는 접속 링크이다. 예를 들어, UE(202)는 eNB(211)를 경유하지 않고 UE(201)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는 디바이스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접속 링크(261)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각 UE를, SGW를 경유하지 않고, 해당 기지국을 경유해서 접속하는 링크이다. 예를 들어, UE(202)는 UE(203)와의 사이에서, 셀(211a)을 경유해서 디바이스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접속 링크(261)에는, 예를 들어 eICBD(Enhancements for Infrastructure based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링크(261)에는, 예를 들어 LIPA(Local IP Access)를 사용해도 된다.
접속 링크(262)는 동일한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UE를, PDN(250)을 경유하지 않고, 해당 오퍼레이터망의 PGW를 경유해서 접속하는 링크(PGW 경유)이다. 예를 들어, UE(202)는 UE(208)와의 사이에서, eNB(211), SGW(231), PGW(241), SGW(232) 및 eNB(212)를 경유해서 디바이스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접속 링크(263)는, 각 UE를 PDN(250)을 경유해서 접속하는 링크이다. 접속 링크(263)에 따르면, 속하는 오퍼레이터가 다른 UE끼리라도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02)는 UE(206)와의 사이에서, eNB(211), SGW(231), PGW(241), PDN(250), PGW(242), SGW(233) 및 eNB(213)를 경유해서 디바이스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접속 링크(264)는 PDN(250)을 통해서 UE를 클라우드 서버(251)와 접속하는 링크(인터넷 경유)이다. 예를 들어, UE(202)는 eNB(211), SGW(231), PGW(241) 및 PDN(250)을 경유해서 클라우드 서버(251)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링크(260 내지 264) 외에도,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각종 접속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02)는 UE(206)와의 사이에서, eNB(211), SGW(231), PGW(241), PDN(250), 클라우드 서버(251), PDN(250), PGW(242), SGW(233) 및 eNB(213)를 경유해서 클라우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SGW에 속하는 각 UE를, PGW를 경유하지 않고 접속하는 접속 링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등을 사용한 각종 통신 링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DSF를 설치한 통신 시스템)
도 3은 DSF를 설치한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200)은 UE(301 내지 305)와, eNB(311, 312)와, 코어 네트워크(320)와, M2M 플랫폼(330)을 포함한다.
UE(301 내지 305)는, 예를 들어 도 2a, 도 2b에 나타낸 UE(201 내지 208)에 대응하는 UE이다. UE(301, 302)는 eNB(311)의 셀(311a)에 접속하고 있다. UE(303 내지 305)는 eNB(312)의 셀(312a)에 접속하고 있다. eNB(311, 312)는, 예를 들어 도 2a, 도 2b에 나타낸 eNB(211 내지 213)에 대응하는 eNB이다. eNB(311, 312)는 코어 네트워크(320)에 포함되는 DSF(321)에 접속되어 있다.
코어 네트워크(320)는, 예를 들어 도 2a, 도 2b에 나타낸 오퍼레이터망(221, 222) 및 PDN(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이다. 코어 네트워크(320)는, DSF(321)(Discovery Service Function)와, MME(322)(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 엔티티)와,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를 포함한다.
DSF(321)는 eNB(311, 312)를 통해서 UE(301 내지 305)에 대하여 디스커버리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DSF(321)는 eNB(311, 312)를 통해서, UE(301 내지 305)로부터 서비스 정보 및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정보를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에서 일원 관리한다.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는, 예를 들어 DSF(321)에 설치된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는,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는, DSF(321)의 외부의 기억 장치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정보는 UE(301 내지 305)가 대응하고 있는 디바이스간 통신의 서비스(애플리케이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서비스 정보에는,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디바이스간 통신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는 D2D 통신과,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의 양쪽에서 실행 가능한 서비스이다. UE(301 내지 305) 각각은, 자국이 대응하고 있는 디바이스간 통신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eNB(311, 312)를 통해서 DSF(321)로 송신한다.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는, UE(301 내지 305)가 서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검출한, 서로 D2D 통신이 가능한 UE와, 그 UE와의 D2D 통신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UE(301 내지 305) 각각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자국과 D2D 통신이 가능한 UE와, 그 UE와의 D2D 통신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검출하는 디바이스·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행한다. 그리고, UE(301 내지 305) 각각은, 디바이스·서비스 디스커버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eNB(311, 312)를 통해서 DSF(321)로 송신한다.
MME(322)는 각 UE의 위치 등록, 호출, 기지국간 핸드 오버 등의 관리를 행하는 노드이다. 예를 들어, MME(322)는 코어 네트워크(320)에 속하여, 커넥티드 상태의 UE에 대해서, 접속하고 있는 셀, SGW, 오퍼레이터망(PGW)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MME(322)는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UE의 조합에 대해서, UE끼리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접속 경로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한 접속 링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DSF(321)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MME(322)는 도 2a, 도 2b에 나타낸 UE(201 내지 207)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PDN(250)을 경유하는 「인터넷 경유」의 접속 링크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251)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322)는 UE(202)와 클라우드 서버(251)를 「인터넷 경유」의 접속 링크(264)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ME(322)는 도 2a, 도 2b에 나타낸 UE(201 내지 207) 각각에 대해서, 적어도, PDN(250)을 경유하는 「오퍼레이터간 통신」의 접속 링크에 의해 서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322)는 UE(202)와 UE(206)를 「오퍼레이터간 통신」의 접속 링크(263)로 서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ME(322)는 동일한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UE의 조합에 대해서는, PDN(250)을 경유하지 않고 PGW를 경유하는 「PGW 경유」의 접속 링크에 의해 서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322)는 UE(202)와 UE(208)를 「PGW 경유」의 접속 링크(262)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MME(322)는 동일한 기지국에 속하는 UE의 조합에 대해서는, PGW 및 SGW를 경유하지 않는 「eICBD」의 접속 링크에 의해 서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ME(322)는 UE(202)와 UE(203)를 「eICBD」의 접속 링크(261)에 의해 서로 접속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ME(322)는 각 UE의 접속처의 정보를 사용하여, 각 UE의 조합에 대해서, UE끼리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를 특정하고, 특정한 접속 링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DSF(321)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MME(322)는 자장치에서 관리하고 있는 각 UE의 트래킹 에리어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정보를 DSF(321)로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DSF(321)가 MME(322)로부터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각 UE의 조합에 대해서, UE끼리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를 특정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위치 등록 정보에 기초하는 접속 링크의 특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DSF(321)는 UE(301 내지 305) 각각에 대해서, 수집한 각 정보를 사용한 필터링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를 UE(301 내지 305)로 송신한다.
또한, DSF(321)는 M2M 플랫폼(330)의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를 참조하여, UE(301 내지 305)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후보에 M2M(Machine to Machine)서비스를 포함해도 된다. M2M 서비스는, 일례로서는, UE(301 내지 305)가, 자택의 에어컨이나 조명 등에 대하여 액세스(정보 취득이나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M2M 플랫폼(330)은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비군이다. M2M 플랫폼(330)에 포함되는 각 통신 장치에서는,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M2M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M2M 플랫폼(330)은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를 포함한다.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는 M2M 플랫폼(330)에 있어서 제공되는 M2M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도 2a, 도 2b에 나타낸 클라우드 서버(251)는, 예를 들어 M2M 플랫폼(330)에 포함되고,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M2M 디바이스이다.
이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각 UE에 있어서의 ProSe 디스커버리 정보 및 서비스 정보가 DSF(321)(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에서 일원 관리된다. 또한, DSF(321)는 이용 가능한 외부의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M2M 서비스)도 참조하여, 각 UE에 대하여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DSF(321)는 MME(322)로부터 취득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나 위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의 필터링을 행하고, 필터링 결과에 기초하는 서비스 리스트의 제공을 행한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제1 이동 단말기(110)나 제2 이동 단말기(120)는, 예를 들어 UE(201 내지 208)나 UE(301 내지 305)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DSF(321)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기지국(101, 103)은, 예를 들어 eNB(211 내지 213)나 eNB(311, 31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네트워크(102)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32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ProSe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도 4는 ProSe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400)은 3GPP의 TR 23. 703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ProSe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통신 시스템(400)은 UE(401, 402)와, E-UTRAN(403)(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EPC(404)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400)은 ProSe 펑션(405)과,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를 포함한다.
UE(401, 402)는, 상술한 각종 ProSe 디스커버리를 행하는 ProSe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다. UE(401, 402)는, 예를 들어 E-UTRAN(403) 및 EPC(404)를 통해서 ProSe 펑션(405)이나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에 액세스함으로써 ProSe를 이용한다.
ProSe 펑션(405)은 ProSe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측의 통신 장치이다. ProSe 기능에는, 디바이스 사이에서 직접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디스커버리를 행하는 ProSe 다이렉트 디스커버리나, 코어 네트워크측에서 디스커버리를 행하는 EPC 레벨의 ProSe 디스커버리가 있다.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는 ProSe 펑션(405)에 의해 제공되는 ProSe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는 통신 사업자의 오퍼레이터망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오퍼레이터망의 외부 네트워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ProSe 펑션(405) 및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는 1개의 통신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ProSe 펑션(405) 및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는, EPC(404) 등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DSF(321)는, 예를 들어 ProSe 펑션(405)이나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406)에 있어서 실현할 수 있다.
(ProSe 다이렉트 디스커버리)
도 5는 ProSe 다이렉트 디스커버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UE(501 내지 505)는,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낸 UE(201 내지 208)나 도 3에 도시한 UE(301 내지 305)에 대응하는 UE이다. 먼저, 디스커버리의 주체(discoverer)인 UE(501)가,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Targeted Discovery Request)를 무선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또는 그룹 캐스트)한다(스텝 S501).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에는, 송신처의 애플리케이션 그룹 ID(App Group ID)나 UE(501)의 애플리케이션 퍼스널 ID(App Personal ID)가 포함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의 애플리케이션 그룹 ID가 나타내는 그룹에는, UE(502 내지 504)(discoveree)가 포함되고, UE(505)(non-member)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UE(502)가,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에 대한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Targeted Discovery Response)를 UE(501)로 무선 송신한다(스텝 S502). UE(502)가 송신하는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에는, 예를 들어 UE(502)의 애플리케이션 퍼스널 ID가 포함된다.
또한, UE(503)가,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에 대한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를 UE(501)로 무선 송신한다(스텝 S503). UE(503)가 송신하는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에는, 예를 들어 UE(503)의 애플리케이션 퍼스널 ID가 포함된다.
또한, UE(504)가,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에 대한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를 UE(501)로 무선 송신한다(스텝 S504). UE(504)가 송신하는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에는, 예를 들어 UE(504)의 애플리케이션 퍼스널 ID가 포함된다.
또한, UE(505)는 UE(501)에 의해 송신된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퀘스트의 애플리케이션 그룹 ID가 나타내는 그룹에 자국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깃티드 디스커버리 리스폰스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UE(501)는 자단말기와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UE(502 내지 504)를 검출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
도 6a 및 도 6b는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LTE-Advanced에서는, 디바이스(UE)간의 직접 무선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각 디바이스가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을 행하고, 근방의 디바이스가 이것을 검출함으로써, 직접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 및 그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의 디스커버리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도 6a에 나타내는 디스커버리 메시지(610)나 도 6b에 나타내는 디스커버리 메시지(620)를 각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디스커버리 메시지(610)는 Non-public safety open discovery use case에 있어서의 192비트의 디스커버리 메시지이다. 디스커버리 메시지(620)는, Public safety use case에 있어서의 디스커버리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메시지(620)에는, 「Source L2 ID/Prose UE ID of source」, 「Destination L2 ID」, 「Prose Application ID」 등이 포함된다.
「Source L2 ID/Prose UE ID of source」는, 송신원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Destination L2 ID」는, 송신처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Prose Application ID」는, 송신원이 요구하는 D2D 통신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디스커버리 메시지(610, 620) 등을 사용한 ProSe 다이렉트 디스커버리에 있어서는, 디바이스 사이에서 디스커버리를 행하기 때문에, D2D 통신의 통신처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한정된다고 하는 제한이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간 통신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통신처가 ProSe 단말기 인지 여부는 상관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제약은 없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비해, DSF(321)가 각 UE로부터 서비스 정보나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각 정보에 기초하여 각 UE에 대하여 이용 가능 서비스를 통지함으로써, 직접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에 한하지 않고 광범위한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EPC 레벨의 ProSe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도 7은 EPC 레벨의 ProSe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700)은, 3GPP의 TR 23. 703에 있어서 규정된,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를 실현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통신 시스템(700)에 있어서는, 코어 네트워크측에서 ProSe 디스커버리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통신 시스템(700)은, UE(701)(UE A)와, UE(702)(UE B)와, EPC(710)(EPC A)와, EPC(720)(EPC B)와, 서드파티 AS(730)(Autonomous System: 자율 시스템)를 포함한다.
EPC(710)는 오퍼레이터 A의 EPC이다. EPC(720)는 오퍼레이터 A와 다른 오퍼레이터 B의 EPC이다. UE(701)는 오퍼레이터 A를 이용하여, EPC(710)에 접속하고 있는 UE이다. UE(702)는 오퍼레이터 B를 이용하여, EPC(720)에 접속하고 있는 UE이다.
EPC(710)는 ProSe 펑션(711)(ProSe 펑션 A)과, GMLC(712)(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게이트웨이 모바일 로케이션 센터)(GMLC A)와, MME(713)(MME A)를 포함한다. GMLC(712)는 MME(713)에 접속되어 있고, EPC(710)에 접속하고 있는 UE(예를 들어 UE(7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ProSe 펑션(711)은, EPC(710)에 접속하고 있는 각 UE의 위치 정보를 GMLC(71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ProSe 펑션(711)은, EPC(720)에 접속하고 있는 각 UE의 위치 정보를 ProSe 펑션(721)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ProSe 펑션(711)은, 취득한 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701)와 근접한 UE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ProSe 펑션(711)은, UE(701)와 근접한 UE로서 UE(702)를 검출한 경우에는, UE(701)에 대하여 검출 결과를 통지하고, UE(701)와 UE(702) 사이의 D2D 통신을 개시시킨다.
EPC(720)는, ProSe 펑션(721)(ProSe 펑션 B)과, GMLC(722)(GMLC B)와, MME(723)(MME B)를 포함한다. GMLC(722)는, MME(723)에 접속되어 있고, EPC(720)에 접속하고 있는 UE(예를 들어 UE(702))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ProSe 펑션(721)은, EPC(720)에 접속하고 있는 각 UE의 위치 정보를 GMLC(72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ProSe 펑션(721)은, EPC(710)에 접속하고 있는 각 UE의 위치 정보를 ProSe 펑션(711)으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ProSe 펑션(721)은, 취득한 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702)와 근접한 UE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ProSe 펑션(721)은, UE(702)와 근접한 UE로서 UE(701)를 검출한 경우에는, UE(702)에 대하여 검출 결과를 통지하고, UE(701)와 UE(702) 사이의 D2D 통신을 개시시킨다.
서드파티 AS(730)는, EPC(710, 720)의 양쪽에 접속된 서드파티제의 자율 시스템이다. ProSe 펑션(711, 721)은, 예를 들어 서드파티 AS(73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ProSe 펑션(711, 721)에 의한 디스커버리는, 예를 들어 서드파티 AS(730)에 의해 관리된다.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
도 8은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3GPP의 TR 23. 703에 있어서 규정된, 오퍼레이터를 거치는 ProSe 디스커버리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각 스텝이 실행된다.
먼저, UE(701)(UE A)가, ProSe 펑션(711)(ProSe 펑션 A)에 대하여 등록(registration)을 행한다(스텝 S801). 또한, UE(702)(UE B)가 ProSe 펑션(721)(ProSe 펑션 B)에 대하여 등록을 행한다(스텝 S802). 스텝 S801, S802에 의한 등록은, 예를 들어 서드파티 AS(730)에 의해 관리된다.
다음에, UE(701)가, UE(702)와의 사이의 프록시미티 요구를 행한다(스텝 S803). ProSe 펑션(711)은, 예를 들어 UE(702)의 위치 정보의 ProSe 펑션(721)으로부터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요구할 수 있다. 스텝 S803에 의한 프록시미티 요구는, 예를 들어 서드파티 AS(730)에 의해 관리된다.
다음에, UE(701)가, UE(701)의 위치 정보를, GMLC(712)를 통해서 ProSe 펑션(711)에 보고한다(스텝 S804). 또한, UE(702)가, UE(702)의 위치 정보를, GMLC(722)를 통해서 ProSe 펑션(721)에 보고한다(스텝 S805). UE(702)로부터 보고된 위치 정보는, ProSe 펑션(721)을 통해서 ProSe 펑션(711)에 통지된다.
ProSe 펑션(711)은 UE(701)로부터 보고된 UE(701)의 위치 정보와, ProSe 펑션(721)으로부터 통지된 UE(702)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701, 702)의 근접을 검출한다. UE(701, 702)와의 근접이 검출되면, UE(701, 702)의 근접이 UE(701, 702)에 통지(근접 통지)된다. 그리고, UE(701, 702) 사이에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구내 통신망)에 의한 직접 통신이 개시된다(스텝 S806).
(M2M을 서포트하는 통신 시스템)
도 9는 M2M을 서포트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GPP에 있어서는, M2M을 서포트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아키텍쳐의 기능 확장에 관한 3GPP의 TS 23. 682에 있어서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머신형 통신)를 위한 아키텍쳐로서, 도 9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900)이 개시되어 있다.
통신 시스템(900) 중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측에는, MTC-IWF(901)(MTC-Inter Working Function: MTC 인터 워킹 기능)나 SCS(902)(Service Capability Server)가 포함된다.
MTC-IWF(901)는 애플리케이션측으로부터 3GPP의 오퍼레이터망으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SCS(902)는 MTC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MTC-IWF(901)나 SCS(902)는, 예를 들어 자동 판매기나 센서 등의 M2M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M2M 서버이며, 각 M2M 디바이스의 위치나 각 M2M 디바이스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SCS(902)는 MTC에 관한 UE의 애플리케이션(MTC 디바이스)의 트리거의 생성이나 MTC-IWF(예를 들어 MTC-IWF(901))의 선택을 행한다.
M2M 서비스의 디스커버리는, 예를 들어 MTC-IWF(901)나 SCS(902) 등의 M2M 서버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는, 예를 들어 MTC-IWF(901)나 SCS(90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M2M 서비스의 검색에 있어서, 디바이스간의 통신 품질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레이턴시)가 참조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서비스에 있어서 요구 품질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때에, ProSe 디스커버리 결과나 외부(M2M 플랫폼 등)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해서 소요의 서비스의 발견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간의 통신 링크의 품질(지연 시간 등)은 그 경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견한 서비스의 소요 품질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대전형 게임이나 리얼타임 제어를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D2D 통신 이외의 접속 방법에서는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소위 「패킷 막힘」의 문제도 포함하여, 이용하는 서비스에 있어서의 실제의 QoE(Quality of Experience: 체감 품질) 레벨을, 그 서비스를 개시한 후에 비로서 인지할 수 있다.
이들은, 각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서비스의 발견이, 실제 사용되는 디바이스간 통신 링크의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다.
이에 비해, DSF(321)는 각 UE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과, UE간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통신의 지연량(레이턴시)의 추정값에 기초해서 서비스를 추출함으로써, 지연량의 추정값이 허용 지연량 이하인 서비스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구 품질을 만족하는 M2M 서비스를 대상 디바이스에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대상 디바이스의 유저는, 디바이스간 통신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링크의 정보(품질)를 의식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대상 디바이스의 유저에게는 항상 요구 품질을 만족하는 M2M 서비스만이 제시된다.
(각 디바이스 및 서버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
도 10은 각 디바이스 및 서버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테이블(10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의 각 디바이스(예를 들어 UE(201 내지 207)) 및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51))는, 서비스 a 내지 h에 대응하고 있다. 「서비스 번호」의 서비스 a 내지 g는, 각각 UE(201 내지 207)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서비스 h는 클라우드 서버(251)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이다.
UE(205, 207)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 e, g는 대전형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이다. UE(201, 202, 204)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 a, b, d는 라디콘 등의 원격 조작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이다.
UE(203, 206)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 c, f는 P2P(Peer to Peer) 파일 전송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버(251)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 h는, 클라우드 M2M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이다.
(각 서비스에 있어서의 지연 내력과 각 경로에 있어서의 링크 지연량)
도 11은 각 서비스에 있어서의 지연 내력과 각 경로에 있어서의 링크 지연량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종축은 각 서비스의 지연 내력[㎳]를 나타내고 있다. 지연 내력은, 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최대의 링크 지연이다. 지연 내력은, 예를 들어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서비스일수록 낮아진다.
지연 내력(1111 내지 1118)은, 각각 서비스 a 내지 h의 지연 내력을 나타내고 있다. 링크 지연(1121 내지 1125)는, 각각 「D2D」, 「eICBD」, 「PGW 경유」, 「오퍼레이터간 통신」, 「인터넷 경유」에 있어서의 링크 지연이다. 이들 각 접속 링크는, 예를 들어 도 2b에 있어서 설명한 각 링크이다.
예를 들어, 「D2D」는 UE간의 직접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 링크이다. 「eICBD」는, PGW(예를 들어 PGW(241, 242))를 경유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eNB(211 내지 213))를 경유하는 접속 링크이다. 「PGW 경유」는, PDN(250)을 경유하지 않고, PGW(예를 들어 PGW(241, 242))를 경유하는 접속 링크이다.
「오퍼레이터간 통신」은, PDN(250)을 경유함으로써 다른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UE를 접속하는 접속 링크이다. 「인터넷 경유」는 PDN(250)을 통해서 클라우드 서버(251)와 접속함으로써, UE와 클라우드 서버(251)를 접속하는 접속 링크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서비스 e, g는, 대전형 게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도 10 참조)이기 때문에, 지연 내력이 낮다(5[㎳]). 이로 인해, 서비스 e, g는, 링크 지연(1121)이 작은(2[㎳]) 「D2D」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요한다.
또한, 서비스 h는, 클라우드 M2M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도 10 참조)이기 때문에, 지연 내력이 높다(300[㎳]). 이로 인해, 서비스 h는 링크 지연(1125)이 큰(200[㎳]) 「인터넷 경유」에서의 서비스 제공도 가능하다.
(DSF가 수집하는 정보)
도 12는 DSF가 수집하는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테이블(1200)은 DSF(321)가, 각 UE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 및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나,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집약한 정보이다.
테이블(1200)에 있어서, 「디바이스/서버」는, 각 정보의 취득원의 디바이스나 서버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이다. 테이블(1200)의 「디바이스/서버」에는, 디바이스 A 내지 디바이스 G(UE(201 내지 207))와, 서버 H(클라우드 서버(251))가 포함되어 있다.
「서비스」는 「디바이스/서버」가 나타내는 디바이스 또는 서버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비스」는 DSF(321)가 각 UE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이다.
「소요 QoS」는, 「서비스」가 나타내는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도 11의 지연 내력)을 나타내는 QoS 정보이다. 「소요 QoS」는, 예를 들어 「서비스」의 종류마다 미리 DSF(321)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디바이스나 서버로부터 DSF(321)에 통지되도록 해도 된다.
「D2D 디스커버리 결과」는, 「디바이스/서버」가 나타내는 디바이스가 D2D 디스커버리에 의해 검출한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D2D 디스커버리 결과」는, DSF(321)가 각 UE로부터 수신한 ProSe 디스커버리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이다.
「PLMN ID」는, 「디바이스/서버」가 나타내는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오퍼레이터망(사업자)을 나타내는 PLMN의 식별 정보이다. 「PLMN ID」는, 예를 들어 각 UE로부터 DSF(321)에 통지된다. 또는, 「PLMN ID」는, 예를 들어 MME(322)로부터 DSF(321)에 통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PLMN ID」 대신에, 접속 셀을 나타내는 ECGI(E-UTRAN Cell Global Identifier)나 접속 MME를 나타내는 GUMMEI(Globally Unique MME Identifier)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1200)은 디바이스 A(UE(201))가 서비스 a에 대응하고 있고, 서비스 a에 있어서의 소요 QoS(허용 지연량)가 12[㎳]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테이블(1200)은 디바이스 A와 D2D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B(UE(202))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테이블(1200)은 디바이스 A가 속하는 오퍼레이터망의 식별 정보가 「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DSF)
도 13a는 DSF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DSF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DSF(321)는, 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와,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와, 외부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3)와, 수집 정보 기억부(1304)를 구비한다. 또한, DSF(321)는 접속 링크 추정부(1305)와,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와,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를 구비한다.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는, 각 디바이스(예를 들어 UE(201 내지 207))로부터 기지국(예를 들어 eNB(211, 213))을 통해서 송신되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는 자장치의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자장치의 오퍼레이터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는, 자장치와는 다른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오퍼레이터망의 ProSe 펑션(예를 들어 도 7 참조)으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는, 수집한 서비스 정보를 수집 정보 기억부(1304)에 출력한다.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는, 각 디바이스(예를 들어 UE(201 내지 207))로부터 기지국(예를 들어 eNB(211, 213))을 통해서 송신되는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는, 자장치의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자장치의 오퍼레이터망의 기지국으로부터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는, 자장치와는 다른 오퍼레이터망에 속하는 각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오퍼레이터망의 ProSe 펑션(예를 들어 도 7 참조)으로부터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신한다.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는, 수집한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집 정보 기억부(1304)에 출력한다.
외부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3)는 외부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예를 들어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로부터 외부 서비스(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251)의 서비스 h)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외부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3)는 수집한 외부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수집 정보 기억부(1304)에 출력한다.
수집 정보 기억부(1304)는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 및 외부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3)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집약한 정보(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테이블(1200))를 기억한다.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각 디바이스의 조합에 대해서, 해당 조합의 디바이스 사이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의 추정 결과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취득한다.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취득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에 출력한다.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MME(322)로부터 수신한다.
또는,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각 디바이스의 트래킹 에리어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정보를 MME(322)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각 디바이스의 조합에 대해서, 해당 조합의 디바이스 사이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를 추정함으로써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동일한 트래킹 에리어에 위치하는 각 디바이스가 「eICBD」, 「PGW 경유」, 「오퍼레이터간 통신」의 각 접속 링크에 의해 서로 접속 가능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링크 추정부(1305)는 서로 다른 트래킹 에리어에 위치하는 각 디바이스가 「PGW 경유」, 「오퍼레이터간 통신」의 각 접속 링크에 의해 서로 접속 가능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는 DSF(321)에 의한 디스커버리 서비스 기능의 제공 대상의 각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해서, 대상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를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에 출력한다. 또한,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는 대상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한 서비스의 추출에, 수집 정보 기억부(1304)에 의해 기억된 정보와, 접속 링크 추정부(1305)로부터 출력된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사용한다.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는,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로부터 출력된 서비스 리스트를, 대상 디바이스를 통해서 송신한다.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에 의한 대상 디바이스에의 서비스 리스트의 송신은, 예를 들어 대상 디바이스(UE)가 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을 통해서 행해진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수신부(131)는, 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 및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송신부(132)는, 예를 들어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3c는 DSF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DSF(321)는, 예를 들어 도 13c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133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 장치(1330)는 CPU(1331)와, 메모리(1332)와, 통신 인터페이스(1333)를 구비한다. CPU(1331), 메모리(1332) 및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버스(1339)에 의해 접속된다.
CPU(1331)(Central Processing Unit)는 통신 장치(1330)의 전체 제어를 담당한다. 메모리(1332)에는,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 및 보조 메모리가 포함된다. 메인 메모리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메인 메모리는, CPU(1331)의 워크 에리어로서 사용된다. 보조 메모리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보조 메모리에는 통신 장치(1330)를 동작시키는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보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에 로드되어 CPU(1331)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유선이나 무선에 의해 통신 장치(1330)의 외부(예를 들어 eNB(311, 312), MME(322),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23),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33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333)는, CPU(1331)에 의해 제어된다.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서비스 정보 수집부(1301),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1302), 접속 링크 추정부(1305) 및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는, 예를 들어 CPU(1331) 및 통신 인터페이스(1333)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수집 정보 기억부(1304)는, 예를 들어 메모리(133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1306)는, 예를 들어 CPU(1331) 및 메모리(1332)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서비스 리스트)
도 14는 서비스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서비스 리스트(1400)는, 도 13a, 도 13b에 나타낸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1307)에 의해 UE(201)(디바이스 A)로 송신되는 서비스 리스트이다.
서비스 리스트(1400)는, UE(201)의 이용 가능한 서비스마다 적용 링크 제한을 나타내고 있다. 적용 링크 제한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 접속 링크(접속 경로의 종류)이다.
UE(201)는 서비스 a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서비스 a는 원격 조작이기 때문에, UE(201)의 요구에 대하여 직접 일치하는 것은 서비스 b, d이다(도 10 참조). 이로 인해, 서비스 리스트(1400)에는 서비스 b, d가 포함된다.
또한, 서비스 b, d 외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로서 서비스 c, f, h도 서비스 리스트(1400)에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UE(201)는, 서비스 b, d 외에 서비스 c, f, h도 선택할 수 있다.
「인터넷 경유」의 접속 링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UE와 클라우드 서버(251)를 접속하는 링크이기 때문에, 「인터넷 경유」가 사용 가능한 이용 가능 서비스는 서비스 h에 한정된다.
서비스 b는 허용 지연량이 20[㎳]이고, 링크 지연이 이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접속 링크에는 「D2D」 및 「eICBD」가 있다(도 11 참조). 또한, UE(201)(디바이스 A)는 UE(202)(디바이스 B)와의 사이에서 D2D 통신이 가능하다(도 12 참조). 이로 인해, 서비스 리스트(1400)에 있어서, 서비스 b에 대응하는 적용 링크 제한은 「D2D」 및 「eICBD」가 된다.
서비스 d는 허용 지연량이 40[㎳]이고, 링크 지연이 이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접속 링크에는 「D2D」 및 「eICBD」가 있다. 단, UE(201)(디바이스 A)는 UE(204)(디바이스 D)와의 사이에서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 이로 인해, 서비스 리스트(1400)에 있어서, 서비스 d에 대응하는 적용 링크 제한은 「eICBD」가 된다.
서비스 c, f는 허용 지연량이 각각 180[㎳], 120[㎳]이고, 링크 지연이 이들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접속 링크에는 「D2D」, 「eICBD」, 「PGW 경유」, 「오퍼레이터간 통신」이 있다. 단, UE(201)(디바이스 A)는 UE(203, 206)(디바이스 C, F)와의 사이에서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UE(201)는 UE(206)와 다른 기지국 및 오퍼레이터망에 접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리스트(1400)에 있어서, 서비스 c에 대응하는 적용 링크 제한은 「D2D, 인터넷 경유 이외」가 된다. 또한, 서비스 리스트(1400)에 있어서, 서비스 f에 대응하는 적용 링크 제한은 「오퍼레이터간 통신」이 된다.
「인터넷 경유」가 되는 서비스 h는 허용 지연량이 300[㎳]이고, 「인터넷 경유」의 링크 지연은 이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고 있다(도 11 참조). 이로 인해, 서비스 리스트(1400)에 있어서, 서비스 h에 대응하는 적용 링크 제한은 「인터넷 경유」가 된다.
서비스 e, g는 허용 지연량이 각각 5[㎳]이고, 링크 지연이 이것 이하의 접속 링크는 없다. 이로 인해, 서비스 e, g는 서비스 리스트(1400)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E(205)(디바이스 E)은 UE(201)(디바이스 A)와 다른 오퍼레이터망에 속해 있어, 서비스 e의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지 않는다. 또한, UE(207)(디바이스 G)는, UE(201)(디바이스 A)와 다른 오퍼레이터망에 속해 있어, 서비스 g의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도 15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MME(1501)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MME(322)이다. 또한, MME(1501)는, MME(322)를 포함하는 복수의 MME여도 된다. UE(150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UE(301 내지 305) 등의 1개 이상의 UE이다.
먼저, DSF(321)는 기지국을 통해서, UE(1502)에 대하여 ProSe 디스커버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디스커버리 개시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1501). 기지국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eNB(311)나 eNB(312)이다.
다음에, UE(1502)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디스커버리(디바이스·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행한다(스텝 S1502). 디스커버리 신호에는, 예를 들어 도 6a에 나타낸 디스커버리 메시지(610)나 도 6b에 나타낸 디스커버리 메시지(620)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UE(1502)는 스텝 S1502에 의한 디스커버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DSF(321)로 송신한다(스텝 S1503). ProSe 디스커버리 정보에는, 예를 들어 UE(1502)가 직접 통신 가능한 UE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ProSe 디스커버리 정보에는, UE(1502)가 직접 통신 가능한 UE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D2D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UE가 UE(1502)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501 내지 S1503은, 예를 들어 UE(1502) 중 D2D 통신이 가능한 UE에 대해서만 행해진다.
또한, DSF(321)는 각 UE를 접속 가능한 접속 링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MME(1501)로부터 수신한다(스텝 S1504). 또한, DSF(321)는 각 UE의 트래킹 에리어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정보를 MME(150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에 기초하는 판단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얻어도 된다. 또한, UE(1502)는 자국이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DSF(321)로 송신한다(스텝 S1505).
또한, 스텝 S1501 내지 S1503과, 스텝 S1504와, 스텝 S1505의 순서는 교체가능하다.
다음에, DSF(321)는 스텝 S1503 내지 S1505에 의해 수신한 각 정보에 기초하여, UE(1502) 중 대상 디바이스에 대해서, 이용 가능 서비스의 추출을 행한다(스텝 S1506). 다음에, DSF(321)는 스텝 S1506에 의해 추출된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를 UE(1502) 중 대상 디바이스로 송신한다(스텝 S1507).
대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UE(150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UE로 할 수 있다. 또는, 대상 디바이스는 UE(1502)와 다른 UE이며,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나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지 않은 UE로 해도 된다.
(DSF에 의한 처리)
도 16은 DSF에 의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SF(321)는,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각 스텝을 실행한다. 먼저, DSF(321)는 각 셀에 있어서의 UE의 서비스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1601). 서비스 정보에는, 예를 들어 UE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 종별)나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에, DSF(321)는 각 셀에 있어서의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1602). ProSe 디스커버리 정보에는, 예를 들어 직접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의 조합이나, 직접 통신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에, DSF(321)는 대상 디바이스의 각 조합에 대해서, 디바이스 사이에서 설정 가능한 접속 링크를 추정한다(스텝 S1603). 예를 들어, DSF(321)는 각 디바이스가 접속하는 네트워크, 셀 번호, ProSe 디스커버리 정보,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사이에서 설정 가능한 접속 링크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DSF(321)는 스텝 S1603에 있어서, 디바이스 사이에서 설정 가능한 접속 링크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접속 정보를 MME(322) 등으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다음에, DSF(321)는 대상 디바이스의 각 조합에 대해서, 스텝 S1603에 의해 추정한 각 접속 링크의 지연량을 추정한다(스텝 S1604). 스텝 S1604에 있어서, DSF(321)는, 예를 들어 접속 링크마다의 지연량(예를 들어 도 11 참조)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량을 추정할 수 있다.
다음에, DSF(321)는 스텝 S1601, S1602에 의한 각 수집 결과와, 스텝 S1603, S1604에 의한 각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각 대상 디바이스(UE)에 대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추출하는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스텝 S1605). 스텝 S1605의 필터링 처리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리스트가 대상 디바이스마다 얻어진다. 스텝 S1605의 필터링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예를 들어 도 17 참조).
다음에, DSF(321)는 스텝 S1605의 필터링 처리에 의해 얻어진 대상 디바이스마다의 서비스 리스트를, 각각 해당하는 대상 디바이스(UE)로 송신한다(스텝 S1606).
(필터링 처리)
도 17은 필터링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DSF(321)는,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낸 스텝 S1605에 있어서, 필터링 처리로서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스텝을 실행함으로써 UE마다의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한다.
먼저, DSF(321)는 서비스 리스트의 작성 대상의 디바이스 Xi의 인덱스 i를 초기화(i=1)한다(스텝 S1701). 이때, DSF(321)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Xi의 서비스 리스트를 초기화한다(예를 들어 비운다). 서비스 리스트의 작성 대상의 디바이스 Xi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UE(301 내지 305) 등의 UE이다.
다음에, DSF(321)는 디바이스 Xi의 접속처 후보의 디바이스 Yk의 인덱스 k를 초기화(k=1)한다(스텝 S1702). 다음에, DSF(321)는 인덱스 k가 인덱스 i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03). 인덱스 k가 인덱스 i와 같은 경우(스텝 S1703: 예)에는 DSF(321)는 스텝 S1707로 이행한다.
스텝 S1703에 있어서, 인덱스 k가 인덱스 i와 같지 않은 경우(스텝 S1703: 아니오)에는, DSF(321)는 스텝 S1704로 이행한다. 즉, DSF(321)는 도 16의 스텝 S1603에 의해 추정된 디바이스 Xi, Yk의 사이(Xi-Yk간)에 설정 가능한 접속 링크 중에서 디바이스 Yk가 대응하는 서비스 yk의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접속 링크를 추출한다(스텝 S1704).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접속 링크는, 예를 들어 지연량이 허용 지연량 이하의 접속 링크이다.
스텝 S1704의 추출은, 예를 들어 서비스 yk의 허용 지연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도 16에 나타낸 스텝 S1604에 의해 추정된 디바이스 Xi와 디바이스 Yk 사이의 각 접속 링크에 있어서의 지연량에 기초해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DSF(321)는 스텝 S1704에 의한 추출 결과에 기초하여, 허용 지연량을 만족하는 디바이스 Xi와 디바이스 Yk 사이의 접속 링크(해당 링크)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05). 해당 링크가 없는 경우(스텝 S1705: 아니오)에는, DSF(321)는 디바이스 Xi는 디바이스 Yk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스텝 S1707로 이행한다.
스텝 S1705에 있어서, 해당 링크가 있는 경우(스텝 S1705: 예)에는 DSF(321)는 스텝 S1706으로 이행한다. 즉, DSF(321)는 디바이스 Xi의 서비스 리스트에, 서비스 yk와, 스텝 S1704에 의해 추출된 접속 링크의 조합을 추가한다(스텝 S1706).
다음에, DSF(321)는 인덱스 k를 인크리먼트(+1)한다(스텝 S1707). 다음에, DSF(321)는 인덱스 k가 M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08). M은 인덱스 k의 최댓값이며, DSF(321)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수에 상당하는 값이다.
스텝 S1708에 있어서, 인덱스 k가 M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708: 아니오)에는, DSF(321)는 스텝 S1703으로 되돌아간다. 인덱스 k가 M을 초과한 경우(스텝 S1708: 예)에는, DSF(321)는 인덱스 i를 인크리먼트한다(스텝 S1709). 스텝 S1709 후에, DSF(321)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Xi의 서비스 리스트를 초기화한다.
다음에, DSF(321)는 인덱스 i가 N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10). N은 인덱스 i의 최댓값이며, DSF(321)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수에 상당하는 값이다. 인덱스 i가 N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스텝 S1710: 아니오)에는, DSF(321)는 스텝 S1702로 되돌아간다. 인덱스 i가 N을 초과한 경우(스텝 S1710: 예)에는, DSF(321)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각 디바이스 Xi에 관한 서비스 리스트를 얻을 수 있다.
(각 디바이스에 관한 필터링 결과)
도 18은 각 디바이스에 관한 필터링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테이블(1800)은 UE(201 내지 207)(디바이스 A 내지 G)에 대하여 서비스 리스트에 의해 제시하는 서비스 및 적용 링크 제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블(1800)의 「디바이스」는, 도 12의 테이블(1200)의 「디바이스/서버」에 대응한다. 테이블(1800)의 「서비스」, 「허용 지연량」, 「D2D 디스커버리 결과」, 「PLMN ID」는, 각각 도 12의 테이블(1200)의 「서비스」, 「허용 지연량」, 「D2D 디스커버리 결과」, 「PLMN ID」에 대응한다.
테이블(1800)의 「제시 후보 서비스」는 UE(201 내지 207)에 제시하는 후보의 서비스(서비스 a 내지 h)와, 제시하는 후보의 서비스 적용 링크 제한이다. 또한, 「제시 후보 서비스」의 「×」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테이블(180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E(201)(디바이스 A)로 송신되는 서비스 리스트에 있어서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서 서비스 b, c, d, f, h가 제시된다(도 14와 마찬가지). 또한, 서비스 b, c, d, f, h의 적용 링크 제한은, 각각 「D2D, eICBD」, 「D2D, 인터넷 경유 이외」, 「eICBD」, 「오퍼레이터간 통신」, 「인터넷 경유」가 된다.
또한, 예를 들어 UE(204)(디바이스 D)로 송신되는 서비스 리스트에 있어서는,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서 서비스 a, b, c, f, h가 제시된다. 또한, UE(204)는 UE(203)(디바이스 C)와의 사이에서 D2D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예를 들어 도 12 참조), UE(204)가 UE(203)의 서비스 c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D2D 통신을 사용 가능하다. 이로 인해, 서비스 a, b, c, f, h의 적용 링크 제한은, 각각 「eICBD」, 「eICBD」, 「인터넷 경유 이외」, 「오퍼레이터간 통신」, 「인터넷 경유」가 된다.
(UE)
도 19a는 UE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낸 UE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E(201 내지 207)나 UE(301 내지 305) 각각은, 예를 들어 도 19a, 도 19b에 나타내는 UE(191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UE(1910)는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와,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와,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와,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와, 제어부(1915)와, 통신 실행부(1916)를 구비한다.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는 제어부(191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UE(1910)(자국)가 대응하고 있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UE(1910)가 접속 중인 기지국을 통해서 DSF(321)로 송신한다.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는 제어부(191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UE(191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UE)를 검출하는 ProSe 디스커버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는 ProSe 디스커버리에 의해 검출된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나타내는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제어부(1915)에 출력한다.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는 제어부(191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에 의해 얻어진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UE(1910)가 접속 중인 기지국을 통해서 DSF(321)로 송신한다.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는 UE(1910)가 접속 중인 기지국을 통해서 DSF(321)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는 수신한 서비스 리스트를 제어부(1915)에 출력한다.
제어부(1915)는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 및 통신 실행부(1916)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15)는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에 서비스 정보를 송신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915)는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에 ProSe 디스커버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915)는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의 ProSe 디스커버리에 의해 얻어진 ProSe 디스커버리 정보를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에 의해 송신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915)는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로부터 출력된 서비스 리스트에 기초하는 통신을 통신 실행부(1916)에 실행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통신 실행부(1916)는 제어부(1915)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UE(1910)와 다른 디바이스의 디바이스간 통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에 의해 수신된 서비스 리스트를 UE(1910)의 유저에 제시하고, 서비스 리스트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에서 통신 실행부(1916)가 실행하는 서비스의 지정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그리고, 통신 실행부(1916)는 유저로부터 접수한 서비스의 디바이스간 통신을 실행한다.
또는,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에서 통신 실행부(1916)가 실행하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서비스의 디바이스간 통신을 실행해도 된다. 이 때에,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적용 링크 제한에 기초하여, 각 서비스에서 사용 가능한 접속 링크에 따라서 서비스를 자동으로 선택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실행부(1916)는 D2D 통신을 사용 가능한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선택해도 된다. 이에 의해, 직접 통신이며 지연이 적은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의 각 서비스에 대해서, 적용 링크 제한에 따른 지연량의 대소를 유저에 제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저가 지연량의 대소를 고려해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서비스의 적용 링크 제한에 기초하여,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 서비스의 전체로서의 지연량의 대소를 유저에 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실행부(1916)는 각 서비스의 적용 링크 제한에 포함되는 접속 링크의 지연량 중 최소의 지연량의 대소를 유저에 제시해도 된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는 D2D 통신을 사용 가능한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유저에 제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직접 통신이며 지연이 적은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유저에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클라우드 서버(251)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서비스를 D2D 통신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리스트가 나타내는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D2D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는 서비스 리스트에 포함되는 서비스를 D2D 이외의 접속 링크로 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서비스를 DSF(321)에 대하여 요구하고, DSF(321)의 제어에 의해 해당 서비스에 따른 통신을 행한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송신부(121)는, 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 및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a, 도 1b에 나타낸 수신부(111)는, 예를 들어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도 19c는 UE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d는 도 19c에 나타낸 UE에 있어서의 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 도 19b에 나타낸 UE(1910)는, 예를 들어 도 19c, 도 19d에 나타내는 UE(193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UE(1930)는 안테나(1931)와, 무선 수신 회로(1932)와, 디지털 변환기(1933)(A/D)와, 아날로그 변환기(1934)(D/A)와, 무선 송신 회로(1935)를 구비한다. 또한, UE(1930)는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와, 유저 인터페이스(1938)를 구비한다.
안테나(1931)는,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이나 다른 UE)로부터 무선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1932)에 출력한다. 또한, 안테나(1931)는 무선 송신 회로(19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무선 수신 회로(1932)는 안테나(1931)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한다. 무선 수신 회로(1932)에 의한 무선 수신 처리에는, 예를 들어 고주파대로부터 기저 대역대로의 주파수 변환 처리나 증폭 처리 등이 포함된다. 무선 수신 회로(1932)는 무선 수신 처리를 행한 신호를 디지털 변환기(1933)에 출력한다.
디지털 변환기(1933)는 무선 수신 회로(193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디지털 변환기(1933)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출력한다.
아날로그 변환기(1934)는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변환기(1934)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무선 송신 회로(1935)에 출력한다.
무선 송신 회로(1935)는 아날로그 변환기(193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한다. 무선 송신 회로(1935)에 의한 무선 송신 처리에는, 예를 들어 기저 대역대로부터 고주파대로의 주파수 변환 처리나 증폭 처리 등이 포함된다. 무선 송신 회로(1935)는 무선 송신 처리를 행한 신호를 안테나(1931)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는, 디지털 변환기(1933)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기저 대역 수신 처리를 행한다.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의 기저 대역 수신 처리에는, 예를 들어 복조나 복호 등의 각종 처리가 포함된다.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는, 기저 대역 수신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에 출력한다.
또한,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기저 대역 송신 처리를 행한다.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의 기저 대역 송신 처리에는, 예를 들어 부호화나 변조 등의 각종 처리가 포함된다.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는, 기저 대역 송신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아날로그 변환기(1934)에 출력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는, UE(1930)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UE(1930)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에는,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를 제어하는 것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유저 인터페이스(1938)는, 예를 들어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디바이스나, 유저에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키(예를 들어 키보드)나 리모컨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등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를 실현해도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1938)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에 의해 제어된다.
도 19a, 도 19b에 나타낸 서비스 정보 송신부(1911)는, 예를 들어 안테나(1931), 아날로그 변환기(1934), 무선 송신 회로(1935) 및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실행부(1912)는, 예를 들어 안테나(1931), 무선 수신 회로(1932), 디지털 변환기(1933), 아날로그 변환기(1934), 무선 송신 회로(1935) 및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1913)는, 예를 들어 안테나(1931), 아날로그 변환기(1934), 무선 송신 회로(1935) 및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1914)는, 예를 들어 안테나(1931), 무선 수신 회로(1932), 디지털 변환기(1933) 및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1915)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937)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통신 실행부(1916)는, 예를 들어 안테나(1931), 무선 수신 회로(1932), 디지털 변환기(1933), 아날로그 변환기(1934), 무선 송신 회로(1935) 및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1936)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실행부(1916)를 실현하기 위해서 유저 인터페이스(1938)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 상술한 서비스 리스트의 유저에의 제시나, 서비스의 유저로부터의 지정 접수는, 유저 인터페이스(1938)를 통해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르면, 네트워크측의 DSF(321)가, 각 UE로부터 수집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하여, 각 UE에 대하여 이용 가능 서비스를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간 통신의 통신처의 디스커버리에 있어서, 직접 통신 가능한 단말기에 한하지 않고 광범위한 디스커버리가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광범위한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디스커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스커버리 서비스 기능이 갖는 D2D 디스커버리 정보를, RAN(Radio Access Network: 무선 접속망) 내(셀간)에서 공유하는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AN 내의 모든 (D2D)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D2D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의 서비스 정보도 RAN 내(셀간)에서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커버리 대상 디바이스의 확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D2D 디스커버리 정보에 더하여,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여러가지 서비스 정보도 RAN 내(셀간)에서 공유하는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서비스의 디스커버리를, D2D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와 통일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요구 조건과 통신 링크 품질이 합치하는 조건에서의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방대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 중에서, 실제로 QoS를 만족하는 서비스의 디스커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간 통신이나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여러가지 서비스의 디스커버리에 있어서, ProSe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합적인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요구 조건과 통신 링크 품질이 합치하는 조건에서의 필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를 더 개시한다.
(부기 1)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2 이동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단말기간의 직접 통신에 의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이며, 또한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기간의 통신에 의해 제공 가능한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3) 부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통신의 지연량의 추정값에 기초해서 추출한 상기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4) 부기 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5) 부기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의 각 접속처에 따른,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량의 추정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6) 부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직접 통신의 가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연량의 추정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7)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에 속하는 각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8)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가 기지국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서버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9)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검출용 신호를 사용해서 검출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검출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0)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설치된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부기 11)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부기 12) 자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와, 자단말기가 검출용 신호를 사용해서 검출한 자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0, 200, 400, 700, 900 : 통신 시스템
101, 103 : 기지국
102 : 네트워크
110 : 제1 이동 단말기
111, 131 : 수신부
120 : 제2 이동 단말기
121, 132 : 송신부
130, 1330 : 통신 장치
201 내지 208, 301 내지 305, 401, 402, 501 내지 505, 701, 702, 1502, 1910, 1930 : UE
211 내지 213, 311, 312 : eNB
211a 내지 213a, 311a, 312a : 셀
221, 222 : 오퍼레이터망
231 내지 233 : SGW
241, 242 : PGW
250 : PDN
251 : 클라우드 서버
260 내지 264 : 접속 링크
320 : 코어 네트워크
321 : DSF
322, 713, 723, 1501 : MME
323 : 디바이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330 : M2M 플랫폼
331 : M2M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403 : E-UTRAN
404, 710, 720 : EPC
405, 711, 721 : ProSe 펑션
406 : ProSe 애플리케이션 서버
610, 620 : 디스커버리 메시지
712, 722 : GMLC
730 : 서드파티 AS
901 : MTC-IWF
902 : SCS
1000, 1200, 1800 : 테이블
1111 내지 1118 : 지연 내력
1121 내지 1125 : 링크 지연
1301 : 서비스 정보 수집부
1302 : 디스커버리 정보 수집부
1303 : 외부 서비스 정보 수집부
1304 : 수집 정보 기억부
1305 : 접속 링크 추정부
1306 : 이용 가능 서비스 추출부
1307 : 서비스 리스트 송신부
1331 : CPU
1332 : 메모리
1333 : 통신 인터페이스
1339 : 버스
1400 : 서비스 리스트
1911 : 서비스 정보 송신부
1912 : 디스커버리 실행부
1913 : 디스커버리 정보 송신부
1914 : 서비스 리스트 수신부
1915 : 제어부
1916 : 통신 실행부
1931 : 안테나
1932 : 무선 수신 회로
1933 : 디지털 변환기
1934 : 아날로그 변환기
1935 : 무선 송신 회로
1936 : 기저 대역 신호 프로세서
1937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938 : 유저 인터페이스

Claims (12)

  1.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제2 이동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설치된 통신 장치로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허용 지연량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접속 경로에 있어서의 통신의 지연량의 추정값에 기초해서 추출한 상기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에 속하는 각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가 기지국을 통해서 이동 단말기에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서버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검출용 신호를 사용해서 검출한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검출 정보가 나타내는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설치된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이동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1 이동 단말기와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상태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제2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이동 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자단말기가 단말기간 통신에 있어서 제공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와, 자단말기가 검출용 신호를 사용해서 검출한 자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서 네트워크의 통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타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서비스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서비스 중 상기 자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의 리스트를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통신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자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한 접속 경로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7001687A 2014-08-06 2014-08-06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1872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0784 WO2016021010A1 (ja) 2014-08-06 2014-08-06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移動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107A KR20170023107A (ko) 2017-03-02
KR101872171B1 true KR101872171B1 (ko) 2018-06-27

Family

ID=5526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687A KR101872171B1 (ko) 2014-08-06 2014-08-06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64443B2 (ko)
EP (1) EP3179756A4 (ko)
JP (1) JP6409168B2 (ko)
KR (1) KR101872171B1 (ko)
CN (1) CN106664546B (ko)
WO (1) WO2016021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7171B1 (en) * 2015-01-13 2023-09-27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tation, and terminal
JP6987073B2 (ja) * 2016-05-11 2021-12-2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WO2018002993A1 (ja) * 2016-06-27 2018-01-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基地局、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038079B (zh) * 2017-03-20 2020-08-07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通信控制系统
KR20230039315A (ko) * 2021-09-14 2023-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029A (ja) * 2009-10-02 2013-02-28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ピアツーピア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間の発見および取り決めをプロキシ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3526157A (ja) * 2010-04-15 2013-06-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支援型ピア発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2443A (ja) * 2002-07-26 2004-02-26 Ntt Docomo Inc 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管理方法、サーバ管理装置、通信端末及びサーバ装置
CN103354993B (zh) * 2010-12-03 2017-10-2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促进设备对设备通信
CN104012012A (zh) * 2011-12-20 2014-08-27 Lg电子株式会社 用于提供邻近服务的网络发起的控制方法和装置
CN104272707B (zh) * 2012-04-27 2018-04-0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支持邻近发现过程的方法和装置
CN104285461B (zh) * 2012-04-27 2018-09-21 日本电气株式会社 控制装置、无线电站、无线电终端以及控制共享频率的使用的方法
CN103533500A (zh) * 2012-07-04 2014-01-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临近终端的通信方法及装置、系统
US9763273B2 (en) 2012-10-29 2017-09-12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processo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40162644A1 (en) * 2012-12-11 2014-06-1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rvice enhanc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04847A1 (en) * 2013-01-18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d2d communication using d2d capability information
US9326121B2 (en) * 2013-01-24 2016-04-26 National Taiwan University Device discovery using distributed random acces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654960B2 (en) * 2013-05-31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US20160278069A1 (en) * 2013-11-29 2016-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recognition qos-differentiat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16551B2 (en) * 2014-01-31 2016-1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mitigation of D2D communications in different coverage scenario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029A (ja) * 2009-10-02 2013-02-28 リサーチ イン モ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ピアツーピア通信を確立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間の発見および取り決めをプロキシ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3526157A (ja) * 2010-04-15 2013-06-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支援型ピア発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4546A (zh) 2017-05-10
US10264443B2 (en) 2019-04-16
WO2016021010A1 (ja) 2016-02-11
KR20170023107A (ko) 2017-03-02
JP6409168B2 (ja) 2018-10-24
US20170127267A1 (en) 2017-05-04
EP3179756A4 (en) 2017-11-01
EP3179756A1 (en) 2017-06-14
CN106664546B (zh) 2020-04-17
JPWO2016021010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669B2 (ja) 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ピアツーピア通信
KR101872171B1 (ko)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이동 단말기
JP6039103B2 (ja) ワイヤレス端末間の情報の中継およびブロードキャストの効率的な手段
KR101814060B1 (ko) 중계기 기능을 갖는 단말 디바이스 및 중계기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0985836B2 (e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WO2013157577A1 (ja) 端末装置、移動管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WO2018084788A1 (en) Mobility management for relaying
CN106471826A (zh) 用于在蜂窝网络中支持车辆通信的方法、远程通信服务器和基站
US20190364437A1 (e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WO2015039311A1 (zh) 接入点之间接口的建立方法和装置
CN110268732A (zh) 数据传输方法、基站、本地疏导控制器、网关和系统
CN102355647B (zh) 专用s1信令连接建立和进行定位的方法、系统及设备
JP2017510152A (ja) 測位のホームノードbゲートウェイサポートの発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8547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通信を行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20220179097A1 (en) Obtaining and providing positioning assistance data
JP2021044785A (ja) 電子装置、システム、サーバ及び方法
KR20140090103A (ko)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JP2013192149A (ja) 通信制御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7298237B2 (ja) 通信方法、及び制御装置
JP6108480B2 (ja) 通信装置、管理サーバ、屋内外判定用データベース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4764A (ko) 이웃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00604A1 (zh) Ue中继设备的驻留处理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