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55B1 -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55B1
KR101871255B1 KR1020170146024A KR20170146024A KR101871255B1 KR 101871255 B1 KR101871255 B1 KR 101871255B1 KR 1020170146024 A KR1020170146024 A KR 1020170146024A KR 20170146024 A KR20170146024 A KR 20170146024A KR 101871255 B1 KR101871255 B1 KR 10187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inlet
barrel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득
고광언
Original Assignee
(주)유니온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온물산 filed Critical (주)유니온물산
Priority to KR102017014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 사이의 공극에 일체화를 시켜주기 위하여 시공되는 정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고정공(2)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며, 봉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20)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가 형성된 고정부재(100)와; 평판형의 구조를 갖으며 중앙부분에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구(112)가 노출되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된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봉강확인봉(220)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고정부재(100)가 체결되는 지지부재(200)와;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 상부에서 지지판(21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봉강(1)이 관통하는 봉강관통홀(310)이 형성된 밀착부재(300)와; 밀착부재(300)의 상부에서 봉강(1)에 체결되면서 밀착부재(300)가 지지부재(20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Guide holders of reinforced concrete bars}
본 발명은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 사이의 공극에 일체화를 시켜주기 위하여 시공되는 정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보강용 철근콘크리트 봉강(또는 철근)의 경우 봉강(또는 철근)과 봉강(또는 철근)을 보강면(비탈면, 암반, 콘크리트 균열부, 지반의 절리면 등)에 정착시키는 정착제 및 보강면의 하중이 봉강(또는 철근)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해주는 지압판과 이 지압판이 봉강(또는 철근)과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해주는 너트로 구성되어 보강면의 하중이 봉강(또는 철근)에 전달되어 안정화하는 보강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보강 공법에 있어 보강면의 하중이 봉강(또는 철근)에 고르게 전달되기 위해서 지압판은 봉강(또는 철근)과 연결되는 부위가 구면의 형상으로 하중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막아주며, 하중을 지압판 전체로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지압판의 경우 프레스 성형에 따라 정확한 구면의 형태가 아닌 반구 형태로 보강면과 면 접촉이 아닌 4각형의 각각의 모서리가 접촉하는 점접촉에 따라 하중이 접촉점으로 집중되며, 그로 인하여 파단하중 이하의 값에서 파단이 이루어 지게 되어 보강제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봉강(또는 철근)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이 일체화가 이루어 져야하며, 이를 위하여 정착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정착제를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의 공극 사이에 주입시 주입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어 완벽한 주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의 경우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 사이에 정확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보강공법에 있어 시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봉강(또는 철근)과 보강면 사이의 공극에 일체화를 시켜주기 위하여 시공되는 정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강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는 봉강을 정확한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착제의 주입하기 이전에도 봉강의 기울기를 예측하여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보강면에 형성된 고정공의 깊이에 따라 고정공의 내부에서 봉강을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봉강의 설치위지를 유지시킬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는, 고정공(2)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며, 봉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20)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가 형성된 고정부재(100)와; 평판형의 구조를 갖으며 중앙부분에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구(112)가 노출되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된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봉강확인봉(220)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고정부재(100)가 체결되는 지지부재(200)와;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 상부에서 지지판(21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봉강(1)이 관통하는 봉강관통홀(310)이 형성된 밀착부재(300)와; 밀착부재(300)의 상부에서 봉강(1)에 체결되면서 밀착부재(300)가 지지부재(20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되, 고정부재(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봉강(1)이 삽입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20)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와, 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 중간고정부(130)가 체결되는 제1 체결돌기(114)가 형성된 상부고정부(110)와; 상부고정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상부고정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14)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1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하부고정부(15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돌기(132)가 형성된 중간고정부(130)와;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내측상단은 중간고정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돌기(132)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홈(15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하부고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부고정부(110)의 상단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113)가 형성되고,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의 관통홀(211) 내면에는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12)이 형성되며, 고정홈(212)에 삽입된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가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봉강삽입구(111)는 내면에 삽입되는 봉강에 밀착되는 밀착돌기(1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밀착돌기(111-1)는 봉강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정착제주입관(120)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정착제주입구(112)에 체결되며 하단이 정착제주입구(11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일단이 내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원통형 내면을 수직하게 차단하는 닫침판(121)과, 내면의 타측에서 닫침판(121)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닫침판(121)의 타측 상단이 걸리도록 지지하는 고정편(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간고정부(130)의 하부에는 주입된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착제차단판(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정착제차단판(133)은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각각의 절편(133-1)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고정부(150)의 외측면에는 소형형상의 삽입홀(152)이 형성되고, 탄성돌기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외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삽입홀(152)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공(2)에 밀착될 때에 타단이 삽입홀(15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보강면에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을 보강면에 일체화되도록 시공되는 정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면에 형성된 고정공의 내부에서 봉강을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정착제의 주입하기 이전에도 봉강의 기울기를 예측하여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면에 형성된 고정공의 깊이에 따라 고정공의 내부에서 봉강을 지지하는 고정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봉강의 설치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착부재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밀착부재가 봉강의 파단하중 이하에서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홀더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의 각각의 구성품이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고정공 형태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공이 지반의 변형으로 인하여 하중을 받아 변형이 발생되면 지지부재의 지지판이 하중을 받아 변형되며, 지지판에 연결된 봉강확인봉이 지지판의 변형으로 인하여 기울기가 변동됨에 따라 지반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주지부재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의 조립상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착제주입구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는 고정부재(100), 지지부재(200), 밀착부재(300), 가압부재(4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고정공(2)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며, 철근콘크리트 봉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구(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00)는 상부고정부(110), 중간고정부(130) 및 하부고정부(150)로 이루어진다.
상부고정부(1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봉강(1)이 삽입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20)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고정부(110)의 상단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에 결합되는 고정돌기(113)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중간고정부(130)가 체결되는 제1 체결돌기(114)가 형성된다.
봉강삽입구(111)는 내면에 삽입되는 봉강에 밀착되는 밀착돌기(111-1)가 형성된다. 이때, 밀착돌기(111-1)는 봉강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돌기(111-1)는 봉강의 돌기에 밀착됨으로써 정착제가 봉강의 외면과 상부고정부 사이를 통해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정착제주입관(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정착제주입구(112)에 체결되며 하단이 정착제주입구(11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다. 정착제주입관(120)의 원통형 내면에는 일단이 내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원통형 내면을 수직하게 차단하는 닫침판(121)과, 내면의 타측에서 닫침판(121)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닫침판(121)의 타측 상단이 걸리도록 지지하는 고정편(1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닫침판(121)은 정착제를 공급하는 외부의 정착제주입호스가 삽입될 때에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정착제를 주입시킬 수 있고, 정착제주입호스를 제거하면 다시 정착제주입관(120)에 수직하게 회동되기 때문에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중간고정부(130)는 상부고정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상부고정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14)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고정부(130)의 외측면에는 하부고정부(15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돌기(13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주입된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정착제차단판(133)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돌기(132)는 하부고정부(150)가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돌출된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착제차단판(133)은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각각의 절편(133-1)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정착제차단판(133)은 봉강(1) 및 정착제주입구(112)의 정착제주입관(120)이 통과하는 경우에 절편(133-1)이 봉강(1) 및 정착제주입관(120)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며 주입된 정착제가 밀려나오는 경우에 절편이 방해하게 되어 정착제가 정착제차단판(133)의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하부고정부(150)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내측상단은 중간고정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돌기(132)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홈(151)이 형성된다. 하부고정부(150)의 외측면에는 소형형상의 삽입홀(152)이 형성되고, 반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외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삽입홀(152)의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돌기(15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탄성돌기(153)는 고정공(2)에 밀착될 때에 타단이 삽입홀(15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공(2)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하부고정부(150)를 안정되게 고정공(2)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삽입홀(152)은 주입되는 정착제가 하부고정부(150)의 내부와 외부를 이용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지지부재(200)는 평판형의 구조를 갖으며 후면에 고정부재(100)가 체결되며, 중앙부분에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구(112)가 노출되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된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봉강확인봉(220)이 형성된다. 지지판(210)의 관통홀(211) 내면에는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12)이 형성되고, 고정홈(212)에 삽입된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가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2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0)는 지지부재(200)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부재(100)를 고정공(2)에 밀착시킬 때에 봉강확인봉(220)의 기울기를 확인하여 고정부재(100)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봉강확인봉(220)이 지지판(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공이 지반의 변형으로 인하여 하중을 받아 변형이 발생되면 지지부재의 지지판이 하중을 받아 변형되며, 지지판에 연결된 봉강확인봉이 지지판의 변형으로 인하여 기울기가 변동됨에 따라 지반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밀착부재(300)는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 상부에서 지지판(21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오목형상인 정사각형판 또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봉강(1)이 관통하는 봉강관통홀(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부재(300)는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가압될 때에 밀착부재의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밀착부재가 봉강의 파단하중 이하에서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밀착부재(300)의 상부에서 봉강(1)에 체결되면서 밀착부재(300)가 지지부재(200)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재는 너트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를 이용하여 봉강을 고정공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기초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부터 암반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고정공(2)에 상부고정부(110), 중간고정부(130) 및 하부고정부(15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100)를 삽입시켜 고정한다. 이때, 봉강확인봉(220)의 기울기를 확인하면 고정부재(100)가 올바르게 설치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고정부의 제1 체결돌기(114)와 중간고정부(130)의 제1 체결홈(131), 중간고정부(130)의 제2 체결돌기(132)와 하부고정부(150)의 제2 체결홈(151)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고정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 후, 봉강(1)의 중하단을 지지부재(200)의 관통홀(211)을 거쳐 상부고정부(110)의 봉강삽입구(111)와 중간고정부(130)를 따라 삽입하여 고정공(2)에 위치시킨다. 이때, 중간고정부(130)의 정착제차단판(133)이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절개선이 의하여 각각의 절편(133-1)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봉강(1)이 통과하면서 절편(133-1)이 함께 하부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면서 봉강(1)에 밀착되면서 정착제가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1차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고, 봉강삽입구(111)의 내면에 형성된 밀착돌기(111-1)가 봉강의 돌기에 밀착됨으로써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2차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고정부(110)에 형성된 정착제주입구(112)에 정착제주입호스를 삽입하면 정착제주입관(120)의 닫침판(121)이 정착제주입호스에 밀리면서 하부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정착제주입호스를 통해 주입된 정착제는 고정공(2)과 상부, 중간하부고정부(110,130,150)의 내외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하부고정부(1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홀(152)에 의해서 주입된 정착제가 하부고정부(150)의 내부와 외부를 이용하면서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부고정부(110)의 외측은 지지부재(200)에 의해서 막혀있기 때문에 정착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착제주입이 완료되어 정착제주입호스를 회수하면 정착제주입관(120)의 닫침판(121)이 원위치되면서 정착제주입관(120)을 통해서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정착제주입호스를 회수한 후에는 밀착부재(300)를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 상부에 위치시키고, 가압부재(400)를 봉강(1)에 체결하게 되면 가압부재(400)의 후면이 밀착부재(300)를 밀게되고, 밀착부재(300)가 지지부재(200)에 밀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고정부재 110 : 상부고정부
111 : 봉강삽입구 112 : 정착제주입구
113 : 고정돌기 114 : 제1 체결돌기
120 : 정착제주입관 121 : 닫침판
122 : 고정편 130 : 중간고정부
131 : 제1 체결홈 132 : 제2 체결돌기
133 : 정착제차단판 150 : 하부고정부
151 : 제2 체결홈 152 : 삽입홀
153 : 탄성돌기 200 : 지지부재
210 : 지지판 211 : 관통홀
220 : 봉강확인봉 300 : 밀착부재
310 : 봉강관통홀 400 : 가압부재

Claims (9)

  1. 고정공(2)에 삽입되면서 밀착 고정되며, 봉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20)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가 형성된 고정부재(100)와;
    평판형의 구조를 갖으며 중앙부분에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구(112)가 노출되도록 관통홀(211)이 형성된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봉강확인봉(220)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고정부재(100)가 체결되는 지지부재(200)와;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 상부에서 지지판(21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봉강(1)이 관통하는 봉강관통홀(310)이 형성된 밀착부재(300)와;
    밀착부재(300)의 상부에서 봉강(1)에 체결되면서 밀착부재(300)가 지지부재(20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되,
    고정부재(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봉강(1)이 삽입되는 봉강삽입구(111)와 정착제주입관(112)이 고정되는 정착제주입구(112)와, 가 상하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측면에 중간고정부(130)가 체결되는 제1 체결돌기(114)가 형성된 상부고정부(110)와;
    상부고정부(1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체결되고, 내측면에는 상부고정부(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체결돌기(114)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홈(1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하부고정부(150)가 체결되는 제2 체결돌기(132)가 형성된 중간고정부(130)와;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내측상단은 중간고정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체결돌기(132)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홈(15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하부고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고정부(110)의 상단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돌기(113)가 형성되고,
    지지부재(200)의 지지판(210)의 관통홀(211)에는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12)이 형성되며,
    고정홈(212)에 삽입된 상부고정부의 고정돌기(113)가 다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링(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봉강삽입구(111)는 내면에 삽입되는 봉강에 밀착되는 밀착돌기(1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밀착돌기(111-1)는 봉강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착제주입관(120)은 상부와 하부가 관통된 원통형상으로 정착제주입구(112)에 체결되며 하단이 정착제주입구(112)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일단이 내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면서 원통형 내면을 수직하게 차단하는 닫침판(121)과, 내면의 타측에서 닫침판(121)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닫침판(121)의 타측 상단이 걸리도록 지지하는 고정편(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간고정부(130)의 하부에는 주입된 정착제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착제차단판(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정착제차단판(133)은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절개선에 의해 각각의 절편(133-1)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고정부(150)의 외측면에는 소형형상의 삽입홀(152)이 형성되고, 탄성돌기는 반원형상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외면에 체결되고 타단이 삽입홀(152)의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공(2)에 밀착될 때에 타단이 삽입홀(15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KR1020170146024A 2017-11-03 2017-11-03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KR101871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24A KR101871255B1 (ko) 2017-11-03 2017-11-03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24A KR101871255B1 (ko) 2017-11-03 2017-11-03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55B1 true KR101871255B1 (ko) 2018-06-28

Family

ID=6278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24A KR101871255B1 (ko) 2017-11-03 2017-11-03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45B1 (ko) * 2012-09-19 2013-09-17 송영수 가압식 네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방법
KR101714610B1 (ko) * 2015-02-23 2017-03-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희생 강관케이싱 부분 인발식 강관말뚝 시공방법
KR101759446B1 (ko) * 2016-09-06 2017-07-19 정성민 그라우팅 강관말뚝 및 그라우팅 강관말뚝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45B1 (ko) * 2012-09-19 2013-09-17 송영수 가압식 네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방법
KR101714610B1 (ko) * 2015-02-23 2017-03-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희생 강관케이싱 부분 인발식 강관말뚝 시공방법
KR101759446B1 (ko) * 2016-09-06 2017-07-19 정성민 그라우팅 강관말뚝 및 그라우팅 강관말뚝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0468B2 (ja) コンクリート壁型枠のアンカーシステム
US20050204462A1 (en) Assembly for mounting shower or bath insert, inser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insert assembly
EA025305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тек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вкладыш, имеющий прижимной элемен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текления и вкладыш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стекления
KR101871255B1 (ko) 철근콘크리트 봉강의 가이드홀더
US11725404B2 (en) Formwork panel, formwork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tie rod
KR101972151B1 (ko) 견고한 결합과 유지가 가능한 멤브레인 산기관
KR20180086719A (ko)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EP4107340A1 (en) Sanitary ware apparatus
US9103810B2 (en) Sealing structure for liquid passage connection part
KR20230001770U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101934028B1 (ko) 봉강용 플랫홀더
KR950002247B1 (ko) 일체형 변기 탱크 가스켓
RU2155286C2 (ru) Пробка с уплотняющей прокладкой для патрона водопроводного крана
CN212156057U (zh) 一种塑料排水管管卡
KR102593962B1 (ko) 글로브 밸브용 요크와 바디의 결합부 보강구조
US7640603B2 (en) Cistern outlet valve mounting bracket assembly and a method of installing an outlet valve in cistern
KR100943942B1 (ko) 밀봉소켓 조립체
CA3118183A1 (en) Wall formwork with sleeve for anchor holes, sleeve and cleaning method
KR101761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장치
KR101692204B1 (ko) 받침 프레임 구조물의 지지장치
KR20041100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CN209114804U (zh) 一种石材的背栓安装结构
JP6517420B1 (ja) 内張り構造体、内張り構造体の施工方法、注入材の注入方法
JPH096030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器具
JP6777959B1 (ja) スリーブ継手用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