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254B1 -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254B1
KR101871254B1 KR1020170038695A KR20170038695A KR101871254B1 KR 101871254 B1 KR101871254 B1 KR 101871254B1 KR 1020170038695 A KR1020170038695 A KR 1020170038695A KR 20170038695 A KR20170038695 A KR 20170038695A KR 101871254 B1 KR101871254 B1 KR 10187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wl
trap
toi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박민성
강근호
김현섭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는,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움푹한 그릇형상의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단부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을 포함하는 좌식변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보울의 상단테두리에 걸림고정되는 다수 개의 걸이부;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울 및 상기 트랩의 내측에 걸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관체형상의 물수용부; 및 상기 물수용부의 상기 트랩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부의 탈거시에는 상기 개구공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부를 포함하여, 화재시 상기 물수용부를 탈거한 후 이에 수용된 변기용수를 화재진화에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식변기의 보울 및 트랩의 내측에 걸쳐 구비되어 변기용수를 항시 수용하는 물수용부가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한편, 물수용부의 트랩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 즉, 배설물의 처리시에는 개구공을 개방하고, 물수용부의 탈거시에는 개구공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부가 마련됨에 따라 화재시 변기용수의 유실 없이 물수용부를 탈거하여 화재의 초기진화에 변기용수를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ING TOILET WATER}
본 발명은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좌식변기에 항상 수용되어 있는 변기용수를 화재의 초기진화에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계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便器)는 신체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위생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쪼그려 앉아 이용하게 되는 수세식 변기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걸터앉은 상태로 이용하게 되는 양변기 즉, 좌식변기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좌식변기는 움푹한 그릇형상의 보울과, 보울의 하단부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S자 형태의 트랩과, 보울에 변기용수를 제공하는 탱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좌식변기 내로 배출된 배설물은 탱크로부터 낙하되어 제공되는 대략 10L 가량의 변기용수에 의해 처리되는데, 이중 대략 4L 가량의 변기용수는 그릇형상의 보울 및 트랩 내에 항상 잔류되어 배출된 배설물로부터의 악취는 물론, 배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나 벌레의 유입를 방지하게 된다.
배설물의 처리에 사용되는 변기용수 10L는 일일 물사용량의 1/4에 해당하는 양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물의 절반 이상이 좌식변기를 통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근래 전 지구적으로 이슈화된 물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를 줄여보고자 하는 연구 개발이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좌식변기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47953호(공개일: 2016년05월03일)는 휴대식 비상용 변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좌우에는 손으로 들고 이동이 가능토록 한 홈(12)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용변 담김 용기를 조립하기 위하여 구멍(16)이 뚫린 융기단(15)이 형성되며 윗면의 중앙에는 좌판을 끼울 수 있는 돌출관부(13)가 형성되고 돌출관부(13)의 안쪽에는 비닐봉지를 넣을 수 있도록 한 구멍(14)이 형성된 채 짧은 밑변의 길이보다 높이가 낮은 사각형의 몸체(11)로 된 지지 통(10)과; 지지 통(10)의 돌출 관부(13) 안에 삽입된 채 몸체(11)의 윗면에 얹히고 쿠션기능이 뛰어난 도넛타입 좌판(30)과; 지지 통(10)의 몸체(11)의 융기단(15) 저면에 접촉된 채 나사(40)에 의해 고정되는 바닥 판(21)의 윗면에는 몸체(11)의 구멍(16) 안으로 끼워지는 관형 돌출대(22)가 형성된 용변 담김 용기(20)와; 몸체(11)의 돌출관부(13)에 끼워지고 손잡이(51)가 구비된 뚜껑(50)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불편한 사용성 그리고 불량한 내구성, 불안전성 및 안정감이 결여된 점, 구조적인 취약성, 미려하지 못한 외관상의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하는 한편, 비닐봉지에 배설물을 수납하여 처리하는 관계상 물사용이 전혀 필요없는 효과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련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휴대용 변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에서 변기용수를 사용하는 좌식변기와 구별되는 것이고, 변기용수의 사용량을 직접적으로 줄이기 위한 개량 발명으로 볼 수 없음은 물론이며, 또한 변기용수의 활용방안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를 위한 연구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47953호(공개일: 2016년05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 지구적으로 이슈화된 물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좌식변기에 항상 수용된 상태로 있는 변기용수를 별도의 용도 즉, 화재의 초기진화에 곧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한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움푹한 그릇형상의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단부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을 포함하는 좌식변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보울의 상단테두리에 걸림고정되는 다수 개의 걸이부;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울 및 상기 트랩의 내측에 걸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관체형상의 물수용부; 및 상기 물수용부의 상기 트랩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부의 탈거시에는 상기 개구공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부를 포함하여, 화재시 상기 물수용부를 탈거한 후 이에 수용된 변기용수를 화재진화에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물수용부는,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보울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링형의 제1 수용체; 상기 제1 수용체와 연통되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보울의 하단부와 상기 트랩의 하단부에 걸쳐 밀착되는 관체형상의 제2 수용체; 및 상기 제2 수용체와 연통되는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트랩의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관체형상의 제3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개구공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3 수용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개구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좌식변기의 물내림시 유동하는 변기용수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구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보울에 대한 상기 물수용부의 삽입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해제하고, 탈거시 상기 도어부를 잠그는 잠금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작동부는, 상기 제3 수용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막대형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후크부; 막대형상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물수용부의 삽입시 상기 트랩의 내면에 의해 가압회동되며 상기 후크부를 체결해제시키는 돌출가압부; 및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수용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트랩의 막힘을 방지하기 하기 위해, 십자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와이어형 커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식변기의 보울 및 트랩의 내측에 걸쳐 구비되어 변기용수를 항시 수용하는 물수용부가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한편, 물수용부의 트랩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 즉, 배설물의 처리시에는 개구공을 개방하고, 물수용부의 탈거시에는 개구공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부가 마련됨에 따라 화재시 변기용수의 유실 없이 물수용부를 탈거하여 화재의 초기진화에 변기용수를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좌식변기의 평상시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좌식변기의 물내림시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좌식변기의 평상시 도 1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좌식변기의 물내림시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100)는, 좌식변기(10)에 항상 수용된 상태로 있는 변기용수(W)를 유실 없이 인출하여 화재의 초기진화에 곧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수계소화장치로서, 좌식변기(10)의 보울(12) 및 트랩(14)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되, 트랩(14)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121)을 선택적으로 개폐 즉, 변기용수(W)를 사용한 배설물의 처리시에는 개구공(121)이 개방되도록 하고, 탈거시에는 개구공(121)이 폐쇄되도록 구조화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좌식변기(10)는 변기용수(W)를 수용하는 움푹한 그릇형상의 보울(12)과, 보울(12)의 하단부와 배수관(16) 사이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S자 형태의 트랩(14)을 일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변기용수(W)를 보울(12)의 용수공급공(12a)에 공급하여 보울(12) 내의 배설물 등을 배수관(16)을 통해 정화조로 송출시키는 탱크(18) 또는 수전이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술한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100)는 걸이부(110), 물수용부(120) 및 도어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걸이부(110)는, 다수 개로 이루어져 보울(12)의 상단테두리에 걸림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이격형성된 고리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110)는 보울(12)의 상단테두리의 형상에 맞게 변형되며 밀착될 수 있도록, 자유롭게 변형되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와이어가 내설된 가요성의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만, 걸이부(110)는 보울(12)의 상단테두리에 결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충분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수용부(120)는, 내부공간에 변기용수(W)를 수용하게 되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상단부가 걸이부(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보울(12) 및 트랩(14)의 내측에 걸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용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좌식변기(10)의 보울(12) 및 트랩(14)에 밀착되며 변기용수(W)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체(122), 제2 수용체(124) 및 제3 수용체(126)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체(122)는, 보울(12)의 상단부를 통해 제공되는 변기용수(W)를 공급받도록, 걸이부(110)와 연결된 상태로 물수용부(120)의 보울(12) 쪽 단부를 이루게 되는 링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보울(12) 및 트랩(14)에 대한 물수용부(120)의 삽입시 그릇형상의 보울(12)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수용체(124)는, 제1 수용체(122)와 연통된 상태로 물수용부(120)의 중앙부를 이루게 되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보울(12)의 하단부와 트랩의 하단부(14a)에 걸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 수용체(122)와 동일하게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가요성 소재로 제1 수용체(122)와 일체를 이루며 제작되거나 또는 사방으로 신축될 수 있은 탄성재질의 소재로 제1 수용체(122)와 일체를 이루며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3 수용체(126)는, 제2 수용체(124)와 연통된 상태로 물수용부(120)의 트랩(14) 쪽 단부를 이루게 되는 관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경질의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트랩의 상단부(14b)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트랩(14)과 연통되는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수용체(126)를 트랩의 상단부(14b)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 트랩(14)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한 이유는, 물수용부(120)가 보울(12) 및 트랩(14)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좌식변기(10)의 물내림시 제공되는 변기용수(W)의 유속이 제1 수용체(122) 및 제2 수용체(124)를 거쳐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제3 수용체(126)를 통과하면서 최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설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수관(16)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베르누이의 정리 또는 연속의 정리 참조)
한편, 제3 수용체(126)의 내부공간에는, 십자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와이어형 커터(1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트랩(14)의 막힘을 방지 내지 예방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변기용수(W)와 함께 빠른 유속으로 배수관(16)을 향해 유동하는 배설물이나 휴지 등이 얇은 굵기의 와이어형 커터(150)에 의해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트랩(14)의 막힘을 저감할 수 있게 되며, 기타 절단이 어려운 경질의 이물질의 경우에는 십자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와이어형 커터(15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트랩(14)의 막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어부(130)는, 물수용부(120)의 트랩(14)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121)을 선택적으로 개폐 즉, 변기용수(W)를 흘려 배설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개구공(121)이 개방되도록 작동하고, 긴급한 화재진화를 위해 물수용부(120)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개구공(121)이 폐쇄되도록 작동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도어부(130)의 작동을 통해 변기용수(W)의 유실 없이 물수용부(120)를 탈거하여 화재진화에 변기용수(W)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물수용부(120)를 보울(12) 및 트랩(14)에 장착한 후에는 변기용수(W)에 의한 배설물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30)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2) 및 제1 탄성체(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잠금작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132)는 개구공(121)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제3 수용체(12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개구공(121)을 덮을 수 있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개구공(121)과 덮개(132) 간의 밀폐를 위해 개구공(121)과 덮개(132)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오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132)와 제3 수용체(126) 간의 회동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탄성체(134)는 개구공(12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132)를 탄성지지하되, 좌식변기(10)의 물내림시 유동하는 변기용수(W)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개구공(121)이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덮개(132)와 제3 수용체(126)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토션 스프링은 좌식변기(10)의 물내림이 없는 평상시(도 3 참조)에는 덮개(132)가 개구공(121)을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지지력을 갖으면서도, 물내림시에는 유동하는 변기용수(W)의 압력에 의해 덮개(132)가 회동하며 개구공(121)을 개방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변형력(도 4 참조)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30)의 회동구조 및 탄성지지구조와 달리 덮개(132)와 제3 수용체(126) 간을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소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도어부(13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탄성소재에 의해 발휘되는 소정의 탄성력이란, 좌식변기(10)의 물내림이 없는 평상시에는 덮개(132)가 개구공(121)을 폐쇄할 정도의 탄성지지력을 갖으면서도, 물내림시에는 유동하는 변기용수(W)의 압력에 의해 덮개(132)가 회동하며 개구공(121)을 개방시킬 정도의 탄성변형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잠금작동부(140)는, 화재시 보울(12) 및 트랩(14)으로부터 탈거된 물수용부(120)에 수용된 변기용수(W)가 개구공(121)을 통해 유실되는 것을 도어부(130)와 함께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잠금작동부(140)는 도어부(130)에 더 구비되어 보울(12)에 대하여 물수용부(120)가 삽입되는 경우 도어부(130)를 잠금해제하는 작동을 하는 한편, 화재진화를 위해 물수용부(120)가 탈거되는 경우 도어부(130)를 잠그는 작동을 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작동부(140)는,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용체(12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크부(142), 돌출가압부(144) 및 제2 탄성체(14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작동부(140)와 제3 수용체(126) 간의 회동구조는 잠금작동부(140)의 중앙부와 제3 수용체(126)가 힌지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부(142)는 덮개(132)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공(132a)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구성요소로서, 막대형상의 잠금작동부(140)의 일단부에 갈고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가압부(144)는 물수용부(120)의 삽입시 트랩(14)의 내면에 의해 가압회동되며 후크부(142)를 체결해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막대형상의 잠금작동부(140)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돌출가압부(144)의 돌출의 정도나 형상은, 물수용부(120)(제3 수용체(126))가 트랩(14)에 삽입될 때, 트랩(14)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가압회동되어 걸림공(132a)에 걸린 후크부(142)를 걸림공(132a)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충분하다.
제2 탄성체(146)는 후크부(142)가 걸림공(132a)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후크부(142)를 탄성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막대형상의 잠금작동부(140)의 중앙부와 제3 수용체(126)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잠금작동부(140)가 마련됨으로 인해 보울(12)에 대한 물수용부(120)의 삽입시, 돌출가압부(144)가 트랩(14)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부(142)가 걸림공(132a)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함(도어부(130)의 잠금해제상태)에 따라 도어부(130)의 개폐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변기용수(W)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리고 화재진화를 위해 물수용부(120)를 보울(12) 및 트랩(14)으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돌출가압부(144)에 대한 트랩(14) 내면의 가압이 해제되면서 제2 탄성체(14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후크부(142)가 걸림공(132a)에 체결됨(도어부(130)의 잠금상태(도 1 참조))에 따라 개구공(121)을 통한 변기용수(W)의 유실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물수용부(120)에 수용된 변기용수(W)는 온전히 화재진화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W: 변기용수 10: 좌식변기
12: 보울 14: 트랩
14a: 트랩의 하단부 14b: 트랩의 상단부
16: 배수관 18: 탱크
100: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110: 걸이부 120: 물수용부
121: 개구공 122: 제1 수용체
124: 제2 수용체 126: 제3 수용체
130: 도어부 132: 덮개
132a: 걸림공 134: 제1 탄성체
140: 잠금작동부 142: 후크부
144: 돌출가압부 146: 제2 탄성체
150: 와이어형 커터

Claims (6)

  1.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움푹한 그릇형상의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단부와 배수관 사이에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을 포함하는 좌식변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상기 보울의 상단테두리에 걸림고정되는 다수 개의 걸이부;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울 및 상기 트랩의 내측에 걸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변기용수를 수용하는 관체형상의 물수용부; 및 상기 물수용부의 상기 트랩 쪽 단부에 구비된 개구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상기 물수용부의 탈거시에는 상기 개구공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도어부를 포함하여,
    화재시 상기 물수용부를 탈거한 후 이에 수용된 변기용수를 화재진화에 사용되도록 하되,
    상기 물수용부는,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보울에 밀착되는 링형의 제1 수용체; 상기 제1 수용체와 연통되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보울의 하단부와 상기 트랩의 하단부에 걸쳐 밀착되는 관체형상의 제2 수용체; 및 상기 제2 수용체와 연통되는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트랩의 상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관체형상의 제3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개구공을 개폐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3 수용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개구공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탄성지지하되, 상기 좌식변기의 물내림시 유동하는 변기용수의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구공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보울에 대한 상기 물수용부의 삽입시 상기 도어부를 잠금해제하고, 탈거시 상기 도어부를 잠그는 잠금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작동부는,
    상기 제3 수용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막대형상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공에 대하여 회동에 따라 체결 또는 체결해제되는 후크부;
    막대형상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물수용부의 삽입시 상기 트랩의 내면에 의해 가압회동되며 상기 후크부를 체결해제시키는 돌출가압부; 및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공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후크부를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체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트랩의 막힘을 방지하기 하기 위해, 십자 또는 격자 형태로 배치된 와이어형 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KR1020170038695A 2017-03-27 2017-03-27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KR10187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95A KR101871254B1 (ko) 2017-03-27 2017-03-27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95A KR101871254B1 (ko) 2017-03-27 2017-03-27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254B1 true KR101871254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95A KR101871254B1 (ko) 2017-03-27 2017-03-27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2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02A (ja) * 1997-07-18 1999-03-23 Yoji Kunid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KR100408076B1 (ko) * 2000-06-08 2003-12-01 이종균 절수용 변기
KR20160047953A (ko) 2014-10-23 2016-05-03 김형태 휴대식 비상용 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02A (ja) * 1997-07-18 1999-03-23 Yoji Kunid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KR100408076B1 (ko) * 2000-06-08 2003-12-01 이종균 절수용 변기
KR20160047953A (ko) 2014-10-23 2016-05-03 김형태 휴대식 비상용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US10465366B2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CN108431339B (zh) 自清洗马桶组件和系统
CA3049027A1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KR101871254B1 (ko) 변기용수를 활용한 수계소화장치
EP0626026A4 (en) DISPENSER IN A BASKET FOR A TOILET.
US20130298320A1 (en) Toilet Clean Pouch
KR101239214B1 (ko)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EP1251764B1 (en) Lavatory
EP0127464A2 (en) Latrine (111111)+
US20180216327A1 (en) Urinal Toilet Device
US10655314B2 (en) Chlorine retention reservoir for a toilet
KR101683577B1 (ko) 배수 역류 방지장치
WO2018218826A1 (zh) 一种护理用移动防臭马桶
KR102480617B1 (ko) 소변 비산 방지장치
WO2023073273A1 (es) Conjunto de escobilla y escobillero con autolimpieza
KR200163453Y1 (ko) 개량형좌변기
JP2003052575A (ja) 簡易トイレ及び簡易トイレ用ポット並びにポット保持装置
EP1730363A1 (fr) Urinoir escamotable
JP3072745U (ja) 男性用簡易尿器
KR20210029996A (ko) 소변기용 약품공급장치
KR20050082605A (ko) 물수용 공간을 몸체에 형성한 양변기
AU2005240670A1 (en) Flowable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JP2000045342A (ja) 貯水装置
GB2513521A (en) Cleaning compoun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