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054B1 -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054B1
KR101871054B1 KR1020160143850A KR20160143850A KR101871054B1 KR 101871054 B1 KR101871054 B1 KR 101871054B1 KR 1020160143850 A KR1020160143850 A KR 1020160143850A KR 20160143850 A KR20160143850 A KR 20160143850A KR 101871054 B1 KR101871054 B1 KR 10187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nozzle
foreign matter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7576A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6014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05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5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7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the cleaning fluid be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원은 표면처리 후 사용되는 저점도 점착장치나 코팅장치의 노즐의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노즐 끝단의 잔류 액적 등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일측에 공압 커넥터부(1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노즐팁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공(112)이 형성된 공압 유로 몸체부(100);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200); 및, 상기 공압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공압 호스(30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디스펜서 노즐의 물리적 클리닝에 의한 노즐 수명단축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노즐의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으며, 화학적 클리닝을 하지 않아 접착제나 코팅제의 물성 변성이나 환경오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특수구조에 의한 효율적인 공기압의 주입으로 효율적인 노즐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이물질 회수를 2중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하여 작업 환경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컴팩트한 부피로 인해 작업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cleaner of a low viscosity adhesive apparatus or coating apparatus used after surface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liquid droplets at the nozzle end using air pressure.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having a pneumatic connector part 11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nozzle insertion hole 112 through which a nozzle tip is inserted, A foreign matter rejection unit 200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air pressure and falling; And a pneumatic hose (300) connected to the pneumatic connecto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longing the life of the nozzle to solve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nozzle by physical cleaning of the dispenser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modific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oating agent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efficient injection of air pressure by special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nozzle. 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minimized by doubly and safely recover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space can be increased due to the compact volume.

Description

공압 분사를 이용한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apparatus using a pneumatic spray,

본원은 표면처리 후 사용되는 저점도 점착장치나 코팅장치의 노즐의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여 노즐 끝단의 잔류 액적 등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cleaner of a low viscosity adhesive apparatus or coating apparatus used after surface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residual liquid droplets at the nozzle end using air pressure.

일반적으로 저점도/중점도 접착제 및 코팅제를 도포하는 디스펜서 장비에는 바늘 또는 원뿔형태의 노즐팁을 사용하여 제품 위에 분사하는 장비로서, 인라인 공장에서는 보통 하루에 생산되는 제품이 적게는 수천 개에서 많게는 수 만개일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dispenser equipment for dispensing low viscosity / viscosity adhesives and coatings is a device for spraying onto a product using a needle or conical nozzle tip. In an in-line factory, there are usually fewer to several thousand products produced per day It is used in full bloom.

그런데 이러한 디스펜서는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분사하고 남은 미세 잔존물이 노즐팁 하단부 주위에 조금씩 경화되어 적층되고, 시간이 지나면 커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토출되는 접착제 또는 코팅제의 분사각이 정확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적량의 양을 토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생산되는 제품의 질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However, such a dispenser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ine remnant remaining after spraying an adhesive or coating agent 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portion of the nozzle tip little by little, and becomes larger over time, thereby making the dispensing angle of the adhesive or coating agent discharged becomes inaccurate. If such an amount can not be discharged, the quality of the product to be produced often becomes problematic.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는 매 주기를 정해놓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디스펜서 노즐을 클리닝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보통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특정 브러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특정 세정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인 방법으로 청소를 하고 있는데, 이렇게 브러쉬를 이용하여 클리닝하는 경우에는 노즐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고, 화학 약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나 코팅제와 화학적 반응에 의한 물성 변질의 우려가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usual that a dispenser nozzle is manually cleaned and used by a worker by setting each cycle periodically. Usually, a physical brush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or a specific cleaning agent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 time of the nozzle tip is shortened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brush, and when the chemical agent is used, there is a fear of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due to a chemical reaction with the adhesive or the coating agent .

상세하게는, 이렇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클리닝을 하는 경우에는 바늘 타입의 경우에는 노즐팁이 약하여 쉽게 변형되어 위치변경이 생기는 문제가 있고, 원뿔타입의 노즐팁은 보통 재질이 플라스틱이라 닦아내는 동안 쉽게 마모 및 변형이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자동화를 통하여 로봇이 브러쉬 위에서 노즐팁을 반복 운동시켜 물리적으로 제거를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잦은 마찰로 인하여 노즐팁의 수명이 짧아져 자주 교체해야 하는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노즐팁을 제거하는 경우 대기중 VOC 방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잔존물의 농도가 접착제나 코팅제로 인하여 증가되면, 오염된 접착제나 코팅지를 모두 폐기 처분하고 새로운 제재를 투여해야 되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operator manually performs clea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le tip is weakly deformed due to its weak deformity, and the position of the nozzle tip is changed. The nozzle tip of the conical type is easily worn during wip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eformed. Recently, the robot physically removes the nozzle tip by repeating the action of the nozzle tip on the brush through automation. However, since the life of the nozzle tip is shortened due to frequent friction, there is a cost problem that needs to be frequently replaced. If the nozzle tip is removed in a way that the VOC emissions in the atmosphere are severely increa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residue is increased due to the adhesive or coating agent, there is a persistent problem of disposing of the contaminated adhesive or coated paper, have.

따라서, 최근에는 비접촉식 클리닝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는데, 통상 공기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크게는 공기를 불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블로우 방식과 공기를 흡인시키면서 이물질을 함께 흡인하는 흡인 방식의 클리닝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a non-contact type cleaning system has been proposed. In general,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using air pressure is mainly used. The apparatus includes a blowing 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by blowing air and a suctioning type cleaning techniqu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while sucking air Are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비접촉식 클리닝 시스템은 이물질 제거에 따른 추가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데, 예시적으로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 제거된 이물질의 처리 또는 회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비가 매우 복잡하고 부피를 차지하고 있어 작업장에서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on-contact type cleaning system does not solve the additional problem due to the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the removal or removal of the foreign substance when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It is occupied and discomfort is followed in the work place.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166146 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비접촉식 클리닝 시스템으로 흡인식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선행기술 1은 노즐 장치의 노즐부의 일측면을 세정하도록 제공되며, 제 1 시너 공급구 및 제 1 에어 공급구를 구비하는 제 1 세정 유닛; 및 상기 노즐부의 대향 측면을 세정하도록 제공되며, 제 2 시너 공급구 및 제 2 에어 공급구를 구비하는 제 2 세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 유닛은 각각 노즐 디스펜서 형상 또는 슬릿 다이 형상으로 구현되고 또한 상기 노즐 장치의 노즐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16614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provides a suction and cleaning apparatus using a non-contact type cleaning system. More specifically, A first cleaning unit provided with a first thinner supply port and a first air supply port; And a second cleaning unit provided to clean opposite sides of the nozzle unit, the second cleaning unit including a second thinner supply port and a second air supply por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units are each provided with a nozzle dispenser shape or a slit die And has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nozzle portion of the nozzle devic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여전히 화학물질인 시너(thinner)를 사용하고 있고, 이로 인한 물성 변화의 문제가 여전히 잔존하고, 제거되는 이물질의 안전한 회수와 처리에 대한 기술적 제시는 여전히 없는 실정이다.However, the prior art 1 still uses thinner, which is a chemical substance, and the problem of property change due to the thinner still remains, and there is no technical description about the safe recovery and treatment of the removed foreign matter.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디스펜서 노즐의 물리적 클리닝에 의한 노즐 수명단축의 문제, 화학적 클리닝으로 인한 물성 변성이나 환경오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노즐의 이물질 제거와 회수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컴팩트한 부피를 지니는 디스펜서 노즐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nozzle by physical cleaning of the conventional dispenser nozzle, And to provide a dispenser nozzle cleaning apparatus having a compact volume, which can be safely and easily removed and recovered.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일측에 공압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노즐팁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공이 형성된 공압 유로 몸체부;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 및, 상기 공압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공압 호스;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neumatic connector, comprising: a pneumatic connector body having a pneumatic connector par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nozzle insertion hole having a nozzle tip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A foreign matter reject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air pressure and falling; And a pneumatic hose connected to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상기 공압 커넥터부를 따라 공압 커넥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유로부로 토출시키는 제 1 공압 토출부를 지니는 제 1 공압 유로부; 및, 상기 제 1 고압 토출부와 연계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압 토출부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토출부를 통해 노즐 삽입공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제 2 공압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has a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having air pumped by the pneumatic connector along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to be distributed right and left and symmetrically discharging air to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portion 1 pneumatic flow path; And a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which is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nozzle inserting hol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igh pressure discharging portion and in which the air introduced by the first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is dispersed right and left to symmetrically distribute air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And a second air pressure passa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insertion hole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상기 공압 커넥터부를 따라 공압 커넥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유로부로 토출시키는 제 1 공압 토출부를 지니는 제 1 공압 유로부; 및, 상기 제 1 고압 토출부와 연계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압 토출부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토출부를 통해 노즐 삽입공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제 2 공압 유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공압 유로부 및 상기 제 2 공압 유로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지니는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 및, 상기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의 상면을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공압 유로부 몸체 상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has a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having air pumped by the pneumatic connector along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to be distributed right and left and symmetrically discharging air to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portion 1 pneumatic flow path; And a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which is formed at a periphery of the nozzle inserting hol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igh pressure discharging portion and in which the air introduced by the first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is dispersed right and left to symmetrically distribute air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A first pneumatic passage portion and a second pneumatic passage portion, the second pneumatic passage portion having a top opening;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to seal the inside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는,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와 탈착되는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 상기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와 연결되며, 수거컵을 지지하는 브라켓 홀더부; 및,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거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may include: a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detach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 bracket holder portion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portion and supporting the collection cup; And a collection cup for collecting the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the air pressure and falling d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거컵은, 투명 소재의 재질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cup may be a transparent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된 방향으로 역토출되지 않고 외부로 토출시키는 벤트부를 추가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may include a vent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backward in the inflow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브라켓 홀더부 일측에 형성된 벤트 삽입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vent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hold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jection by a compression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벤트부는, 일측에 필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portion may include a filter on one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L' 자 형태로 구성되며, 외부와 연결되는 벤트의 출구부에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아래 방향에는 홈이 형성된 제 2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 portion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ncludes a filter in an outlet portion of a vent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water rejection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lter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일측에 센서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portion on one s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원에 의하면, 디스펜서 노즐의 물리적 클리닝에 의한 노즐 수명단축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노즐의 수명 연장의 효과가 있으며, 화학적 클리닝을 하지 않아 접착제나 코팅제의 물성 변성이나 환경오염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특수구조에 의한 효율적인 공기압의 주입으로 효율적인 노즐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longing the life of the nozzle to solve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nozzle by physical cleaning of the dispenser nozz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modific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oating agent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efficient injection of air pressure by special structure makes it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nozzle.

또한, 이물질 회수를 2중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하여 작업 환경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컴팩트한 부피로 인해 작업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minimized by doubly and safely recover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space can be increased due to the compact volume.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도 1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도 2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압 유로 몸체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공압 유로 몸체부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물질 수거부와 벤트부에서의 유체 흐름을 표시한 도면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apparatus of Figur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apparatus of Figure 2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flow of fluid i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fluid rejection in a debris rejection and vent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들어, 본원에 속한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원을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와 “연계”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결합된 것과 실질적으로 그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를 함께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being " linked " with an ele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inciple of resolution of the matt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step is positioned "before" or "after" another step, it includes not only when a step directly interacts with another step,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step between the two steps .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terms " about ",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meanings mentioned are present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an unscrupulous infringer of precisely or absolutely stated disclosure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e term " step " or " step of ~ "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 step for.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도 1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의 도 2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일측에 공압 커넥터부(111)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노즐팁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공(112)이 형성된 공압 유로 몸체부(100);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200); 및, 상기 공압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공압 호스(30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of the present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apparatus of FIG. 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3 in detail,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neumatic connector portion 111 A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having a nozzle insertion hole 112 into which a nozzle tip is inserted; A foreign matter rejection unit 200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air pressure and falling; And a pneumatic hose (300) connected to the pneumatic connector part.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100)는 본원의 핵심적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의 유로의 흐름에 특징을 부여하여, 노즐 팁의 잔존물이 경화하기 전에 공압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리 및 낙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일측에는 공압 커넥터부(111)가 형성되어 공압호스(300)가 연결된다. 공압호스 끝단에 원터치 피팅 커넥터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공압 유로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디스펜서 노즐 팁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공(112)이 형성된다.The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is a key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haracterized by the flow of the flow path therein to effectively isolate and drop the remnants of the nozzle tip through pneumatic pressure before curing. A pneumatic connector part 1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art, and a pneumatic hose 300 is connected. And a nozzle insertion hole 112 into which a dispenser nozzle tip is inserted is form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공압 유로 몸체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공압 유로 몸체부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상기 공압 커넥터부를 따라 공압 커넥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유로부로 토출시키는 제 1 공압 토출부(113-1, 113-2)를 지니는 제 1 공압 유로부(113); 및, 상기 제 1 고압 토출부와 연계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압 토출부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토출부(114-1, 114-2)를 통해 노즐 삽입공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제 2 공압 유로부(11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neumatic flow path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flow of fluid i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 that distributes the air introduced by the pneumatic connector along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to the right and left to symmetrically discharge air to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portion 113-1, 113-2, respectively; And the air introduced by the first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is dispersed right and left to symmetrically distribute the air to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114 And a second air pressure passage portion 114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nozzle insertion hol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air pressure passage portion -120, -1, 114-2,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를 참조하여 본원의 특징으로서의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 내의 유로의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압호스의 고압의 공기(도 5의 (a) 파란색 참조)는 공압 커넥터부(111)를 통해 공압 유로 몸체부 내부로 처음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되는 공기는 좌측과 우측으로 형성되는 제 1 공압 유로부(113)를 통해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공기(도 5의 (a) 초록색 참조)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 1 공압 토출부(113-1, 113-2)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 때 이 공기는 다시 유로부 격벽(115)에 부딪히면서 제 2 공압 유로부(114)로 흐르게되면서 안정적이면서 균일한 유체 플럭스 특징을 지니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 2 공압 토출부(114-1, 114-2)를 통해 가스(도 5의(a) 분홍색 참조)가 대각선 아래로 토출되면서 노즐 삽입공(112)에 위치하는 노즐팁의 끝부분의 노즐 이물질을 공압으로 분리시키게 되고, 노즐의 이물질은 아래의 이물질 수거부(200)로 모이게 된다.5 (a)), the high-pressure air of the pneumatic hose (see blue in Fig. 5 (a)) flows through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111, It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euro body portion. The air thus introduced is separated through the first pneumatic passage portion 113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ir thus separated (see the green color in Fig. 5 (a)) is symmetrically formed in the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113-1, and 113-2. At this time, the air again flows into the second air pressure passage portion 114 while striking against the oil passage partition wall 115, so that the air has a stable and uniform fluid flux characteristic. (See pink in FIG. 5A) is discharged diagonally down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e units 114-1 and 114-2, and the nozzles at the end portions of the nozzle tips located in the nozzle insertion holes 112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into pneumatic pressure, and the foreign matter of the nozzle is collected into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unit 200 below.

이와 같이, 공압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강한 공기는 1차적으로 상기 제 1 공압 유로부를 통해 균일하게 안정된 유체 플럭스를 지니게 되고, 이렇게 안정된 유체 플럭스를 지닌 유체는 다시 제 2 공압 유로부를 통해 토출되되, 대칭되는 제 2 공압 토출부의 구조로 인해, 노즐팁의 끝단은 양측에서 동시에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좌로나 우로 치우치지 않고 바로 끊어져 아래로 낙하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잔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더불어, 작업장의 외부로 비산하는 일이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In this way, the stro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pneumatic hose has a uniformly stable fluid flux through the first pneumatic flow path portion, and the fluid having the stable fluid flux is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second pneumatic flow path por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neumatic discharge portion, the end of the nozzle tip is directly released without being shift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air pressure discharged from both sides at the same time, and falls down to efficiently remove the residual material. In addition, And it does not scatter outside.

한편, 상기 제 1 공압 유로부와 제 2 공압 유로부는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족하지만, 효율적인 관리와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110)에 상기 제 1 공압 유로부(113)와 상기 제 2 공압 유로부(114)를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의 상면을 공압 유로부 몸체 상부(120)가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pneumatic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pneumatic passage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pneumatic passage body portion. However, for the sake of efficient management and manufacturing convenience, the pneumatic passage body por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first pneumatic passage portion 113 and the second pneumatic passage portion 114 can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110 of the body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can be formed in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110. [ And the upper part 120 may cover the inner space.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를 하나의 바디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와 상부로 구분하여 모듈로 제작하여, 제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청소가 필요한 경우 간편하게 분리하여 내부를 청소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Although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may be made of a single body, the pneumatic path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be manufactured as a modul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fabrication. to provide.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200)는,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와 탈착되는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210)와 상기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와 연결되어 수거컵을 지지하는 브라켓 홀더부(220)가 형성되고, 수거컵(230)이 상기 브라켓 홀더부(220)에 안착되어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거컵(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3,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unit 200 includes a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unit 210 detach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 bracket holder part 220 for supporting the collection cup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part and the collection cup 230 is seated on the bracket holder part 220 and is removed by the air pressure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falling down And a cup 230 as shown in FIG.

이 때, 상기 수거컵(230)은, 투명 소재의 재질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거컵(230)을 투명 소재의 재질로 하는 경우, 작업자는 육안으로 수거컵의 교체 시키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lection cup 2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collection cup 23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210)와 브라켓 홀더부(220)는 나사선의 피치가 큰 나사(p1)으로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수거컵(230)의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는 일측에 브라켓 고정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고정부(211)를 작업장에 설치된 디스펜서 장비의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bracket part 210 and the bracket holder part 220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a screw p1 having a large thread pitch,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carry out work when replacing the collection cup 230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ter collecting bracket part may include a bracket fixing part 211 on one side, and the bracket fixing part 211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equipment installed in a workplace.

도 6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물질 수거부와 벤트부에서의 유체 흐름을 표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이물질 수거부(200)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된 방향으로 역토출되지 않고 외부로 토출시키는 벤트부(4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벤트부(400)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브라켓 홀더부 일측에 형성된 벤트 삽입부(221)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 6 is a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rejection and a fluid flow in a ven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3 and 6 in detail,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vent unit 400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ortion 400 may be connected to the vent insertion portion 221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holder portion of the foreign object rejection by a pressing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디스펜서 노즐(N) 팁의 이물질을 순간 분리시키고, 분리된 이물질은 아래의 수거컵(230)에 슬러지(s)로 쌓이게 되는데, 이 때, 추가적인 노즐(N)의 클리닝이 일어나는 경우 수거컵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역의 방향인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 방향으로 이물질이 나갈 위험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라도 벤트부(400)의 벤트 유입부(430)가 벤트 삽입부(221)와 연결되어 새로운 유로를 형성하여 잔류 유체는 상기 벤트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이중적으로 이물질의 외부 노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temporarily separates the foreign material from the tip of the dispenser nozzle N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lower collection cup 230 with the sludge s. The vent inlet portion 430 of the vent portion 400 may vent the vent to the outside of the vent hole portion of the vent hole 400. In this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inserting portion 221 to form a new flow path so that the residual fluid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bent portion. Therefore, the problem of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oreign matter can be solved.

이 때, 상기 벤트부는, 'L' 자 형태로 구성되며, 외부와 연결되는 벤트의 출구부에 필터(41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아래 방향에는 홈이 형성된 제 2 수거부(4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거컵에서 비산될 수 있는 슬러지는 벤트부 내의 제 2 수거부에 수거될 수 있다. 더불어, 벤트의 출구부에는 필터(410)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필터에 의해 외부로 이물질이 나가는 것을 3중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장 내에서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일반적인 메쉬 필터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ent portion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ncludes a filter 410 at an outlet of a vent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420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lter And the sludge that can be scattered in the collection cup can be collected in the second water rejection in the vent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vent 410 includes the filter 410 at the outlet of the v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filter, thereby achieving safety in the workplace. The filter can be reduced in cost by using a general mesh filter.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100)는, 일측에 센서부(50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100)와 센서 브라켓(5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메탈 감지형, 프라스틱 감지형, 또는 레이저 센서 등 다양한 선세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압축 공기를 상기 공압호스를 통해 토출할 수 있게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상기 센서부와 연계되는 제 1 타이머부와 상기 공압호스와 연계되는 제 2 타이머부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체크되는 노즐 감지 시간과 공합호스와 연계되어 공기압을 토출시키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1 to 3 and 6,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500 on one side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nsor unit 500 may be coupled to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100 by a sensor bracket 510. The sensor may be a metal sensor, a plastic sensor, or a laser sensor. . The sensor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allows compressed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neumatic hose.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imer, a first timer unit associated with the sensor unit, and a second timer unit associated with the pneumatic hose, A timer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nozzle sensing time checked by the sensor and the time for discharging the air pressure in connection with the cooperative hose.

상기 디스펜서 노즐(N)은 자동화 설비의 디스펜서 장치의 일부로서, 예시적으로 로봇팔에 의해 접착제 등을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일정한 시간이 되면 상기 노즐 삽입공(112)으로 노즐(N)이 삽입되면, 상기 센서(500)는 노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시간에 의해 공압분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압분사의 조절은 시간적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순간 분사를 2 - 3회 반복 수행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펜서의 내용물의 종류에 맞게 작업자가 적절하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The dispenser nozzle N is a part of a dispenser apparatus of an automation equipment. The dispenser nozzle N is injected by a robot arm as an examp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nozzle N is inserted into the nozzle insertion hole 112, The sensor 500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nozzle and adjust the pneumatic injection by the tim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 control of the pneumatic injec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n a time-wise manner, and the instantaneous injec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in a manner of 2 to 3 repetitions. The operator appropriately adjusts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contents of the dispenser .

본원에 대해 이상에서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r examples herein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공압 유로 몸체부 110 :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
120 : 공압 유로부 몸체 상부 111 : 공압 커넥터부
112 : 노즐 삽입공 113 : 제 1 공압 유로부
113-1, 113-2 : 제 1 공압 토출부 114 : 제 2 공압 유로부
114-1, 114-2 : 제 2 공압 토출부 200 : 이물질 수거부
210 :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 220 : 브라켓 홀더부
230 : 수거컵 300 : 공압호스
400 : 벤트부 410 : 필터
420 : 제 2 수거부 500 : 센서
510 : 센서 브라켓
100: pneumatic flow body part 110: pneumatic flow path part body lower part
120: Pneumatic passage body upper part 111: Pneumatic connector part
112: Nozzle insertion hole 113: First pneumatic passage part
113-1, 113-2: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114: second pneumatic pressure passage portion
114-1, 114-2: second pneumatic discharge unit 200: rejection of foreign matter
210: foreign matter collecting bracket part 220: bracket holder part
230: collection cup 300: pneumatic hose
400: vent part 410: filter
420: second number rejection 500: sensor
510: Sensor bracket

Claims (10)

일측에 공압 커넥터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노즐팁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공이 형성된 공압 유로 몸체부;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부; 및,
상기 공압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공압 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상기 공압 커넥터부를 따라 공압 커넥터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공기를 제 2 공압 유로부로 토출시키는 제 1 공압 토출부를 지니는 'ㄷ'자 형태의 제 1 공압 유로부; 및, 상기 제 1 공압 토출부와 연계되어 상기 노즐 삽입공 외주연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공압 토출부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어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제 2 공압 토출부를 통해 공기를 대칭적으로 노즐 삽입공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ㅁ'자 형태의 제 2 공압 유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공압 유로부 및 상기 제 2 공압 유로부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지니는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 및,
상기 공압 유로부 몸체 하부의 상면을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공압 유로부 몸체 상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이물질 수거부는,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의 하부와 탈착되는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
상기 이물질 수거 브라켓부와 연결되며, 수거컵을 지지하는 브라켓 홀더부; 및,
공기압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거컵;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상기 브라켓 홀더부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를 유입된 방향으로 역토출되지 않고 유입된 공기의 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외부로 토출시키는 ‘L'자 형태의 벤트부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L'자 형태의 벤트부는 외부와 연결되는 벤트의 출구부에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의 아래 방향에는 홈이 형성된 제 2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
A pneumatic flow path body portion having a pneumatic connector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nozzle insertion hole having a nozzle tip inserted into the center portion thereof;
A foreign matter reject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air pressure and falling; And
And a pneumatic hose connected to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The air-
A first pneumatic flow path portion of a 'C' shape having a first pneumatic discharge portion for distribut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pneumatic connector along the pneumatic connector portion to the right and left and symmetrically discharging air to the second pneumatic path portion; And two second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nozzle inserting hole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and symmetrically formed by distributing the air introduced by the first pneumatic discharging portion to the right and left And a second pneumatic flow path portion in a 'ㅁ' shape for discharging the air in a nozzle inserting direction symmetrically,
The first pneumatic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pneumatic passage portion ar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a body of a pneumatic passage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And an upper portion of a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passage portion body to seal the inside thereof,

The above-
A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detachabl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pneumatic flow path body;
A bracket holder portion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collection bracket portion and supporting the collection cup; And
And a collection cup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dropped by air pressure and falling down,

An L-shaped vent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racket holder part of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part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ter rejection to the outsi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inflow air, Is formed,
Wherein the 'L' -shaped vent portion includes a filter at an outlet portion of a vent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water rejection portion having a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lter.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컵은,
투명 소재의 재질인 것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ich is a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이물질 수거부의 브라켓 홀더부 일측에 형성된 벤트 삽입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된 것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
The venti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vent insert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holder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rejecting portion.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유로 몸체부는,
일측에 센서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디스펜서 노즐 팁 클리너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a sensor part on one side.
Dispenser nozzle tip cleaner device.
KR1020160143850A 2016-10-31 2016-10-31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KR101871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850A KR101871054B1 (en) 2016-10-31 2016-10-31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850A KR101871054B1 (en) 2016-10-31 2016-10-31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576A KR20180047576A (en) 2018-05-10
KR101871054B1 true KR101871054B1 (en) 2018-06-25

Family

ID=6218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850A KR101871054B1 (en) 2016-10-31 2016-10-31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05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53Y1 (en) * 1994-01-31 1996-08-28 Daewoo Electronics Co Ltd Nozzle cleaning device
KR20030069480A (en) * 2002-02-20 2003-08-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 liquid crysta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nozzle cleaning device
JP2004057968A (en) * 2002-07-30 2004-02-26 Inaba Engineering:Kk Separation/recovery equipment for atomized coating material and the like
JP2007216191A (en) * 2006-02-20 2007-08-30 Canon Machinery Inc Coating nozzle cleaning apparatus
KR20130118620A (en)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Nozzle of resin applying apparatus
KR20140117104A (en) * 2013-03-26 2014-10-07 함상민 Removal function for liquid condensation of contactless dispens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353Y1 (en) * 1994-01-31 1996-08-28 Daewoo Electronics Co Ltd Nozzle cleaning device
KR20030069480A (en) * 2002-02-20 2003-08-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A liquid crysta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nozzle cleaning device
JP2004057968A (en) * 2002-07-30 2004-02-26 Inaba Engineering:Kk Separation/recovery equipment for atomized coating material and the like
JP2007216191A (en) * 2006-02-20 2007-08-30 Canon Machinery Inc Coating nozzle cleaning apparatus
KR20130118620A (en)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Nozzle of resin applying apparatus
KR20140117104A (en) * 2013-03-26 2014-10-07 함상민 Removal function for liquid condensation of contactless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576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86B1 (en) Bag-filter washing system and bag-filter washing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to remove ultra fine dust
JP2007216191A (en) Coating nozzle cleaning apparatus
CN111315274B (en) Effective filtering and cleaning device
DE102016118806A1 (en) Vacuum cleaner as well as system of a vacuum cleaner and a base station
CN104105533A (en)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CN104646337A (en)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JP4329657B2 (en) Gas cleaning device
DE202016106569U1 (en) Vacuum cleaner with the function for recyling dust particles adhering to the basket
KR10187105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nozzle of dispenser using air-jet
DE102012013287B4 (en) Method for contamination-free replacement of a filter cartridge in a vacuum cleaner
DE10345079A1 (en) Filter unit for vacuum cleaners
KR101344133B1 (en) Calcium carbonate automatic feeder
CN112191411A (en) Paint spraying cabinet with paint scraping and recycling functions
CN104512961B (en) Air diffusion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facilities
DE10304836A1 (en) Arrangement for cleaning dosing needles, especially for automatic production systems for adhesive application, has flow channel with e.g. compressed air emanating from open end incident on needle
DE202016101410U1 (en) Cooling lubricant device for a machine tool
KR100773951B1 (en) booth for coating apparatus
KR10132749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chuck table and method for cleaning chuck table
KR101071521B1 (en) Continuous galvanizing line for spray header vacuum clean device
EP0947232A2 (en) Oil removing filter with associated pressure valve for compressed air supply systems
KR101588345B1 (en) Dust Collector for Multicolor Powder Painting
US11325384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contactless cleaning of a nozzle plate
KR200398425Y1 (en) The anti-scatter and gather apparatus of form working pollutant
KR20150080968A (en) Control device of air supplying line applied in filtering device
KR100617913B1 (en) The anti-scatter and gather apparatus of form working pollu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