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52B1 -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52B1
KR101870752B1 KR1020140161507A KR20140161507A KR101870752B1 KR 101870752 B1 KR101870752 B1 KR 101870752B1 KR 1020140161507 A KR1020140161507 A KR 1020140161507A KR 20140161507 A KR20140161507 A KR 20140161507A KR 101870752 B1 KR101870752 B1 KR 10187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map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9693A (ko
Inventor
김동균
이일형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14016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적 또는 지형에 대한 수치지도 모델을 저장하고,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 또는 지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수치지도 모델과 지도 정보를 연동한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고,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지정 위치에 대한 지도 정보를 불러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 화면에 해당하는 상기 수치지도 모델을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불러와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표시 가능한 좌표계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 화면 상에 상기 좌표계로 변환한 수치지도 모델을 중첩 출력하여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웹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이 호환될 수 있는 다양한 좌표계를 지원하여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를 찾아 항공 사진 등의 지도 화면에 중첩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GPS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지적, 지형 또는 임야 분야의 설계, 감리, 시공 현장 및 내부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웹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를 찾아 항공 사진 등의 지도 화면에 중첩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화 산업의 발전과 상응하여 지표면에 대한 공간 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 데이터 활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항법 시스템), LBS(LocationBased Service, System, 위치 기반 서비스), CNS(Car Navigation System, 차량 항법 시스템), RS(Remote Sen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정보 산업 분야에서 그 활용 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리정보 데이터들의 통합적인 활용 방안에도 많은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GIS분야 및 그 응용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리정보 데이터는 물리적인 형태 및 표현 방식에 따라서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로는 기하도형으로 이루어진 벡터형태의 수치지도이고, 두번째는 지형기복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이며, 마지막으로는 종이지도, 항공사진 및 위성영상과 같이 화소값으로 이루어진 래스터(Raster) 데이터이다. 여기서, DEM에서 기복 정보를 표현하기 높이값은 평균 해수면(mean sea level)에 의한 값을 말한다.
대부분의 공간정보 데이터는 세 가지로 분류되는 데이터 형태로 표시되며, 검색, 모니터링, 분석 등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다각화, 전문화됨에 따라 동일지역에 대한 데이터의 수요는 다양한 제품 및 데이터 구조에 상관없이 종합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지형분석을 수반한 데이터의 검색 및 구매를 위해서는 수치지도의 제작 축적에 대한 오차 한계와 위성 자료 및 항공사진의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고도정보의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자료를 선택하여 제작해야 하며, 지리적인 위치에 대한 약속인 좌표계도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지리정보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는 제작방식, 데이터 구조, 구입절차, 판매형태 등이 서로 상이하여 동일 지역에 대한 통합적인 데이터 구매 및 활용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선행기술자료로써,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0374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적 측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기술 내용이 공개되어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적 측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지적 정보를 요청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지번 및 지번의 경계선 표시가 포함된 지적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적 측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지적도 등이 대부분 캐드로 작성되고, 캐드로 작성된 도면 파일은 기본 좌표계를 TM 좌표로 사용하지만,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GPS 모듈은 TM 좌표를 지원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TM 좌표를 사용하는 도면 파일을 활용하기 위해서 GPS 기기를 별도로 구매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추정해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GPS 기기를 별도로 구매하기 위해 비용이 발생하며, 네이버나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 관련 웹서비스와 연동성이 낮아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지적, 지형 또는 임야 분야의 설계, 감리, 시공 현장 등에서 사용자가 측량이나 조사 등을 목적으로 특정 지역을 찾아갈 경우, 특히 임야 등의 특수한 지역에서 조사 및 측량을 기초로 설계 및 감리 등을 진행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수기로 조사 및 측량 결과를 기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임야 등의 특수한 지역에서 조사 및 측량을 수행할 경우에, 웹서비스를 통한 지도 화면에는 현위치의 지적 정보 등이 간략하게 제공되고는 있지만, 지도 화면 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표시되지 않아 위치 파악이나 추정이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0374호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적 측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웹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이 호환될 수 있는 다양한 좌표계를 지원하여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를 찾아 항공 사진 등의 지도 화면에 중첩 출력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지적 또는 지형에 대한 수치지도 모델을 저장하고,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 또는 지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수치지도 모델과 지도 정보를 연동한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고,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지정 위치에 대한 지도 정보를 불러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 화면에 해당하는 상기 수치지도 모델을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불러와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표시 가능한 좌표계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 화면 상에 상기 좌표계로 변환한 수치지도 모델을 중첩 출력하여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를 찾아 사용자 지정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 화면의 끝점 좌표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 상기 지도 화면의 끝점 좌표의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을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불러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치지도 모델은 DWG, DXF 또는 SHP 포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 화면의 일측에 나침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나침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나침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 전체 영역 또는 화면 일부 영역에 나침반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나침반을 드래그 또는 터치 입력하여 방위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방위 측정한 결과인 기본 방위 정보를 포함한 나침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나침반 정보는, 좌표, 고도, 이동 속도, 기압, 온도, 습도, 이슬점, 불쾌 지수, 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환경 정보, DOP(Dilution Of Precision), 위치 DOP(Position DOP, PDOP), 기하학적 DOP(Geometric DOP, GDOP), 수평 DOP(Horizontal DOP, HDOP), 수직 DOP(Vertical DOP, VDOP)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DOP 정보, 기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상태를 표시하는 트랙 기능,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경로 상에 기록 지점을 표시하는 웨이포인트 기능, 현재 이동 단말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기능, 사진 촬영 위치를 표시하는 카메라 기능, 상기 이동 단말에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룹원 위치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트랙 정보, 웨이포인트 정보, 목적지 찾기 정보, 카메라 정보, 그룹원 위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트랙 정보, 웨이포인트 정보, 목적지 찾기 정보, 카메라 정보, 그룹원 위치 표시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그림, 보고서 또는 그래픽 형태의 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는, 더블유지에스-84(WGS-84) 좌표계, 베셀(Bessel) 좌표계 또는 다른 지구타원체를 적용한 좌표계를 지원하고, 상기 좌표계를 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접속 위치에 따라 변환되도록 좌표계 변환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도 화면 상에 사용자 설정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는 지적정보 보기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지적정보 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을 기반으로 위치를 파악하고, 웹서비스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와 이동 단말의 GPS 모듈이 호환될 수 있는 다양한 좌표계를 지원하여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를 찾아 항공 사진 등의 지도 화면에 중첩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GPS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지적, 지형 또는 임야 분야의 설계, 감리, 시공 현장 및 내부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네이버, 다음, 구글 등으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도 웹 서비스와 연동하여 현재의 위치 또는 현재 위치에 대한 지적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고, 현장에서 트랙 기록, 웨이포인트 기록, 사진촬영 기록, 목적지 찾기 등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편리하게 데이터 저장 및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초 데이터 입력 및 가공에서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토해 현장에서의 변동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화면에 항공사진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변환툴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수치지도 모델 불러오기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나침반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트랙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웨이포인트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네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치 관리 서버(100), 이동 단말(200) 및 포털 사이트(300)를 포함한다.
위치 관리 서버(100)는 지적 또는 지형에 대한 수치지도 모델을 저장하고, 수치지도 모델과 지도 정보를 연동한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이동 단말(200)로 지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위치 관리 서버(100)는 이동 단말(20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 그룹 정보 또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1), 한국토지정보시스템 또는 지리정보 시스템을 통해 지적, 지형, 임야 등의 위치, 면적, 경계 및 주위 환경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치지도 모델을 저장하는 파일 데이터베이스(112), 이동 단말(200)에서 전송되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이력정보 데이터베이스(113)를 포함한다.
이때, 수치지도 모델은 캐드(CAD, 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 파일로 저장된 것으로서, DXF(Drawing eXchange Format), DWG(DraWinG) 또는 SHP(SHaPefile) 등의 다양한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관리 서버(100)는 캐드의 도면 파일을 활용하여 수치 지도 모델로 변환하기 위해 기본 좌표계를 TM 좌표를 사용한다.
한편, 수치지도 모델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 이동 단말(200)의 메모리에 업로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컴퓨터 또는 지도제작장치 등의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 모델을 DXF 파일 형태로 직접 제작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포털 사이트(300)에 접속하여 지도 정보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을 내장하고 있고,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GPS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지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태블릿 PC 등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기기일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포털 사이트(300)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지도 정보 또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정보 검색 서비스나 커뮤니티와 같은 각종 네트워크 서비스 및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지도 화면에 항공사진의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단말(200)이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저장한다.(S1)
이동 단말(200)은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지도 정보를 불러와 이동 단말(200)에 지도 화면(210)으로 표시할 수 있다.(S2, S3) 이때,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지도 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고, 다음, 네이버, 구글 등의 포털 사이트(300)로부터 지도 정보 또는 항공 사진을 불러올 수도 있다.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정보에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키와 메뉴 아이콘(220)을 표시한 지도 화면(210)을 이동 단말(200)에 표시한다. 즉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화면(210)의 일측 영역에 로그인 키(K1), 항공사진 ON/OFF 키(K2), 지도 전환 키(K3), 위치 표시 키(K4), 화면 확대/축소 키(K5)를 표시한다.
로그인 키(K1)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위치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항공사진 ON/OFF 키(K2)는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항공 사진의 백그라운드 제공 여부를 결정하며, 지도 전환 키(K3)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에서 제공하는 지도 정보를 전환하도록 하며, 위치 표시 키(K4)는 사용자 지정 위치를 내 위치, 즉 사용자의 이동 단말(200)의 위치 중심으로 표시할 수 있고, 화면 확대/축소 키(K5)는 항공 사진, 수치지도 모델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화면(210)의 일측단에 수치지도 모델 불러오기 기능(221), 트랙 기능, 웨이포인트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카메라 기능, 그룹원 위치 표시 기능, 기록 보기 기능, 지적도 보기 기능 등의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220)을 제공한다.
메뉴 아이콘(220)은 지도 화면(210)의 일측단에 고정 표시될 수 있고, 메뉴 아이콘(220)의 터치 입력 시간이나 터치 횟수 등에 의해 숨김 기능과 다시 보기 기능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더블유지에스-84(WGS-84) 좌표계, 베셀(Bessel) 좌표계 또는 다른 지구타원체를 적용한 좌표계를 지원하고, 좌표계를 지역 또는 이동 단말(200)의 접속 위치에 따라 변환되도록 좌표계 변환툴(230)을 제공한다.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200)을 통해 주소나 명칭 등의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가 입력된 경우에, 검색 결과에 따른 위치 좌표를 사용자 지정 위치로 설정하여 지도 화면(210)에 표시한다. 만일,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 좌표를 사용자 지정 위치로 설정한다.(S4 및 S5)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 화면(210)의 끝점 좌표를 추출한다.(S7) 지도 화면(210)의 끝점 좌표는 화면의 각 모서리의 끝점 좌표(E1, E2, E3, E4)이다.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지정 위치의 좌표값, 지도 화면(210)의 끝점 좌표의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지도 화면(210)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을 불러온다.(S8) 이때, 수치지도 모델은 Bessel 좌표계를 기본 좌표계로 하고 있으므로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웹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도록 WGS 좌표계로 변환한 후 지도 화면(210)에 수치지도 모델을 중첩하여 출력한다.(S9)
수치지도 모델은 지적도, 지형도, 임야도 등의 지도 데이터가 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 업로딩된 도면 파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수치지도 모델은 DWG, DXF, SHP 등의 도면 파일로 작성되어 위치 관리 서버(10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수치지도 모델은 이동 단말(200)의 지도 화면에 중첩되어도 항공 사진의 줌배율 따라 같은 배율로 확대 축소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내 위치 표시, 항공사진이나 수치지도 모델 상에서 거리 면적 구하기, 현재 위치의 지적, 전체 지적, 지적검색(주소검색), 좌표 또는 주소의 표시, 좌표계 변환 등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S10)
특히, 좌표계 변환은 TM 좌표의 경우에 지역마다 좌표계가 달라 사용자가 지역에 따라 변환하거나 이동 단말(200)의 기본 접속위치에 따라 변환되도록 하고, TM 좌표에 앞에 N(North) 및 E(East)를 넣어서 인식이 쉽도록 설정한다.
도 5는 도 2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변환툴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수치지도 모델 불러오기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검색 모듈(410), 변환툴 실행 모듈(420), 나침반 기능 모듈(430), 트랙 기능 모듈(440),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 카메라 기능 모듈(470) 및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을 포함한다.
검색 모듈(410)은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가 입력되면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 또는 항공 사진을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검색창을 출력할 수 있다.
검색 모듈(410)은 주소가 검색어로 입력될 경우에 검색창에 주소입력창이 출력되어 주소지 지적을 검색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검색 좌표가 입력될 경우에 좌표입력창이 출력되어 해당 좌표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변환툴 실행 모듈(420)은 지도 화면의 일측단에 좌표계 변환툴(230)이 제공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계 변환툴(230)을 통해 WGS-84 좌표계, BESSEL 좌표계를 적용하고, 위경도와 TM 도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200)을 통해 지역이나 접속 위치의 변경에 따라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 단말은 WGS-84 좌표계를 지원하지 않고 있고, 대부분의 도면이 캐드 파일로 작성되어 캐드의 기본 좌표계를 TM 좌표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 단말에서는 별도의 GPS 기기를 사용하여 수치지도 모델 등의 도면 파일과 GPS 기기를 이용한 좌표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추정하였고, 포털 사이트(300)의 지도 웹 서비스 연동성이 낮아 산림이나 지적 정보의 활용면에서 설계, 감리, 시공 현장 및 내부 업무 효율에 많은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좌표계 변환툴(230) 및 변환툴 실행 모듈(420)을 통해 WGS-84 좌표계와 BESSEL 좌표계를 지원하고 있고, 이동 단말(200)에 내장되어 있는 GPS 모듈을 바탕으로 캐드나 GIS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수치지도 모델의 좌표를 통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포털 사이트(300)에서 제공하는 항공 사진 등의 지도 웹 서비스와 연동하여 수치지도 모델과 항공 사진 등의 지도 화면을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지도 화면(210)의 수치지도 모델 불러오기 기능(221)을 사용하기 이전에 로그인 키(K1)를 이용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 후에 위치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고, 로그인이 성공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드 파일 목록이 출력되어 목록 중에 어느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거나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다운받기가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위치 관리 서버(100)로부터 다운받기를 선택한 경우에, 위치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좌표값에 해당하는 DXF 파일 등의 수치지도 모델을 사용자의 이동 단말(200)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200)은 특정 폴더에 수치지도 모델의 파일을 저장한 후 캐드 파일 목록에 파일명을 추가한다.
또한,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캐드 파일 목록에서 파일명 변경, 삭제 등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파일 편집창을 출력할 수 있고, 수치지도 모델의 선그리기, 해치, 기호, 텍스트 입력 등의 도면 편집이 가능하도록 도면 편집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
나침반 기능 모듈(430)은 지도 화면의 일측에 나침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나침반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나침반 아이콘이 선택되면 지도 화면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나침반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나침반 기능 모듈(430)은 기본 방위 정보를 포함한 나침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트랙 기능 모듈은(440)은 이동 단말(200)의 이동 상태를 표시하고,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은 이동 단말(200)의 이동 경로 상에 기록 지점을 표시하며,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은 현재 이동 단말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목적지 찾기를 수행하고, 카메라 기능 모듈(470)은 사진 촬영 위치를 표시하며,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은 이동 단말(200)에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를 표시한다.
카메라 기능 모듈(470)은 사용자가 메뉴 아이콘에서 카메라 기능을 선택하면 지도 화면에서 카메라 구동 화면으로 전환하고, 사진 촬영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지에 대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 기능 모듈(470)은 사진 촬영 위치를 TM, WGS-84, 위경도, 도분초 등으로 좌표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 폴더에 촬영된 사진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은 메뉴 아이콘에 그룹 추가 기능을 추가하고, 사용작 그룹 추가 기능을 실행하면 이동 단말(2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새로운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그룹원을 추가를 요청하고, 그룹원 추가 요청된 상대방의 동의하에 그룹원 추가가 결정되도록 한다.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도 화면상에 그룹원의 위치가 표시되거나, 나침반 기능 모듈(430)과 연동하여 나침반 상에 그룹원의 위치, 방향, 좌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은 그룹간 위치를 공유하고, 각 그룹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기록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내업의 부담을 줄여 작업 능률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검색 모듈(410), 변환툴 실행 모듈(420), 나침반 기능 모듈(430), 트랙 기능 모듈(440),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 카메라 기능 모듈(470) 및 그룹원 위치 표시 모듈(480)을 독립적인 기능으로 실행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모듈을 연동하여 통합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나침반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나침반 기능 모듈(430)은 이동 단말(200)의 화면에 나침반(250)이 표시되고, 나침반(250)은 다이얼 형태로 동작되어 용자가 드래그 또는 터치 입력 방식으로 돌릴 수 있도록 설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나침반(250)이 N극에 위치되면 4면 방향 등의 방위각이 측정된다.
또한, 나침반 기능 모듈(430)은 나침반 정보를 제공하는데, 나침반 정보는 좌표, 고도, 이동 속도, 기압, 온도, 습도, 이슬점, 불쾌 지수, 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환경 정보, DOP(Dilution Of Precision), 위치 DOP(Position DOP, PDOP), 기하학적 DOP(Geometric DOP, GDOP), 수평 DOP(Horizontal DOP, HDOP), 수직 DOP(Vertical DOP, VDOP)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DOP 정보, 기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를 자기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하는 그릅원 위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침반 기능 모듈(430)은 그룹원 위치 표시 켜기/끄기, 1:5000.1:6000/1;25000 등의 스케일자 축적 선택 등의 메뉴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트랙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기능 모듈(440)은 사용작 메뉴 아이콘에서 트랙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트랙 정보 입력창이 출력되어 트랙 제목을 좌표, 날자 또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되도록 하고, 이동 단말(200)이 이동중인 트랙 또는 기저장된 트랙이 지도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트랙 기능 모듈(440)은 트랙 기록을 폴더에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위치 관리 서버(100)로 트랙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웨이포인트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은 지도 화면 상에 한 지점을 터치 입력하면, 해당 지점의 주소 및 웨이포인트가 나타나고, 웨이포인트 등ㅇ록 여부, 사진 찍기, 목적지 설정 여부를 묻는 창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억하고 싶은 기록이 필요한 지점을 위한 웨이포인트 저장이 가능하고, 기 저장된 웨이포인트는 항공 상진 등의 지도 화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은 기 저장된 웨이포인트 기록을 폴더에 저장한 후에 사용자 선택에 의해 위치 관리 서버(100)로 웨이포인트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200) 또는 PC 등을 이용해 위치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웨이포인트 기록을 엑셀 파일 등의 보고서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은 도 4의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네비게이션 기능의 실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은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좌표입력창이 출력되고, 좌표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좌표를 WGS-84 좌표계의 경우에 위경도, TM도법으로, BESSEL 좌표계의 경우에 위경도와 TM 도법으로 입력하면 위치 찾기가 가능하다. 이때,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은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직선 루트를 표시하고, 이동 단말(200)의 위치가 목적지와 가까워질수록 직선 루트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목적지 파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기능 모듈(460)은 웨이포인트 기능 모듈(450)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웨이포인트를 중복 선택하여 목적지 찾기를 선택한 경우에 현재 위치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목적지의 직선 루트가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화면 상에 사용자 설정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는 지적정보 보기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적정보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표시되도록 한다. 즉, 지적정보 보기 메뉴가 클릭되어 온 동작이 설정되면 위치 지정을 위한 입력창이 표시거나 터치 입력에 의해 위치가 지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지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지도 화면 상에 중첩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지적정보 보기 메뉴가 오프 동작되기 전까지 지속해서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지도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외에도,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메뉴 아이콘에 긴급 연락처 버튼을 추가하고, 버튼을 누르면 긴급 연락망을 추가, 편집,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200)에 그룹이 설정된 경우에,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400)은 기 저장된 긴급 메시지와 그룹원들의 현재 위치 또는 좌표가 전송될 수 있고, 119, 112 등의 전화 발신 기능, 라이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P0 : 위치 관리 서버 200 : 이동 단말
300 : 포털 사이트 400 :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

Claims (10)

  1. 지적 또는 지형에 대한 수치지도 모델을 저장하고, 이동 단말의 요청에 따른 위치 정보 또는 지도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수치지도 모델과 지도 정보를 연동한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 업로딩된 수치지도 모델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지정 위치에 대한 지도 정보를 불러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 화면에 해당하는 상기 수치지도 모델을 상기 위치 관리 서버 또는 메모리에서 불러와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에 표시 가능하도록 웹서비스와 연동되는 좌표계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 화면 상에 상기 좌표계로 변환한 수치지도 모델을 중첩 출력하여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더블유지에스-84(WGS-84) 좌표계, 베셀(Bessel) 좌표계 또는 다른 지구타원체를 적용한 좌표계를 지원하고, 상기 좌표계를 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의 접속 위치에 따라 변환되도록 좌표계 변환툴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지도 화면의 끝점 좌표를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정 위치, 상기 지도 화면의 끝점 좌표의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 화면에 대응되는 수치지도 모델을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불러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을 통해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 또는 검색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를 찾아 사용자 지정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 모델은 DWG, DXF 또는 SHP 포맷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도 화면의 일측에 나침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나침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나침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 단말의 화면 전체 영역 또는 화면 일부 영역에 나침반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나침반을 드래그 또는 터치 입력하여 방위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방위 측정한 결과인 기본 방위 정보를 포함한 나침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침반 정보는,
    좌표, 고도, 이동 속도, 기압, 온도, 습도, 이슬점, 불쾌 지수, 밝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환경 정보, DOP(Dilution Of Precision), 위치 DOP(Position DOP, PDOP), 기하학적 DOP(Geometric DOP, GDOP), 수평 DOP(Horizontal DOP, HDOP), 수직 DOP(Vertical DOP, VDOP)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 DOP 정보, 기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상태를 표시하는 트랙 기능, 상기 이동 단말의 이동 경로 상에 기록 지점을 표시하는 웨이포인트 기능, 현재 이동 단말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기능, 사진 촬영 위치를 표시하는 카메라 기능, 상기 이동 단말에 설정된 그룹원의 위치를 표시하는 그룹원 위치 표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위치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트랙 정보, 웨이포인트 정보, 목적지 찾기 정보, 카메라 정보, 그룹원 위치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트랙 정보, 웨이포인트 정보, 목적지 찾기 정보, 카메라 정보, 그룹원 위치 표시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그림, 보고서 또는 그래픽 형태의 파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지도 화면 상에 사용자 설정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는 지적정보 보기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지적정보 보기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지적선 또는 경계선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161507A 2014-11-19 2014-11-19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07A KR101870752B1 (ko) 2014-11-19 2014-11-19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07A KR101870752B1 (ko) 2014-11-19 2014-11-19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93A KR20160059693A (ko) 2016-05-27
KR101870752B1 true KR101870752B1 (ko) 2018-06-26

Family

ID=5610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507A KR101870752B1 (ko) 2014-11-19 2014-11-19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87B1 (ko) * 2002-07-03 2005-01-27 노도영 지도 정보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650274B1 (ko) * 2003-03-19 2006-11-27 팅크웨어(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734126B1 (ko) * 2005-06-02 2007-06-29 학교법인 일청학원 공간정보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재해대처용 모바일지이아이에스 시스템
KR20070080374A (ko) 2006-02-07 2007-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적 측량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20120067830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웹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서비스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693A (ko) 2016-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0084B2 (en) Graphical representation generation for multiple points of interest
US11151905B2 (en) Navigable topological maps
JP5785302B2 (ja) ユーザの現在位置と現在方位角を用いて目的の地理的情報を検索してユーザに提供するユーザ携帯端末
US9235906B2 (en) Scalable processing for associating geometries with map tiles
US8566325B1 (en) Building search by contents
CN104331423B (zh) 一种基于电子地图的定位方法和装置
KR102308960B1 (ko) 실내를 포함하는 지구상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JP5509376B1 (ja) ユーザの位置を基準にローカルな観光情報を検索する方法
US11486711B2 (en) Methods of specifying global locations including indoor locations and database using the same
KR1016155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CN113535865A (zh) 一种地图网格划分方法和电子设备
JP4085634B2 (ja) 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870752B1 (ko) 이동 단말에서의 지리적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67587B1 (ko) 설계 도면 데이터, 외부 지도 서비스로부터의 지도 데이터 및 공공 지도 데이터를 중첩된 레이어로서 제공하는 작업 화면을 사용하여 측량점을 포함하는 측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581339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557980B1 (ko)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3926607A (zh) 指定距离定位测量导航方法及装置
Beeharee et al. Filter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ing visibility
KR20110120561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내비게이션 장치에서의 poi를 이용한 위치 검색 방법
US8428866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urn-by-turn directions to non-specific destinations
Deidda et al. A tourist location based service (lbs) for the Cagliari city
US20220171894A1 (en) Cad locator for site navigation
Okonkwo et al. Conceptual Framework For African-Centric Geolocation Data Generation, Mapping And Management
KR20180033888A (ko) 위치기반 패턴인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87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2

Effective date: 201804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