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71B1 - 사진 및 문서 통합 - Google Patents

사진 및 문서 통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71B1
KR101870371B1 KR1020167024639A KR20167024639A KR101870371B1 KR 101870371 B1 KR101870371 B1 KR 101870371B1 KR 1020167024639 A KR1020167024639 A KR 1020167024639A KR 20167024639 A KR20167024639 A KR 20167024639A KR 101870371 B1 KR101870371 B1 KR 10187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document
area
camer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339A (ko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11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17/2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진과 문서를 통합하기 위한 기술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 장치는 미래 사진을 문서에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 및 문서 통합{PHOTO AND DOCUMENT INTEGRATION}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발달은 사용자가 사실상 어느 때나 어느 곳에서나 문서를 준비하고 편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 장치의 제어 하에 수행되는 방법은, 미래 사진(future picture)을 문서에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viewfinde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문서 편집기 기기(document editor apparatus)는, 미래 사진을 문서에 삽입하기 위한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진 영역 관리기, 및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에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장치가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는 것, 결졍된 영역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찾는 것,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하는 것, 및 조정된 사진 신호를 보여주는 카메라 뷰파인더를 결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의 요약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개시에 따른 단지 몇 개의 실시예들을 묘사할 뿐이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임을 이해하면서,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이 삽입될 수 있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샷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3c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문서 내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샷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기 위한 사진 삽입 관리기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도 9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기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문맥에서 달리 지시하고 있지 않은 한,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통상적으로 유사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적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제시되는 대상의 범위 또는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되는 본 개시의 양태들이 다양한 다른 구성들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고, 이 모두가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됨이 기꺼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사진과 문서를 통합하는 것에 관련되는 방법, 기기,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문서의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하여, 카메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상의 사진을 결정된 영역에 삽입하기 위한 기술이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 장치는 문서가 준비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에 의해 캡쳐된 사진이 문서에 통합될 수 있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는 캡쳐된 사진이 통합 또는 배치될 문서 내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캡쳐된 사진이 통합 또는 배치될 수 있는 위치는 포인팅 및 드래깅(pointing-and-dragging) 입력을 사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즉, 문서 내 배치는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손가락 또는 터치 입력을 사용하여 식별될 수 있거나, 문서 내 배치는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이후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캡쳐된 사진을 위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 장치는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를 찾을 수 있고,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사진 신호는 카메라에 의해 캡쳐되고 그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뷰파인더 상에 디스플레이될 연속적인 이미지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조정된 사진 신호는 카메라 뷰파인더로서 결정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가 카메라 앞의 대상을 볼 수 있다. 이후 대상의 사진이 사용자 장치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여 캡쳐되는 경우, 캡쳐된 사진은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맞아들어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이 삽입될 수 있는 문서(1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샷(105)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a의 스크린샷(105)은 문서를 준비 및/또는 편집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스크린샷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의 GUI는 툴 바(tool bar)(110)와 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툴 바(110)는, 예컨대 글씨체 변경 기능, 취소 기능, 카메라 기능 등과 같은 각각의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선택 또는 클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툴 바(110)는 카메라 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사진을 캡쳐하고 문서(120) 내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100) 상의 카메라 기능을 시작 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문서 편집기 프로그램의 GUI는 툴 바(110)와 문서(120)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라면 이용가능한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연관된 임의의 다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본 개시에 관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사용자 장치(100)는 (로컬 메모리 또는 예컨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와 같은 원격 메모리일 수 있는) 메모리 내에 문서(120)를 생성, 편집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수 있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진을 캡쳐하고 디스플레이에 캡쳐된 사진 및/또는 문서 편집기 프로그램의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및/또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장치(100)의 일부 또는 사용자 장치(100)에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별도 유닛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유형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이동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전술한 장치들의 하이브리드(hybrid),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게임 콘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킹 노트(Hiking Notes)"에 관한 문서(120)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문서(120)를 준비하는 동안 사용자는 노트(즉, "몽블랑은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Mont Blanc is the highest mountain in the Alps)")에 관련하는 사진을 삽입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문서(120)에 사진을 삽입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사용자가 카메라 버튼(111)을 선택 또는 클릭하는 경우, 그/그녀는 사용자 장치(100) 상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아직 수신 또는 캡쳐되지 않은 사진을 삽입할 문서(120) 내 영역(130)을 특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카메라 버튼(111)을 선택 또는 클릭 및/또는 영역(130)을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상의 손가락 터치 입력 또는 포인팅 및 드래깅 입력을 사용하는, 예컨대 터치 펜, 마우스, 키보드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즉, 문서 내 배치는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손가락 또는 터치 입력을 사용하여 식별될 수 있거나, 문서 내 배치는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 등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포인팅 및 드래깅 입력을 사용하여 영역(130)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표면 상의 터치 입력을 사용하여 포인트(121)를 선택할 수 있고, 이후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따라 그/그녀의 손가락을 포인트(122)로 드래그하고 포인트(122)에서 디스플레이의 표면으로부터 그/그녀의 손가락을 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 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사용하여 삽입될 사진의 경계를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포인트(121 및 122)를 선택 및/또는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포인트(121 및 122)의 좌표를 식별하여 문서(120) 내 영역(130)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결정된 영역(130)의 가로세로비를 찾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포인트(121 및 122)의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역(130)의 가로세로비를 계산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포인트(121)의 좌표가 (X1, Y1)이고 포인트(122)의 좌표가 (X2, Y2)인 경우, 결정된 영역(130)의 가로세로비는 아래의 수학식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가로세로비 = (X2 - X1) : (Y2 - Y1)
사용자 장치(100)는 이후 결정된 영역(130)의 가로세로비를 사용하여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영역(130)의 모양을 (예컨대,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사용자가 그린 모양 등과 같은) 직사각형이 아닌 모양으로 특정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영역(130)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서 미래 사진을 삽입할 결정된 영역(130)이 직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정된 영역(130)의 모양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하여 (예컨대,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등과 같은) 직사각형이 아닌 모양으로 결정된 영역(130)의 모양을 특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기능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므로 여기에 설명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도 1a의 결정된 영역(130)에 대응하는) 카메라 뷰파인더(14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거나 사용자 장치(100)에 통신적으로 연결된 카메라에 의해 사진이 찍히는 대상을 보도록 허용될 수 있다. 결정된 영역(130)의 크기 및/또는 모양은 카메라에 의해 찍힌 원래의 사진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장치(100)는 결정된 영역(130)의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결정된 영역(130)의 모양을 (예컨대,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사용자가 그린 모양 등과 같은) 직사각형이 아닌 모양으로 특정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사진 신호를 잘라내도록(crop)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이후 문서(120) 내 결정된 영역(130)에 카메라 뷰파인더(140)로서 조정된 사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카메라 뷰파인더(140)는 사용자 장치(100)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앞에 있는 대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메라가 움직임에 따라 또는 카메라의 초점이 변함에 따라, 뷰파인더(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도 그러하다. 카메라 버튼(111)이 선택 또는 클릭됨에 따라 대상의 사진이 캡쳐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가 사진을 캡쳐하기 위해 셔터 버튼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수 있도록 카메라 뷰파인더(140) 상에 셔터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이후 캡쳐된 사진을 문서(120) 내 결정된 영역(130)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캡쳐된 사진은 문서(120)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로부터 사진 신호를 얻기 위해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의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는 원시(native)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외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외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이후 외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축소(downscale)할 수 있으며, 축소된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문서(120) 상에 오버레이(overlay)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사용자 장치(100)는 외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카메라 뷰파인더(140)가 포함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것으로 축소하고 축소된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카메라 뷰파인더(140) 상에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버레이된 스크린 디스플레이 중에서, 카메라 뷰파인더(140)에 대응하는 부분은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는 깨끗하게 보여지고 다른 부분은 투명하지 않게(예컨대, 반투명, 다른 색으로 등)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200)의 예시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에 연관되는 카메라는 소정의 크기로 소정의 가로세로비에서 사진 신호(200)를 캡쳐 및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결정된 영역(130)의 크기 및/또는 가로세로비(도 2b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X:Y)에 따라 사진 신호(200)를 잘라내어 조정된 사진 신호(210)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이후 조정된 사진 신호(210)를 문서(120) 내 결정된 영역(130)에 카메라 뷰파인더(140)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문서 내에 카메라 뷰파인더(310, 320 또는 3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의 스크린샷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3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카메라 뷰파인더(310)는 도 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조정된 사진 신호(210)를 보여줄 수 있다. 도 3a의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뷰파인더(310)와 문서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카메라 뷰파인더(310)를 보면서 문서를 준비 및/또는 편집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캡쳐된 사진을 배치할 결정된 영역을 포함하는 문서의 확대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면서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3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 상에 카메라 뷰파인더(320)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카메라 뷰파인더(320)의 더 좋은 보기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자는 더 쉽게 대상에 카메라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확대된 부분의 디스플레이는 사진을 캡쳐 및/또는 문서의 결정된 영역에 사진을 삽입한 후에 이전의 시점(vantage point)(예컨대, 전체 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래 사진을 삽입할 영역을 결정한 후, 사용자 장치(100)는 (예컨대 도 2b의 조정된 사진 신호(210)와 같은) 조정된 사진 신호가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에 따라 보여질 수 있는 카메라 뷰파인더(330)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진을 캡쳐 및/또는 문서의 결정된 영역에 사진을 삽입한 후에 전체 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400)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400)는 위에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400)는 카메라(410), 디스플레이(420), 수신기(430), 사진 영역 관리기(440), 사진 신호 처리기(450), 디스플레이 제어기(460), 문서 편집기(470) 및 메모리(480)를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컴포넌트들로 도시되어 있으나, 개시된 대상의 범위 내로 고려되면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추가적인 컴포넌트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들로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사실상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410)는 대상의 사진을 캡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캡쳐된 사진은 문서 편집기(47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410)는 카메라(410)의 앞에 위치되는 대상의 사진 신호를 캡쳐 및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생성된 사진 신호는 사진 신호 처리기(450)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20)는 디스플레이 제어기(460)로부터 명령어와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카메라(410)와 디스플레이(420)가 사용자 장치(400)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410) 및/또는 디스플레이(420)는 별도의 장치로서 사용자 장치(400)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신기(430)는 문서에 사진을 삽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사용자 입력은 위에서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문서 편집기 프로그램의 GUI에서의 마우스 클릭 또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손가락 터치에 의한) 카메라 버튼(111)의 선택 또는 클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기(430)는 미래 사진을 삽입할 (예컨대 도 1a의 영역(130)과 같은)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다른 사용자 입력은 위에서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포인팅 및 드래깅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영역 관리기(440)는 미래 사진을 삽입할 (예컨대 도 1a의 영역(130)과 같은)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결정은 (예컨대 두 포인트(121 및 122)의 사용자 입력과 같은) 수신기(43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사진 영역 관리기(440)는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를 찾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영역 관리기(440)는 위에서 도 1a 및 2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계산에 의해 가로세로비를 획득할 수 있다. 결정된 영역의 획득된 가로세로비는 사진 신호 처리기(450)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사용자가 그린 모양 등과 같은) 직사각형이 아닌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을 포함할 수 있고, 사진 영역 관리기(440)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진 신호 처리기(450)는 카메라(410)로부터 사진 신호를 수신하고 사진 영역 관리기(440)에 의해 획득된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신된 사진 신호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진 신호 처리기(450)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수신된 사진 신호를 잘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은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사용자가 그린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제어기(460)는 디스플레이(420)가 결정된 영역에 (예컨대 도 1b의 카메라 뷰파인더(140)와 같은)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로서, 디스플레이 제어기(460)는 디스플레이(420)가 결정된 영역에 사진 신호 처리기(450)로부터의 조정된 사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문서 편집기(470)는 카메라(410)로부터 캡쳐된 사진을 수신하고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캡쳐된 사진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문서 편집기(470)가 사진 영역 관리기(440), 사진 신호 처리기(45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460)와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설명되고 있으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사진 영역 관리기(440), 사진 신호 처리기(45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460) 중 적어도 하나가 문서 편집기(470)의 일부일 수 있다. 메모리(480)는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삽입된 캡쳐된 사진과 함께 문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400)의 다른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400)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 운영 체제(520)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사진 삽입 기법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520) 상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운영 체제(520)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가 여기에서 설명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530)를 조작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기 위한 사진 삽입 관리기(510)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사진 영역 관리기 컴포넌트(610), 사진 신호 처리기 컴포넌트(62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 컴포넌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 영역 관리기 컴포넌트(610)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사진 신호 처리기 컴포넌트(620)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 컴포넌트(630)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로서 조정된 사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명령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도 7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프로세스(700)는 카메라(410), 디스플레이(420), 수신기(430), 사진 영역 관리기(440), 사진 신호 처리기(450), 디스플레이 제어기(460), 문서 편집기(470) 또는 메모리(48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400)와 같은 사용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700)는 또한 사진 삽입 기법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사용자 장치(400)에 의해 호스트될 수 있는, 사진 영역 관리기 컴포넌트(610), 사진 신호 처리기 컴포넌트(620) 및 디스플레이 제어기 컴포넌트(630)를 포함하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묘사 및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스(700)는 하나 이상의 블록(710, 720, 730, 740 및/또는 750)에 의해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동작, 작용 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블록들로 도시되어 있으나, 요구되는 구현에 따라 다양한 블록들이 추가적인 블록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블록들로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 7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블록 710(문서에 미래 사진을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수신기(430)는 문서에 사진을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400)는 사진을 삽입할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 710에서 블록 720으로 계속할 수 있다.
블록 720(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진을 삽입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를 찾을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 720에서 블록 730으로 계속할 수 있다.
블록 730(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사진 삽입 관리기(510)는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에 기초하여 카메라(410)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된 사진 신호를 카메라 뷰파인더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 730에서 블록 740으로 계속할 수 있다.
블록 740(카메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상의 사진을 캡쳐)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카메라(410)는 카메라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상의 사진을 캡쳐할 수 있다. 캡쳐된 사진은 결정된 영역과 동일한 가로세로비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싱은 블록 740에서 블록 750으로 계속할 수 있다.
블록 750(결정된 영역에 캡쳐된 사진을 삽입)에서, 사용자 장치(400) 및/또는 문서 편집기(470)는 문서 내 결정된 영역에 캡쳐된 사진을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뷰파인더가 문서 내에 제공되고, 사용자 장치(400)의 사용자는 쉽게 사진을 캡쳐하고 적절한 영역에 적절한 크기 및 가로세로비로 문서에 삽입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여기에서 개시된 이러한 및 다른 프로세스 및 방법에 대해, 프로세스 및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상이한 순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약술된 단계 및 동작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 것이고, 이러한 단계 및 동작의 일부는,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단계 및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단계 및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도 8은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80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제품(800)은 신호 포함 매체(signal bearing medium)(802)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802)는 예컨대 사용자 장치(400)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도 1 내지 7에 관하여 전술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8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어(804)는, 문서에 미래 사진을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미래 사진을 삽입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80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 DVD, 디지털 테이프,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806)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802)는 메모리, 읽기/쓰기(R/W) CD, R/W DVD 등과 같은 기록 가능 매체(808)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호 포함 매체(802)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컨대,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 등)와 같은 통신 매체(8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제품(800)은, 신호 포함 매체(802)가 무선 통신 매체(810)(예컨대, IEEE 802.11 표준에 따르는 무선 통신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RF 신호 포함 매체(802)에 의하여 사용자 장치(400)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여기에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사진 삽입 기법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9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매우 기본적인 구성(basic configuration)(902)에서, 컴퓨팅 장치(900)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04) 및 시스템 메모리(906)를 포함한다. 메모리 버스(908)가 프로세서(904)와 시스템 메모리(906)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9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μP), 마이크로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904)는 레벨 1 캐시(910) 및 레벨 2 캐시(9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의 캐싱, 프로세서 코어(914) 및 레지스터(916)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프로세서 코어(914)는 ALU(arithmetic logic unit), FPU(floating point unit), DSP 코어(digital signal processing core),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메모리 컨트롤러(918)는 또한 프로세서(904)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918)는 프로세서(904)의 내부 부품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906)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906)는 운영 체제(92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922) 및 프로그램 데이터(924)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922)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400) 아키텍처에 관하여 설명된 작용 또는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관하여 설명된 작용을 포함하여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사진 삽입 알고리즘(92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924)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사진 삽입 기법을 제공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사진 삽입 기법이 제공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922)은 운영 체제(920)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924)와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0)는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기본 구성(902)과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와 인터페이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930)는 저장 인터페이스 버스(934)를 통한 기본 구성(902)과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932)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932)는 분리형 저장 장치(936), 비분리형 저장 장치(938),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분리형 저장 장치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의 예로는, 몇 가지 말하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906), 분리형 저장 장치(936) 및 비분리형 저장 장치(938)는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시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9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9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0)는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930)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출력 장치(942), 주변 인터페이스(944) 및 통신 장치(946))로부터 기본 구성(902)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940)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장치(942)는 그래픽 처리 유닛(948) 및 오디오 처리 유닛(950)을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952)를 통해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944)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954)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956)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958)를 통해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다른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946)는 네트워크 컨트롤러(960)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964)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링크 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962)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링크는 통신 매체의 일례일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의 다른 데이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된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제한적인지 않은 예시로서, 통신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접속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acoustic), 무선 주파수(RF), 마이크로파(microwave), 적외선(IR) 및 다른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태양의 예시로서 의도된 본 출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할 바와 같이, 많은 수정과 변형이 그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열거된 것들에 더하여, 본 개시의 범위 안에서 기능적으로 균등한 방법과 장치가 위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수정과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의 용어에 의해서만, 그러한 청구항에 부여된 균등물의 전 범위와 함께, 제한될 것이다. 본 개시가 물론 다양할 수 있는 특정 방법, 시약, 화합물, 조성 또는 생물학적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복수 및/또는 단수의 용어의 사용에 대하여, 당업자는 맥락 및/또는 응용에 적절하도록, 복수를 단수로 및/또는 단수를 복수로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단수/복수의 치환은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기재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일반적으로 여기에 사용되며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범위 본문)에 사용된 용어들이 일반적으로 "개방적(open)" 용어로 의도됨을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으로, 용어 "갖는"는 "적어도 갖는"으로, 용어 "포함하다"는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입된 청구항의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의도된 경우, 그러한 의도가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그러한 기재사항이 없는 경우, 그러한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 등의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하여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구절의 사용이, 부정관사 "하나"("a" 또는 "an")에 의한 청구항 기재사항의 도입이, 그러한 하나의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실시예로, 그러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을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제한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인 "하나 이상" 또는 "적어도 하나" 및 "하나"("a" 또는 "an")와 같은 부정관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는 청구항 기재사항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 정관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기재사항의 특정 수가 명시적으로 기재되는 경우에도, 당업자라면 그러한 기재가 전형적으로 적어도 기재된 수를 의미하도록 해석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예를 들어, 다른 수식어가 없이 "두 개의 기재사항"을 단순히 기재한 것은, 적어도 두 개의 기재사항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재사항을 의미한다). 또한, "A, B 및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B 또는 C 등 중의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규칙이 사용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해석은 당업자가 그 규칙을 이해할 것이라는 전제가 의도된 것이다(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만을 갖거나, B만을 갖거나, C만을 갖거나, A 및 B를 함께 갖거나, A 및 C를 함께 갖거나, B 및 C를 함께 갖거나, A, B 및 C를 함께 갖는 시스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당업자라면, 실질적으로 임의의 이접 접속어(disjunctive word) 및/또는 두 개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들을 나타내는 구절은, 그것이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그 용어들 중의 하나, 그 용어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용어들 두 개 모두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또는 B"라는 구절은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개시의 특징 또는 양태가 마쿠시(Markush) 그룹으로 기술되는 경우, 개시는 마쿠시 그룹의 임의의 개별 요소 또는 요소들의 하위 그룹의 면에서도 설명됨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과 같이, 서면의 설명을 제공하는 측면에서와 같은 임의의 그리고 모든 목적에서,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모든 범위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하위범위와 그러한 하위범위의 조합을 또한 포함한다. 임의의 열거된 범위는 적어도 1/2, 1/3, 1/4, 1/5, 1/10 등으로 나누어지는 동일한 범위를 충분히 설명하고 실시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쉽게 인식될 수 있다. 제한하지 않는 예시로서, 여기서 논의되는 각각의 범위는 하위 1/3, 중앙 1/3, 상위 1/3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까지", "적어도" 등과 같은 모든 언어가 기재된 수를 포함하며, 전술한 하위범위로 후속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범위를 지칭함이 당업자에게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범위는 각각의 개별 요소를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3개의 셀을 갖는 그룹은 1, 2 또는 3개의 셀을 갖는 그룹들을 지칭한다. 유사하게, 1-5개의 셀을 갖는 그룹은 1, 2, 3, 4 또는 5개의 셀을 갖는 그룹을 지칭하는 등이다.
이상으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여기에서 설명되었고, 다양한 수정이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는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며, 진정한 범위와 사상은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나타난다.

Claims (20)

  1. 사용자 장치의 제어 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문서에 사진(picture)을 삽입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진이 삽입될 상기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영역의 상기 계산된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와 연관된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역에 카메라 뷰파인더(viewfinder)로서 상기 조정된 사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는 상기 사진으로 캡쳐될 대상(subject)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문서는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되기 이전에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가 상기 문서 내의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원래의 크기에 대하여 확대되고,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된 이후 확대된 상기 문서로부터 상기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사진 신호의 조정 이후, 상기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영역으로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사진으로서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상기 문서 내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상기 문서 내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및 사용자가 그린 모양 중 하나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상의 포인트 및 드래그(point-and-drag)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트 및 드래그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9. 문서 편집기 기기로서,
    문서에 사진을 삽입하기 위한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수신된 상기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사진이 삽입될 상기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적으로 결합된, 사진 영역 관리기; 및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와 통신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카메라 뷰파인더를 상기 결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에 명령하고 -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는 상기 사진으로서 캡쳐될 대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함 -; 그리고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되기 이전에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가 상기 문서 내의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원래의 크기에 대하여 상기 문서를 확대되고,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된 이후 확대된 상기 문서로부터 상기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도록 디스플레이에 명령하도록 구성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영역으로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사진으로서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와 통신적으로 결합된, 문서 편집기를 더 포함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는 상기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를 계산하도록 더 구성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사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계산된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사진 신호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와 통신적으로 결합된, 사진 신호 처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영역에 상기 조정된 사진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명령하도록 더 구성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에 따라 상기 문서 내 상기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한 모양은 직사각형, 다이아몬드, 원, 타원, 삼각형 및 사용자가 그린 모양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문서 상의 포인트 및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사진 영역 관리기는 상기 포인트 및 드래그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문서 내 상기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문서 편집기 기기.
  17.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을 제어하도록 하는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가지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은,
    사진이 삽입될 문서 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의 가로세로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로세로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와 연관된 카메라로부터의 사진 신호를 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영역에, 상기 조정된 사진 신호를 보여주는 카메라 뷰파인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는 캡쳐될 대상의 이미지를 상기 사진으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문서는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되기 이전에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가 상기 문서 내의 상기 결정된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원래의 크기에 대하여 확대되고,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가 캡쳐된 이후 확대된 상기 문서로부터 상기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상기 사진 신호의 조정 이후, 상기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 뷰파인더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대상의 상기 이미지를 캡쳐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영역으로 상기 캡쳐된 이미지를 상기 사진으로서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을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신호의 조정은 상기 계산된 가로세로비에 따라 상기 사진 신호 상에 수행된 크롭(crop) 동작에 의한 상기 사진 신호의 조정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문서 상의 포인트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거나 수행을 제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결정은 상기 포인트 및 드래그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67024639A 2014-02-26 2014-02-26 사진 및 문서 통합 KR101870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18569 WO2015130270A1 (en) 2014-02-26 2014-02-26 Photo and document integ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339A KR20160118339A (ko) 2016-10-11
KR101870371B1 true KR101870371B1 (ko) 2018-06-22

Family

ID=5400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639A KR101870371B1 (ko) 2014-02-26 2014-02-26 사진 및 문서 통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53298A1 (ko)
KR (1) KR101870371B1 (ko)
WO (1) WO2015130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779S1 (en) * 2014-09-01 2016-07-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574726B2 (en) * 2015-10-16 2020-02-25 Google Llc Techniques for attaching media captured by a mobile computing device to an electronic document
USD781914S1 (en) * 2015-11-18 2017-03-21 Dom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10289147A1 (en) * 2017-01-11 2021-09-16 Intelligent Inventions Limited Images with virtual reality backgrounds
USD871434S1 (en) 2018-05-31 2019-12-31 Inspire Medical System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71433S1 (en) 2018-05-31 2019-12-31 Inspire Medical System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5436S1 (en) 2018-09-11 2021-04-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6271S1 (en) * 2019-02-03 2020-09-15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6839S1 (en) * 2019-02-03 2020-09-22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7372S1 (en) * 2019-02-03 2020-09-29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5679S1 (en) * 2019-02-03 2020-09-08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5678S1 (en) * 2019-02-03 2020-09-08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4960S1 (en) * 2019-02-03 2020-09-01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896840S1 (en) * 2019-02-03 2020-09-22 Baxt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electronic display with animated GUI
USD946026S1 (en) * 2020-10-19 2022-03-15 Splunk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etrics-bas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USD946025S1 (en) * 2020-10-19 2022-03-15 Splunk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infor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6983A1 (en) 2005-08-23 2007-03-01 Hull Jonathan J Integration and Use of Mixed Media Documents
US20080148177A1 (en) 2006-12-14 2008-06-19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 document zoom and centering adjustment
US20090319887A1 (en) * 2008-06-20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Fit and fill techniques for pi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2850B1 (en) * 1998-08-04 2002-03-26 Flashpoint Technology, Inc. Interactive movie creation from one or more still images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7437670B2 (en) * 2001-03-29 2008-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gnifying the text of a link while still retaining browser function in the magnified display
US7694214B2 (en) * 2005-06-29 2010-04-06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note taking, annotation, and gaming
US7529473B2 (en) * 2005-06-29 2009-05-05 Kyocera Wireless Corp. Scalable image capture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582919B2 (en) * 2007-09-24 2013-11-12 Microsoft Corporation Alter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using a shape
US9558510B2 (en) * 2009-02-24 2017-01-31 Ebay Inc. System and method to create listings using image and voice recognition
US8823749B2 (en) * 2009-06-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9128960B2 (en) * 2011-01-14 2015-09-08 Apple Inc. Assisted image selection
US8928699B2 (en) * 2012-05-01 2015-01-06 Kabushiki Kaisha Toshiba User interface for page view zooming
US9137461B2 (en) * 2012-11-30 2015-09-15 Disney Enterprises, Inc. Real-time camera view through drawn region for image capture
US9554049B2 (en) * 2012-12-04 2017-01-24 Ebay Inc. Guided video capture for item list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6983A1 (en) 2005-08-23 2007-03-01 Hull Jonathan J Integration and Use of Mixed Media Documents
US20080148177A1 (en) 2006-12-14 2008-06-19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 document zoom and centering adjustment
US20090319887A1 (en) * 2008-06-20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Fit and fill techniques for pictur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verVision W30, Microsoft application plug-ins, PowerPoint + live doc cam = Lessons come alive, https://web.archive.org/web/20140107053130/http://www.averusa.com:80/education/document-camera/w30.as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0270A1 (en) 2015-09-03
US20160253298A1 (en) 2016-09-01
KR20160118339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371B1 (ko) 사진 및 문서 통합
KR102322820B1 (ko) 카메라 효과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47969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specialized visual guides for photography
KR102022444B1 (ko)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98073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in camer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AU2014201995B2 (en) Objects in screen images
JP2019194896A (ja) ページの一部領域を利用した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EP3547218B1 (en) Fil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EP2811731B1 (en) Electronic device for editing dual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501028B1 (ko)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325439A1 (en) Method for outputt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4305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image in electronic device
KR102193567B1 (ko) 복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20140232743A1 (en) Method of synthesizing images photographed by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EP269332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77963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67750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images in electronic device
US10290120B2 (en) Color analysis and control using an electronic mobile device transparent display screen
KR102061867B1 (ko)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N116009755A (zh) 针对图像的多区域检测
US9767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US20130097543A1 (en) Capture-and-paste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102076629B1 (ko)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CN113056905B (zh) 用于拍摄类长焦图像的系统和方法
WO20201071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king telephoto-like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