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21B1 -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21B1
KR101870321B1 KR1020160122300A KR20160122300A KR101870321B1 KR 101870321 B1 KR101870321 B1 KR 101870321B1 KR 1020160122300 A KR1020160122300 A KR 1020160122300A KR 20160122300 A KR20160122300 A KR 20160122300A KR 101870321 B1 KR101870321 B1 KR 101870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hybrid
alkyl
silica material
hydrogen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553A (ko
Inventor
하창식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03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07D311/80Dibenzopyrans; Hydrogenated dibenzopy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금속이온에 대해 고도의 선택성을 가지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미터크기의 세공을 가지고 플루오레세인 유기 기능기로 표면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로서, 철 이온 (Fe3 +)에 대해 고선택성을 가지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hybrid nanoporous silica material with high selective photo-sensing of metal io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terials}
본 발명은 특정 금속이온에 대해 고도의 선택성으로 광학적 센싱이 가능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철, 구리, 크롬, 코발트, 수은, 납 등과 같은 중금속이 다량 함유된 폐수의 발생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중금속 폐수는 미량으로도 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끼쳐 이들 중금속이온의 제거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먼저, 이러한 중금속에 대해 센싱을 통한 모니터링이 대단히 중요하다. 이를 위한 유력한 후보 물질로 높은 표면적과 나노세공을 가지는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이다.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가지는 단분자 계면활성제나 고분자 물질을 주형으로 사용하고, 실리카를 기본으로 하는 무기물을 세공벽 형성 물질로 하며, 수용액 상에서 자기조립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1992년 Beck과 공동연구자들 에 의해 처음 합성되기 시작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1998년 Zhao와 공동연구자들은 블록 공중합체를 주형으로 사용하고 실리카원을 세공벽 형성물질로 이용하여 수용액 상에서 자기조립과정을 거쳐서 규칙적인 배열과 일정한 크기의 세공을 가지는 나노 세공 실리카를 합성하였다.
여러 연구자에 의해 여러 가지 나노세공 구조 (입방체, 육방체, 층상구조, 무질서 구조)와 균일한 세공크기 (2~30 nm) 그리고 높은 표면적 (1000 m2/g 이상)을 가지는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이 합성되었다.
한편, 실리카 물질로 구성된 세공벽을 가지는 나노 세공 물질은 비활성인 실리카에 의해 응용성이 제한된다. 따라서, 나노 세공의 표면이 유기 그룹으로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세공 표면에 많은 실란올 (Si-OH) 그룹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기 기능기를 가지는 알콕시 실란((R'O)3Si(CH2)nR, R'= methyl or ethyl, R=N, O, S, P 또는 C 등의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나 고리모양 지방족 그룹, 방향족 그룹 또는 이들의 유도체))을 화학반응을 통하여 개질 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규칙적인 세공 배열과 균일한 세공크기 그리고 높은 표면적을 가지고 거대분자의 흡착, 효소흡착, 금속이온 흡착, 촉매반응, 센서, 약물전달, 나노물질 제조 등에 매우 높은 응용 가능성을 가진다. 특히, 광활성 또는 광학적으로 민감한 기능기가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이온, 유기분자 등을 센싱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다양한 유기 리간드와 전이 금속 등을 도입하여 다양한 유기 금속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전의 연구에서 Gunnlaugsso과 공동연구자들은 1,10-페난스롤린이 개질된 고리형 유기 리간드를 이용하여 유로퓸과 복합체를 합성한 후 철(Fe(II)), 구리(Cu(II)), 코발트 (Cd(II))이온에 대해 형광스펙트라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비특허문헌 1). 이 연구에서는 상기 세 가지 금속이온 각각에 대한 연구 결과만을 제시하면서, 구리(Cu(II)) 이온에 대해 가장 큰 형광 스펙트라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혼성의 금속 이온 존재하에서 특정 금속, 즉 구리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를 상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분자형태의 유로퓸-유기리간드 복합체를 금속이온 용액에 가하여 형광변화를 살펴봄 에 따라 용액과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의 재사용이 불가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표면에 아미노기를 처리하고, 플루오레세인 기능기로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고 이에 금속이온을 부가함으로써, 다양한 금속 이온이 혼재한 경우에도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한 고선택적 센싱이 가능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Nonat, A. M.; Harte, A. J.; S, K.; Leonard, J. P.; Gunnlaugsson, T., Dalton Trans., 2009, 4703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금속이온에 대해 고도의 선택성을 가지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루오레세인 기능기로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해 선택적인 흡착능을 보이는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1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 또는 (C2-C10)알케닐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O-, -S-, -C(O)-, -C(O)O-, -C(S)S-, -C(O)NR11-, -NR11-, -NR11C(O)-, -NR11C(O)NR12-, -C(O)NR11L1C(O)- 및 -OC(O)-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L1은 (C1-C10)알킬렌이며;
R1 및 R2는 서로독립적으로 수소, (C1-C10)알킬 또는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2
이고, 상기 r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상기 R13은 히드록시 또는 (C1-C10)알킬이며;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3-C20)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나노 세공 지지체의 세공벽 표면을 아민기로 기능화된 실란 화합물로 표면 개질한 후 상기 실란 화합물의 아민기와 플루오레세인 유도체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금속이온에 대한 고선택적 흡착능을 보이는 흡착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특정 금속을 흡착하여 형광강도의 감소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제는 철 이온(Fe3 +)에 대한 높은 흡착능을 보인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다양한 금속이온이 혼재한 경우에도 철 이온(Fe3+)에 대한 90% 이상의 흡착 선택성을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여, 특정 금속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센서는 3가 금속이온과의 반응으로 형광감소를 보이는 특성을 가지며, 2가 금속이온과의 반응으로 형광증가를 보이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균 직경이 나노미터 크기인 세공과 규칙적인 세공 배열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간단하고 손쉬운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는 흡착제는 즉각적인 반응으로 철 이온을 흡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금속이온이 혼재한 속에서도 철 이온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보인다. 또한, 사용한 흡착제를 용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는 센서는 2가 또는 3가 금속이온과의 반응으로 특징적인 형광변화를 나타내어 각각의 금속이온의 검출을 위하나 고감도 형광화학센서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의 합성과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은 실시예 1의 엑스선 회절 패턴을 나타낸다(A. SBA-15, B. APTMS-SBA-15 및 C. FITC-SBA-1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의 투과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의 (a) 질소 등온 흡착/탈착 곡선과 (b) 나노세공 분포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SBA-15, APTMS-SBA-15 및 FITC-SBA-15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를 물에 분산시킨 것 {(a) FITC-SBA-15+H2O}과 다양한 금속이온 용액 (Cd2 +, Cr3 + 및 Fe3 +) 각각에 FITC-SBA-15을 처리한 샘플{도 7에서 각각 (b) FITC-SBA-15+Cd2 +, (c) FITC-SBA-15+Cr3 + 및 (d) FITC-SBA-15+Fe3+로 명명함}의 형광분석 스펙트라이다.
도 8은 도 7에서 형광분석 스펙트라의 피크세기를 정규화한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를 물에 분산시킨 것 (도 8의 세로축에 H2O로 나타냄)과 다양한 금속이온 용액 Fe3 +, Cr3 +, Pb2 +, Cd2 +, Ni2 + 및 Cu2 + 각각에 FITC-SBA-15을 처리한 후 용액의 형광분석 스펙트라 피크들 중, 525 nm에서 피크세기의 변화를 정규화한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세로축에 각각 Fe3 +, Cr3 + 및 Cd2 +을 도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이온 고선택적 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하기와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 형성 주형”은 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주형(template)을 의미하고, “나노 세공”은 세공의 평균 직경이 2~30 nm인 것을 의미하고,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금속이온에 대한 흡착성을 지닌 실리카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플루오레세인 유도체가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에 하이브리드된 것으로, 탁월한 열안정성, 광안정성 및 형광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수소 결합으로 보다 안정적인 분산성을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플루오레세인 유도체 등의 유기형광물질은 무기형광물질에 비해 흡수계수가 우수하고,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이 넓으며, 생화학적인 친화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회합을 이루어가 덩어리가 지게 되는 등 분산 안정성이 대폭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졌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에 아민기로 기능화된 알콕시 실란화합물을 도입한 후 이에 플루오레세인 유도체를 축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 유기형광물질의 문제점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에 실록산 망상조직에 의해 둘러쌓여 보호를 받아 말단에 도입된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회합현상이 최소화되어, 탁월한 열안정성, 광안정성, 안정적인 형광특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3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 또는 (C2-C10)알케닐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O-, -S-, -C(O)-, -C(O)O-, -C(S)S-, -C(O)NR11-, -NR11-, -NR11C(O)-, -NR11C(O)NR12-, -C(O)NR11L1C(O)- 및 -OC(O)-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L1은 (C1-C10)알킬렌이며;
R1 및 R2는 서로독립적으로 수소, (C1-C10)알킬 또는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4
이고, 상기 r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상기 R13은 히드록시 또는 (C1-C10)알킬이며;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3-C20)헤테로아릴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알킬", "알콕시"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5의 알킬 또는 알콕시일 수 있으나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 또는 알콕시나 탄소수 16 내지 20의 알킬 또는 알콕시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 또한, 본 발명에서의 용어, "헤테로아릴"은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된 유기 라디칼로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8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일환상 또는 다환상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일 수 있고,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3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 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헤테로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헤테로아릴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20의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2의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알킬렌"은 알킬로부터 수소원자가 하나 제거된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용어 "알케닐렌"은 이중결합을 하나이상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쇄형태의 탄화수소 알케닐로부터 수소원자가 하나 제거된 탄화수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에테닐렌, 프로프-1-엔-1-일렌, 프로프-1-엔-2-일렌, 프로프-2-엔-1-일렌, 프로프-2-엔-2-일렌, 부트-1-엔-1-일렌, 부트-1-엔-2-일렌, 2-메틸-프로프-1-엔-1-일렌, 부트-2-엔-1-일렌, 부트-2-엔-2-일렌, 부타-1,3-디엔-1-일렌, 부타-1,3-디엔-2-일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상기 Y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5
[화학식 2에서,
Y2은 O 또는 S이며;
R11 내지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7)알킬이며;
n은 0 또는 1이다.]
상기 치환체의 구성을 가질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다양한 금속 이온에 대한 흡착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이온은 Fe3 +, Cr3 +, Pb2 +, Cd2 +, Ni2 + 및 Cu2 + 등 일 수 있으며, 특히 Fe3 +에 대한 흡착능이 탁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넓은 표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금속 이온에 대한 흡착능을 가질 뿐 아니라 흡착된 금속 이온과의 결합으로 형광강도의 감소를 보인다. 이때,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표면적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400 내지 1000 ㎡/g이고, 세공 평균 직경은 2 내지 30 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세공 배열은 상술된 표면적 및/또는 세공 평균 직경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일예로 육방체 구조, 입방체 구조, 층상 구조, 무질서한 구조 등 다양한 양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도 1 참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를 아민기로 기능화된 실란화합물로 표면 개질한 후 상기 실란 화합물의 아민기와 플루오레세인 유도체가 반응하여 제조될 수 있따. 이때, 상기 실란화합물은 아민기로 기능화된 알콕시 실란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 표면에 실록산 망상조질을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 상기 실란화합물의 말단에 도입되는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회합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란화합물은 아민기를 가지는 알콕시 실란화합물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4-아미노사이클로트리메톡시실란, 4-아미노사이클로트리에톡시실란, p-아미노페닐트리메톡시실란 및 p-아미노페닐트리에톡시실란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균일한 분산성을 구현하기 위한 측면에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화합물은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도입량 및 그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 세공 실라카 지지체를 1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플루오레세인 유도체는 아미노기와 반응할 수 있는 치환체를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이의 바람직한 일예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6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서로독립적으로 수소, (C1-C10)알킬 또는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7
이고, 상기 r는 0 내지 7의 정수이고, 상기 R13은 히드록시 또는 (C1-C10)알킬이며;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며;
R4는 할로(C1-C10)알킬, 카복시, 티오카복시, 이소시아노, 이소시아네이토, 티오시아네이토, 이소티오시아네이토 또는
Figure 112016092527589-pat00008
이고, 상기 p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보다 바람직한 일예로는 플루오레세인5(6)-이소시아네이트, 6-[플루오레세인-5(6)-카르복시아미도]헥사노익산, 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 5(6)-이소시아네이트, 5-(브로모메틸)플루오레세인 등에서 선택되는 것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실란화합물 1몰 대비 플루오레세인 유도체가 0.8 내지 1.2 몰 대비로 사용되어, 바람직하게 실란화합물에 플루오레세인 유도체가 1:1 몰비로 도입되는 것을 우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는 구조 형성 주형인 중합체를 산촉매하 증류수에 섞어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에 나노 세공벽 구성물질인 실리카 전구체를 혼합하고 수열 반응하여 주형-나노 세공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형-실리카 복합체의 주형을 열처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주형-나노 세공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세공벽을 형성하는 물질이며, 상기 구조 형성 주형으로는 블록공블럭공중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는 산촉매 하에서 솔-젤과 자기조립과정을 거쳐, 수열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사염화실란, 사브롬화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하여 -Si-O-Si-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나노 세공을 가지는 실리카 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나노 세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형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에틸에틸렌 (PEO-PEE)의 이원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의 삼원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구조 형성 주형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에틸에틸렌 (PEO-PEE)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는 규칙적인 크기의 나노 세공을 형성할 수 있는 측면에서 수평균분자량(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이 4000 내지 8000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상기 주형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30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으며, 세공 평균 직경이 2 내지 30 nm로 규칙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측면에서 180 내지 25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열 반응은 80 내지 100 ℃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산촉매는 비한정적인 일예로 염산, 황산, 질산, 아세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공정상 다루기 용이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염산 촉매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는 추가로 건조하는 단계 및/또는 소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의 표면적을 목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6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4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소성하는 단계는 200 내지 400 ℃에서 1차 소성 후 450 내지 700 ℃에서 2차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소성시간은 1 내지 24 시간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세공 평균 직경이 2 내지 30 nm로, 상기 실리카 물질의 표면적은 400 내지 1000 m2/g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세공 평균 직경이 4 내지 20 nm이고, 표면적이 600 내지 800 m2/g인 육방체 또는 입방체 구조의 세공 배열을 가지는 실리카 물질인 것이 우선되나 다양한 양태의 배열을 가지는 실리카 물질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포함하는 흡착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제는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해 선택적인 흡착능을 가진다. 상기 특정 금속 이온의 비한정적인 일예로는, 철 이온(Fe3 +), 구리 이온(Cu2 +), 니켈 이온(Ni2 +), 카드뮴 이온(Cd2 +), 납 이온(Pb2 +), 크롬 이온(Cr3 +)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철 이온(Fe3 +)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이 우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제는 다양한 금속 이온 하에서도 상술한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한 흡착능의 저하 없이 선택적인 흡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철 이온(Fe3+)에 대한 선택성은 90 % 내지 97% 로 선택적인 흡착능에 있어 현저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제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말단에 도입된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에 의해 형광을 띠며, 상술한 특정 금속 이온과의 흡착 반응으로 형광 변화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형광변화는 형광증가 또는 형광감소를 보이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특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은 철 이온(Fe3 +), 크롬 이온(Cr3 +)과의 반응으로 형광감소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니켈 이온(Ni2 +), 카드뮴 이온(Cd2 +), 납 이온(Pb2 +)과의 반응으로 형광증가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7 참조).
본 발명은 상술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 금속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및 센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싱은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특정 금속이온의 착물형성에 따른 형광변화 측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특정 금속이온에 따른 특징적인 형광변화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는 3가 금속이온과의 반응으로 형광감소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3가 금속이온은 크롬 이온(Cr3+), 철 이온(Fe3 +)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철 이온(Fe3 +)에 대한 감도가 현저하다.
더불어 상기 센서는 2가 금속이온과의 반응으로 형광증가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2가 금속이온은 구리 이온(Cu2 +), 니켈 이온(Ni2 +), 카드뮴 이온(Cd2+)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카드뮴 이온(Cd2 +)에 대한 높은 감도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형광변화는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상기 센서를 투입하고, 빛을 조사하는 여기(excited)단계와 상기 수용액에서 방출된 형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빛의 파장은 500 내지 600 nm 범위인 경우 형광의 강도가 높아 특정이온에 대한 센싱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확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흡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특정 금속이온의 센싱을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A.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SBA-15)의 합성
블럭 공중합체(PEO20-PPO70-PEO20, 수평균분자량=5800, P123) 16 g을 500 ml의 물에 녹이고, 35 % 염산 수용액 80 ml를 첨가하여, 35 ℃에서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용액에 테트라메톡시실란 36.9 ml를 첨가하고, 35 ℃에서 30분 동안 교반 후 정지 상태에서 24 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이후, 100 ℃에서 24 시간 동안 정지 상태에서 수열 반응을 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거름종이로 거르고, 물로 세척 후 8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주형-나노 세공 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주형-나노 세공 실리카 복합체를 공기 중에서 550 ℃ 온도 하 4 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 주형을 제거하여,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SBA-15) 시료를 수득하였다.
B. 실란화합물(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APTMS)로 표면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APTMS-SBA-15)의 합성
1.2 g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SBA-15)에 0.1M 농도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녹아 있는 120 ml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를 60 ℃에서 24 시간 동안 반응하여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였다. 이를 거름종이로 거르면서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이를 8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실란화합물(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APTMS)로 표면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APTMS/SBA-15) 시료를 수득하였다.
C.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의 합성
0.5 g 실란화합물(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APTMS)로 표면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APTMS-SBA-15)에 1.0 x 10-3 M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 에탄올 용액 80 ml를 첨가하였다. 이어, 실온(25 ℃)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을 합성하였다. 이를 거름종이로 거르면서 증류수로 세척하고, 이를 6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 시료를 수득하였다(이때, 상기 FITC-SBA-15은 실란화합물과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도입 비율은 1:1 몰비임).
생성 물질의 확인 및 평가
도 2는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SBA-15), 실란화합물(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APTMS)로 표면 개질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APTMS-SBA-15)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의 엑스선 회절 패턴을 분석하여 도시하였다.
그 결과, SBA-15는 2개의 피크 (110, 200)가 잘 분리되어 나타난다. 이것은 나노세공이 육방체 구조로 잘 배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표면 개질된 APTMS-SBA-15 역시 2개의 피크가 잘 분리됨이 확인되어 표면 개질 후에도 나노세공 구조는 잘 배열된 육방체 구조를 유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ITC-SBA-15에서도 전형적인 육방체 구조를 나타내는 엑스선 회절 패턴을 보여 줌에 따라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 역시 육방체 구조의 세공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3의 (a)는 나노 세공 채널의 방향과 평행하게 관찰하였을 때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b)는 나노 세공 채널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찰 하였을 때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FITC-SBA-15는 잘 배열된 나노 세공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도 2에서의 엑스선 회절 패턴의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도 4는 FITC-SBA-15의 (a) 질소 등온 흡착/탈착 곡선과 (b) 나노세공 분포도를 도시한 것으로, (a)질소 등온 흡착/탈착 곡선으로, 나노 세공 물질에서 보여주는 전형적인 타입 IV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b) 나노세공 분포도에 따르면, FITC-SBA-15의 표면적은 651 m2/g 이고, 세공 평균 직경이 8.3 nm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FITC-SBA-15는 높은 표면적과 매우 균일한 세공크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결과는 도 3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의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 SBA-15, APTMS-SBA-15 및 FITC-SBA-15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SBA-15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표면 개질한 APTMS/SBA-15에서는 SBA-15에 존재하는 실란올 (Si-OH) 그룹을 나타내는 960 cm-1에 피크세기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그룹에 포함된 C-N 그룹에 의해 1573 cm-1에서 하나의 피크가 확인됨에 따라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SBA-15)의 세공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은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가 개질됨에 따라 1573 cm-1에서 C-N 피크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1573 cm-1에서 CDO-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로써 나노세공벽에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가 성공적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의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다. 나노세공 표면에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 기능기가 개질된 FITC-SBA-15 입자들이 초록색 발광을 보여줌에 따라 FITC-SBA-15 입자 내에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 기능기가 성공적으로 개질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의 결과는 도 5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라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2)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을 이용한 수용액내 금속이온 흡착
철 이온(Fe3 +), 구리 이온(Cu2 +), 니켈 이온(Ni2 +), 카드뮴 이온(Cd2 +), 납 이온(Pb2+) 또는 크롬 이온(Cr3 +)이 각각 1.0x10-2 M 농도로 녹아있는 각각의 수용액 4 ml에 0.008 g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을 첨가하였다. 이어, 실온(2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금속이온 흡착 확인 및 평가
철 이온(Fe3 +), 구리 이온(Cu2 +), 니켈 이온(Ni2 +), 카드뮴 이온(Cd2 +), 납 이온(Pb2+) 및 크롬 이온(Cr3 +)이 각각 1.0 x 10-2 M 농도로 녹아있는 수용액에 상기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흡착제(FITC-SBA-15)를 부가하여 금속이온에 대한 선택적 센싱 결과를 형광 분광법을 통하여 분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를 물에 분산시킨 것 {(a) FITC-SBA-15+H2O}과 다양한 금속이온 용액 (Cu2 +, Ni2 +, Cd2 +, Pb2 +, Cr3 + 및 Fe3 +) 각각에 FITC-SBA-15을 처리한 샘플{도 7에서 각각 (b) FITC-SBA-15+Cd2 +, (c) FITC-SBA-15+Cr3 + 및 (d) FITC-SBA-15+Fe3 + 로 명명함}의 형광분석 스펙트라를 도시하였다. FITC-SBA-15 시료가 물 및 다양한 금속이온 용액과 반응함에 따라 525 nm 부근의 형광분석 스펙트라 피크들의 세기가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금속 이온과 나노세공 표면에 개질된 플루오레세인 기능기와의 상호 작용 때문이다. 다양한 금속이온들 중 특히, 철 이온 (Fe3 +)의 경우 FITC-SBA-15에 대해 525 nm 부근에서 형광분석 스펙트럼 피크 세기가 16.6%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크롬 이온(Cr3 +)에 대한 형광분석 스펙트럼 피크 세기는 77.7%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카드뮴 이온(Cd2 +)에 대한 형광분석 스펙트럼 피크 세기는 116.6% 수준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도 7에서 형광분석 스펙트라의 피크세기를 정규화한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로, 본 발명에 따른 FITC-SBA-15를 물에 분산시킨 것 (도 8의 세로축에 H2O로 나타냄)과 다양한 금속이온 용액 Fe3 +, Cr3 +, Pb2 +, Cd2 +, Ni2 + 및 Cu2 + 각각에 FITC-SBA-15을 처리한 후 용액 (도 8의 세로축에 각각 Fe3 +, Cr3 +, Pb2 +, Cd2 +, Ni2 + 및 Cu2 +로 나타냄)의 형광분석 스펙트라 피크들 중, 525 nm에서 피크세기의 변화를 정규화한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의 결과로부터 FITC-SBA-15에 Fe3 +이온 용액을 처리한 경우 다른 금속이온의 경우에 비해 형광발광 피크세기의 변화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FITC-SBA-15는 다양한 중금속이온들 중, 철(Fe3+) 이온에 대해 강력한 센싱 능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C에서 1.0 x 10-3 M 플루오레세인 이소시아네이트 에탄올 용액 64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FITC-SBA-15) 시료를 수득하였다(이때, 상기 FITC-SBA-15은 실란화합물과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도입비율은 1:0.8 몰비임).
그 결과, 다양한 금속이온(일예, Cu2 +, Ni2 +, Cd2 +, Pb2 +, Cr3 + 및 Fe3 +) 용액과 반응함에 따라 525 nm 부근의 형광분석 스펙트라 피크들의 세기가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철 이온 (Fe3 +)의 경우, 525 nm 부근에서 형광분석 스펙트럼 피크 세기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 1 대비 85% 수준의 형광 감소에 해당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8)

  1. 2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증가를 보이고, 3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감소를 보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
    [화학식 1]
    Figure 112018013356584-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C(O)-, -C(S)- 및 -NR11-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은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표면적이 400 내지 1000 ㎡/g이고, 세공 평균 직경이 2 내지 30 nm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
  4. 제 1항에 있어서,
    육방체, 입방체, 층상 또는 무질서한 구조의 세공배열을 가지는 것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
  5. 2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증가를 보이고, 3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감소를 보이는 하기 화학식 1의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으로서, 나노 세공 지지체의 세공벽 표면을 아민기로 기능화된 실란 화합물로 표면 개질한 후 상기 실란 화합물의 아민기와 플루오레세인 유도체의 이소시아네이토기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토기가 반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8013356584-pat00027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C(O)-, -C(S)- 및 -NR11-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은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로 기능화된 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것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레세인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18013356584-pat00012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서로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며;
    R4는 이소시아네이토 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토이다.]
  8. 삭제
  9. 2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증가를 보이고, 3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감소를 보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 금속 이온에 대해 선택적인 흡착능을 보이는 것인 흡착제.
    [화학식 1]
    Figure 112018013356584-pat00028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C(O)-, -C(S)- 및 -NR11-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은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다.]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3가 금속이온은 철 이온(Fe3+)인 흡착제.
  12. 2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증가를 보이고, 3가 금속 이온과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감소를 보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 금속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센서.
    [화학식 1]
    Figure 112018013356584-pat00029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나노 세공 실리카 지지체이고;
    Y1은 (C1-C10)알킬렌이고, 상기 알킬렌의 -CH2-는 -C(O)-, -C(S)- 및 -NR11-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R11은 수소 또는 (C1-C10)알킬이며;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10)알킬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나이트로, 히드록시, (C1-C10)알킬, (C1-C30)알콕시 (C6-C20)아릴 또는 (C6-C20)헤테로아릴이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형광감소를 보이는 크롬 이온(Cr3 +) 또는 철이온(Fe3 +) 검출용 센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형광증가를 보이는 카드뮴 이온(Cd2+) 검출용 센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항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크롬 이온(Cr3+) 또는 철이온(Fe3+)의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감소 측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센싱 방법.
  18. 제 1항에 따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카드뮴 이온(Cd2+)의 착물 형성에 따른 형광증가 측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센싱 방법.
KR1020160122300A 2015-09-25 2016-09-23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70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39 2015-09-25
KR20150136739 201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553A KR20170037553A (ko) 2017-04-04
KR101870321B1 true KR101870321B1 (ko) 2018-06-22

Family

ID=5858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300A KR101870321B1 (ko) 2015-09-25 2016-09-23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187B1 (ko) * 2021-10-15 2024-0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독성 이온 검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66B1 (ko) * 2012-05-10 2014-08-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이온의 선택적 흡착을 위한 술폰산 기가 개질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중간세공 실리카물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553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CdSe quantum dot-encapsulated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silica particles for fluorescent sensing of bisphenol A
Kotsyuda et al. Bifunctional silica nanospheres with 3-aminopropyl and phenyl groups. Synthesis approach and prospects of their applications
Laghaei et al. The effect of various types of post-synthetic modifications on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CM-41 mesoporous silica
Wang et al. A highly selective regenerable optical sensor for detection of mercury (II) ion in water using organic–inorganic hybrid nanomaterials containing pyrene
Arkas et al. Organic/inorganic hybrid nanospheres based on hyperbranched poly (ethylene imine) encapsulated into silica for the sorption of toxic metal ion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from water
Yan et al. Pyridine-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as an efficient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acid dyestuffs
Meng et al. A hybrid mesoporous material functionalized by 1, 8-naphthalimide-base receptor and the application as chemosensor and absorbent for Hg2+ in water
Wan et al. Selective fluorescence sensing of Hg 2+ and Zn 2+ ions through dual independent channels based on the site-specific functionalization of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Cherifi et al. Preparation of new nanocomposite poly (GDMA)/mesoporous silica and its adsorption behavior towards cationic dye
JP5164018B2 (ja) 光エネルギー変換材料
Yadavi et al. A novel Fe3+ ions chemosensor by covalent coupling fluorene onto the mono, di-and tri-ammonium functionalized nanoporous silica type SBA-15
Wang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oxygen sensing properties of luminescent carbon dots assembled mesoporous silica microspheres
Das et al. A tubular nanoreactor directing the formation of in situ iron oxide nanorods with superior photocatalytic activity
Moorthy et al. Ion-imprinted mesoporous silica hybrids for selective recognition of target metal ions
Iliade et al. Functionalization of mesoporous MCM-41 with aminopropyl groups by co-condensation and grafting: a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Rambaud et al. One‐Pot Synthesis of Functional Helicoidal Hybrid Organic–Inorganic Nanofibers with Periodically Organized Mesoporosity
JP2008127405A (ja) コアシェル型球状シリカ系メソ多孔体、それを用いた触媒及び吸着材
Kim et al.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mesoporous silica particles: the use of an amphiphilic silica precursor with latent amine functionality in selective functionalization of the inner surface
Tagaya et al. Immobilization of folic acid on Eu 3+-doped nanoporous silica spheres
Kim et al. Highly luminescent tetra (biphenyl-4-yl) ethene-grafted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for fluorescent sensing of diethylstilbestrol
Yang et al. Tetraphenylpyrene-bridged silsesquioxane-based fluorescent hybrid porous polymer with selective metal ions sensing and efficient phenolic pollutants adsorption activities
Geng et al. The fabrication of highly ordered fluorescent molecularly imprinted mesoporous microspheres for the selective sensing of sparfloxacin in biological samples
KR101870321B1 (ko) 금속 이온의 고선택적 광학센싱을 위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세공 실리카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Zhang et al. Preparation of a bis-Schiff base immobilized mesoporous SBA-15 nanosensor for the fluorogenic sensing and adsorption of Cu 2+
Wang et al. Developing a novel fluorescence chemosensor by self-assembly of Bis-Schiff base within the channel of mesoporous SBA-15 for sensitive detecting of Hg2+ 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