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237B1 -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237B1
KR101870237B1 KR1020160117565A KR20160117565A KR101870237B1 KR 101870237 B1 KR101870237 B1 KR 101870237B1 KR 1020160117565 A KR1020160117565 A KR 1020160117565A KR 20160117565 A KR20160117565 A KR 20160117565A KR 101870237 B1 KR101870237 B1 KR 10187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frequency band
terminal
iot
base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514A (ko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37B1/ko
Priority to PCT/KR2017/006981 priority patent/WO2018048077A1/ko
Priority to US16/093,356 priority patent/US11076322B2/en
Priority to CN201780023339.5A priority patent/CN108886501B/zh
Publication of KR2018002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NETWORL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활 속의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이 등장하여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네트워크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네트워크는,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과,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물인터넷용 어플리케이션(이하 IoT앱이라 함)이 설치된 고객단말과, 사물인터넷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또는,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기지국(이하, IoT 기지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서는,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사물인터넷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장치가 사물인터넷단말에 대하여 기 선택한 하나의 IoT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하나의 IoT 기지국이 사물인터넷단말에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며, 게이트웨이 역할만 할 뿐인 IoT 기지국에 고도의 기능(computation)을 도입하지 않는다.
이에,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더라도,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인부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상기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기지국은,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업링크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이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주파수대역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대역변경단계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에 따라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구조는,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예: 단말1,2,...X), 원격지의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IoT앱이 설치된 고객단말(미도시)과, 사물인터넷단말 및 고객단말(IoT앱) 간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장치(00, IoT앱 서버), 사물인터넷단말 및 네트워크장치(100) 사이에서 패킷 송수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IoT 기지국(예: 기지국1,2,...L)로 구성된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킷 전송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또한, 네트워크장치가 다운링크패킷을 사물인터넷단말로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장치가 사물인터넷단말에 대하여 기 선택한 하나의 IoT 기지국으로 다운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하나의 IoT 기지국이 사물인터넷단말에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IoT 네트워크 구조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은, 사물인터넷단말/IoT 기지국/네트워크장치 3개의 노드 간에 송수신되는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의 수신 성공률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헌데, IoT 네트워크에서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러한 신호교란은 업링크/다운링크 패킷의 수신 성공률을 급격히 떨어뜨려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며, 게이트웨이 역할만 할 뿐인 IoT 기지국에 고도의 기능(computation)을 도입하지 않는다.
이에,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하더라도,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신호교란을 회피를 위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하는 네트워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110)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120)와,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은,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 있는 사물인터넷단말(예: 단말1,2,...X)일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사물인터넷단말 즉 단말1,2,...X 중 하나의 단말 예컨대 1단말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한편, 본 발명은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하며, 따라서 전술 및 후술에서 언급하는 기지국은, 게이트웨이 역할을 IoT 기지국으로 이해하면 된다.
패킷수신부(110)는,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네트워크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사물인터넷단말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고, 이를 다수의 IoT 기지국이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로 송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사물인터넷단말인 단말1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다수의 IoT 기지국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
이에, 네트워크장치(100) 즉 패킷수신부(110)는,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 즉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 수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2 이상의 기지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2,3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즉, 이하에서는,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다수의 IoT 기지국 즉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확인부(120)는, 전술한 2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한다.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oT 기지국은, 가까운 주변에서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하면, 이러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기지국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전체를 대상으로, 채널 단위의 주파수대역(F1,F2,...) 별로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를 모니터링하여, 채널상태(SNR)가 급격히 나빠지거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주파수대역이 있으면, 해당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은,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한 IoT 기지국은,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메시지는,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에따른 PUSH DATA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채널)의 식별정보(예: Center Frequency)를 의미하며, 만약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채널)이 다수 개라면 신호교란이 발생한 다수 개 주파수대역(채널)의 식별정보(예: Center Frequency)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은, GWMP(Gateway Message Protocol)이며,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을 감지하여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리는 부분은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은 IoT 기지국이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리는 부분을, IoT 기지국 및 네트워크장치(100) 간의 프로토콜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를 활용하여 새롭게 정의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한 IoT 기지국은,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WMP 규격의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네트워크장치(100) 즉 확인부(120)는, 전술한 2 이상의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을 감지하고,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확인부(120)는,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단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3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PUSH DATA 메시지로부터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지국1,2,3 중에서 특정 기지국 예컨대 기지국3이 확인되면,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지는 업링크 패킷은 사용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더라도, 단말1의 동일한 업링크 패킷이 다른 기지국1,2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고 가능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100)는,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인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특정 기지국 즉 기지국3이 확인되면, 2 이상의 기지국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킨다.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은 주파수대역 F1일 것이므로, 제어부(130)는,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현재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IoT 네트워크에서는, IoT 기지국 스스로가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한편,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정의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전술한 예시의 경우,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메시지는,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Modification Channel Req/Resp)을 의미한다.
아울러,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은, 나머지 기지국1,2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기지국 선택이 변경되기 전까지 네트워크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단말1에 대한 다운링크 패킷은 기지국2를 통해 단말1로 전송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 이후 발생하는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장치(100)에서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즉 주파수대역 F2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며, 선택한 기지국으로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선택 및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기지국1,2,3 중 하나) 역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다운링크 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실현되는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이 이를 네트워크로 알리면, 네트워크 기반의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함으로써 IoT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특성에 따라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이 자연스럽게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결국,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결과적으로는 네트워크 기반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을 실현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기술 중에서도 광역 커버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속 전송(<1kbps) 및 저 전력을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술(LoRa: Long Range)에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적용한다면, 네트워크 기반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이 가능해짐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과가 더욱 기대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 측에 제3자에 의한 악의적인 공격(jamming)이나 타 네트워크의 간섭 등으로 인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사물인터넷단말 주파수대역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물인터넷단말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의 채널상태(SNR)를 모니터링하여, 채널상태(SNR)가 급격히 나빠지거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현재 송신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사물인터넷단말이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은, 이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현재 사물인터넷(IoT) 기술에서는 사물인터넷단말이 스스로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단말은 현재의 송신 주파수대역에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 송신 주파수대역을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한 후 변경한 송신 주파수대역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에 따라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는 상황을 설명하겠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단말1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며(S10),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때,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S20),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GWMP 규격의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S30), 신호교란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PUSH DATA 메시지에 기인하여,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송신해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확인하고,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S40).
이에,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을 수신하여(S50)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기지국1,2,3 중에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S60).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S7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네트워크장치(100)는,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S8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S80),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S90).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q) 내 채널인덱스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S100), 이후 발생하는 제어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sp)를 비롯한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S110).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앞선 도 3을 참조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이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에 이용되는 비면허대역의 주파수 중 하나의 채널(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업링크패킷을 송신하면, 단말1 주변에서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서,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송신한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S20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한다(S210).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 즉 GWMP 규격에 따른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이 있으면(S210 Yes) 그 기지국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3이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을 감지하고,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주파수대역 F1의 Center Frequency)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에 대한 정보(단일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PUSH DATA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3을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PUSH DATA 메시지로부터 신호교란이 발생한 주파수대역 F1을 확인할 수 있다(S22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 단말1이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송신하는 업링크패킷이 수신되면(S230), 기지국1,2,3 중에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S240).
즉, 사물인터넷단말의 업링크패킷을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업링크패킷 기반의 데이터를 해당 사물인터넷단말에 맵핑/보유하여 고객단말에서 사물인터넷단말의 데이터를 확인하고 사물인터넷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등, 다수의 IoT 기지국을 통해서 수신한 업링크패킷들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업링크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기지국1,2,3을 통해서 수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지는 업링크 패킷은 사용하지 않고 버림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
또한, IoT 네트워크에서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더라도, 단말1의 동일한 업링크 패킷이 다른 기지국1,2를 통해서 수신되고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고 가능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3을 통해서 수신된 단말1의 업링크 패킷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인 신호교란을 회피하기 위해,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특정 기지국 즉 기지국3이 확인되면,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킨다.
즉,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은 주파수대역 F1일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에서 단말1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현재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예시의 경우,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제외한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단말1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메시지는, IoT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하도록 하는 시그널링(Modification Channel Req/Resp)을 의미한다.
아울러, 나머지 기지국1,2 중 선택된 기지국은, 나머지 기지국1,2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일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위한 단말1의 업링크 패킷 처리의 제반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지국1,2,3 중 신호교란이 발생한 기지국3을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은 버리고(Drop), 나머지 기지국1,2를 통해 수신되는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기지국3은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1,2 중에서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S25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2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렇게 단말1의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기지국2로 선택하게 되면, 기지국 선택이 변경되기 전까지 네트워크장치(100)에서 발생되는 단말1에 대한 다운링크 패킷은 기지국2를 통해 단말1로 전송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선택된 기지국2을 통해, 단말1이 이용하고 있는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Modification Channel Req)를 단말1로 전송한다(S26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네트워크장치(100)가 제어메시지 즉 다운링크패킷을 기지국2로 송신하면, 기지국2가 주파수대역 F1을 통해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되며, 기지국2에서는 주파수대역 F1에서 신호교란이 감지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1에 다운링크패킷(제어메시지)가 성공적으로 수신될 것이다.
이에, 단말1은, 네트워크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메시지 내 채널인덱스에 따라서, 송신 주파수대역을 현재의 주파수대역 F1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예: 주파수대역 F2)으로 변경하고, 이후 발생하는 업링크 패킷을 변경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송신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신호교란을 주파수대역 별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록 기지국3에서 주파수대역 F1의 신호교란이 발생한 경우라도, 단말1 주변에서 신호교란이 없는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단말1의 업링크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기지국1,2,3은 단말1의 업링크 패킷을 네트워크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1,2,3을 통해서, 단말1이 주파수대역 F2에서 송신한 업링크 패킷을 수신할 것이다(S2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업링크패킷 기반으로 다운링크패킷 송신을 위한 IoT 기지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기지국1,2,3 중 단말1과의 채널상태(SNR) 즉 주파수대역 F2 채널상태(SNR)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를 선택할 것이며, 선택한 기지국으로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송신할 것이다(S280).
이때, IoT 네트워크에서는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도록 정의하므로, 선택 및 단말1의 다운링크 패킷을 수신한 기지국(기지국1,2,3 중 하나) 역시 주파수대역 F2를 통해 다운링크 패킷을 단말1로 송신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100)에 의해 실현되는 본 발명의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은,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이 이를 네트워크로 알리면, 네트워크 기반의 시그널링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단말의 송신 주파수대역을 변경함으로써 IoT 네트워크에서 업링크/다운링크 주파수대역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특성에 따라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이 자연스럽게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신호교란이 발생된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oT 기지국 측에 신호교란이 발생되는 경우 IoT 기지국의 주파수대역을 변경할 수 있는, IoT 네트워크에 적합한 IoT 기지국 주파수대역 변경 방안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네트워크장치
110 : 패킷수신부 120 : 확인부
130 : 제어부

Claims (8)

  1.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하는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특정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은 제외하고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 외에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신호교란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메시지가 수신되는 기지국을, 상기 특정 기지국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는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지국은,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상기 단말과의 채널상태(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가장 우수한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6.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2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는 패킷수신단계;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에서, 신호교란이 발생하는 특정 기지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처리 시, 상기 특정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은 제외하고 상기 2 이상의 기지국 중 상기 특정 기지국 외에 나머지 기지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 만을 사용하는 업링크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지국이 확인되면,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고 있는 주파수대역을 신호교란이 없이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시키는 주파수대역변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대역변경단계는,
    상기 나머지 기지국 중 선택된 기지국을 통해, 송신 주파수대역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제어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2 이상의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의 패킷 송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상기 단말의 업링크 패킷을 수신하게 되는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60117565A 2016-09-12 2016-09-12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187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ko) 2016-09-12 2016-09-12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17/006981 WO2018048077A1 (ko) 2016-09-12 2017-06-30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장치 및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US16/093,356 US11076322B2 (en) 2016-09-12 2017-06-30 Internet of thing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excluding a base station based on a received pushdata message
CN201780023339.5A CN108886501B (zh) 2016-09-12 2017-06-30 物联网设备和用于操作物联网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ko) 2016-09-12 2016-09-12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14A KR20180029514A (ko) 2018-03-21
KR101870237B1 true KR101870237B1 (ko) 2018-06-22

Family

ID=6190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65A KR101870237B1 (ko) 2016-09-12 2016-09-12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77B1 (ko) * 2018-09-06 2020-02-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34279B1 (ko) * 2018-10-31 2020-07-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LoRa 단말장치 및 그 패킷 전송 방법
KR102530056B1 (ko) * 2021-08-11 2023-05-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채널에서의 주파수 자동 변조를 위한 로라 통신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Study of LoRa: Long Range & Low Power Networks for the Internet of Things*
LoRaWAN Specification V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14A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126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由v2x终端执行的v2x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CN11024969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由v2x终端执行的v2x通信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US8725153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resource management procedures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US1072872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779153B2 (en) Device to-device (D2D) discovery
CN108353356B (zh) 通信终端、基站、监视方法、发送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US9258731B2 (en) Load-dependent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2010003998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40056345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08180A1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835468B2 (ja) マスタノード、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86501B (zh) 物联网设备和用于操作物联网设备的方法
KR101713931B1 (ko)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KR101870237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JP2020511032A (ja) コーデックレートアダプテーションのためのビットレート要求の無線状態トリガ
US11357037B2 (en) Scheduling policies for out-of-order grants
EP3435733B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JP646048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基地局および処理方法
US10271340B1 (en) Dynamic offloading of one or more UEs to a different carrier in response to a threshold high number of UEs being served with TTI bundling
KR101953650B1 (ko)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US20240090023A1 (en) Technique For Using Channel Occupancy Time
KR101992033B1 (ko) 경쟁 기반 업링크 전송의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노드
US843728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40172107A1 (en) Radio link monitoring
US20240323957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