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171B1 -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 Google Patents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171B1
KR101870171B1 KR1020160168016A KR20160168016A KR101870171B1 KR 101870171 B1 KR101870171 B1 KR 101870171B1 KR 1020160168016 A KR1020160168016 A KR 1020160168016A KR 20160168016 A KR20160168016 A KR 20160168016A KR 101870171 B1 KR101870171 B1 KR 10187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buoyancy
sensor
opening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6790A (en
Inventor
김용철
윤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171B1/en
Publication of KR2018006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01V9/02Determining existence or flow of underground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8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measuring depth of open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60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using opto-electr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의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 심도 및 담염수 경계면의 심도를 관측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으로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의 수면상에 위치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담염수 경계면에 대응하는 부력으로 조절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염수 경계면상에 위치하는 제2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가 위치하는 담수층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두께를 산출하여 산출값을 기반으로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이 담수층의 수면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으로 상기 제1 부력체의 부력이 조절된 경우, 상기 반사판과 수면의 거리를 통해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여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depth of a fresh water layer and the depth of a boundary between a freshwater layer and a groundwater, comprising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the buoyancy and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reshwater layer, A first buoyant body attached; A first sensor for measuring a depth of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first buoyant body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A second buoyant body which is made of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buoyancy and is controlled by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a salt water and is placed on the observation vessel with the reflector attached thereto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positioned on the sea salt water boundary; A second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where the first buoyant body is located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second buoyant body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reflector of the second buoyant body; And calculating a depth of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calculating a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Wherein when the buoyant force of the first buoyant body is adjusted by the buoyancy of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located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freshwater layer, The depth value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or.

Description

대기압 보정이 필요 없는 지하수 관측시스템{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관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압 센서나 수중 압력센서를 통한 압력의 보정이 없이도 지하수의 담수층 해발심도와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심도를 관측할 수 있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observing the elevation depth of a freshwater layer in a groundwater and the depth of sea surface at a boundary between a chloride ion and a chloride ion without correction of pressure through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or an underwater pressure sensor will be.

일반적으로 해안지역에서는 과다한 지하수 사용으로 지하수의 수위가 낮아짐으로써 지하수에 염수(바닷물)가 유입되어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하여 지하수를 식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도 사용하지 못하는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In general, coastal areas are exposed to the risk of not being able to use ground water for drinking water as well as agricultural water or industrial water because the groundwater level is lowered due to excessive use of groundwater.

지하수 중 담염수 경계면(담수와 염수의 경계면)은 두 가지의 기작에 의해 변화한다. The groundwater interface between freshwater and saltwater changes underground by two mechanisms.

첫째는 담수층의 두께가 감소하는 현상이고, 다른 하나는 염수층의 두께가 변화하는 현상이다.The first is the phenomenon that the thickness of the freshwater layer decreases and the other is the phenomenon that the thickness of the brine layer changes.

담수층의 두께는 강우에 의해 증가하기도 하고, 주변의 양수활동에 의해 감소하기도(얇아지기도) 한다.The thickness of the freshwater layer is either increased by rainfall or decreased (thinned) by surrounding amphibian activity.

염수층은 조석현상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주기적으로 변함에 따라 변화하며, 최근들어 지구의 온난화 현상에 의해 해수면이 점진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변화한다.The brine layer changes as the height of the sea surface changes periodically due to tidal phenomena and recently changes as the sea level gradually increases due to global warming.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현상에 의해 담수층의 두께가 얇아지고 염수층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에는 담염수 경계면이 상승하고, 담수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염수층 두께가 낮아질 경우에는 담염수 경계면이 하강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freshwater layer becomes thinner and the thickness of the brine layer becomes thicker due to various phenomena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between the brine and the brine is lowered when the thickness of the freshwater layer becomes thicker and the thickness of the brine layer becomes lower .

이와 같이 지하수의 과다한 양수활동, 강우, 조석현상,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 등 다양한 복합적인 현상에 의하여 담염수의 경계면이 위치가 수시로 변화한다.In this way, the interfacial boundary surface changes frequently due to various complex phenomena such as excessive pumping of groundwater, rainfall, tidal phenomena, and rising sea level due to global warming.

이에 따라, 해안지역에서는 지하수 관측정을 뚫고, 관측정에 지하수위, 온도, 전기전도도의 값, 담염수 경계면의 위치 등을 측정하는 유선 또는 무선 측정센서를 설치하여 지하수의 변화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운영해오고 있다.Therefore, in the coastal area, a wired or wireless measurement sensor is installed to measure the groundwater level, the temperature, the electric conductivity value, and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groundwater and the groundwater. have.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352호에 개시된 해안 지하수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As a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astal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5352,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선행기술은 관측정에 삽입되어 담염수 경계면상에서 이동하는 담염수 경계면 위치 추적장치; 담염수 경계면 위치 추적장치와의 제1 거리를 측정하면서 수압도 측정하는 제1 측정센서; 관측정에 삽입되어 지하수면을 측정하는 수면측정센서; 관측정에 삽입되어 대기중에 설치된 상태로 대기압을 측정하는 제2 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ior art is a device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a pyroclastic fluid interface on the boundary of a pyroclastic fluid inserted into an observation well; A first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water pressure while measuring a first distance from the pyroclastic salt water interface position tracking device; A sleep sensor inserted into an observation table and measuring underground water; And a second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pressure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atmosphere.

이러한 선행기술은 제1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수압과 제2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압을 통해 수면측정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여 연산한다.This prior art computes by calibra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leep sensor through the water pressure measured by the first measurement sensor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measured by the second measurement sensor.

그런데, 선행기술은 대기압센서나 수압센서의 구성이 있어야만 정확한 관측이 가능한 한계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that accurate observation can be performed only if there is atmospheric pressure sensor or water pressure sensor configu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352호Korean Patent No. 10-12553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대기압센서나 수압센서의 구성이 없이도 복수의 부력체 및 복수의 레이저조사기를 통해 각 구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담염수 경계면의 변화나 담수층의 두께를 관측할 수 있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ccurately measuring the distance of each s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buoyant bodies and a plurality of laser irradiators, And to provide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observing the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측시스템은, 지하수의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 심도 및 담염수 경계면의 심도를 관측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으로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의 수면상에 위치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담염수 경계면에 대응하는 부력으로 조절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염수 경계면상에 위치하는 제2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가 위치하는 담수층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두께를 산출하여 산출값을 기반으로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이 담수층의 수면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으로 상기 제1 부력체의 부력이 조절된 경우, 상기 반사판과 수면의 거리를 통해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여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that is inserted into an observation groundwater of an underground water to observe a depth of a freshwater layer and a depth of a boundary between the saline water and a buoyant water, A first buoyant body plac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having a reflector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sensor for measuring a depth of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first buoyant body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A second buoyant body which is made of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buoyancy and is controlled by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a salt water and is placed on the observation vessel with the reflector attached thereto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positioned on the sea salt water boundary; A second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where the first buoyant body is located and measuring a distance to the second buoyant body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reflector of the second buoyant body; And calculating a depth of water of the fresh water layer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and calculating a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Wherein when the buoyant force of the first buoyant body is adjusted by the buoyancy of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located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freshwater layer, The depth value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through the first sensor.

예컨대,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본체; 상기 부력체본체의 중공에 채워져 중량을 제공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제; 및 상기 부력체본체의 개구부를 수밀가능하게 차폐하는 차폐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may include: a buoyant body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t one side thereof to provide buoyancy through the hollow; A buoyancy regulator for regulating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while filling the hollow of the buoyant body to provide weight; And a shield cap for watertightly shield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또한,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개구부를 1차로 개폐가능하게 차폐하고, 상기 차폐캡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for firstly opening and closing a hollow opening formed in the buoyant body and for sealing the opening while being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And the like.

예컨대,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차폐캡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실링판; 및 상기 실링판과 상기 부력체본체를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통해 상기 실링판을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sealing plate that is seat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shields the opening, and is pressed against the rim of the opening while being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And a coupler for connecting the sealing plate to the edge of the opening through an elastic force while connecting the sealing plate and the buoyancy body.

예컨대, 상기 커플러는, 상기 실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구;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에 형성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실링판을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개구부에서 이격상태로 개방됨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실링판을 리턴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er may include: a first stopper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A second latching part formed on the buoyancy body in a symmetrical state with the first latching part; The sealing plate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seal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and the sealing plate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seal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And returning the elastic body.

또한,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중앙외경을 확장시키는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단부를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배흘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protrudes in such a manner as to form an identical body with the buoyant body and enlarge a central outer diameter of the buoyant body, And a deflector for separating the end por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head.

여기서, 상기 배흘림부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상단부나 하단부 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port may protrude in a state of being biased toward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buoyant body.

또한,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단부와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측에 제각기 돌출되어 아령형태를 이루고,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곡면상태로 대면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단부를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덤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is in the form of a dumbbell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buoyant body in the state of being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And a dumbbell portion that separates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head.

여기서, 상기 덤벨부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이 상기 부력체본체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될 수 있다.Here, the dumbbell portion may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and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측시스템에 따르면, 제1 부력체 및 제1 센서를 통해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측정하면서 제2 부력체 및 제2 센서를 통해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대기압센서나 수압센서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부력체에 부착된 반사판의 위치가 수면에 일치하지 않는 부력으로 조절되었을 경우에도 컨트롤러가 반사판과 수면과의 거리를 통해 제1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므로 좀 더 정확한 관측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oundwater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ion depth of the fresh water layer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first sensor and the elevation depth of the sea water interfac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second buoyant body and the second sensor,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or the hydraulic pressure sensor can be simplified and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plate attached to the buoyant body is adjusted by buoyancy which does not coincide with the water surface, the controller corrects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or and the water surface So that more accurate observation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부력체가 중공을 갖는 부력체본체와 부력조절제 및 차폐캡을 구성됨에 따라 부력체본체의 부력 조절이 용이하고, 부력체본체의 중공과 차폐캡의 사이에 밀봉부재가 구성됨에 따라 부력체본체가 좀 더 견고하게 수밀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oyant body having the hollow body, the buoyancy adjusting agent and the shielding cap are constituted by the buoyant body, the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sealing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hollow of the buoyant body and the shielding cap The buoyant body can be watertight more tightly.

또한, 본 발명은 부력체본체에 배흘림부나 덤벨부가 마련될 경우에는 부력체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관측정의 내주면과 이격됨에 따라 부력체본체가 관측정의 구조물에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charge port or the dumbbell portion is provided in the buoyancy body, the buoyancy body can smoothly move up and down without being caught by the buoyancy structure a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uoyancy body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지하수 관측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부력체 및 제2 부력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폐캡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제1 부력체 및 제2 부력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제1 부력체 및 제2 부력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ystematic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irst buoyant body and a second buoyant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eld cap shown i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Fig.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측시스템은 주로 해안지역에 설치된 관측정에 투입되어 지하수의 수위나 담염수 경계면의 수위를 관측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력체(100), 제1 센서(200), 제2 부력체(300), 제2 센서(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roundwater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observatory installed in a coastal area to observe the water level of the groundwater or the saltwater interface. The first float body 100, A first sensor 200, a second buoyant body 300, a second sensor 400, and a controller 500.

제1 부력체(100)는 관측정(1)에 투입되어 지하수의 수면, 즉 담수층의 수면상에 위치하며, 상면에 마련된 반사판(100a)을 통해 후술되는 제1 센서(200)의 레이저를 반사하여 담수층의 위치를 제공하는 부재이다.The first buoyant body 100 is placed in the observation vessel 1 and is position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groundwater,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freshwater layer. The first buoyant body 100 reflects the laser of the first sensor 200 described later through the reflection plate 100a, Thereby providing the position of the fresh water layer.

이러한 제1 부력체(100)는 부력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반사판(10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buoyant body (10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buoyancy so that the height of the reflection plate (100a)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제1 부력체(100)는 부력을 크게 조절하여 반사판(100a)이 수면 위로 부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으며, 부력을 작게 조절하여 반사판(100a)이 수면에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uoyant body 100 can be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buoyancy of the first buoyancy force is adjusted to be floated above the water level, and the buoyancy of the first buoyant body 100 can be adjusted to be small so that the reflector 100a coincides with the water level.

예컨대, 제1 부력체(100)는 나무나 스티로폼과 같이 물에 뜨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면서 외부에 중량체가 부착될 수 있으며, 중량체의 수량을 추가하거나 생략하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uoyant body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oating buoyancy such as wood or styrofoam, and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and buoyancy may be adjusted by adding or omitting the quantity of the weight.

이와 달리, 제1 부력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111)을 갖는 튜브형태로 형성되어 부력을 가질 수 있으며, 중공(111)에 중량체를 투입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2, the first buoyant body 100 may have a buoyancy in the form of a tube having a hollow 111 therein as shown in FIG. 2, and the buoyant force may be adjusted by injecting a weight into the hollow 111 .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부력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1)을 갖는 부력체본체(110), 부력조절제(120) 및 차폐캡(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uoyant body 100 includes a buoyant body 110 having a hollow 111, a buoyancy adjuster 120, and a shield cap 130 as shown in FIG. .

부력체본체(110)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111)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염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t body 11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lame resistance, and a hollow 111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is formed therein.

부력조절제(120)는 부력체본체(110)의 중공(111)에 채워져 부력에 상반되는 중량을 제공하면서 부력체본체(110)의 부력을 조절한다.The buoyancy regulator 120 is filled in the hollow 111 of the buoyancy body 110 to adjust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body 110 while providing a counterweight to the buoyancy.

이러한 부력조절제(120)는 중공(111)에 원활하게 투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중량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며, 예컨대, 모래나 증류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buoyancy adjusting agent 120 may be any weight as long as it is capable of being smoothly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hollow 111. For example, sand or distilled water may be used.

차폐캡(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 중공(111)의 개구부를 수밀가능한 상태로 차폐한다.The shield cap 130 shields the opening of the hollow body 111 of the buoyancy body 110 in a watertight state as shown in FIG.

이러한 차폐캡(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에 나사결합되면서 중공(111)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나사부에 수밀부재(131)가 구비된 상태로 부력체본체(110)에 결합됨에 따라 개구부를 수밀상태로 밀봉한다.2, the shield cap 130 is screwed to the buoyant body 110 to shield the opening of the hollow 111 and the buoyant body 131 110 so that the openings are tightly sealed.

여기서, 중공(111)의 개구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131)가 밀착상태로 안착되기 위한 수밀시트(132)가 형성된다.3, the opening portion of the hollow 111 is formed with a watertight sheet 132 for allowing the watertight member 131 to be adhered in a close contact state.

이러한 수밀시트(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형태인 경사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watertightness sheet 132 is preferably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watertightness sheet 132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buoyant body 110.

즉, 수밀부재(131)는 차폐캡(130)이 조여짐에 따라 경사면형태의 수밀시트(132)에 밀착되면서 개구부를 밀봉시킨다.That is, the watertightness member 131 is tightly attached to the watertight sheet 132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as the shielding cap 130 is tightened, thereby sealing the opening.

예컨대, 수밀부재(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캡(130)의 나사부에 끼워지는 O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패킹이나 가스켓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watertight member 131 may be configured as an O-ring that fits in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hield cap 130 as shown, or alternatively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cking or gasket.

한편, 차폐캡(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138)이 내장되어 미도시된 견인기의 전자석에 고정되면서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견인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반사판(100a)이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3, the shield cap 130 can be pull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while being fixed to the electromagnet of the retractor (not shown) in which the metal plate 138 is embedded, .

여기서, 반사판(100a)은 차폐캡(130)이 부력체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될 경우에는 차폐캡(130)의 상면에 부착되며, 차폐캡(130)의 다른 위치에 결합될 경우에는 부력체본체(110)의 상면에 부착된다.When the shielding cap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110, the reflection plate 100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cap 130. When the shielding cap 130 is coupled to another position of the shielding cap 130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110.

또한, 제1 부력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buoyant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140 as shown in FIG.

밀봉부재(140)는 차폐캡(130)에 의해 개폐되는 부력체본체(110)의 개구부를 1차로 개폐하면서 차폐캡(130)에 의해 가압되어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부재이다.The sealing member 140 is a member that is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130 to seal the opening portion while first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buoyancy body 110 opened and closed by the shielding cap 130. [

예컨대, 밀봉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판(141) 및 커플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140 may include a sealing plate 141 and a coupler 142 as shown in FIG.

실링판(141)은 후술되는 커플러(142)에 의해 가압되면서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어 개구부를 1차로 차폐하며, 부력체본체(110)에 나사결합되는 차폐캡(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된다.The sealing plate 141 is seat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while being pressurized by the coupler 142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hield the opening portion firstly and is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130 screwed to the buoyancy body 110, As shown in Fig.

이러한 실링판(141)은 고무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일체로 구비된 판재로 구성되거나 고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aling plate 141 may be formed of a plate memb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such as a rubber ring, or may be formed of a rubber plate.

커플러(142)는 실링판(141)을 부력체본체(110)에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실링판(141)을 부력체본체(110)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예컨대 도 4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구(142a), 제2 걸림구(142b) 및 탄성체(14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upler 142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sealing plate 141 to the buoyancy body 11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closely contact the sealing plate 141 to the edge of the buoyancy body 110. For example, And may include a first latching part 142a, a second latching part 142b, and an elastic body 142c as shown in FIG.

제1 걸림구(142a)는 실링판(141)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제2 걸림구(142b)는 제1 걸림구(142a)와 대칭상태로 부력체본체(110)에 일체로 구비된다.The first latching part 142a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141 and the second latching part 142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uoyancy body 110 in a symmetrical state with the first latching part 142a do.

여기서, 제2 걸림구(142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구조물(142d)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latching part 142b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tructure 142d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buoyancy body 110 as shown in FIG.

탄성체(142c)는 실링판(1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장된 상태로 양단부가 제1 걸림구(142a) 및 제2 걸림구(142b)에 제각기 걸림으로써 실링판(141)을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시킨다.The elastic member 142c is a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aling plate 141. The elastic member 142c may be a tension coil spr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nd the sealing plate 14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im of the opening by engaging with the two latching holes 142b.

그리고, 탄성체(142c)는 실링판(141)이 개구부에서 이격되면서 개방될 경우,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통해 실링판(141)을 리턴시킨다.When the sealing plate 141 is opened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ing, the elastic body 142c returns the sealing plate 141 through the elastic force while being stretched.

한편, 제1 부력체(100)는 배흘림부(150)나 덤벨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buoyant body 100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50 or a dumbbell portion 160.

배흘림부(150) 또는 덤벨부(160)는 관측정(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지하수유입구나 요철과 같은 구조물에 부력체본체(110)의 양단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e deflector 150 or the dumbbell 160 is a component for preventing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110 from being caught by a structure such as a groundwater inflow hole or a concavo-convex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vessel 1.

배흘림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중앙 외주면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부력체본체(110)의 양단부를 관측정(1)의 내주면과 이격시킨다.As shown in FIG. 4, the discharge port 150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centr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oyant body 110 to separate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110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vessel 1.

이에 따라 배흘림부(150)는 관측정(1)의 내주면에 곡면상태로 대면하면서 부력체본체(110)의 양단부나 전술한 차폐캡(130)이 관측정(1)의 지하수유입구나 요철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The discharge port 150 prevents the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110 and the shield cap 130 from being caught by the underground water inflow or outflow of the observation vessel 1 whil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vessel 1 in a curved state, do.

즉, 부력체본체(110)는 곡선단면의 배흘림부(150)를 통해 관측정(1)의 내주면에 먼저 접촉함에 따라 양단부의 걸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That is, the buoyant body 110 can smoothly ascend and descend without being caught by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110 as it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head 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0 of the curved section.

여기서, 배흘림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Here, the pouring part 15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예컨대, 배흘림부(15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하단부 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돌출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으며,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흘림구조의 날개형태를 이루면서 부력체본체(110)에 방사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the discharge port 150 may protrude in a biased state toward the lower end side of the buoyancy body 110, or may protrude in a biased state toward the upper end side as shown in (b) And can be radially projected to the buoyant body 110 as a wing shape of a discharge structure as shown in (c).

또한, 배흘림부(150)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태로 돌출되거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태로 돌출되면서 양단부와 경사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와 직선상태로 연결되면서 돌출될 수 있다.5 (d), or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in an inclined state while being projected in a columnar shape as shown in (e) And may be protruded while being linearly connected to both ends as shown.

덤벨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양단부 즉 상단 및 하단부와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부 및 하부에 제각기 곡면형태로 돌출되어 대략 아령형태를 형성하며, 관측정(1)의 내주면과 곡면상태로 대면함에 따라 부력체본체(110)의 양단부를 관측정(1)의 내주면과 이격시킨다.As shown in FIG. 6, the dumbbell portion 160 is formed in a shape of a curved surface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to form an approximate dumbbell shape, while being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110,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buoyant body 110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head 1.

이에 따라, 부력체본체(110)는 곡선단면의 덤벨부(160)를 통해 관측정(1)의 내주면에 먼저 접촉함에 따라 양단부나 차폐캡(130)의 걸림이 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uoyant body 110 can smoothly ascend and descend without engaging the both ends or the shield cap 130 b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servation head 1 through the dumbbell 160 of the curved section.

여기서, 덤벨부(160)는 도 7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본체(110)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이 상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될 수 있다.7 (g), the dumbbell portion 160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110 to a greater extent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rotruded portion.

즉, 덤벨부(160)는 부력체본체(110)의 하부에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됨으로써 부력체본체(110)의 무게중심을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체본체(110)는 좀 더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That is, the dumbbell portion 160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110 with a larger outer diamet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ant body 110 can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ccordingly, the buoyant body 110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이와 달리, 덤벨부(160)는 도 7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외경이 하부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7 (h), the outer diameter of the dumbbell portion 16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한편, 부력체본체(110)에는 도 7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부분(165)이 복수를 이룰 수 있으며, (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부분(165)이 단수를 이룰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7 (i), the buoyant body 11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ed portions 16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otruded portions 165 (j) ) This can also be a singular number.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부력체(100)의 구성은 후술되는 제2 부력체(3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uoyant body 100 described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econd buoyant body 300 described later.

제1 센서(200)는 관측정(1)에 투입된 제1 부력체(1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1 부력체(100)가 위치하는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레이저발생기로 구성되어 제1 부력체(100)의 반사판(100a)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한다.The first sensor 200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depth of sea level of the fresh water layer where the first buoyant body 100 is loc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first buoyant body 100 placed in the observation vessel 1, A laser is irradiated toward the reflection plate 100a of the first buoyant body 100, and a reflected laser is received to measure the distance.

이러한 제1 센서(200)는 해수면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측정된 거리를 통해 담수면, 즉 관측정(1)의 지하수면의 해발 심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컨트롤러(500)를 통해 해수면과의 높이차를 보정하여 해발 심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The first sensor 20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ea surface, and can measure the elevation depth of the water surface, that is, the ground water surface of the observation tower 1 through the measured distance. And the elevation difference of the elevation can be measured.

제2 부력체(300)는 담염수 경계면에 대응하는 부력으로 조절된 상태로 관측정(1)에 투입되어 담염수 경계면 상에 위치하며, 지하수의 수위변동에 의해 담염수 경계면을 따라 승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econd buoyant body (300) is placed on the meteorological vessel (1) in a state controlled by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sea salt water interface and is located on the boundary of the sea salt water, to be.

이러한 제2 부력체(300)는 전술한 제1 부력체(1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부력이 조절되며, 상면에 반사판(100a)이 부착되어 담염수 경계면의 위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buoyant body 300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uoyant body 100 described above, and its buoyancy is regulated, and a reflector 100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provide a position of the sea salt water interface.

제2 센서(400)는 제2 부력체(300)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담수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센서(200)와 동일하게 레이저발생기로 구성되어 제2 부력체(300)의 반사판(100a)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거리를 측정한다.The second sensor 400 is a component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buoyant body 300. The second sensor 400 is composed of a laser generator, And the distance is measured by irradiating the laser toward the reflection plate 100a.

이러한 제2 센서(400)는 제1 부력체(100)가 위치하는 담수면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부력체(100)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설치되어 담수층의 수중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도 있다.The second sensor 400 may be install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esh water surface where the first buoyant body 100 is located. The second sensor 400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buoyant body 100, .

컨트롤러(500)는 제1 센서(200) 및 제2 센서(400)의 측정값을 통해 담수층의 해발 심도와 담수층의 두께 및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ler 500 is a component for calculating the elevation depth of the fresh water layer, the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the elevation depth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yroclastic flows through the measured values of the first sensor 200 and the second sensor 400.

이러한 컨트롤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정(1)의 외부에 설치된 상태로 제1 센서(200) 및 제2 센서(400)와 연결되며, 제1 센서(200)에서 인가된 측정값을 통해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고, 제2 센서(400)에서 인가된 측정값을 통해 담수층의 두께 및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한다.1, the controller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200 and the second sensor 400 in a state where the controller 500 is installed outside the observation unit 1, The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the elevation depth of the sea salt water interface are calculated through the measurement value applied by the second sensor 400. [

여기서, 컨트롤러(500)는 제1 부력체(100)의 반사판(100a)이 담수면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부력으로 제1 부력체(100)가 부력조절되었을 경우에는, 제1 센서(200)와 반사판(100a)과의 거리(A1)에 반사판(100a)과 담수면과의 거리(A2)를 합해서 담수층의 해발 심도(A)를 산출한다.When the first buoyant body 100 is buoyantly adjusted by the buoyant force of the reflection plate 100a of the first buoyant body 100 located above the freshwater surface, The depth A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by adding the distance A1 between the reflection plate 100a and the water surface to the distance A1.

또한, 컨트롤러(500)는 제2 센서(400)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두께(B)를 산출하면서 제2 센서(400)와 제2 부력체(300)의 거리(B1)에 담수면으로부터 제2 센서(400)의 거리(B2)를 합해서 담수층의 두께(B)를 산출한다.The controller 50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400 and calculates the thickness B of the fresh water layer to calculate the distance B 1 between the second sensor 400 and the second buoyant body 300 The thickness (B)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by adding the distance (B2) of the second sensor (400) from the water surface.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산출된 담수층의 해발 심도(A)와 담수층의 두께(B)를 합해서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심도(C)를 산출한다.The controller 500 then calculates the elevation depth C of the sea salt water interface by summing the calculated elevation depth A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the thickness B of the fresh water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수 관측시스템은, 제1 부력체(100) 및 제1 센서(200)를 통해 담수층의 해발 심도(A)를 측정하면서 제2 부력체(300) 및 제2 센서(400)를 통해 담수층의 두께(B) 및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C)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대기압센서나 수압센서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부력체(100)에 부착된 반사판(100a)의 위치가 수면에 일치하지 않는 부력으로 조절되었을 경우에도 컨트롤러(500)가 반사판(100a)과 수면과의 거리(A2)를 통해 제1 센서(200)의 측정값을 보정하므로 좀 더 정확한 관측을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oundwater obser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elevation depth A of the fresh water layer through the first buoyant body 100 and the first sensor 200, Since the thickness B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the elevation depth C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yrolysis salt water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sensor 400, the structure of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can be simplified, The controller 500 corrects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sensor 200 through the distance A2 between the reflector 100a and the water surfac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first sensor 100a is adjusted by the buoyancy not matching the water surface, Accurate observation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제1 부력체
110 : 부력체본체 120 : 부력조절제
130 : 차폐캡 140 : 밀봉부재
141 : 실링판 142 : 커플러
142a : 제1 걸림구 142b : 제2 걸림구
142c : 탄성체
150 : 배흘림부 160 : 덤벨부
200 : 제1 센서
300 : 제2 부력체
400 : 제2 센서
500 : 컨트롤러
1 : 관측정
100: 1st buoyant body
110: buoyant body 120: buoyancy adjuster
130: shielding cap 140: sealing member
141: sealing plate 142: coupler
142a: first stopping portion 142b: second stopping portion
142c: elastic body
150: Pouring part 160: Dumbbell part
200: first sensor
300: 2nd buoyant body
400: second sensor
500: controller
1: Observation

Claims (9)

지하수의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 심도 및 담염수 경계면의 심도를 관측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으로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의 수면상에 위치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담수층의 해발 심도 측정값을 수집하는 제1 센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담염수 경계면에 대응하는 부력으로 조절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염수 경계면상에 위치하는 제2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가 위치하는 담수층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담염수층의 해발 심도 측정값을 수집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 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두께를 산출하여 산출값을 기반으로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이 담수층의 수면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으로 상기 제1 부력체의 부력이 조절된 경우, 상기 제1부력체의 반사판과 수면의 거리를 통해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여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며,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본체;
상기 부력체본체의 중공에 채워져 중량을 제공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제;
상기 부력체본체의 개구부를 수밀가능하게 차폐하는 차폐캡;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개구부를 1차로 개폐가능하게 차폐하고, 상기 차폐캡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밀봉부재;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안착되면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고, 상기 차폐캡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되는 실링판; 및
상기 실링판과 상기 부력체본체를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통해 상기 실링판을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
A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the depth of the fresh water layer and the boundary of the chloride ion,
A first buoyant body made of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the buoyancy and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resh water layer, the reflector being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buoyant body;
A first sensor which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buoyant body and the first buoyant body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ward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to collect a sea level measurement value of the freshwater layer;
A second buoyant body which is made of a buoyant body capable of adjusting buoyancy and is controlled by buoyancy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of the sea salt water and is placed on the observation vessel with the reflector attached thereto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positioned on the sea salt water boundary;
The second buoyant body is installed in the water of the freshwater layer where the first buoyant body is loc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uoyant body and the second buoyant body is measured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reflector of the second buoyant body, sensor; And
The thickness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cond sensor to calculate the depth of sea surface of the sea water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comprising:
When the buoyancy of the first buoyant body is adjusted by the buoyancy of the reflector of the first buoyant body located above or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freshwater layer, The depth of the fresh water layer is calculated,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comprises:
A buoyant body formed with a hollow opening at one side thereof to provide buoyancy through the hollow;
A buoyancy regulator for regulating buoyancy of the buoyant body while filling the hollow of the buoyant body to provide weight;
A shield cap for watertightly shielding the opening of the buoyant body;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comprises:
A sealing member which shields the hollow opening formed in the buoyant body so as to be able to be opened and closed at first and which is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to seal the opening;
The sealing member
A sealing plate that is seated along the rim of the opening and shields the opening and is pressed against the rim of the opening while being pressed by the shielding cap; And
And a coupler for connecting the sealing plate to the edge of the opening through an elastic force while connecting the sealing plate and the buoyant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실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1 걸림구;
상기 제1 걸림구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에 형성되는 제2 걸림구; 및
상기 제1 걸림구 및 상기 제2 걸림구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실링판을 상기 개구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실링판이 상기 개구부에서 이격상태로 개방됨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실링판을 리턴시키는 탄성체;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중앙외경을 확장시키는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대면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단부를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배흘림부;
상기 배흘림부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상단부나 하단부 측으로 편중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er
A first latching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plate;
A second latching part formed on the buoyancy body in a symmetrical state with the first latching part; And
The sealing plate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sealing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and the sealing plate is returned to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openings and the second latching opening, ;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comprises:
A discharge po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easuring hea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asuring head while fac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asuring head while being in the same shape as the buoyant body,
[0027]
Wherein the buoyant body is protruded in a biased state toward an upper end portion or a lower end portion side of the buoyant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체 또는 상기 제2 부력체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단부와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측에 제각기 돌출되어 아령형태를 이루고,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곡면상태로 대면하면서 상기 부력체본체의 양단부를 상기 관측정의 내주면과 이격시키는 덤벨부;
상기 덤벨부는,
상기 부력체본체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이 상기 부력체본체의 상부에 돌출된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oyant body or the second buoyant body comprises:
Wherein the buoyant body is formed in a dumbbell shape and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buoyant body so as to be adjacent to both end portions of the buoyant body so that both ends of the buoyant body are spac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ssel Dumbbell part;
The dumbbell portion
Wherein an outer diameter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is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a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삭제delete
KR1020160168016A 2016-12-09 2016-12-09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KR101870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016A KR101870171B1 (en) 2016-12-09 2016-12-09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016A KR101870171B1 (en) 2016-12-09 2016-12-09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90A KR20180066790A (en) 2018-06-19
KR101870171B1 true KR101870171B1 (en) 2018-06-22

Family

ID=6276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016A KR101870171B1 (en) 2016-12-09 2016-12-09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17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613B1 (en) * 2018-11-15 2019-10-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ultichannel freshwater-brine mixing zone at groundwater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monitoring freshwater-brine mixing zone at groundwater in borehole
KR102532930B1 (en) * 2022-10-20 2023-05-17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underwater
CN115540976B (en) * 2022-11-24 2023-04-21 安徽新建控股集团有限公司 Directional measurement device based on buoyancy and directional measurement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910A (en) * 2004-09-24 2006-03-29 정이호 Precision hydrometer and system
KR101255352B1 (en) * 2012-04-26 2013-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onitoring system for coastal groundwater and saline water lev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1452A (en) * 2007-03-05 2008-09-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for determining fresh-saltwater interface in a coastal aquifer using pressure data
KR20100030340A (en) * 2008-09-10 2010-03-18 정현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oundary of fresh water and salt water in undergroun water
KR101591266B1 (en) * 2014-06-20 2016-02-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onintering probe for observing underground 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7910A (en) * 2004-09-24 2006-03-29 정이호 Precision hydrometer and system
KR101255352B1 (en) * 2012-04-26 2013-04-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onitoring system for coastal groundwater and saline water lev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영상(2015.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90A (en)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266B1 (en) Monintering probe for observing underground water
KR101870171B1 (en) Observ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KR101255352B1 (en) Monitoring system for coastal groundwater and saline water level
US9395230B2 (en) Fill level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fill level
KR100977155B1 (en) Position-tracking device for freshwater-saltwater interface
US8806769B2 (en) Bullseye indicator and method
US9964425B2 (en) System for monitoring coastal underground water
KR102058451B1 (en) Measurement instrument for speed through water in towing tank by laser doppler velocimetry
ES2343075T3 (en) RESIDUAL WATER SEDIMENTATION INSTALLATION.
EA201390009A1 (en) SUBMARINE SYSTEM FOR OIL AND GAS COLLECTION
KR101468702B1 (en) tracking buoy for spilled oil on the sea
KR101380912B1 (en) Ocean current observing buoy apparatus
KR101642210B1 (en) Air Vent Head
KR101797996B1 (en) Staff Apparatus
US9386765B1 (en) Reeled string duck decoy
KR101930999B1 (en) Inflatable floating device with metal bladder unit for small ship
KR101427063B1 (en) Ocean observation buoy
ES2547251B2 (en) Oceanographic buoy with procedure to delay the biofouling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KR20170036399A (en) Air vent for ship
MA33490B1 (en) SUBMERSIBLE DEVICE FOR THE COUPLING OF TURBINES OR HYDRAULIC WHEELS FOR THE ENERGY EXPLOITATION OF A WATER CURRENT
KR102063687B1 (en) Multi-type sensor damage prevention frame
KR102013355B1 (en) DGPS integrated power supply with single beam echo sounder
CN212747971U (en) Laser measuring tube for measuring water gauge
RU2020122187A (en) SYSTEM AND METHOD FOR POLLUTION AND/OR CORROSION PREVENTION ON SHIPS AND MARINE OBJECTS
RU102588U1 (en) NAVIGATION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