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747B1 -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 Google Patents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747B1
KR101869747B1 KR1020160141374A KR20160141374A KR101869747B1 KR 101869747 B1 KR101869747 B1 KR 101869747B1 KR 1020160141374 A KR1020160141374 A KR 1020160141374A KR 20160141374 A KR20160141374 A KR 20160141374A KR 101869747 B1 KR101869747 B1 KR 10186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unit
sub
exhaust ga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439A (ko
Inventor
이승제
김종국
조현철
조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명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명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명산업
Priority to KR102016014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7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4Heav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e.g. mercu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200)은,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입자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 유닛(300)과, 상기 제1 필터 유닛(300)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가스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매체를 포함하는 제2 필터 유닛(400; 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FILTER MODULE FOR DISCHARGED GAS OF COMBUSTION FACILITY AND FILTER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중금속 및 가스상 중금속을 모두 걸러낼 수 있는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대기 중 수은을 필두로 하는 중금속의 배출량 증대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어 그 규제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상황이다.
대기 중의 중금속은 소각로, 발전소(특히 석탄화력발전소), 시멘트 공장, 산업용 보일러 등의 산업 연소시설에서 주로 발생된다.
국내의 경우에도 일부 소각로 및 발전소 등에서 대기 중 중금속 배출량이 위험 수준에 다다른 상태이거나 나날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연소시설 배출가스로부터 분진 등의 오염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설비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 설비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설비(10)는 가스 유입구(11a) 및 가스 배출구(11b)를 가진 필터 챔버(11)와, 그 필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된 필터 장착판(12)과, 그 필터 장착판에 장착된 복수의 필터 모듈(13)을 포함한다.
각 필터 모듈(1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섬유 조직 형태의 필터 바디부(14)와, 그 필터 바디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결합 부재(15)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 부재(15)는 전술한 필터 장착판(12)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도 2(a) 및 이에 대한 I-I' 단면도인 도 2(b)에 도시된 참조번호 17은 필터 바디부(14)가 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하는 케이지(cage) 형태의 지지 와이어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필터 모듈(13)에 의해 배출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주로 걸러지며 그와 함께 배출가스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들 중에서 입자상 성분들이 또한 걸러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필터 모듈(13)에 의해서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들 중에서 가스상 성분들은 걸러질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필터 모듈(13)이 적용된 경우, 배출가스 내의 가스상 중금속 성분들을 걸러내기 위해 그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중금속뿐만 아니라 가스상 중금속도 함께 걸러낼 수 있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모듈(200)로서,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입자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 유닛(300)과, 상기 제1 필터 유닛(300)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가스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매체를 포함하는 제2 필터 유닛(400; 500)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은 분진과 입자상 중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은 가스상 중금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가스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매체는 첨착 활성탄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 유닛(300)은, 섬유상 지지체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필터 바디부(310)와, 상기 필터 바디부(310)의 상단에 부착된 결합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바디부(310)는, 섬유상 지지체와, 상기 섬유상 지지체 상에 코팅되며 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유닛은, 다수의 홀들(431a)이 형성된 필터매체 수용체(431)와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 내에 수용된 필터매체(435)를 포함하는 필터 바디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431)는 원통형의 내막(432) 및 상기 내막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외막(433)을 포함하며,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상기 필터매체(43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유닛(400)은, 상기 필터 바디부(430)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필터 유닛(300)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부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 유닛(50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스냅 체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필터매체 수용체와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 내에 수용된 필터매체를 포함하는 필터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는 원통형의 내막 및 상기 내막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외막을 포함하며,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상기 필터매체가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과,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40)과, 상기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과 상기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서브 필터 유닛(520, 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은, 상기 필터 바디부(51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필터 유닛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부재(512)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커플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20)은, 상기 필터 바디부(52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커플러(550)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서브 필터 유닛(530; 540)은, 상기 필터 바디부(531; 54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 및 하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커플러(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설비(100)로서, 가스 유입구(111)와 가스 배출구(112)를 가진 필터 챔버(110)와, 상기 필터 챔버(110) 내에 설치되는 필터 장착판(120)과, 상기 필터 장착판(120)에 장착되는 필터 모듈로서 전술한 필터 모듈(20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설비(100)에 적용되는 필터 유닛(400)으로서, 필터 바디부(430)와, 상기 필터 바디부(430)의 상단에 부착된 장착 부재(41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바디부(430)는, 다수의 홀들(431a)이 각각 형성된 내막(432) 및 외막(433)을 갖는 필터매체 수용체(431)와, 상기 내막(432)과 상기 외막(433) 사이에 채워지는 첨착 활성탄(435)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설비(100)에 적용되는 필터 유닛(500)으로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을 포함하며, 각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필터 바디부(511; 521; 531; 541)와, 상기 필터 바디부(511; 521; 531; 54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550)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바디부(511; 521; 531; 541)는, 다수의 홀들이 각각 형성된 내막 및 외막을 갖는 필터매체 수용체와,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채워지는 첨착 활성탄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진과 입자상 중금속을 걸러낼 수 있는 제1 필터 유닛과 가스상 중금속을 걸러낼 수 있는 제2 필터 유닛으로 구성된 필터 모듈을 통해 하나의 필터 설비에서 입자상 중금속은 물론 가스상 중금속도 함께 걸러낼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중금속들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 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필터 유닛이 제1 필터 유닛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므로 필터 모듈의 설치 작업은 물론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필터 모듈이 제1 필터 유닛 만을 갖는 형태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 유닛을 제작하여 그 필터 모듈에 삽입하여 추가하는 방식으로, 입자상 중금속은 물론 가스상 중금속도 함께 걸러낼 수 있도록 종래의 필터 모듈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간편하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도 1은 연소시설 배출가스로부터 분진 등의 오염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설비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설비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필터 설비 내에 장착된 필터 장착판 및 필터 모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필터 설비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필터 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필터 모듈에 대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필터 모듈에 적용 가능한 제2 필터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필터 유닛을 구성하는 서브 필터 유닛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필터 유닛에 구비되는 커플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설비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필터 설비 내에 장착된 필터 장착판 및 필터 모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설비(100)는 필터 챔버(110)와, 필터 장착판(120)과, 오염물질 수거통(130)과, 복수의 필터 모듈(200)을 포함한다.
필터 챔버(110)는 연소시설로부터 배출된 배출가스에 포함된 특정 오염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필터 챔버(110)는 챔버 본체(115)와, 가스 유입구(111)와, 가스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연소시설 배출가스는 가스 유입구(111)를 통해 챔버 본체(115)로 유입되며 그 안에서 오염물질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가스 배출구(112)를 통해 챔버 본체(115) 밖으로 배출된다.
필터 장착판(120)은 복수의 필터 모듈(200)이 장착되는 곳이다. 필터 장착판(120)은 예로써 직사각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 챔버(110)의 내벽에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장착판(120)에는 필터 모듈(20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장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홀은 필터 모듈(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형성된다.
오염물질 수거통(130)은 필터 챔버(110)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 모듈(200)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들은 중력에 의해 오염물질 수거통(130)에 수거될 수 있다. 오염물질 수거통(130)에 쌓인 오염물질의 양이 일정량에 도달하면 필터 챔버(110)로부터 오염물질 수거통(130)을 분리한 후 수거된 오염물질을 정해진 장소에 배출할 수 있다.
복수의 필터 모듈(200)은 필터 챔버(110) 안으로 유입된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특정 오염물질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각 필터 모듈(200)은 필터 장착판(120)에 형성된 전술한 장착홀(미도시)을 통해 필터 장착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필터 모듈(200)은 필터 장착판(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필터 모듈(140)은 필터 장착판(1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며, 필터 장착판(120) 아래로 거의 대부분이 노출되고 필터 장착판(120) 위로 약간 노출된다. 도 3 및 4에는 총 25개의 필터 모듈(200)이 도시되었으나, 필터 모듈(1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필터 설비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필터 모듈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5의 필터 모듈에 대한 단면도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7(a)는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b)는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전술한 필터 설비(100)에 구비되는 필터 모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터 모듈(200)은 전술한 필터 설비(100) 안에 장착되며, 필터 설비(100) 안으로 유입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을 걸러낸다.
연소시설 배출가스에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포함되는데, 필터 모듈(200)이 걸러내고자 하는 주된 대상은 분진과 중금속이며, 이러한 중금속에는 수은(Hg), 카드뮴(Cd), 크롬(Cr), 비소(As), 납(Pb) 등이 포함된다.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존재하는 이러한 중금속들은 입자상뿐만 아니라 가스상으로도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200)은 입자상 중금속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스상 중금속을 함께 걸러낼 수 있다.
이에 필터 모듈(20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유닛(300)과, 제1 필터 유닛에 수용되는 제2 필터 유닛(400)을 포함한다.
제1 필터 유닛(300)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 제1 필터 유닛(300)의 주된 필터링 대상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입자상 중금속이다.
제1 필터 유닛(30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필터 바디부(310)와, 그 상단에 부착된 결합 부재(320)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부(310)는 분진과 입자상 중금속 등의 입자상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섬유 조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바디부(310)는 섬유상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섬유상 지지체는 예로써 유리 섬유일 수 있다. 또한, 필터 바디부(310)는 기공이 형성된 코팅층을 섬유상 지지체 상에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공이 형성된 코팅층은 PTFE 층(polytetrafluoroethylene layer)일 수 있다. 예로써, 필터 바디부(310)는 평균 기공 크기가 상이한 2 이상의 PTFE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320)는 전술한 필터 장착판(120)과의 결합을 위한 부재이다. 결합 부재(320)는 결합의 안정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부재(32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는 전술한 필터 장착판(120)의 장착홀(미도시)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 부재(320)의 결합을 통해 제1 필터 유닛(300)이 필터 장착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닛(400)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가스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 제2 필터 유닛(400)의 주된 필터링 대상은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가스상 중금속으로서, 수은(Hg), 카드뮴(Cd), 크롬(Cr), 비소(As), 납(Pb) 중 하나 이상이 그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필터 유닛(400)은 상단에 구비되는 장착 부재(410)와,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420)와, 장착 부재 및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바디부(430)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410)는 필터 바디부(43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장착 부재(410)는 중앙 관통홀(411a)이 형성된 원판부(411)와, 원판부의 가장자리 둘레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원통부(412)를 포함한다. 원판부(411)는 전술한 제1 필터 유닛(300) 상에 얹혀질 수 있도록 제1 필터 유닛(300)의 필터 바디부(310)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다.
장착 부재(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터 유닛(300)의 상단에 얹혀지는 방식으로 제1 필터 유닛(3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부재(410)에 고정 결합된 필터 바디부(430)는 제1 필터 유닛(30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자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장착 부재(410)는 제1 필터 유닛(300)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그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필터 유닛(400)은, 제1 필터 유닛(300) 위에서 그 안으로 집어넣는 작업 만으로 제1 필터 유닛(300)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필터 유닛(300) 밖으로 들어올리는 작업 만으로 제1 필터 유닛(300)으로부터 제2 필터 유닛(400)이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부재(420)는 필터 바디부(430)의 하단에 부착되어 필터 바디부(430)의 하단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420)는 대략 전술한 장착 부재(4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제1 필터 유닛(300) 내에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장착 부재(410)보다는 작은 크기로 제작되며, 전술한 장착 부재(410)의 중앙 관통홀(411a)과 같은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장착 부재(410)와 달리, 지지 부재(420)는 제2 필터 유닛(400)의 설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필터 바디부(430)는 필터매체 수용체(431)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매체(435)를 포함한다.
필터매체 수용체(431)는 길다란 원통형의 내막(432) 및 이를 둘러싸는 길다란 원통형의 외막(433)을 포함한다. 내막(432)의 지름에 비해 외막(433)의 지름이 좀 더 큰 차이가 있으나, 내막(432)과 외막(433) 양자는 모양, 재질, 구조 등이 서로 동일하다.
필터매체 수용체(431)의 내막(432) 및 외막(433) 각각은 타공막 또는 메쉬망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매체 수용체(431)의 내막(432) 및 외막(433) 각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 많은 홀들(4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홀들(431a)을 통해 필터매체 수용체(431) 안팎으로 배출가스가 유동할 수 있다. 필터매체 수용체(431)는 고온, 고압의 배출가스의 유동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등의 도면들에서 홀들(431a)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실제보다는 다소 과장되게 크게 도시되었는데, 홀들(431a)은 도시된 것보다는 작은 크기로 훨씬 많게 그리고 휠씬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 유닛(400)의 필터매체 수용체(431)는 제1 필터 유닛(300)의 필터 바디부(310)와 아주 가깝게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필터매체 수용체(431)와 필터 바디부(310) 사이에 틈이 없게 양자가 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유닛(300)의 섬유 형태의 필터 바디부(310)는 그 내부에 배치된 금속재의 필터매체 수용체(4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본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1 필터 유닛(300)의 필터 바디부(310)가 제2 필터 유닛(400)의 필터매체 수용체(43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지 형태의 지지 와이어 구조물이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필터매체(435)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 중에서 가스상 오염 물질, 특히 가스상 중금속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터매체(435)로서는 첨착 흡착제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첨착 흡착제로서 황(S) 또는 염소(Cl) 등의 첨착제가 첨착된 첨착 활성탄이 사용된다. 여기서 첨착제는 흡착 대상의 중금속에 대한 흡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가스상 중금속을 걸러내는 성질을 가진 하나 이상의 다른 첨착 흡착제가 대안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필터매체(435)는 필터매체 수용체(431)의 내막(432)과 외막(4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예로써, 필터매체(435)는 필터매체 수용체(431)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내막(432) 및 외막(433)에 형성된 홀들(431a)보다는 큰 크기를 가진 알갱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필터 모듈에 적용 가능한 제2 필터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필터 유닛을 구성하는 서브 필터 유닛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8의 제2 필터 유닛에 구비되는 커플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유닛(500)을 설명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유닛(50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하나의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과, 하나의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40)과, 그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서브 필터 유닛(520, 530)을 포함한다.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서브 필터 유닛의 개수가 2개로 예시되었지만 그 개수는 제2 필터 유닛(500)의 설계 조건에 따라 1개, 3개, 4개, 5개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은 필터 바디부(511)와, 장착 부재(512)와, 커플러(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착 부재(512)는 필터 바디부(511)의 상단에 부착되며, 커플러(550)는 필터 바디부(511)의 하단에 부착된다.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40)는 필터 바디부(521)와, 커플러(550)와, 지지 부재(5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플러(550)는 필터 바디부(521)의 상단에 부착되며, 지지 부재(52)는 필터 바디부(521)의 하단에 부착된다.
중간 서브 필터 유닛(530; 540)은 각각, 필터 바디부(531; 541)와, 그 상단 및 하단에 부착된 한 쌍의 커플러(550)를 포함한다.
각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에 구비된 각 필터 바디부(511, 521, 531, 541)는 도 6에 도시된 필터 바디부(4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대안 실시예에 따른 각 필터 바디부(511, 521, 531, 541)도 다수의 홀들이 각각 형성된 내막과 외막을 포함하는 필터매체 수용체, 및 그 필터매체 수용체 내에 수용된 필터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매체는 가스상 중금속을 걸러낼 수 있도록 첨착 흡착제로 구비되며, 예로써 첨착 흡착제는 첨착 활성탄일 수 있다.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에 구비된 장착 부재(512)는 도 6 및 7에 도시된 장착 부재(410)와 완전히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착 부재(410)와 관련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장착 부재(512) 역시 제1 필터 유닛(300)(도 6 및 7 참조)의 상단에 단순히 얹혀지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필터 유닛(500)이 제1 필터 유닛(3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20)에 구비된 지지 부재(522)는 도 6에 도시된 지지 부재(420)와 완전히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420)와 관련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 부재(522)는 장착 부재(512)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단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들(510, 520, 530, 540)에 구비된 커플러들(550)에 의해,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들(510, 520, 530, 540)이 스냅 체결 방식으로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로써, 각각의 커플러(5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돌기(551)와 복수의 체결홈(552)을 가질 수 있다. 이웃하는 한 쌍의 커플러(550)는 체결돌기(551)와 체결홈(552)이 맞물려지게 한 후 일정각도 상대 회전됨으로써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제2 필터 유닛(400)과 비교하여, 대안 실시예에 따른 제2 필터 유닛(500)은 상호 분리 가능한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들(510, 520, 530, 540)로 구성되므로 보관이 편리하고 그 운반 작업이 훨씬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필터 유닛은 전체적인 길이가 3 내지 10 m에 이르고 그 무게 또한 상당하므로, 제2 필터 유닛(400)과 같이 분리되지 않는 형태의 제2 필터 유닛은 제조된 이후 보관은 물론 설치 장소까지의 운반이 수월하지 않은 측면이 있는 반면, 제2 필터 유닛(500)과 같이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들로 분리가능한 형태의 제2 필터 유닛은 각 서브 필터 유닛으로 분리된 채로 설치 장소까지 운반하면 되므로 그 운반 작업이 현저히 수월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필터 설비
110 : 필터 챔버
120 : 필터 장착판
200 : 필터 모듈
300 : 제1 필터 유닛
400 : 제2 필터 유닛(제1 실시예)
410 : 장착 부재
420 : 지지 부재
430 : 필터 바디부
500 : 제2 필터 유닛(대안 실시예)
510, 520, 530, 540 : 서브 필터 유닛
550 : 커플러

Claims (19)

  1.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모듈(200)로서,
    섬유상 지지체 및 상기 섬유상 지지체 상에 코팅되며 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포함하는 원통형의 필터 바디부, 및 상기 필터 바디부 상단에 부착된 결합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입자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제1 필터 유닛(300)과,
    금속재질로서, 원통형의 내막(432), 상기 내막(432)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외막(433) 및 상기 내막(432) 및 상기 외막(433)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홀들(431a)을 포함하는 필터매체 수용체(431), 및 첨착 활성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431)의 상기 내막(432)과 상기 외막(433)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배출가스로부터 가스상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매체(435)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매체 수용체(431)의 상기 외막(433)이 상기 필터 바디부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필터 바디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필터 유닛(300) 내에 수용되는, 제2 필터 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필터 유닛(50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 및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 중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필터 유닛(300)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512)를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오염 물질은 분진과 입자상 중금속을 포함하며 상기 가스상 오염 물질은 가스상 중금속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스냅 체결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필터 유닛(510, 520, 530, 540)은,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과,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20)과,
    상기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과 상기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 사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서브 필터 유닛(530, 540)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측 서브 필터 유닛(510)은,
    상기 필터 바디부(51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에 부착되며 상기 제1 필터 유닛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부재(512)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커플러(550)를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측 서브 필터 유닛(520)은,
    상기 필터 바디부(52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에 부착되는 커플러(550)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522)를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서브 필터 유닛(530; 540)은,
    상기 필터 바디부(531; 541)와,
    상기 필터 바디부의 상단 및 하단에 부착되는 한 쌍의 커플러(550)를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17. 연소시설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설비(100)로서,
    가스 유입구(111)와 가스 배출구(112)를 가진 필터 챔버(110)와,
    상기 필터 챔버(110) 내에 설치되는 필터 장착판(120)과,
    상기 필터 장착판(120)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모듈로서, 제1항에 따른 필터 모듈(200)을 포함하는,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설비.
  18. 삭제
  19. 삭제
KR1020160141374A 2016-10-27 2016-10-27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KR10186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374A KR101869747B1 (ko) 2016-10-27 2016-10-27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374A KR101869747B1 (ko) 2016-10-27 2016-10-27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39A KR20180046439A (ko) 2018-05-09
KR101869747B1 true KR101869747B1 (ko) 2018-06-26

Family

ID=6220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374A KR101869747B1 (ko) 2016-10-27 2016-10-27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71B1 (ko) 2022-06-20 2023-03-20 엔피일렉트릭 주식회사 소각 연소가스 정화용 필터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391B1 (ko) * 2022-08-08 2023-03-06 박정수 유해가스 정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40A (ja) * 1999-10-29 2001-05-15 Amano Corp 集塵機用フイルター装置及びフイルター用除塵装置
JP2002136812A (ja) * 2000-11-01 2002-05-14 Nitto Denko Corp バグフィルタ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グフィルタ
US20140020561A1 (en) * 2012-07-18 2014-01-23 Glen Aery Segmented stackable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8299A (en) * 1991-02-22 1994-02-22 Ebara Corporation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KR100900406B1 (ko) * 2007-09-12 2009-06-0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미컬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340A (ja) * 1999-10-29 2001-05-15 Amano Corp 集塵機用フイルター装置及びフイルター用除塵装置
JP2002136812A (ja) * 2000-11-01 2002-05-14 Nitto Denko Corp バグフィルタ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グフィルタ
US20140020561A1 (en) * 2012-07-18 2014-01-23 Glen Aery Segmented stackable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871B1 (ko) 2022-06-20 2023-03-20 엔피일렉트릭 주식회사 소각 연소가스 정화용 필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439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082262A (zh) 聚结式过滤器
EP0081297A1 (en) Filters for purification of gases
KR101869747B1 (ko) 연소시설 배출가스용 필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필터 설비
US4478619A (en) Compressed air filtering apparatus
US4444575A (en) Filter system
US98212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xing gas and liquid for gravitational, physical and chemical collection of compounds
EA03927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загрязнений из газовых потоков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US10293283B2 (en) Multistage filter
KR101534829B1 (ko) 운반용기를 겸한 다단 조립식 카트리지로 구성된 악취가스 흡착탑
JP6838856B2 (ja) ガス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US5354362A (en) Method for filtering odorant from a gas stream
US10441914B2 (en) Radial air purification system for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a gas and methods of fabrication
CA2747907C (en) Refillable filter system
US11103807B2 (en) Phase separator device for hydrocarbon-contaminated aquifers
US20090230052A1 (en) Hydrogen sulfide filter
KR200481911Y1 (ko) 주름 여과지의 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주름 필터
WO2009058598A2 (en) Hydrogen sulfide filter
KR0155244B1 (ko) 유해가스와 미세분진을 고효율로 제거하는 필터의 구조
US20110272358A1 (en) Media compaction compensating support system for pollutant stream remediation reactors
KR20180115680A (ko) 다목적 공기 오염 방지 및 열 저감 장치
CN209828471U (zh) 空气过滤器及具有其的压缩空气装置
KR102529422B1 (ko) 유로가 구비된 정화통
RU195597U1 (ru) Фильтр сетчатый Т-образный модульный
CN208660656U (zh) 一种可拆卸式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