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672B1 -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672B1
KR101869672B1 KR1020180013260A KR20180013260A KR101869672B1 KR 101869672 B1 KR101869672 B1 KR 101869672B1 KR 1020180013260 A KR1020180013260 A KR 1020180013260A KR 20180013260 A KR20180013260 A KR 20180013260A KR 101869672 B1 KR101869672 B1 KR 101869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eat
hinge
groo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정공,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정공
Priority to KR102018001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의자 좌판을 전후 슬라이딩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 조절 레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는, 일측에 다단 조절홈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된 좌판 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좌판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양측 단부가 시소운동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다단 조절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홈에 선태적으로 삽입가능한 잠금핀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핀이 상기 조절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타측과 상기 좌판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SEAT SLIDING DEVIC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 좌판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몸체로 구성된다.
의자의 구성품의 하나인 좌판은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며, 쿠션재, 상기 쿠션재를 감싸는 시트커버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조립되는 좌판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좌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좌판 슬라이딩 의자는 좌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를 조립하기 위하여, 록커(300)의 레버를 안내구멍으로 삽입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축받이 덮개(340)를 볼트로 조립하여 체결하는 조립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록커(300)의 체결을 위해 축받이 덮개(340)와 같은 부수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러한 부수적인 부품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적인 의제 제작 시간이 늘어나 생산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4984호(2011년01월17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 좌판을 전후 슬라이딩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 조절 레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는, 일측에 다단 조절홈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된 좌판 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좌판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양측 단부가 시소운동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다단 조절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홈에 선태적으로 삽입가능한 잠금핀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핀이 상기 조절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타측과 상기 좌판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는, 절곡된 형상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일측 평탄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타측 평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볼록한 외측면에는 힌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대응부에는 상기 힌지돌출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돌출부는, 상기 중앙부의 볼록한 외측면에서 일체로 돌출된 반원 형상의 힌지축부; 및 단부 양측에 걸림돌기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부에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핀부의 형성 두께는 상기 힌지축부의 형성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장착부는, 상기 힌지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반원홈부; 상기 반원홈부에서 연통되어 상기 안내핀부가 관통하는 안내홀부; 및 상기 안내홀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내측 저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핀부의 걸림돌기가 걸려지지되는 걸림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편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면; 및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홀부 및 상기 걸림편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돌기의 상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수단의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타측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 프레임의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판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잠금핀이 내삽되는 잠금핀 내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의자를 구성하는 좌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간편하게 슬라이딩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의자 좌판을 전후 슬라이딩 조절을 위한 슬라이딩 조절 레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시소운동을 위한 별도의 축 부품이 없이 슬라이딩 조절 레버 단품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좌판 프레임의 하면으로 슬라이딩 조절 레버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방식이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관리가 쉬우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조립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00), 좌판 프레임(200),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 및 탄성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의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어셈블리의 상부를 덮도록 조립된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다단 조절홈(100h)이 형성되며, 상기 다단 조절홈(100h)은 복수의 홈이 직렬로 배열된 형태 또는 복수의 구멍이 직렬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는 상기 좌판 프레임(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장공(본 실시예에서 4개의 장공 형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좌판 프레임(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 프레임(200)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상부에 조립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상기 복수의 장공을 관통하는 복수의 볼트가 조립되며, 상기 볼트가 상기 장공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좌판 프레임(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 프레임(200)에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장착을 위한 힌지장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장착부(210)의 세부적인 형상은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에 대한 설명 시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잠금핀(301)이 내삽되는 잠금핀 내삽홈(202)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가 락킹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잠금핀(301)이 상기 잠금핀 내삽홈(202)에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에 대한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락킹 또는 언락킹하는 레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는 절곡된 형상의 중앙부(300a), 상기 중앙부(300a)의 일측으로 연장된 일측 평탄부(300b) 및 상기 중앙부(300a)의 타측으로 연장된 타측 평탄부(300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중앙부(300a)의 볼록한 외측면에는 힌지돌출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출부(310)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대응부에는 전술한 힌지장착부(21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는 중앙의 힌지돌출부(310)가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힌지장착부(2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양측 단부가 시소운동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다단 조절홈(100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홈에 선태적으로 삽입가능한 잠금핀(301)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잠금핀(301)이 상기 다단 조절홈(100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거나 배출되게 된다.
상기 힌지돌출부(310)와 상기 힌지장착부(2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힌지돌출부(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중앙부(300a)의 볼록한 외측면에서 일체로 돌출된 반원 형상의 힌지축부(311) 및 단부 양측에 걸림돌기(313-1)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부(311)에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핀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장착부(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부(311)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반원홈부(211), 상기 반원홈부(211)에서 연통되어 상기 안내핀부(313)가 관통하는 안내홀부(213) 및 상기 안내홀부(213)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내측 저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핀부(313)의 걸림돌기(313-1)가 걸려지지되는 걸림편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핀부(313)의 형성 두께는 상기 힌지축부(311)의 형성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핀부(313)와 상기 힌지축부(311)가 밀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반원홈부(211)에 상기 힌지축부(3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장착부(210)의 걸림편부(2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13-1)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면(215-1) 및 상기 걸림돌기(31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면(215-1)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면(215-3)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13-1)가 상기 걸림면(215-1)을 따라서 부채꼴 형태의 경로로 안내됨과 함께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홀부(213) 및 상기 걸림편부(215)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313-1)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홈(215h)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313-1)의 상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가이드홈(215h)과 상기 걸림돌기(313-1)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를 장착 시 원활할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수단(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수단(400)은 상기 잠금핀(301)이 상기 조절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타측과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사이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으로서, 코일 스프링 이외에도, 판스프링, 탄성블록 등 다양한 스프링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수단(4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수단(400)의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300)의 타측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홈(300h)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 프레임(200)의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돌기(200p)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수단(400)은 상기 탄성수단 장착홈(300h)과 상기 탄성수단 장착돌기(200p)의 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고정 프레임 100h:다단 조절홈
200:좌판 프레임 200p:탄성수단 장착돌기
210:힌지장착부 211:반원홈부
213:안내홀부 215:걸림편부
215h:삽입가이드홈 215-1:걸림면
215-3:스토퍼면 300:슬라이딩 조절 레버
300h:탄성수단 장착홈 300a:중앙부
300b:일측 평탄부 300c:타측 평탄부
301:잠금핀 310:힌지돌출부
311:힌지축부 313:안내핀부
313-1:걸림돌기 400:탄성수단

Claims (10)

  1. 일측에 다단 조절홈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된 좌판 프레임;
    중앙부가 상기 좌판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양측 단부가 시소운동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다단 조절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홈에 선태적으로 삽입가능한 잠금핀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조절 레버; 및
    상기 잠금핀이 상기 조절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타측과 상기 좌판 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는, 절곡된 형상의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일측 평탄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타측 평탄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볼록한 외측면에는 힌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대응부에는 상기 힌지돌출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돌출부는, 상기 중앙부의 볼록한 외측면에서 일체로 돌출된 반원 형상의 힌지축부; 및 단부 양측에 걸림돌기가 마주하여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부에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내핀부의 형성 두께는 상기 힌지축부의 형성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장착부는, 상기 힌지축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반원홈부; 상기 반원홈부에서 연통되어 상기 안내핀부가 관통하는 안내홀부; 및 상기 안내홀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좌판 프레임의 내측 저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핀부의 걸림돌기가 걸려지지되는 걸림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면; 및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면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부 및 상기 걸림편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상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의 일측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타측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좌판 프레임의 대응면에는 탄성수단 장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조절 레버의 잠금핀이 내삽되는 잠금핀 내삽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KR1020180013260A 2018-02-02 2018-02-02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KR101869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60A KR101869672B1 (ko) 2018-02-02 2018-02-02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260A KR101869672B1 (ko) 2018-02-02 2018-02-02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672B1 true KR101869672B1 (ko) 2018-06-25

Family

ID=6280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260A KR101869672B1 (ko) 2018-02-02 2018-02-02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153B1 (ko) * 2021-10-20 2022-03-22 주식회사 대하정공 좌판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의자용 브라켓 어셈블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700A (ja) * 2000-06-09 2002-02-05 Pro Cord Srl 揺動シートを備えた椅子
JP2006102148A (ja) * 2004-10-05 2006-04-20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KR200426959Y1 (ko) * 2006-06-22 2006-09-20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JP2012005892A (ja) * 2011-10-11 2012-01-12 Okamura Corp 椅子
KR101232825B1 (ko) * 2012-07-31 2013-02-2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KR200472240Y1 (ko) * 2014-01-08 2014-04-11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이동 장치
KR20150122484A (ko) * 2014-04-23 2015-11-02 성용기업 주식회사 메쉬의자용 좌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700A (ja) * 2000-06-09 2002-02-05 Pro Cord Srl 揺動シートを備えた椅子
JP2006102148A (ja) * 2004-10-05 2006-04-20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KR200426959Y1 (ko) * 2006-06-22 2006-09-20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JP2012005892A (ja) * 2011-10-11 2012-01-12 Okamura Corp 椅子
KR101232825B1 (ko) * 2012-07-31 2013-02-22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
KR200472240Y1 (ko) * 2014-01-08 2014-04-11 부호체어원(주) 의자의 좌판 이동 장치
KR20150122484A (ko) * 2014-04-23 2015-11-02 성용기업 주식회사 메쉬의자용 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153B1 (ko) * 2021-10-20 2022-03-22 주식회사 대하정공 좌판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의자용 브라켓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574B2 (en) Seat sliding device for a vehicle
US5415459A (en) Adjustable width arm rest
US7150504B1 (en) Adjustment mechanism for handrail
WO2013065816A1 (ja) 椅子
US20070073464A1 (en) Safety seat assembly
KR101869672B1 (ko) 의자 좌판 슬라이딩 장치
JP5106831B2 (ja) 椅子
JP2013233165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US20210145181A1 (en) Assembly for chair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KR101008889B1 (ko) 암레스트 수평 이동 조절 장치
KR102084357B1 (ko) 의자의 요추받침대
RU2732756C1 (ru) Модуль сиденья и механизм наклона
JP5263823B2 (ja) 肘掛け、椅子
KR100575397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JP2011255070A (ja) 椅子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JP4383907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CN220865270U (zh) 一种安全座椅
JP7330781B2 (ja) 什器
JPH1042981A (ja) 機器用調整脚
JP5571354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5893894B2 (ja) 椅子
KR200333276Y1 (ko) 학생용 의자의 바퀴
JP5620158B2 (ja) 椅子の背凭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