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429B1 -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429B1
KR101868429B1 KR1020170158018A KR20170158018A KR101868429B1 KR 101868429 B1 KR101868429 B1 KR 101868429B1 KR 1020170158018 A KR1020170158018 A KR 1020170158018A KR 20170158018 A KR20170158018 A KR 20170158018A KR 101868429 B1 KR101868429 B1 KR 10186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wer container
lid part
li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중
Original Assignee
김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중 filed Critical 김민중
Priority to KR102017015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와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는 용기 및 상기 하부용기의 하측에 형성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Multipurpose separator vessel}
본 발명은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가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세척이 편리하고, 하부에 뚜껑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별도 보관이 용이한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 샴푸, 액체 세제 등의 유체는 대부분 용기에 담겨 보관되며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한다. 이때,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펌핑부재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펌핑부재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는 용기를 펌핑용기라고 한다.
종래의 펌핑용기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펌핑부재를 이용해 외부로 일정량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체가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핑부재를 누르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유체를 배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였다.
그러나, 펌핑용기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펌핑부재의 흡입관 하단에 유체가 닿지 않게 되어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용기를 잘라서 사용하거나 내부에 물을 넣어 유체를 희석시켜 사용하였으나 이는 세균번식의 원인이 되어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부패되거나,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내용물을 리필하여 용기를 재사용하는 경우, 세척 솔 등이 삽입되는 입구가 좁아 용기의 하부 및 모서리까지 꼼꼼하게 세척하는 것이 불가하여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줄어 펌핑이 불가한 경우 내용물이 잔존하는 채로 용기를 버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 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내용물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용기가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세척이 편리하고, 하부에 뚜껑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용기의 별도 보관이 용이한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용도 몸체 분리형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와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는 용기 및 상기 하부용기의 하측에 형성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는,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날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는, 내부에 형성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양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의 정후면에 연결되는 2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정면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누름부 및 상기 뚜껑부 정면 일측에 상기 누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홀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부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에 연결되는 막대부재 및 상기 막대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용기는,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측면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내측면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골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과 상기 나사골이 회전결합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정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하부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부가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의하면, 용기가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용기가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어 용기를 재사용하는 경우 사용한 용기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부에 뚜껑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분리된 용기를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용기 내부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하부용기에 뚜껑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리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누름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하부용기에 뚜껑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돌출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하부용기에 뚜껑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리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누름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돌출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 및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1)는 펌핑부재(100), 용기(200) 및 뚜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펌핑부재(100)는 용기(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펌핑부재(10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용기(2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200)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용기(210) 및 하부용기(220)로 분리될 수 있다.
상부용기(210)는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부(211) 및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날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211)는 상부용기(21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하부용기(220)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부용기(210)를 하부용기(2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부(211)는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삽입돌기(211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날개(212)는 상단이 상부용기(210)의 하측에 연결되어 걸림날개의(212) 상단을 기준으로 하단이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날개(212)는 상부용기(210)와 하부용기(2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날개(21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걸림날개(2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날개(212)는 내측면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재(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212a)는 걸림날개(212)의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양측면이 원 형태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용기(220)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21) 및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21)은 상부용기(210)가 하부용기(220)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돌기(2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221)은 하부용기(22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삽입돌기(21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221)에 삽입돌기(211a)가 삽입되어 상부용기(210)와 하부용기(220)가 연결될 수 있다.
걸림홈(222)은 걸림날개(212)에 의해 상부용기(210)와 하부용기(220)가 결합되는 경우, 걸림부재(2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홈(222)은 하부용기(220)의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걸림부재(21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재(212a)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홈(222)에 걸림부재(212a)가 삽입되어 상부용기(210)와 하부용기(2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용기(210)는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용기(220)는 내부에 형성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분리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223)는 분리막(223a), 2개의 지지부재(223b), 분리부재(223c) 및 지지돌기(22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리부(223)는 상측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부용기(220)의 내부에 연결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분리막(223a)은 하부용기(220)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부용기(220)의 측면과 동일한 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리막(223a)은 하부용기(220)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용기(220)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감소되면 분리막(223a)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하부용기(220)의 내용물을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223b)는 분리막(223a)의 양 끝단에 형성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단이 분리막(223a)의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막(223a) 및 2개의 지지부재(223b)가 연결되어 상측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223d)는 지지부재(223b)의 외면에 형성되고, 삽입홈(2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221)에 지지돌기(223d)가 삽입되어 분리부(223)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삽입홈(221)이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분리부재(223c)는 분리막(223a)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분리부재(223c)는 분리막(223a)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리부재(223c)를 우측으로 당겨 분리부(223)를 이동시키는 경우, 하부용기(220)의 내용물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하부용기(22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뚜껑부(400)는 하부용기(2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뚜껑부(400)는 뚜껑판(410)과 끼움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판(410)은 하부용기(220)의 상면 및 하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420)는 뚜껑판(40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재(420)는 내주면이 하부용기(2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400)가 하부용기(220)의 상하측에 끼워지므로 뚜껑부(400)가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200)를 상부용기(210) 및 하부용기(220)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하부용기(2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부(400)는 정면에 형성되는 누름부(430) 및 누름홀(431)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홈(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430)는 뚜껑부(400)가 하부용기(220)의 상측에 끼워지는 경우, 걸림홈(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430)는 일단이 뚜껑부(4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막대부재(430a) 및 막대부재(430a)의 타단에 형성되는 볼부재(430b)를 포함할 수 있다.
볼부재(430b)는 걸림홈(222)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누름홀(431)은 누름부(430)의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뚜껑부(400)의 정면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홈(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430)가 누름홀(431)을 관통해 걸림홈(222)에 삽입되므로 뚜껑부(400)와 하부용기(220)가 결합될 수 있다.
뚜껑부(400)는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440)는 뚜껑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400)의 하부에 이물질이 묻거나, 욕실 등에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1)가 구비되는 경우 뚜껑부(400)가 바닥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하부에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440)는 정면에 손잡이홀(44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1개 외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손잡이홀(440a)에 손가락 등을 끼워 뚜껑부(400)를 하부용기(220)에서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탈착이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뚜껑부(400)는 하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50)는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50)는 외주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450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펌핑 시 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용기(200)의 측면을 따라 흘러내려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뚜껑부(400)가 바닥에 닿는 면적이 증가하여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1)가 쉽게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뚜껑부(400)는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460)는 탄성 및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라멘트,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460)는 일단이 뚜껑부(400)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에 원형부재(46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원형부재(460a)는 하부용기(2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용기(220)에 결합된 원형부재(460a)를 기준으로 뚜껑부(4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뚜껑부(400)를 하부용기(220)에서 탈착하는 경우 뚜껑부(40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예로, 용기(300)의 형성에 따라 상부용기(310)와 하부용기(320)가 회전결합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하부용기에 뚜껑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돌출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의 제1 및 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1)는, 제1 실시예의 용기(200)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는 제1 실시예의 용기(200)를 제외하고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용기(3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용기(3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30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용기(310) 및 하부용기(320)로 분리될 수 있다.
상부용기(310)는 상부용기(31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삽입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삽입부(311)는 하부용기(320)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부용기(310)를 하부용기(320)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부(311)는 외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나사산(31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용기(310)는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고무부재(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용기(320)는 내측면 상측에 형성되는 나사골(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나사골(321)은 나사산(311a)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나사산(311a)과 회전결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산(311a)과 나사골(321)의 결합에 의해 상부용기(310)와 하부용기(320)가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뚜껑부(400)는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44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재(4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뚜껑부(400)는 하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45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4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뚜껑부(400)는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46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4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100: 펌핑부재
200: 용기
210: 상부용기
211: 제1 삽입부
211a: 삽입돌기
212: 걸림날개
212a: 걸림부재
213: 고무부재
220: 하부용기
221: 삽입홈
222: 걸림홈
223: 분리부
223a: 분리막
223b: 지지부재
223c: 분리부재
223d: 지지돌기
300: 용기
310: 상부용기
311: 제2 삽입부
311a: 나사산
312: 고무부재
320: 하부용기
321: 나사골
400: 뚜껑부
410: 뚜껑판
420: 끼움부재
430: 누름부
430a: 막대부재
430b 볼부재
431: 누름홀
440: 돌출부재
440a: 손잡이홀
450: 지지부
450a: 지지돌기
460: 연결부재
460a: 원형부재

Claims (10)

  1.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에 있어서,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와 연결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로 분리되는 용기 및
    상기 하부용기의 하측에 형성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용기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날개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는,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상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가 연결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내부에 형성되며 좌우로 이동 가능한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정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의 양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용기의 정후면에 연결되는 2개의 지지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정면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누름부 및
    상기 뚜껑부 정면 일측에 상기 누름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누름홀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부와 상기 하부용기가 결합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에 연결되는 막대부재 및
    상기 막대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정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홀을 포함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용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하부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부가 상기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KR1020170158018A 2017-11-24 2017-11-24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KR10186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18A KR101868429B1 (ko) 2017-11-24 2017-11-24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018A KR101868429B1 (ko) 2017-11-24 2017-11-24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429B1 true KR101868429B1 (ko) 2018-07-23

Family

ID=6310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018A KR101868429B1 (ko) 2017-11-24 2017-11-24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03B1 (ko) * 2021-11-05 2022-06-27 주식회사 노투스 세련미를 강화한 리필 기반의 화장품 용기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93U (ko) * 2011-04-18 2012-10-26 박연희 펌프식 용기
KR20130123710A (ko) * 2012-05-03 2013-11-13 이성미 알뜰용기
KR20140013430A (ko) * 2012-07-24 2014-02-05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KR20140126219A (ko) * 2013-04-22 2014-10-30 정희택 분리가능한 하부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
KR20150017237A (ko) * 2013-08-06 2015-02-16 박다영 분리형 화장품 용기
US20160046421A1 (en) * 2010-03-25 2016-02-18 Craig E. Brown Sectionalized fluids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6421A1 (en) * 2010-03-25 2016-02-18 Craig E. Brown Sectionalized fluids container
KR20120007393U (ko) * 2011-04-18 2012-10-26 박연희 펌프식 용기
KR20130123710A (ko) * 2012-05-03 2013-11-13 이성미 알뜰용기
KR20140013430A (ko) * 2012-07-24 2014-02-05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KR20140126219A (ko) * 2013-04-22 2014-10-30 정희택 분리가능한 하부마개를 구비한 펌핑용기
KR20150017237A (ko) * 2013-08-06 2015-02-16 박다영 분리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203B1 (ko) * 2021-11-05 2022-06-27 주식회사 노투스 세련미를 강화한 리필 기반의 화장품 용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KR102454353B1 (ko) 세정제 용기
KR101868429B1 (ko) 다용도 몸체 분리형 용기
US9867507B2 (en) Dispenser
US6719134B2 (en) Toilet plunger storage device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077480B1 (ko)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JP2009240982A (ja) トリガー式吐出器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110116294A (ko) 빨대가 구비된 액체용기 구조
KR200492340Y1 (ko) 기름부유물 제거용 요리기구
KR200463263Y1 (ko) 소스용기용 토출캡
JP2020019561A (ja) 流体吐出容器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2015199542A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US10729269B2 (en) Drip-stop attachment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KR20120007393U (ko) 펌프식 용기
JP4555621B2 (ja) 風呂釜洗浄用薬剤容器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KR20160002606A (ko) 내용물 표면에 접하는 부압이동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US7651012B2 (en) Toothpaste dispenser, toothpaste dispensing system and kit
KR101456114B1 (ko) 용이한 토출구조를 갖는 정량 배출용기
KR101453911B1 (ko) 화장품 용기
KR102499645B1 (ko) 펌프용기 하부 내용물 토출이 가능한 용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