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38B1 -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 Google Patents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38B1
KR101867338B1 KR1020160079896A KR20160079896A KR101867338B1 KR 101867338 B1 KR101867338 B1 KR 101867338B1 KR 1020160079896 A KR1020160079896 A KR 1020160079896A KR 20160079896 A KR20160079896 A KR 20160079896A KR 101867338 B1 KR101867338 B1 KR 10186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rubber coating
foamed rubber
metal layer
elas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1139A (en
Inventor
김문식
Original Assignee
(주)아성화학
주식회사 포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성화학, 주식회사 포엠비 filed Critical (주)아성화학
Priority to KR102016007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38B1/en
Publication of KR2018000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 상기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메탈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탈층은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이격된 양단은 아래로 수직절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안정적이다.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omprises: an insulated elastic core having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elastic core; And a metal layer adher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erein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groove, And both ends thereof are cut vertically downward. 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amed rubber layer, and it is stable when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by forming the center space without emptying.

Description

탄성 전기접촉단자{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0001]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0002]

본 발명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더링 시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솔더링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솔더링 시 전기접촉단자에 솔더크림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preventing leakage of an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during soldering from being disturbed by soldering and uniformly forming a solder cream on a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during soldering will be.

일반적으로 솔더링(reflow soldering)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며,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Generally,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apable of reflow soldering has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good resilience, and can withstand the soldering temperature.

이와 관련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보면, 절연 발포고무 또는 절연 비발폭고무; 상기 절연 발포고무 또는 비발포고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 및 한 면이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다른 면에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다.As regards the elastic contact terminals related thereto, an insulating foam rubber or an insulating non-sparking rubber; 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ch is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foam rubber or non-foam rubber; And a heat-resistant polymer film having one surface bond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and a metal layer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내열 폴리머 필름을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하는 경우, 외부의 압력에 의해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일부가 내열 폴리머 필름의 외부로 삐져나와 경화되어 전기접촉단자 하면의 중간 부분이 불룩해져서 하면이 수평을 이루지 않거나 외부로 삐져나온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에 의해 솔더링이 안된다. However,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heat-resistant polymer film is adhered to a liqui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a part of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n the liquid phase protrudes out of the heat- The middle part of the terminal bottom becomes bulging, and the lower surface is not horizontal or is not soldered by the insulating non-foaming rubber coating layer which is protruded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리플로우 솔더링 시 용융된 솔더 크림이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솔더링 후 전기접촉단자에 들뜸 현상이나 발생하거나 솔더링이 부분적으로 되어 솔더링 강도가 약해지는 원인이 된다.As a result, during reflow soldering, the molten solder cream is shifted to one side, resulting in lifting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fter soldering, or partial soldering, which leads to weak soldering strength.

이러한 문제는 전기접촉단자의 사이즈가 증대되어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양이 증가할수록 삐져나오는 양이 많아져서 심각해진다.This problem is exacerbated as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protrusion increases as the amount of the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ncreases.

또한, 내열 폴리머 필름의 양단이 겹치서 접착되는 경우에는 양단의 겹친 부위에서 삐져나온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양이 더욱 많아 정상적인 솔더링에 악 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when both ends of the heat-resistant polymer film are overlapped, the amount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protruding from the overlapped portions at both ends is further increased, which adversely affects normal soldering.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2010-0003525호(공개일자: 2010.1.11. 제목: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내열 폴리머 필름은 양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상기 내열 폴리머 필름이 접착시 상기 내열 폴리머 필름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오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기 이격된 내열 폴리머 필름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이격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heat-resistant polymer film is applied to an insulation non-foam rubber coating layer (not shown) so that both ends of the heat- And the leakage of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ch protrudes from both ends of the heat-resistant polymer film when the heat-resistant polymer film is adhered to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n a state in which a user is allowed to use the apparatu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이 크게 형성되어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안정적이지 못한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s not stable when soldering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due to the large through-holes formed in the foamed rubber layer.

그리고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기 이격된 내열 폴리머 필름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이격 공간에 수용되도록 하지만, 이격 공간의 상부가 이등변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The leakage of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spacing spac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paced apart heat-resisting polymer film,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ing space is formed of an isosceles triangle stru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 때 안정적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 rubber layer having two through holes on both sides thereof, Thereby providing a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기 이격된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형성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leakage of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s sufficiently large in a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eparated metal layer. And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that forms a groove.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부에 이격된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모이도록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collecting leakage of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nto a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a metal layer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상부에 형성하고 누출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preventing leakage of leaking water to the outside by forming a groove in an upper portion of a rectangular shape to accommodate a sufficient amount .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An insulated elastic core having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상기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elastic core;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탈층을 포함하며,And a metal layer formed to surround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상기 메탈층은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le both ends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이격된 양단은 아래로 수직절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parated both ends are vertically cut down.

상기 홈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상기 메탈층이 접착시 상기 메탈층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오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이격된 상기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the leakage of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eparated metal layer .

또한, 절연 탄성 코어의 상면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may be rounded.

바람직하게, 관통공은 절연 탄성 코어의 중앙부에 두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such that the two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하부중앙에는 완만한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oft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astic contact terminal comprising: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An insulated elastic core having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상기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elastic core;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메탈층을 포함하며,And a metal layer adhered to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상부와 접촉하는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Wherein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le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이격된 양단은 아래로 수직 절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parated both ends are vertically cut dow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비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안정적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abl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when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foaming rubber layer and the middle space is formed without emptying to solder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기 이격된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형성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s provided in which a leaked portion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forms a groove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so as to receive a sufficient amount in a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paced apart metal lay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부에 이격된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모이도록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n which the leakage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is collected in the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spaced from the upp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상부에 형성하고 누출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which forms a groove on the upper part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so as to accommodate a sufficiently large amount and prevents leakage of the leakage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2에 표시된 A-A'선의 단면도이며,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서로 대향하는 인쇄회로기판(1, 1')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1 to 3,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capable of reflow solde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printed circuit boards 1 and 1 ' For example,

압출된 절연 탄성 코어(core;10),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 및 메탈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An extruded insulative elastic core 10, an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nd a metal layer 30 are sequentially laminated.

절연 탄성 코어(10)는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15, 16)이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압출 공정에 의해 제공된다.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wo through holes 15 and 16 therein and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by an extrusion process to have various shapes.

절연 탄성 코어(10)의 재질은 리플로우 솔더링 및 탄성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절연 실리콘 고무이거나 내열 탄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is preferably an insulating silicone rubber or a heat resistant elastic rubber in order to satisfy reflow soldering and elastic conditions.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 재료의 경도는 적당한 기계적 강도 및 탄성을 위하여 Shore A 40 내지 70이 바람직하며,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의 누르는 힘은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5, 16)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작아질 수 있다.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preferably Shore A 40 to 70 for proper mechanical strength and elasticity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rough holes 15 and 16 Can be reduced by size and shape.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면은 폭 방향으로 양단에서 아래로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formed in a shape which is widened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바람직하게 접지패턴(2) 및 솔더 크림(3)은 중앙에 절연 간극으로 분리되며 이격 거리는 약 0.3 내지 2㎜이다.Preferably, the grounding pattern 2 and the solder cream 3 are separated at the center by an insulation gap and the spacing distance is about 0.3 to 2 mm.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 양측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전기접촉단자(100)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솔더링 된 후 대향하는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 측면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round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hand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ement of the comple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on both sides in the process of being assembled with the opposing object after being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절연 탄성 코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5, 16)은 절연 탄성 코어(10)의 탄성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holes 15 and 16 formed in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are preferably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center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can be stably formed.

더욱이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부 부분(11)의 두꺼운 두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일정한 수준까지만 눌리게 되는 역할을 하여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촉시 상부부분(12)이 가능한 수평을 이루게 해준다. Further, the thick thickness of the lower portion 11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cts to be pressed only to a certain level by the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upper portion 12 becomes as horizontal as possible when the object contacts the opposing object.

절연 탄성 코어(1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5, 16)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s (15, 16)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circular or elliptical.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1')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절연 탄성 코어(10)의 양 측면 외부로 분산되어 관통공(15, 16)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부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1 ',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dispersed outside the both sides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to form the through holes 15 and 1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from tilting to one side.

즉, 비발포 고무층에 관통공(15, 15)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1, 1’)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 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이다That is, two through-holes 15 and 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foamed rubber layer, and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tilted to one side when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1 and 1 ' Can be prevented and is very stable

또한, 관통공(15, 16)의 하부 중앙 부분은 정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소정거리 경사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부 부분(12)의 중심부가 함몰되지 않고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부 부분(11)에 무게가 균형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s 15, 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2 can be kept flat without being depress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Further, the lower portion 11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can be divided into a balanced weight.

바람직하게, 절연 탄성 코어(10)의 관통공(15, 16)의 양측 부분(13)의 두께를 상부 및 하부 부분(11, 12)의 두께와 비슷하게 형성하여 상부로부터의 눌림에 안정성을 좋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both side portions 13 of the through holes 15 and 16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1 and 12 so as to improve stability .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은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을 신뢰성 있게 접착시켜준다.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s located between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and reliably bonds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이러한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은 리플로우 솔더링 온도에서도 접착력의 변화가 없어야 하며 항시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및 탄성을 위하여 완전 경화된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의 경도는 Shore A 20 내지 40이며 두께는 약 0.02 내지 0.1mm 이다.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should have no change in adhesive force even at the reflow soldering temperature and should always maintain elasticity. Preferably, the hardness of the fully cure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for flexibility and elasticity is 20 to 40 Shore A and a thickness of about 0.02 to 0.1 mm.

이러한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은 액상 실리콘 고무가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습기에 의해 경화되는 실리콘 고무 등에서 선택되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에 의해 완전 경화하는 타입을 사용한다.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may be formed by curing, and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 rubber which is cured by heat or silicone rubber which is cured by moisture. Preferably, a type that is fully cured by heat is used to increase the working speed.

상기의 액상 실리콘 고무는 경화하면서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착을 갖으며 경화 후 고상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으로 형성되며 한번 경화된 후에는 탄성을 유지하며 다시 열이 가해져도 접착력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신뢰성 있는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첨가제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접착하려는 대상물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한 후 접착한다.The liquid silicone rubber has adhesion with an opposing object while being cured and is formed of a soli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fter curing and maintains elasticity after once curing and maintains adhesion even when heat is applied again. Preferably, an additive or the like is added to the liquid silicone rubber in order to obtain a reliable adhesive force, or the surface of an object to be bonded is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corona treatment and then adhered.

도 2와 같이, 메탈층(30)의 양단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에 접착된다. As shown in FIG. 2,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nded to the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에 메탈층(30)이 금형(미도시)을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접착되는 경우, 금형에 의한 외부 압력에 의해 메탈층(30)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오는 액상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의 누출물(21)이 이격된 메탈층(30)의 양단에 의해 형성되는 홈(14)에 수용되기 때문에, 경화 후 고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의 누출물(21)에 의해 솔더링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metal layer 30 is pressed and bond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while passing through a metal mold (not shown),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30 Since the leakage 21 of the liquid non-foam rubber coating layer 20 protruding from the solid insulating non-foam rub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4 formed by both ends of the separated metal layer 30, The solder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leakage 21 of the coating layer 20.

이러한 홈(14)에 의해 솔더링이 되지 않는 누출물(21)이 수용되어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면을 평면으로 유지시켜 리플로우 솔더링 시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해주고 솔더링 강도를 증가시켜준다.The recesses 21 which are not soldered are accommodated by the grooves 14 to keep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n a plane to prevent lifting during reflow soldering and increase the soldering strength.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홈(14)은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플로우 솔더링 후 전기접촉단자(100)의 좌우 측면의 솔더링 강도를 유사하게 제공해주며, 많은 양의 누출물(21)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14)의 폭은 약 0.2 내지 1.5㎜이다.Preferably, such grooves 14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to provide a similar soldering streng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after reflow soldering , And ca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leaking water 21. Preferably, the width of the groove 14 is about 0.2 to 1.5 mm.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홈(14)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00)의 상면과 하면이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어 릴(reel) 포장 시 편리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by the groove 14, which is convenient for reel packaging.

메탈층(30)의 재질은, 예를 들어, 구리이나 기타의 금속재료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유연성 및 기구적 강도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0.05㎜ 사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metal layer 30 may include, for example, copper or other metal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30 is preferably set to, for example, 0.01 to 0.05 mm in consideration of flexi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메탈층(30)은 구리 한종류일 수도 있고 구리에 석도금 또는 금도금 등을 한 것일 수 있다. The metal layer 30 may be one kind of copper or may be plated with gold or gold or the like.

또는 메탈층(300)은 나중에 컷 팅 한 후에 바렐도금 방식(나사 또는 작은 부품을 도금하는 방식)으로 석이나 금 등을 올릴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etal layer 300 may be cut later and then be subjected to a barrel plating process (plating of screws or small parts) to raise the stones or gold.

또한, 메탈층(30)을 전기적으로 절연된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솔더링되는 접지패턴을 다수의 부분 각각에 대응하도록 절연 간극을 갖는 다수의 접지패턴으로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전기접촉단자(100)를 다수의 전기접촉단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Further, by dividing the metal layer 30 into a plurality of electrically insulated portions and dividing the grounding pattern into which the resili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into a plurality of grounding patterns having an insulating gap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ions,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may be used as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바람직하게 메탈층(30)은 다수의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최외각 표면은 부식 방지 및 리플로우 솔더링이 잘 되게끔 주석, 은 또는 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etal layer 30 may be comprised of a plurality of metal layers, and the outermost surface may comprise any one of tin, silver, or gold to facilitate corrosion prevention and reflow soldering.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탄성 전기접촉단자(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일정한 폭을 갖게 절단된 메탈층(30)의 표면 위에 습기나 열에 의해 경화되는 액상 실리콘 고무를 0.02㎜ 내지 0.1㎜ 두께로 도포하여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을 형성한다.First, a liquid silicone rubber, which is hardened by moisture or hea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30 cut to have a constant width in a thickness of 0.02 mm to 0.1 mm to form a liquid insulated non-foam rubber coating layer 20.

이때,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사이에 접착력이 나빠지며, 반대로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경화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이후 공정에서 발생하는 누출물(21)이 많이 나온다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f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n the liquid phase is too th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will deteriorate. If the thickness is too thick,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leaking water 21 is generated in the process.

다음으로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 위에 압출 공정에 의해 롤(roll) 형태로 제조된 내부에 관통공(15, 16)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10)를 올려놓고 일정한 모양의 지그(미도시)를 통하면서 감싼다.Next, an insulative elastic core 10 having through holes 15 and 16 formed therein in a roll shape by an extrusion process is placed on a liqui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nd a fixed shape jig (Not shown).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 탄성 코어(10)는 내부에 관통공(15, 16)이 형성되어 있어, 절연 탄성 코어(10)의 경도를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관통공(15, 16)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눌림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압출로 생산하므로 작은 사이즈의 제품도 경제성 있게 제조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has the through holes 15 and 16 formed therein, and has the effect of lowering the hardness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n addition, the size of the through-holes 15 and 16 can be adjusted to control the degree of pressing and the like, and since it is produced by extrusion, a small-sized product can be manufactured economically.

이후 절연 탄성 코어(10)가 메탈층(3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열이 가해지는 금형(미도시)을 통과하면, 중간에 개재된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은 경화되면서 고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으로 되어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을 신뢰성 있게 접착한다.Thereafter, when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passed through a metal mold (not shown) that is wrapped with the metal layer 30 and is heated, the liqui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is cured, 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to reliably adhere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to each other.

이때, 금형의 치수는 통상 절연 탄성 코어(10)의 치수보다 유사하거나 작으므로 액상의 절연 발포 코팅층(10)이 금형을 통과하면서 압력을 받아 절연 발포 코팅층(10)의 누출물(21)이 메탈층(30) 양단으로 빠져나와 절연 탄성 코어(10) 하면에 메탈층(30)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14)에 수용된 후 경화되어 고상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의 누출물(21)이 된다.Since the dimension of the metal mold is generally smaller or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the liquid insulating foam coating layer 10 receives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metal mold, And is then stored in the grooves 14 formed by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n cured to form the leakage 21 of the solid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

바람직하게 홈(14)의 중앙은 절연 탄성 코어(10) 하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좌우 대칭을 이룬다. Preferably, the center of the groove 14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and is symmetrical.

이때, 금형 내부에 위치한 액상 실리콘 고무의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금형의 온도를 약 60 내지 250℃ 정도로 유지하고, 주변의 습도를 약 6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accelerate the curing speed of the liquid silicone rubber located inside the mold,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mold at about 60 to 250 DEG C and maintain the ambient humidity at about 60%.

이와 같은,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은 한번 경화되면 열에 의해 다시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이후 전기접촉단자(100)를 리플로우 솔더링 할 때도 원래의 접착 성능을 유지하고 또한 항시 탄성을 유지한다.When the liqui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s once cured, the liqui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s not melted again by heat.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ic contact terminal 100 is reflow soldered, the original adhesion performance is maintained and the elasticity is always maintained .

이와 같이 제조된 전기접촉단자(100)는 메탈층(30) 때문에 길이가 너무 길면 구겨짐 등 문제점이 있어 통상 1m 이하의 길이로 제조한 후 최종적으로 필요로 하는 길이인 0.5mm 내지 10㎜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thus manufactured has a problem of wrinkling or the like due to the metal layer 30 having a too long length, so that it is usually manufactured to a length of 1 m or less and finally cut to a required length of 0.5 mm to 10 mm Can be used.

이후, 약 160℃ 정도 되는 경화로에 약 1시간 정도 방치하여 절연 비발포 코팅층(20)을 완전 경화한다. Thereafter, the insulating non-foamed coating layer 20 is completely cured by being left in a curing furnace of about 160 ° C for about 1 hour.

바람직하게 습기에 의해 경화되는 액상 실리콘 고무도 열을 가하면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liquid silicone rubber, which is preferably cured by moisture, can also shorten the curing time by applying heat.

이와 같이 제작된 전기접촉단자(100)의 외부 표면은 산화가 잘 안 되고 리플로우 솔더링이 용이한 메탈층(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탈층(30)의 주성분은 구리이므로 전기전도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다.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thus fabricated is made of a metal layer 30 which is not easily oxidized and is easy to reflow solder. Since the main component of the metal layer 30 is copp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s good and the price is low.

제1 실시 예에서 절연 탄성 코어(10)와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 재료는 내열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리플로우 솔더링 전후에 전기접촉단자(100)로서 전기적, 기구적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탄성 코어(10)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은 탄성 회복력이 뛰어나고 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는다.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heat-resistant silicone rubber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and the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electr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is maintained as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before and after reflow soldering. Further, the elastic core 10 and the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re excellent i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re not melted by heat.

바람직하게 전기접촉단자(100)의 밑면은 솔더크림(3)과 접촉이 많이 되도록 하고, 윗면은 평면을 이뤄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 실장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in contact with the solder cream 3, and the top surface is planar so that reflow soldering by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is possible.

이와 같이 제조된 전기접촉단자(100)를 원하는 길이로 칼날에 의해 절단한 후 캐리어(carrier) 테이프에 릴 포장한다.The electric contact terminal 100 thus manufactured is cut to a desired length by a blade and reeled on a carrier tape.

이후 전기접촉단자(100)는 진공 픽업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의 솔더크림(3) 위에 표면 실장된 후 리플로우 솔더링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에 부착된다.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is then surface mounted on the solder cream 3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 by vacuum pick-up and then attach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 by reflow soldering.

바람직하게 인쇄회로기판(1) 위의 접지패턴(2)과 솔더크림(3)은 중앙에 한 개 이상의 절연 간극(미도시)을 갖고 좌우 대칭되게 분할되어 형성된다.Preferably, the ground pattern 2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 and the solder cream 3 are formed by dividing the solder cream 3 horizontally symmetrically with one or more insulation gaps (not shown) in the center.

즉, 접지패턴(2)과 솔더크림(3)의 중앙에 형성된 절연 간극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 시 솔더크림(3)에 의한 전기접촉단자(100)의 들뜸 현상이나 기울어짐 현상이 적게 된다. 바람직하게 절연 간극의 폭은 0.2 내지 2㎜이다.That is, due to the insulation gap formed at the center of the ground pattern 2 and the solder cream 3, the phenomenon of lifting or tilting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by the solder cream 3 during reflow soldering is reduced. Preferably, the width of the insulation gap is 0.2 to 2 mm.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안정적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oamed rubber layer, and are formed when the center space is not emptied, so that it is stable when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기 이격된 메탈층(30)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형성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forms a groove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receive a sufficient amount in the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paced-apart metal layer 3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도 4는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하면 양측 모서리를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한 예이다.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both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re rounded.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하면 양측 모서리가 모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메탈층이 꺽이는 각도가 부드러우므로 제조가 편리하고, 크랙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든다.Referring to FIG. 4, since both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are formed in a round shape, the angle of break of the metal layer is smooth,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cracks is reduced.

그리고 SMD공정에서 납이 묻는 면적도 각진 형상보다는 많아지게 되므로 통전에 보다 유리해질 수 있다.In the SMD process, the lead area becomes larger than the angular shape, so that it can be more advantageous for the current application.

또 다른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표시된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ontact terminal.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서로 대향하는 인쇄회로기판(1, 1')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압출된 절연 탄성 코어(core;10),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 및 메탈층(3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5 to 7, th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capable of reflow solder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printed circuit boards 1 and 1 ' An extruded insulative elastic core 10, an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nd a metal layer 30 are sequentially laminated.

절연 탄성 코어(10)는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15, 16)이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압출 공정에 의해 제공된다.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wo through holes 15 and 16 therein and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by an extrusion process to have various shapes.

절연 탄성 코어(10)의 재질은 리플로우 솔더링 및 탄성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비발포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is preferably a non-foaming rubber in order to satisfy reflow soldering and elastic conditions.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 재료의 경도는 적당한 기계적 강도 및 탄성을 위하여 Shore A 40 내지 70이 바람직하며,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의 누르는 힘은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5, 16)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작아질 수 있다. The hardness of the material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preferably Shore A 40 to 70 for proper mechanical strength and elasticity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rough holes 15 and 16 Can be reduced by size and shape.

도 2를 참조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면은 폭 방향으로 양단에서 아래로 파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formed in a shape which is widened down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바람직하게 접지패턴(2) 및 솔더 크림(3)은 중앙에 절연 간극으로 분리된다.Preferably, the grounding pattern 2 and the solder cream 3 are separated at the center by an insulation gap.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하면 양측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완성된 전기접촉단자(100)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솔더링 된 후 대향하는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 측면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may be round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handl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gagement of the completed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on both sides in the process of being assembled with the opposing object after being solde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절연 탄성 코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5, 16)은 절연 탄성 코어(10)의 탄성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중앙으로부터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holes 15 and 16 formed in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are preferably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from the center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can be stably formed.

더욱이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부 부분(11)의 두꺼운 두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일정한 수준까지만 눌리게 되는 역할을 하여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촉시 상부부분(12)이 가능한 수평을 이루게 해준다. Further, the thick thickness of the lower portion 11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cts to be pressed only to a certain level by the external pressure, so that the upper portion 12 becomes as horizontal as possible when the object contacts the opposing object.

절연 탄성 코어(1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5, 16)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s (15, 16)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may be circular or elliptical.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인쇄회로기판(1')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절연 탄성 코어(10)의 양 측면 외부로 분산되어 관통공(15, 16)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부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inted circuit board 1 ',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dispersed outside the both sides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to form the through holes 15 and 1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from tilting to one side.

즉, 비발포 고무층에 관통공(15, 15)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1, 1’)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안정적이다That is, two through-holes 15 and 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foamed rubber layer, and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tilted to one side when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1 and 1 ' Can be prevented and is very stable

또한, 관통공(15, 16)의 하부 비발포 고무층의 중앙 부분은 정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소정거리 경사진다. 즉, 골이 형성된다. Furth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unfoamed rubber layer of the through-holes 15, 1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to both sides. That is, a bone is forme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부 부분(12)의 중심부가 함몰되지 않고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탄성 코어(10)의 하부 부분(11)의 골이 평행하게 되면서 무게가 균형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2 can be kept flat without being depress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In addition, the valley of the lower portion 11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becomes parallel so that the weight can be divided equally.

바람직하게, 절연 탄성 코어(10)의 관통공(15, 16)의 양측 부분(13)의 두께를 상부 및 하부 부분(11, 12)의 두께와 비슷하게 형성하여 상부로부터의 눌림에 안정성을 좋게 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both side portions 13 of the through holes 15 and 16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is formed to b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11 and 12 so as to improve stability .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은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 탄성 코어(10)와 메탈층(30)을 신뢰성 있게 접착시켜준다.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is located between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and reliably bonds the insulating elastic core 10 and the metal layer 30.

이러한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은 리플로우 솔더링 온도에서도 접착력의 변화가 없어야 하며 항시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및 탄성을 위하여 완전 경화된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의 경도는 Shore A 20 내지 40이며 두께는 약 0.02 내지 0.1mm 이다.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should have no change in adhesive force even at the reflow soldering temperature and should always maintain elasticity. Preferably, the hardness of the fully cure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for flexibility and elasticity is 20 to 40 Shore A and a thickness of about 0.02 to 0.1 mm.

이러한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은 액상 실리콘 고무가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습기에 의해 경화되는 실리콘 고무 등에서 선택되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열에 의해 완전 경화하는 타입을 사용한다.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may be formed by curing, and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 rubber which is cured by heat or silicone rubber which is cured by moisture. Preferably, a type that is fully cured by heat is used to increase the working speed.

상기의 액상 실리콘 고무는 경화하면서 대향하는 대상물과 접착을 갖으며 경화 후 고상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으로 형성되며 한번 경화된 후에는 탄성을 유지하며 다시 열이 가해져도 접착력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신뢰성 있는 접착력을 얻기 위하여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첨가제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접착하려는 대상물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한 후 접착한다.The liquid silicone rubber has adhesion with an opposing object while being cured and is formed of a solid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after curing and maintains elasticity after once curing and maintains adhesion even when heat is applied again. Preferably, an additive or the like is added to the liquid silicone rubber in order to obtain a reliable adhesive force, or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adhered is subjected to a surface treatment such as corona treatment, and then the adhesive is adhered.

도 6과 같이, 메탈층(30)의 양단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에 접착된다. As shown in FIG. 6,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onded to the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액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에 메탈층(30)이 금형(미도시)을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접착되는 경우, 금형에 의한 외부 압력에 의해 메탈층(30)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오는 액상의 절연 비발포 고무 코팅층(20)의 누출물(21)이 이격된 메탈층(30)의 양단에 의해 형성되는 홈(14)에 수용되기 때문에, 경화 후 고상의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20)의 누출물(21)에 의해 솔더링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metal layer 30 is pressed and bond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20 while passing through a metal mold (not shown),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30 Since the leakage 21 of the liquid non-foam rubber coating layer 20 protruding from the solid insulating non-foam rubber 20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4 formed by both ends of the separated metal layer 30, The solder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leakage 21 of the coating layer 20.

여기서 홈(14)이 전기접촉단자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누출물(21)이 외부로 유출되기는 더욱 어렵게 된다.Here, since the groove 14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it becomes more difficult for the leakage of the leaking product 21 to the outside.

이러한 홈(14)에 의해 솔더링이 되지 않는 누출물(21)이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을 평면으로 유지시켜 리플로우 솔더링 시 들뜸 현상 등을 방지해주고 솔더링 강도를 증가시켜준다.By the grooves 14, the leaking material 21 which is not soldered is stably receiv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is maintained in a plane to prevent lifting and the like in reflow soldering and increase the soldering strength .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홈(14)은 절연 탄성 코어(1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플로우 솔더링 후 전기접촉단자(100)의 좌우 측면의 솔더링 강도를 유사하게 제공해주며, 많은 양의 누출물(21)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14)의 폭은 약 0.2 내지 1.5㎜이다.Preferably, such grooves 14 are formed in a right-left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10 to provide a similar soldering streng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after reflow soldering , And can accommodate a large amount of leaking water 21. Preferably, the width of the groove 14 is about 0.2 to 1.5 mm.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홈(14)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00)의 상면과 하면이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어 릴(reel) 포장 시 편리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 100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by the groove 14, which is convenient for reel packagin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면, 솔더링 하는 부분이 밑에 부분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dering portion at the bottom.

그리고, 종래와 같이 이격을 하면으로 하면 절연탄성체가 압출로 만들기 때문에 항상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아서 필름으로 감쌀때 Lot별로 이격거리가 달라질뿐만 아니라 성형공정에서도 좌우편차에 의해서 정확하게 중앙으로 이격이 되지 않는다. 특히,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SMD 공정에서 한쪽은 솔더가 덜 뭍게 되므로 접착강도가 약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insulative elastic body is extruded, the size is not always constant. Therefore, when the film is wrapped with the film, the separation distance varies according to the lot. Particularly, when it is shifted to one side, the bonding strength is weakened because one side of the SMD process is less loaded with solder.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런 공정상에 불량을 미연에 막기 위해서 윗면에서 메탈층의 이격을 한 것으로서, 밑면은 이등변삼각형 모양일 수도 있고 평평할 수도 있고 평평한 중간부분에 직사각형일수도 있고 삼각형 부분일 수도 있다. In contras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layer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prevent defects in such a process. The bottom surface may be an isosceles triangle shape, a flat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t a flat middle portion It may be a triangular part.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비발포 고무층에 관통공을 양측으로 두개 형성하고, 가운데 공간을 비우지 않고 형성하여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접촉단자를 솔더링할때 안정적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n-foamed rubber layer, and it is stable when the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are solder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s by forming the center space without empty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상부에 이격된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홈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of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may be collected in the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spaced from the upper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충분히 많은 양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구조로 홈을 상부에 형성하고 누출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groove on the upper part with a rectangular structure so as to accommodate a sufficiently large amount, and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leaking water to the outsid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y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8)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
상기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탈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탈층은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이격된 양단은 아래로 수직절단된 형태이며,
상기 메탈층은 구리, 구리에 석도금 또는 구리에 금도금을 한 것 중 하나이며, 두께가 0.01 내지 0.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An insulated elastic core having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elastic core;
And a metal layer formed to surround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ion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le both ends thereof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aced apart ends are vertically cut down,
Wherein the metal layer is one of copper, copper-plated or copper-plated, and has a thickness of 0.01 to 0.0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oove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상기 메탈층이 접착시 상기 메탈층의 양단으로부터 삐져나오는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의 누출물이 이격된 상기 메탈층의 양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the leakage of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formed by both ends of the separated metal layer.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상면 양하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surface side edge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is rou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중앙부에 두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such that the through hol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하부중앙에는 완만한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ft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sulative elastic core.
내부에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
상기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는 메탈층을 포함하며,
상기 메탈층은 상기 절연 탄성 코어의 상부와 접촉하는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홈을 형성하면서 상기 절연 비발포고무 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이격된 양단은 아래로 수직 절단된 형태이며,
상기 메탈층은 구리, 구리에 석도금 또는 구리에 금도금을 한 것 중 하나이며, 두께가 0.01 내지 0.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An insulated elastic core having two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rapped around the insulating elastic core;
And a metal layer adhered to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so as to surround the insulated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erein the metal layer is adhered to the insulating non-foamed rubber coating layer while both ends of the metal layer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elastic co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paced apart ends are vertically cut down,
Wherein the metal layer is one of copper, copper-plated or copper-plated, and has a thickness of 0.01 to 0.05 mm.
KR1020160079896A 2016-06-27 2016-06-27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KR101867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96A KR101867338B1 (en) 2016-06-27 2016-06-27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96A KR101867338B1 (en) 2016-06-27 2016-06-27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9A KR20180001139A (en) 2018-01-04
KR101867338B1 true KR101867338B1 (en) 2018-06-15

Family

ID=6099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96A KR101867338B1 (en) 2016-06-27 2016-06-27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6742A1 (en) * 2020-03-12 2021-09-16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ctrical contact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ntact pa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20B1 (en) * 2008-09-30 2009-04-15 조인셋 주식회사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1046765B1 (en) * 2009-01-09 2011-07-06 조인셋 주식회사 Solderabl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KR101084282B1 (en) * 2011-06-15 2011-11-17 김선기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49B1 (en) * 2009-08-21 2012-04-05 두성산업 주식회사 Conductive contactor for substrate surface mou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20B1 (en) * 2008-09-30 2009-04-15 조인셋 주식회사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1046765B1 (en) * 2009-01-09 2011-07-06 조인셋 주식회사 Solderabl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KR101084282B1 (en) * 2011-06-15 2011-11-17 김선기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9A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354B1 (en) Reflow solderable electric contacts having elasticity
KR100993253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200428000Y1 (en) Solderable Electric contact terminal
TWI387159B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0892720B1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0783588B1 (en) Solderable electric contact terminal
JP4427565B2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al contact terminals
KR101711016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having improved environmental proper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662261B1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US20160336093A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adapted to small size
KR101025792B1 (en) Solderable electric and elastic contacts
KR101711013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adapted to small size
KR200442294Y1 (en) Solderable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1867338B1 (en) Elastic electric connection terminals
KR101018735B1 (en) Solderable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KR101743989B1 (en) Elastic composite filter
KR101001355B1 (en) Elastic conductive Contact Terminal for Surface Mount
KR101400029B1 (en) Elastic Member and Elastic Rubber Gasket
KR20100082627A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1793719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having improved corrosive proper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735656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having improved environmental proper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804882B1 (en) Solderable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0845046B1 (en) Electric contact terminal for surface mounting technology
KR102638217B1 (en) Solderable Elastic - Electric Contact Terminal
KR101759712B1 (en) 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having stability for signal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