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227B1 -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 Google Patents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227B1
KR101867227B1 KR1020170057977A KR20170057977A KR101867227B1 KR 101867227 B1 KR101867227 B1 KR 101867227B1 KR 1020170057977 A KR1020170057977 A KR 1020170057977A KR 20170057977 A KR20170057977 A KR 20170057977A KR 101867227 B1 KR101867227 B1 KR 101867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ntrance
area
extended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일
이창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227B1/ko
Priority to US15/696,980 priority patent/US1046139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0Wire waveguides, i.e. with a single solid longitudin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3Hollow waveguides with a complex or stepped cross-section, e.g. ridged or grooved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01P5/022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 H01P5/024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between hollow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Abstract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이 개시된다. 확장 도파관은, E 평면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영역(Expanded Area), 확장영역의 양측에 연결되어 전자파가 통과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Transition Area) 및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전자파가 입력 및 출력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되, 변형영역에는 복수의 다각기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배치된 복수의 다각기둥 사이를 따라 채널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 supporting uniform electromagnetic fields}
본 발명은 확장 도파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전력 합성 컴포넌트를 패키징하기 위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별 반도체 회로의 전력 용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래서, 높은 출력을 획득하기 위하여 전송선으로서 금속 도선이 이용될 경우, 분배 회로의 손실로 인하여 합성 가능한 회로의 개수가 많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별 반도체 회로(Cell)에 안테나를 부착하여 공간으로 입력파와 출력파를 제공하는 공간 전력 합성 기술이 기존에 제시된 바가 있다.
공간 전력 합성이 열린 공간에서 시도될 경우, 개별 반도체 회로의 입출력 전자파는 균일한 값을 유지하지만, 외부 방출 손실이 많아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래서, 금속으로 막혀진 공간 안에서 반도체 어레이(Array)를 패키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저주파 도파관 제품의 경우, 도파관 내부에 장착된 반도체 어레이의 크기가 도파관에 비하여 크지 않다. 하지만, 최신 레이더 통신 부품은 주파수가 상향 조정되면서 도파관의 크기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반도체 어레이가 장착되기 위해서는 도파관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 즉,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이 요구된다. 확장 도파관은 금속으로 막힌 내부 공간에서 다중 모드가 발생하기 때문에, 균일한 크기의 입출력파를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현재 W 주파수 대역(W-band) 이상의 주파수 대역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고, 고출력 전자파 부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공간 전력 합성에 필요한 패키징 기술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현재까지 70 GHz(W 주파수 대역)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간 전력 합성을 위한 하우징 또는 패키징 기법은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도 1은 1차원 확장 도파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1차원 확장 도파관은, 최근에 스웨덴 Chalmers 대학에서 제안한 것으로, 기존의 2차원 공간 전력 합성 대신 금속 패키징 환경에서 1차원 반도체 어레이가 사용되었다. 이는 W 주파수 대역의 높은 주파수에서 반도체 칩의 결합의 현실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1차원 확장 도파관은 구조 상 반도체 칩의 과열 방지에 금속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1차원 확장 도파관의 구조는 금속 패키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전자파 방사 형태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 어레이에 분배되는 전력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확장 도파관 블록 제작 시, 상하가 아닌 좌우 방향으로 절단을 하는 H-plane Cut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복잡성과 손실이 문제가 되며, 확장 도파관 내부에 반도체 어레이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어레이를 형성하는 개별 반도체를 한 개씩 일일이 장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W 주파수 대역(W-band)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크기의 전자파 분포를 유지할 수 있는 확장 도파관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를 동일한 평면 위에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표준 도파관의 내부를 확장시키고, W 주파수 대역(W-band)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E 평면(E-plane)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상기 E 평면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영역(Expanded Area), 상기 확장영역의 양측에 연결되어 전자파가 통과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Transition Area) 및 상기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전자파가 입력 및 출력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영역에는 복수의 다각기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복수의 다각기둥 사이를 따라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 두 갈래로 수 차례 분기된 트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출입구 측의 상기 채널의 입구로부터 상기 확장영역 측의 상기 채널의 각 출구까지의 모든 경로의 길이가 동일해 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로 입력된 전자파는 상기 모든 경로를 통과함으로써, 복수로 분기되며, 상기 각 출구에 도착하는 모든 전자파의 도착 시간은 동일하다.
상기 다각기둥은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사각기둥이되, 상기 변형영역에 상기 트리 형태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다른 크기의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사각기둥이 배치된다.
상기 다각기둥은 좌우 대칭되도록 상기 마름모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 부분이 잘려져 형성된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육각기둥이다.
상기 변형영역은 상기 확장영역과 상기 출입구의 폭 차이에 따라 상기 확장영역에서 상기 출입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변형영역은 상기 E 평면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한 꼭지점 부분에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꼭지점에 대향하는 상기 삼각형의 선분 부분이 상기 확장영역과 연결된다.
상기 확장영역에는 반도체 소자가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된다.
상기 확장영역에 증폭기 소자가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되어 증폭기 어레이가 형성함으로써, 1차원 공간 전력 합성 배열 증폭기가 형성된다.
상기 채널의 폭은 반 파장(λ/2) 미만이다.
상기 채널의 꺾임 정도는 30도 미만이다.
상기 채널의 출구 간격은 한 파장 미만이다.
상기 채널의 분기부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기둥의 모서리 부분이 화살촉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채널의 분기 전의 입구가 스텝(Step)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채널의 분기 전의 입구가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반도체 소자를 동일한 평면 위에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며, W 주파수 대역(W-band)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거리 레이더 및 통신 장비와 같은 전자파 관련 하드웨어에 필요한 고출력 전자파 생성을 위한 전자파 입출력 결합용 기기 제품에 필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1차원 확장 도파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단순 전자파 분포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에 형성된 채널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세부 설계 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의 내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단순 전자파 분포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에 형성된 채널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확장영역(Expanded Area)(10), 변형영역(Transition Area)(20) 및 출입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중간에 반도체 소자가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되는 확장영역(10)이 형성되고, 확장영역(10)의 양측에는 입력된 전자파가 통과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20)이 연결된다. 그리고,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20)의 각 단부에는 전자파가 입력 및 출력되는 출입구(3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을 적용한 1차원 공간 전력 합성 배열 증폭기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로서 안테나 구조를 가지는 증폭기 소자가 확장영역(10)의 중간에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되어 증폭기 어레이(4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 어레이(40)는 확장영역(10)의 중간에 하나 또는 상하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전자파 필드 분포를 획득하기 위하여, E 필드가 옆으로 누워진 E 평면(E-plane) 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
1차원 금속 도파관은 임의로 확장될 경우, 다양한 모드의 발생으로 평면파 제공이 어려우며, 만약, E 평면에 수직인 H 평면(H-plane)이 사용될 경우, 금속 도파관의 좌우 금속 벽에 평행한 E 필드가 소멸되어 균일한 전자파 필드 분포를 획득하지 못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확장영역(10)은 E 평면 방향으로 확장된 도파관 영역이 된다. 예를 들어, 확장영역(10)은 E 평면 방향의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영역(20)은 확장영역(10)과 출입구(30)의 크기(즉, 수평 폭) 차이에 따라 확장영역(10)에서 출입구(30)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변형영역(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영역(10)에서 출입구(30)로 갈수록 수평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영역(20)은 E 평면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삼각형의 한 꼭지점 부분에 출입구(30)가 형성되고, 출입구(30)가 형성된 삼각형 꼭지점에 대향하는 삼각형의 한 선분 부분이 확장영역(10)과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영역(20)에는, 균일한 전자파 필드 분포를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의 다각기둥(2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배치된 복수의 다각기둥 사이를 따라 채널(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채널(25)은 출입구(30)로부터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 두 갈래로 수 차례 분기된 트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채널(25)은 출입구(30) 측의 채널(25)의 입구로부터 확장영역(10) 측의 채널(25)의 각 출구까지의 모든 경로의 길이가 동일해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출입구(30)로 입력된 전자파는 출입구(30) 측의 채널(25)의 입구로부터 확장영역(10) 측의 채널(25)의 각 출구까지의 모든 경로를 통과함으로써, 복수로 분기되며, 채널(25)의 각 출구에 도착하는 모든 전자파의 도착 시간은 동일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기둥(21)은 사각기둥으로서, 단면은 마름모 형태일 수 있으며, 변형영역(20)에 출입구(30)로부터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 두 갈래로 수 차례 분기된 트리 형태의 채널(25)이 형성되도록, 다른 크기의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다각기둥(2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채널(25)의 경로 수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다각기둥(21)은 채널(25)의 각 출구까지의 모든 경로의 길이가 동일해 지도록 트리 형태의 채널(25)이 형성될 수 있다면, 육각기둥도 될 수 있다. 즉, 다각기둥(21)은 좌우 대칭되도록 마름모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 부분이 잘려져 형성된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육각기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서리를 자르는 방식으로 사각기둥, 육각기둥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각기둥(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세부 설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의 세부 설계는, 채널(25)의 폭, 채널(25)의 꺾임(Bend) 정도, 채널(25)의 출구 간격, 채널(25)의 분기부의 구조 및 채널(25) 분기 전의 입구 구조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채널(25)의 폭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도파관은 33-50GHz의 Q 대역(Q-band) 도파관이고, 중심 주파수가 42.5GHz이고, 파장(λ)이 7mm이고, 도파관의 폭 및 높이가 각각 5.7mm 및 2.8mm라고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채널 폭 2.8mm, 4.2mm 및 5.6mm 중에서 2.8mm의 폭을 가지는 채널(25)이 전자파가 균일한 분포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8mm의 폭을 가지는 채널(25)이 반사파도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단일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채널 폭은 반 파장(λ/2) 미만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채널(25)의 꺾임 정도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울기 1 내지 3의 채널(25) 중에서 상대적으로 기울기 3의 채널(25)이 전자파가 균일한 분포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울기 3은 약 1/2이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3의 채널(25)이 반사파도 작게 나타난다. 채널(25)의 급격한 방향 전환은 반사파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채널(25)은 적절한 각도로 꺾여야 한다.
따라서, 채널(25)의 꺾임 정도는 30도 미만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채널(25)의 분기부의 구조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채널(25)의 분기부에 위치하는 다각기둥(21)의 모서리 부분이 무보정 구조인 경우 및 화살촉 구조인 경우의 전자파 분포와 반사파 크기를 나타낸다.
채널(25)의 분기부는 하나의 입력 채널과 두 개의 출력 채널로 인하여 발생하는 저항 차이 및 반사파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기둥(21)의 모서리 부분이 화살촉 형태로 형성된 경우의 채널(25)의 분기부가 보다 균일한 전자파 분포와 작은 반사파의 크기를 나타낸다. 즉, 다각기둥(21)의 모서리 부분이 화살촉 형태일 때,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다만, 이러한 형태는 제작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채널(25) 분기 전의 입구 구조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채널(25) 분기 전의 입구가 스텝(Step) 구조로 형성된 경우 및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된 경우의 전자파 분포와 반사파 크기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구조 및 테이퍼 구조 모두 반사파 제거에 적절하다. 다만, 테이퍼 구조가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채널(25)의 출구 간격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5)의 출구 간격이 한 파장(1λ) 이상일 때 다중 모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채널(25)의 출구 간격은 한 파장 미만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채널 폭, 채널 꺾임 정도, 채널 분기부의 구조, 채널 분기 전의 입구 구조 및 채널 출구 간격에 따라 변형영역(20)에 배치되는 다각기둥(21)의 크기 및 형태, 배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 부보정으로 발생하는 반사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기둥(21)의 모서리 부분을 화살촉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채널(25) 분기부에 대한 화살촉 매칭을 수행하여 반사파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확장영역(Expanded Area)
20: 변형영역(Transition Area)
21: 다각기둥
25: 채널
30: 출입구
40: 증폭기 어레이

Claims (15)

  1.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E 평면(E-plane)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 도파관(Expanded waveguide)에 있어서,
    상기 E 평면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영역(Expanded Area);
    상기 확장영역의 양측에 연결되어 전자파가 통과하는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Transition Area); 및
    상기 입력측 및 출력측의 변형영역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전자파가 입력 및 출력되는 출입구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영역에는 복수의 다각기둥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배치된 복수의 다각기둥 사이를 따라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미리 설정된 레벨만큼 두 갈래로 수 차례 분기된 트리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출입구 측의 상기 채널의 입구로부터 상기 확장영역 측의 상기 채널의 각 출구까지의 모든 경로의 길이가 동일해 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로 입력된 전자파는 상기 모든 경로를 통과함으로써, 복수로 분기되며, 상기 각 출구에 도착하는 모든 전자파의 도착 시간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은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사각기둥이되,
    상기 변형영역에 상기 트리 형태의 채널이 형성되도록, 다른 크기의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사각기둥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은 좌우 대칭되도록 상기 마름모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 부분이 잘려져 형성된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육각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영역은 상기 확장영역과 상기 출입구의 폭 차이에 따라 상기 확장영역에서 상기 출입구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영역은 상기 E 평면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삼각형의 한 꼭지점 부분에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꼭지점에 대향하는 상기 삼각형의 선분 부분이 상기 확장영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에는 반도체 소자가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에 증폭기 소자가 1차원 배열로 다수 장착되어 증폭기 어레이가 형성함으로써, 1차원 공간 전력 합성 배열 증폭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폭은 반 파장(λ/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꺾임 정도는 3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출구 간격은 한 파장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분기부에 위치하는 상기 다각기둥의 모서리 부분이 화살촉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분기 전의 입구가 스텝(Step)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분기 전의 입구가 테이퍼(Taper)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도파관.


KR1020170057977A 2017-05-10 2017-05-10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KR101867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77A KR101867227B1 (ko) 2017-05-10 2017-05-10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US15/696,980 US10461391B2 (en) 2017-05-10 2017-09-06 Expanded waveguide including multilateral pillars forming multiple channels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977A KR101867227B1 (ko) 2017-05-10 2017-05-10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227B1 true KR101867227B1 (ko) 2018-06-12

Family

ID=6262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977A KR101867227B1 (ko) 2017-05-10 2017-05-10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61391B2 (ko)
KR (1) KR1018672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635A (ko) * 2018-11-16 2020-05-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원형 코르게이트 도파관의 he11 모드를 활용한 공간전력합성 장치
KR102371802B1 (ko) * 2020-09-18 2022-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전력합성을 위한 가우시안 빔 진행장치
KR20220096145A (ko) 2020-12-30 2022-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plane 방향으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금속 도파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393A (en) * 1985-10-21 1987-06-30 Rca Corporation Phase-corrected waveguide power combiner/splitter and power amplifier
KR20020032902A (ko) * 2000-10-28 2002-05-04 한상욱 광대역 저손실 전력분배장치
US20060202777A1 (en) * 2005-03-08 2006-09-14 Deckman Blythe 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in a waveguide-based spatial power comb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8580A (en) * 1963-09-12 1965-11-16 Zanichkowsky Martin Waveguide power dividing elements
US3564458A (en) * 1969-10-28 1971-02-16 Canadian Patents Dev Branched waveguide transitions with mode filters
US4291278A (en) * 1980-05-12 1981-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Planar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power combiner
US4588962A (en) * 1982-05-31 1986-05-13 Fujitsu Limited Device for distributing and combining microwave electric p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7393A (en) * 1985-10-21 1987-06-30 Rca Corporation Phase-corrected waveguide power combiner/splitter and power amplifier
KR20020032902A (ko) * 2000-10-28 2002-05-04 한상욱 광대역 저손실 전력분배장치
US20060202777A1 (en) * 2005-03-08 2006-09-14 Deckman Blythe 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in a waveguide-based spatial power combin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urizio Bozzi 외 4인, "A Compact, Wideband, Phase-Equalized Waveguide Divider/Combiner for Power Amplification", 33rd European Microwave Conference - Munich 2003년.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635A (ko) * 2018-11-16 2020-05-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원형 코르게이트 도파관의 he11 모드를 활용한 공간전력합성 장치
KR102197820B1 (ko) 2018-11-16 2021-0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확장 원형 코르게이트 도파관의 he11 모드를 활용한 공간전력합성 장치
KR102371802B1 (ko) * 2020-09-18 2022-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전력합성을 위한 가우시안 빔 진행장치
KR20220096145A (ko) 2020-12-30 2022-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plane 방향으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금속 도파관
KR102443743B1 (ko) * 2020-12-30 2022-09-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H-plane 방향으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금속 도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1410A1 (en) 2018-11-15
US10461391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227B1 (ko)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도파관
JP5930517B2 (ja) アンテナ装置
US10205213B2 (en) Antenna formed from plate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KR100601768B1 (ko) 캐비티 부착 슬롯 어레이 안테나
US9997820B2 (en) Enhanced hybrid-tee coupler
CN102820542B (zh) 波导缝隙天线及无线通信系统
US9350064B2 (en) Power division and recombination network with internal signal adjustment
US9735457B2 (en) RF power combiner functioning as higher-order harmonics filter
US6861997B2 (en) Parallel plate septum polarizer for low profile antenna applications
US20190097296A1 (en) Power divider for an antenna comprising four identical orthomode transducers
RU2546060C2 (ru) Малогабар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иления мощности
KR102197820B1 (ko) 확장 원형 코르게이트 도파관의 he11 모드를 활용한 공간전력합성 장치
JP6022136B1 (ja) 高周波電力増幅器
KR102443743B1 (ko) H-plane 방향으로 균일한 전자파 필드를 제공하는 확장 금속 도파관
JP2011199353A (ja) H面t分岐導波管
KR102651603B1 (ko) 4중 금속 도파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결합 장치
JP6556406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7059909A (ja) 導波管/伝送線路変換器、アレーアンテナ及び平面アンテナ
EP3429024A1 (en) Phase shift circuit and power supply circuit
KR102455537B1 (ko) 도파관 전력 결합기
US20180069286A1 (en) Waveguide tube/transmission line converter and antenna device
CN108539437B (zh) 一种双频双极化共口径波导缝隙阵列天线
Xuan et al. Power combining by quasi optical beams technique at terahertz band
JP2006217104A (ja) 4周波数共用アンテナ
JP2020188377A (ja) ターンスタイル型偏分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