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658B1 -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658B1
KR101866658B1 KR1020160130000A KR20160130000A KR101866658B1 KR 101866658 B1 KR101866658 B1 KR 101866658B1 KR 1020160130000 A KR1020160130000 A KR 1020160130000A KR 20160130000 A KR20160130000 A KR 20160130000A KR 101866658 B1 KR101866658 B1 KR 10186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utsole
shoe
injection space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8849A (en
Inventor
권상찬
Original Assignee
권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상찬 filed Critical 권상찬
Priority to KR102016013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658B1/en
Publication of KR2018003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B29D35/0045Sealing means for the mould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29D35/0018Moulds
    • B29D35/0027Last construction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2Producing footwear made in one piece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or casting

Abstract

바닥부와,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갑피를 수용하여 신발의 제1 아웃솔과 제1 아웃솔에 부착되는 제2 아웃솔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는 상기 바닥부가 상부로 향한 상태로 상기 신발의 갑피를 수용하는 갑피 수용부와, 상기 갑피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갑피의 전단부가 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하단 금형; 상기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수용된 신발의 바닥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바닥부 노출 절개부가 형성되는 중단 금형; 및 상기 바닥부에 형성될 제1 아웃솔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에 상기 아웃솔에 부착될 제2 아웃솔이 수용 및 부착되는 제2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에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상단 금형;을 포함한다.A mold apparatus for forming a bottom portion and a second outsole attached to a first outsole and a first outsole of a shoe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shoe and to accommodate an upper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portion,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comprises a top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with the bottom portion facing upwardly and a lower end portion for forming a stepped portion to be stepped on one end portion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mold; An intermediate mold having a bottom portion cut o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ived shoe so as to expose the top portion; And a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first outsole to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nd a second injection space portion in which a second outsole to be attached to the outsole is accommodated and attached is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And an upper mol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the molten outsole member into the first injection space part.

Description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shoe and a sho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and a footwea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해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수많은 종류의 신발이 제조되고 있으며, 또한, 각 기능에 따른 특수신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는 신발은 그 구조에서 살펴보면 대동소이함을 알 수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shoes having various designs have been manufactured by improving living standards and various needs of consumers. Also, various kinds of special shoes according to respective functions are also being launched variously. However, the shoe which is released in various kinds can be seen in the structure.

신발은 통상 신발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지며, 신발 밑창은 다시 아웃솔, 미드솔, 인솔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Shoes usually consist of shoe outsole and upper, and shoe outsole can be divided into outsole, midsole, and insole.

아웃솔은 그 재질이 대개 고무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아웃솔의 주 기능이 미끄럼방지, 내마모성 및 지면과의 착지력 향상을 위해서이다. 미드솔은 그 재질이 다양하게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미드솔의 재질은 크게 두가지로 이루어진다. 첫째, 발포 성형되는 액상의 우레탄수지를 이용하는 우레탄 미드솔이다. 그리고, 둘째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미드솔이다.The outsole is usually made of rubber,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outsole for anti-slip, abrasion resistance and landing. The material of the midsole is variously composed. Generally, the material of the midsole is widely used. First, it is a urethane midsole using liquid urethane resin which is foam-molded. Secondly, it is a midsole made mainly of ethylene vinyl acetate.

미드솔과 아웃솔은 그 제작방법 및 사용금형이 다르므로 각각 별개로 제작한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하여 신발 밑창을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신발 밑창은 다시 갑피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The midsole and the outsole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the outsole and the midsole are bonded together using an adhesive to form the shoe sole. The shoe sole is attached again using the upper and adhesive do.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되는 신발의 경우 대부분 수작업에 의하여 접착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인건비에 의한 제조단가의 상승이 불가피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hoe manufactured in this way, the adhesive process is carried out mostly by han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labor cost.

본 발명은 신발 제조 공정 상에서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인력에 따른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발 제조용 금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nd a shoe manufactured by minimizing the use of an adhesive in a shoe manufacturing process so as to minimize the work according to manpower, thereby minimiz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본 발명은 이중 아웃솔의 제조를 접착제의 사용없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색공정이나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신발 제조용 금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nd a shoe produced by the method, wherein a separate painting process or an adhering step can be omitted by making the production of a double outsole possible without using an adhesive.

또한 본 발명은 신발 제조 공정의 수를 최소화 함으로써 신발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발 제조용 금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footwear accordingly shoe mold and the manufacture can be minimized shoe manufacturing costs by minimizing the number of shoe manufacturing processes.

바닥부와,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갑피를 수용하여 신발의 제1 아웃솔과 제1 아웃솔에 부착되는 제2 아웃솔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는 상기 바닥부가 상부로 향한 상태로 상기 신발의 갑피를 수용하는 갑피 수용부와, 상기 갑피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갑피의 전단부가 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하단 금형; 상기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수용된 신발의 바닥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바닥부 노출 절개부가 형성되는 중단 금형; 및 상기 바닥부에 형성될 제1 아웃솔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에 상기 아웃솔에 부착될 제2 아웃솔이 수용 및 부착되는 제2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에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상단 금형;을 포함한다.A mold apparatus for forming a bottom portion and a second outsole attached to a first outsole and a first outsole of a shoe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shoe and to accommodate an upper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portion,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comprises a top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hoe with the bottom portion facing upwardly and a lower end portion for forming a stepped portion to be stepped on one end portion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mold; An intermediate mold having a bottom portion cut o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ived shoe so as to expose the top portion; And a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first outsole to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nd a second injection space portion in which a second outsole to be attached to the outsole is accommodated and attached is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And an upper mol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the molten outsole member into the first injection space part.

또한 상기 바닥부 노출 절개부의 둘레와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의 둘레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상의 기밀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기밀부를 수용하여 밀폐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부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airtight portion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and an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a groove shape to receive the airtight portion and seal the airtight portion is formed in the other .

또한 상기 중단 금형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상단 금형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상단 금형과 중단 금형의 결합 시 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mold halves and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upper mold is formed with a protruding fixing part. And a fix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 fix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중단 금형은, 좌부 및 우부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단 금형 좌부와 상기 중단 금형 우부는 수직 방향의 제1 회전축쌍에 연결되어 각각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Further, the stopping mold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into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and the left mold portion and the right mold portion are connected to a first rotational axis p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회전축쌍은 수평방향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단 금형은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상단 금형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힌지부와 공유하는 제2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다.The first rotary shaft pair is provided at a first hinge portion that rotates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intermediate mold rotates up and down, and the upper mold rotates the second rotation shaft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can be pivoted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2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fixed.

또한 상기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는 발포 PVC일 수 있다.Also, the molten outsole member may be a foamed PVC.

또한 상기 상단 금형에는 상기 용융상태의 발포 부재 주입 시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mold may be provided with an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air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may flow out when the foamed member in the molten state is injected.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갑피; 상기 갑피의 저부에 구비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아웃솔;을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which forms the upper contour of the shoe; A bottom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art; And an outsol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상기 아웃솔은, 상기 바닥부 및 갑피의 저면에 비접착방식으로 형성되는 발포 합성수지 재질의 제1 아웃솔; 및 상기 제1 아웃솔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아웃솔과 융착면을 형성하여 비접착방식으로 형성되는 제2 아웃솔을 포함한다.The outsole includes a first outsole made of a foamed synthetic resin and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and the bottom in a non-adhesive manner; And a second outsol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outsole and formed in a non-adhesive manner by forming a fused surface with the first outsole.

또한 상기 제2 아웃솔은 상기 제1 아웃솔의 색과 다른 색의 원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utsol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outsole.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제조용 금형은 신발 제조 공정 상에서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인력에 따른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이중 아웃솔의 제조를 접착제의 사용없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색공정이나 접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The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use of the adhesive in the shoe manufacturing process, minimizes the work according to the manpower, minimiz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enables the production of the double outsole without using the adhesive, Or the bonding step can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은 제조 공정의 수를 최소화 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o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an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by minimizing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제조용 금형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금형 중 상단 금형이 회동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금형 중 상단 금형의 저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금형 중 중단 금형이 좌우로 분리 및 젖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금형 중 상단 및 중단 금형이 회동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신발을 생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of a shoe manufactured using a metal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ld for shoe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of the mold shown in Fig. 3 is rotated and raised.
5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old of the mold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mold of the mold shown in Fig. 3 which is separated and turned to the right and left.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and the stopping die of the mold of Fig. 3 are rotated and raised.
8 to 12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ducing shoes using a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A shoe manufactured using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FIG. 1 and FIG.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of a shoe manufactured using a metal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10)은 갑피(11), 인솔(12), 바닥부(13), 제1 아웃솔(14), 제2 아웃솔(15)을 포함한다.A shoe 10 manufactured using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art 11, an insole 12, a bottom part 13, a first outsole 14, a second outsole 15).

갑피(11) 및 인솔(12)은 종래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며 구성 및 재질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갑피(11) 및 인솔(12)이 적용될 수 있다. 갑피(11)는 신발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인솔(12) 바닥부(13)와 갑피(11)가 형성하는 신발(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거나 바닥부(13)에 부착될 수 있다.The upper 11 and the insole 12 a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various kinds of the upper 11 and the insole 12 can be applied in terms of construction and material. The upper part 11 forms the upper contour of the shoe and the insole 12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hoe 10 or attached to the bottom part 13 formed by the bottom part 13 and the upper part 11 have.

바닥부(13)는 인솔(12) 과 제1 아웃솔(14)의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아웃솔(14)과 비접착 방식, 구체적으로는 용융상태의 제1 아웃솔 부재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냉각/응고 시키는 방식으로 제1 아웃솔(14)과 일체화된다. 이 때 갑피(11)는 바닥부(13)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금형 작업 시 제1 아웃솔(14)과 일체로 접착제 없이 부착된다.The bottom portion 13 is provided between the insole 12 and the first outsole 14 and injects the first outsole member in a non-adhesive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sole 14, specifically, in a molten state, / ≪ / RTI > At this time, the upper part 11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13, so that it is attached integrally with the first outsole 14 without any adhesive during the mold working.

제1 아웃솔(14)은 발포 합성수지, 예를 들면 발포 PVC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outsole 14 may be made of a foamed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 foamed PVC material.

제2 아웃솔(15)은 제1 아웃솔(14)의 저면에 구비되고, 제1 아웃솔(14)과 융착면을 형성하여 비접착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아웃솔(15)은 제1 아웃솔(14)과 색채가 다른 원료를 이용하거나, 내마모성 등의 성질이 보강된 재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outsole 1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outsole 14 and is formed in a non-adhesive manner by forming a fused surface with the first outsole 14. At this time, the second outsole 1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outsole 14, or a material reinforced with propertie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 에 따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제조용 금형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금형 중 상단 금형이 회동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금형 중 상단 금형의 저면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금형 중 중단 금형이 좌우로 분리 및 젖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의 금형 중 상단 및 중단 금형이 회동하여 상승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to 7,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is descri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upper mold of the mold of FIG. 3 is rotated and raise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most mol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termediate mold of the mold shown in FIG. 3 is separated and bent to the right and lef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n upper end and an intermediate mold of the mold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장치(100)는 상단 금형(150), 중단 금형(130) 및 하단 금형(110)으로 구성되는 금형부와 금형부가 고정 및 지지되는 주변구성들, 즉 작업대(210)와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mold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 unit including an upper mold 150, an intermediate mold 130, and a lower mold 110, and peripheral structures in which the mold unit is fixed and supported I.e., a work table 210 and a support 220.

금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최 하단에는 하단 금형(110)이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단 금형(110)의 상부에는 중단 금형(130)과 상단 금형(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The mold par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vertic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lower mold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at the lowermost end, and the intermediate mold 130 and the upper mold 15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mold 110.

상단 금형(150)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1 인젝션 공간부에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연통되는 주입구(151)와 용융상태의 발포 부재 주입 시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출구(153)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mold 150 has an injection port 15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jection space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olten outsol member can be injected, And an air outlet 153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as to be discharged can be formed.

지지부(220)는 상단 금형(150)과 중단 금형(130)이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힌지 등이 고정되는 구성부이고, 작업대(210)는 하단 금형(110)을 지지하면서 하단 금형(110), 중단 금형(130) 및 상단 금형(150)이 지지부(220)와 작업자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작업대(210)는 원형의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22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upper mold 150 and the hinge provided to rotate the intermediate mold 130 are fixed. The work table 210 supports the lower mold 110 and supports the lower mold 110, The stopping mold 130 and the upper mold 150 can be mov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220 and the operator. The work table 210 may be formed by rotating along a circular orbi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 금형(150)의 저면에는 제1 인젝션 공간부(160)가 형성된다. 제1 인젝션 공간부(160)는 제1 아웃솔 형성을 위한 용융 상태의 성형 재료가 투입된 후 냉각을 통하여 제1 아웃솔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틀로 기능한다. 상단 금형(1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주입구(151)는 상단 금형(150)의 제1 인젝션 공간부(160) 측으로 노출되는 주입구(167)들과 연통됨으로써 외부에서 주입하는 성형 재료를 제1 인젝션 공간부(160) 내로 유입시킨다.Referring to FIGS. 4 and 5, a first injection space 16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mold 150.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functions as a mold for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outsole through cooling after the molten molding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outsole is injected. The injection port 15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mold 150 communicates with the injection ports 167 exposed toward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of the upper mold 150, (160).

제1 인젝션 공간부(160) 내에는 제1 아웃솔에 부착될 제2 아웃솔이 수용 및 부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인젝션 공간부(165)가 형성된다. 제2 아웃솔은 제1 아웃솔 형성을 위한 용융 상태의 원료 주입 전에 성형이 완성된 상태로 제1 인젝션 공간부(160) 내의 제2 인젝션 공간부(165)에 수용된다.A second injection space 165 is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to define a space for receiving and attaching a second outsole to be attached to the first outsole. The second outsol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jection space 165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in a state in which molding is completed before the raw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for forming the first outsole is injected.

한편, 제1 인젝션 공간부(160) 내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169)는 상단 금형(15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출구(153)과 연통됨으로써 인젝션 공정 시 제1 인젝션 공간부(16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air outlet port 169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communicates with the air outlet 15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old 150 so that the air within the first injection space 160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단 금형(130)에는 상하 관통된 바닥부 노출 절개부(133)가 형성된다. 바닥부 노출 절개부(133)는 앞서 설명한 신발의 바닥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바닥부의 형상으로 절개된다.Referring to FIG. 4, the bottom mold opening 130 is formed with a bottom-side exposure cut-out portion 133 penetrating vertically. The bottom exposed cutout 133 is cut in the shape of a bottom so that the bottom of the shoe described above can be exposed.

또한 바닥부 노출 절개부(133)의 둘레와 제1 인젝션 공간부(160)의 둘레에는 기밀 구조의 형성을 위한 구성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중단 금형(130)의 바닥부 노출 절개부(133)의 둘레에는 홈 형상의 기밀부 수용부(132)가 형성되고, 상단 금형(150)의 제1 인젝션 공간부(160)의 둘레에는 상술한 기밀부 수용부(132)에 삽입되어 기밀구조를 형성하는 돌출된 형상의 기밀부(161)가 형성된다.Also, a structure for forming a gas-tight structure is form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bottom-side exposed cut-off portion 133 and the periphery of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160. Specifically, a groove-shaped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2 is formed around the bottom exposed cutout portion 133 of the stopping mold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not shown) of the upper mold 150 160 are formed in the protruding shape airtight portion 161 which is inserted into the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2 and forms an airtight structure.

기밀부 수용부(132) 내에는 관통구(1321)가 형성된다. 관통구(1321)는 기밀부 수용부(132) 내에 기밀부(161)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기밀부 수용부(132)내 공기 압축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하여 삽입이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반대로 기밀부 수용부(132)로부터 기밀부(161)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공기를 유입시켜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A through hole 1321 is formed in the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2. The through hole 1321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airtight portion 132 due to an increase in pressure due to air compression in the airtight portion receiving portion 132 during the insertion of the airtight portion 161 into the airtight portion receiving portion 132, Even when the airtight portion 161 is separated from the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2, the air can be introduc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밀부 수용부(132)가 중단 금형(130)에 형성되고, 기밀부(161)가 상단 금형(15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rmetic portion receiving portion 132 is formed in the stop mold 130 and the hermetic portion 161 is formed in the upper mold 150, bu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hermetic portion receiving portion 132 in reverse.

중단 금형의 상부 둘레 적어도 일부에는 홈 형상의 고정부 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단 금형의 하부 둘레에는 상술한 고정부 수용부(131)에 삽입되는 돌출된 형상의 고정부(155)가 형성된다. 고정부(155)는 상단 금형(150)을 아래로 회동시켜 중단 금형(130)의 상단에 위치시키는 경우 고정부 수용부(131)에 삽입된다. 고정부(155)는 고정부 수용부(131)에 삽입됨으로써 상단 금형(150)과 중단 금형(130)이 일체감 있도록 결합되고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At least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stopping mold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fixed portion receiving portion 131 and a protruding fixed portion 155 inserted into the fixed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1 is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mold . The fixing part 15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ccommodating part 131 when the upper mold 150 is rotated downward a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ing mold 130. The fixing portion 15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31 to prevent the upper mold 150 and the stopping mold 130 from being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learance.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 금형(150) 및 중단 금형(13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부들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단 금형(150)은 상하로 회동하도록 형성되고, 중단 금형(130)은 상하로 회동하는 동시에 좌우가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좌부 및 우부가 각각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벌어지는 방식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upper mold 150 and the components for rotating the mold stopper 130 are included. Specifically, the upper mold 150 is configured to pivot up and down, and the mold stopper 130 is pivotally moved up and down, and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제1 힌지부(142)는 일정한 수평 방향의 제2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1 힌지부(142)에는 수직 방향의 제1 회전축 쌍(143)에 각각 중단 금형(130)의 좌부와 우부가 연결된다. 중단 금형(130)의 좌부와 우부는 각각 제1 회전축(143)들을 중심으로 상호 벌어지는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회동한다.The first hinge portion 142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ry shaft 140 in a predetermined horizontal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pping die 1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pair of rotation shafts 143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irst hinge portion 142,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mold stopper 130 pivot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s 143 in opposite directions and in opposite directions.

상단 금형(150)은 제2 힌지부(141)를 통하여 상술한 제2 회전축(140)에 연결된다. 제2 힌지부(141)는 제1 힌지부(142)와 제2 회전축(140)을 공유하며 상하로 회동한다. 제2 회전축(140)은 앞서 설명한 지지부(220)에 고정된다.The upper mold 1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40 through the second hinge 141. [ The second hinge portion 141 shares the second rotation shaft 140 with the first hinge portion 142 and rotates up and down. The second rotation shaft 140 is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220 described above.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 금형(110)은 갑피 수용부(111)와 단차부(113)가 형성된다. 갑피 수용부(111)는 앞서 설명한 바닥부가 상부로 향한 상태로 신발의 갑피를 수용한다. 단차부(113)는 갑피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갑피가 갑피 수용부(111) 내 수용되는 경우 갑피의 전단부가 거치되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lower mold 110 has a top receiving portion 111 and a stepped portion 113 formed thereon. The upper receiving part 111 accommodates the upper part of the shoe with the bottom part facing upward as described above. The step 113 is formed so as to be stepped at one end of the upper receiving part,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is mounted when the upper is received in the upper receiving part 111.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신발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신발을 생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to 12,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hoe using a mold for manufacturing a dual out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8 to 12 are perspectiv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ducing shoes using a mold for shoe manufact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젝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단 금형(150) 및 중단 금형(130)이 상부로 들린 상태에서 갑피(11)와 바닥부(13)까지 형성된 제조중인 신발을 뒤집힌 상태로 갑피 수용부(111)에 수용한다. 이 때 갑피(11)의 전단부, 즉 신발의 코 부분은 단차부(113)에 걸친 상태가 된다.8, in order to carry out the injection process, the shoes being manufactured from the upper part 11 to the bottom part 13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mold 150 and the stopping mold 130 are lifted up are turned upside down An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111. 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member 11, that is, the nose portion of the shoe, is in a state of extending over the step portion 113.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금형(130)을 아래로 회동시켜 하단 금형(110) 상에 위치시킨다. 이 때 신발의 바닥부(13)는 중단 금형(13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1 인젝션 수용부(160) 내의 제2 인젝션 수용부(165)에 기 형성된 제2 아웃솔(15)을 수용시킨다.Then, as shown in FIG. 9, the intermediate mold 130 is rotated downward and positioned on the lower mold 110. At this time, the bottom portion 13 of the sho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ing mold 130. Also, in this process, the second outsole 15 formed in the second injection receiving portion 165 in the first injection receiving portion 160 is received.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금형(150)을 아래로 회동시켜 중단 금형(130) 상에 위치시키고 주입구(151)를 통하여 성형 재료, 즉 용융된 상태의 PVC 등을 제1 인젝션 공간부에 주입한다. 이 때 상단 금형(150) 내측의 공기는 성형 재료의 주입에 따라 유출구(15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Next,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mold 150 is rotated downward to be positioned on the stopping mold 130, and the molding material, that is, molten PVC or the like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151 into the first injection space . 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upper mold 15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53 in accordance with the injection of the molding material.

성형 재료의 주입이 완료된 이후 냉각 공정을 수행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금형(150)을 상부로 들어 올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금형(130)의 좌부 및 우부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완성된 신발(10)을 외부로 들어 낸다.After the injection of the molding material is completed, the cooling process is performed, the upper mold 150 is lifted up as shown in FIG. 11, and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mold stopper 130 are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10) to the outside.

중단 금형(130)이 좌우로 분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젝션 공정이 완료된 신발(10)을 외부로 들어 내는 것이 어려우나, 본 실시예와 같이 중단 금형(130)이 좌우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인젝션 공정의 품질에 관련없이 용이하게 신발(10)을 외부로 꺼낼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topping mold 130 is not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stopping mold 130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it is difficult to push out the shoe 10 having completed the injection process to the outside. However, when the stopping mold 130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oe 10 can be easily taken out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injection proces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have.

10: 신발
11: 갑피
12: 인솔
13: 바닥부
14: 제1 아웃솔
15: 제2 아웃솔
100: 금형
110: 하단 금형
130: 중단 금형
150: 상단 금형
210: 작업대
220: 지지부
10: Shoes
11: upper
12: Insole
13:
14: First outsole
15: Second outsole
100: Mold
110: Lower mold
130: Stop mold
150: Upper mold
210: worktable
220: Support

Claims (10)

바닥부와,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갑피를 수용하여 상기 신발의 제1 아웃솔과 제1 아웃솔에 부착되는 제2 아웃솔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가 상부로 향한 상태로 상기 신발의 갑피 전체를 수용하는 갑피 수용부와, 상기 갑피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갑피의 전단부가 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하단 금형;
상기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수용된 신발의 바닥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바닥부 노출 절개부가 형성되는 중단 금형; 및
상기 바닥부에 형성될 제1 아웃솔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에 상기 제1 아웃솔에 부착될 제2 아웃솔이 수용 및 부착되는 제2 인젝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에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상단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금형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상단 금형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여 상단 금형과 중단 금형의 결합 시 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수용부가 형성 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In forming the bottom portion, and a contour of the footwear, and a mold apparatus for forming a second outsole to accommodate the upper enclosing at least a portion the bottom of which is attached to a first outsole and a first outsole of the footwear,
A lower end mold having a top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entire upper of the shoe with the bottom portion facing upward and a step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receiving portion to receive the front end of the upper,
An intermediate mold having a bottom portion cut o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ortion and accommoda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ived shoe so as to expose the top portion; And
A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outsole to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is formed and a second injection space portion in which the second outsole to be attached to the first outsole is accommodated and attached is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And an upper mold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injecting a molten outsole member into the first injection spa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mold halves and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upper mold is formed with a protruding fixing part and the remaining one of the fixing molds is accommodated in a fixed position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xing par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노출 절개부의 둘레와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의 둘레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상의 기밀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기밀부를 수용하여 밀폐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밀부 수용부가 형성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tight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one of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first injection space portion and the airtight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a groove- Molding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outsole sho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금형은, 좌부 및 우부로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단 금형 좌부와 상기 중단 금형 우부는 수직 방향의 제1 회전축쌍에 연결되어 각각 좌우로 회동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ing die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into a left portion and a right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halves of the intermediate mold ar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rotation shaf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rotate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쌍은 수평방향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단 금형은 상하로 회동하고,
상기 상단 금형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제1 힌지부와 공유하는 제2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air of rotation shafts is provided in a first hinge portion that rotates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topping mold rotates up and down,
Wherein the upper mold is connected to a second hinge portion that shares the second rotation shaft with the first hinge portion and rotates up and dow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이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second rotation shaft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상태의 아웃솔 부재는 발포 PVC인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lten outsole member is foamed PV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금형에는 용융상태의 발포 부재 주입 시 상기 제1 인젝션 공간부 내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이중 아웃솔 신발 제조용 금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mold is provided with an air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as to allow the air in the first injection space to flow out when the foamed member in a molten state is inj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30000A 2016-10-07 2016-10-07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866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00A KR101866658B1 (en) 2016-10-07 2016-10-07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000A KR101866658B1 (en) 2016-10-07 2016-10-07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849A KR20180038849A (en) 2018-04-17
KR101866658B1 true KR101866658B1 (en) 2018-07-04

Family

ID=6208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000A KR101866658B1 (en) 2016-10-07 2016-10-07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65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149A (en) * 1999-01-07 2000-07-18 Asahi Corp Injection molded sole of shoe and its manufacture
KR200301575Y1 (en) * 2002-10-18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치비 Die for forming sho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149A (en) * 1999-01-07 2000-07-18 Asahi Corp Injection molded sole of shoe and its manufacture
KR200301575Y1 (en) * 2002-10-18 2003-01-24 주식회사 에이치비 Die for forming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849A (en)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8375A1 (en) Footwear construction with hybrid molds
US8641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footwear with attached compressible lining
US20110247236A1 (en) Method and product for manufacturing vulcanized footwear or cupsole footwear
EP3419819B1 (en) Adaptable cast elastomer outsole tooling
US10857709B2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ed articles in an injection-molding process
KR20120111486A (en) Mold for double mid-sole
TWI659825B (en) Flash-free mold assembly
US20110179668A1 (en) Method and Product for Manufacturing Vulcanized Footwear or Cupsole Footwear
BRPI1011722B1 (en) shoe manufacturing method
US11633882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 footwear
KR101866658B1 (en) Mold for manufacturing of shoes with dual outsole and the sho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US2016012965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hoe soles and molds for manufacturing shoe soles
US6689300B2 (en) Method of integrally forming shoe with multiple material
LV14837B (en) Shoe mold unit
CN106346813B (en) A kind of shoe-making die of integrally-forming shoe
EP3626441A1 (en) Multi-part clamping base stamp for direct injection of multi-layered shoe soles
US11752719B2 (en) Footwear injection mould
CN215619542U (en) Device for manufacturing lapel slippers
CN112754103A (en) Integrally formed so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GB1598057A (en) Apparatus for use in moulding shoe soles
CN108783728B (en) Integral waterproof breathing shoe, and mold and method for processing sole of integral waterproof breathing shoe
US3642973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ootwear or parts thereof
CN214547692U (en) Manufacturing equipment of three-in-one upper-covering slippers
KR102213884B1 (en) Shoe manufacturing method that do not require a bonding process between components
CA2854683C (en) Method for injection moulding safety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