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156B1 -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156B1
KR101866156B1 KR1020180008706A KR20180008706A KR101866156B1 KR 101866156 B1 KR101866156 B1 KR 101866156B1 KR 1020180008706 A KR1020180008706 A KR 1020180008706A KR 20180008706 A KR20180008706 A KR 20180008706A KR 101866156 B1 KR101866156 B1 KR 101866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eight
preservative
part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배
Original Assignee
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8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7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using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06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for increasing resistance to swelling by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50Age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는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져 제조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방부목재는 우수한 방부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는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규조토 분말 또는 송진액에 의해 방부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며, 현무암 분말에 의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PRESERVVATIVE TREATED WOODS MANUFACTURED BY THE PROCESSING METHOD OF PRESERVVATIVE TREATED WOODS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방부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방부목재를 제공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시인구가 은퇴를 하거나 전원생활을 위해 귀농하는 현상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아파트나 콘크리트로 지어진 일반 현대식 주거공간으로부터 탈피하여 우리 고유의 황토 또는 목재를 주재료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목재의 시공 후 보존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목재에 방부처리를 별도로 하여 방부 및 방충기능이 구비되는 방부목의 생산도 보편화되어 용도에 맞게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86174호 "스팀에 의한 목재의 방부처리 약제의 강제 양생방법"에는 구리아민계 방부제의 용해조에서 방부제를 용해시켜 방부목재 양생조로 이송시키고, 스팀발생기로부터 온도가 조절된 스팀을 강제로 목재에 처리하여 단시간 내에 목재 조직과 방부제 약제 성분 간의 화학반응을 유도하여 양생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양생을 완료시키고, 종래의 비건조식 일반 가속 양생방법에 비하여 양생기간이 단축되는 목재의 방부처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양생의 주요 수단으로서 스팀을 이용하여 101 ~ 115 ℃ 의 고온을 목재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목재조직과 방부제 약제 성분 간의 화학반응을 용이하게 유도하나, 목재가 45 내지 90 분간 고온에 노출됨으로써 목재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스팀에 노출되는 목재에 대한 별도의 건조 과정이 포함되지 않아 최종단계를 거쳐 방부처리되는 목재의 수분함유율이 비교적 높은 상태로 유지되어 목재의 보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0986174호 "스팀에 의한 목재의 방부처리 약제의 강제 양생방법" (2010.10.0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6-0069246호 "방부목의 제조방법" (2016.06.16)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10-1343656호 "방부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2013.12.1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특2003-0074050호 "제재목(방부목) 또는 원목을 이용한 조경옹벽 시공 공법" (2003.09.19)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방부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방부목재를 제공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70℃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길이 1 미터, 폭이 20센티미터 및 두께가 5센티미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양생기에 투입하고 18℃의 온도에서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처리단계는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의 세포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 공기를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고, 수분과 공기가 제거된 제재목의 표면에 방부액을 도포한 후에 1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재목의 세포 내로 방부액을 주입한 후에,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미주입된 방부액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방부액은 구리 알킬암모늄 화합물인 ACQ(Alkaline Copper Quaternary)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처리단계는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의 세포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 공기를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고, 수분과 공기가 제거된 제재목의 표면에 방부액을 도포한 후에 1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재목의 세포 내로 방부액을 주입한 후에,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미주입된 방부액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며, 상기 방부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탄산구리 15 내지 25 중량부, 모노에탄올아민 70 내지 80 중량부,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 내지 15 중량부 및 디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처리단계는 목초액 100 중량부, 구리알킬암모늄계 방부제 90 내지 110 중량부, 숯분말 20 내지 5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방부액에 2 내지 5 MHz의 초음파를 1 내지 5 시간 동안 조사한 후에, 상기 초음파가 조사된 방부액에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함침하고 1 내지 2 MHz 의 초음파를 30 내지 60분 동안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부액에는 상기 방부액 100 중량부 대비 규조토 분말, 송진액 및 현무암 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설치단계, 상기 프레임설치단계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에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통해 제조된 방부목재를 개재하고 고정수단으로 결속하는 방부목재고정단계 및 상기 방부목재고정단계를 통해 방부목재가 고정된 후에 발생하는 빈 공간에 방부목재를 보강하는 보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방부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방부목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는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는 규조토 분말 또는 송진액에 의해 방부효과가 배가될 수 있으며, 현무암 분말에 의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이 부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바닥데크용 방부목재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야외시설용 방부목재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직육면체형의 바닥데크용 방부목재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의 야외시설용 방무목재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은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S101), 상기 원목제재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건조하는 건조단계(S103), 상기 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S105), 상기 가공단계(S105)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107), 상기 절단단계(S107)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S109)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S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목제재단계(S101)는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원목의 꺼질을 제거하고, 제재 (sawing) 또는 재제재(resawing)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가공하는 단계다.
이때, 원칙적으로 두께가 5인치 이하인 제재목은 럼버, 5인치 이상인 제재목은 팀버라고 칭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목은 북미지역에서 자생되고 있는 원목이 사용되며, 벌채된 나무의 길이는 4미터에서 가는 부분의 지름이 200mm 이상된 나무를 사용한다.
또한, 원목은 될 수 있는 한 옹이가 없는 나무를 사용하며, 목재를 가공하거나 가공 후에도 썩은 옹이가 발견되면 즉시 분리 처분하여야 하며, 원목은 벌채 된지 2년 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S103)는 상기 원목제재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120 내지 180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단계(S103)에서 건조온도가 60℃ 미만이거나 건조시간이 120분 미만이면 제재목의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에서 제재목의 방부처리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온도가 80℃를 초과하거나 건조시간이 180분을 초과하게 되면 제재목의 조직이 파괴되어 목재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제재목이 지나치게 건조되어 수축이나 뒤틀림 등의 형태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고시(제2009-7호, 2009.11.17)에 보면 "가공된 목재는 방부처리전에 함수율이 18% 이하가 되도록 건조를 한 후 가압식 방부처리를 해야하며, 처리약제 기준 및 침윤도, 흡수량 등은 산림청고시 방부처리에 준하여 방부처리가 되도록 해야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건조단계(S103)를 거치면 상기 원목제재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의 수분 함수율이 국립산림과학원 고시에 기재된 18% 이하를 만족하게 된다.
상기 가공단계(S105)는 상기 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단계로, 상기의 가공단계(S105)를 통해 몰딩기로 표면가공된 제재목은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상기 절단단계(S107)는 상기 가공단계(S105)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절단하는 단계로, 상기 가공단계(S105)를 통해 몰딩기로 표면처리된 제재목을 사용 용도에 맞게 길이방향이나 폭의 방향 등으로 절단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절단단계(S107)에서 제재목의 절단은 사용 용도뿐만 아니라,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에서 사용되는 장치 등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는 상기 절단단계(S107)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절단단계(S107)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의 세포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 공기를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고, 수분과 공기가 제거된 제재목의 표면에 방부액을 도포한 후에 1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재목의 세포 내로 방부액을 주입한 후에,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미주입된 방부액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상기와 같은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제재목을 감압하게 되면 제재목 내부의 수분잔존량이 18%이하를 나타내고, 공기가 제거되어 상기 방부액의 침투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미주입된 방부액을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게 되면 방부처리된 제재목의 표면질이 개선된다.
이때, 상기 방부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탄산구리 15 내지 25 중량부, 모노에탄올아민 70 내지 80 중량부,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 내지 15 중량부 및 디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거나, 구리 알킬암모늄 화합물인 ACQ(Alkaline Copper Quaternary)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방부액은 우수한 방부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재목의 세포내 침투효율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는 목초액 100 중량부, 구리알킬암모늄계 방부제 90 내지 110 중량부, 숯분말 20 내지 5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방부액에 2 내지 5 MHz의 초음파를 1 내지 5 시간 동안 조사한 후에, 상기 초음파가 조사된 방부액에 상기 절단단계(S107)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함침하고 1 내지 2 MHz 의 초음파를 30 내지 60분 동안 조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조파수를 갖는 초음파가 조사되면 초음파의 진동파가 방부액과 목재에 각각 전달되어 방부액의 분자 활동성을 높임과 동시에 목재의 세포막 공간을 요동하게 함으로써 방부액의 목재에 대한 흡수율을 현저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우선, 제재목을 방부액에 침지하여 초음파를 조사하기 이전에 방부액만 초음파에 노출되게 하는 것은, 제재목이 장기간의 초음파 노출되므로 인해 발생하는 강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부액에 2 내지 5 MHz의 초음파를 조사하고 방부액의 분자 활동성을 활발하게 하되, 초음파 조사 시간은 1 내지 5 시간으로 구성하여 제조 환경 또는 방부처리되는 제재목의 사용 용도에 따라 초음파 조사 시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초음파가 조사된 방부액에 제재목을 침지하고 1 내지 2 MHz의 초음파를 조사하면, 제재목의 표피에서도 미세 섬유막이 수축, 확장되어 방부액에 함유되어 있는 숯분말이 제재목에 흡착되는 비율을 향상된다.
이때, 상기 방부액에는 상기 방부액 100 중량부 대비 규조토 분말, 송진액 및 현무암 분말로 이루어진 첨가제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규조토, 송진액 및 현무암 분말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조토 분말은 소성(燒成)된 것으로서, 체거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0.5 내지 1밀리미터 크기의 입자(粒子) 또는 50 내지 100㎛ 크기의 분말이 사용되는데, 상기의 규조토 분말은 매우 미세한 단세포생물인 규조류의 유해가 해저 또는 호소 밑에 쌓여 생성된 다공질의 흙으로서, 일반적으로 백색의 점토 모양이며, 가볍고 흡수율이 크며, 내화재, 단열재, 흡수재 등의 친환경 건축마감재로 쓰이는데, 상기의 성능 외에 활성탄보다 1000배 이상의 기공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규조토가 함유된 방부액은 항균, 탈취 및 습도를 조절하는 성능이 발현되어 방부효과가 월등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진액은 산소와 목재를 접촉을 차단하여 목재의 부식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송진액에 함유되어 있는 프랑킨센스 오일 성분이 우수한 방부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의 송진액이 함유된 방부액은 목재의 부식을 방지하고 부식속도를 늦추는 효과가 부여된다. 또한, 송진액은 차폐 및 밀폐 효과와 함께 외부 공기와 차단 기능을 제공하여 방부목재에 방부 효과를 배가시키면서 실질적으로 방부 코팅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무암 분말은 우수한 방부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방부액의 방부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방원적외선의 방출성능이 맥반석보다 우수하며, 원적외선외에 음이온 방출 성능도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현무암 분말이 함유된 방부목재는 시공 후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여 방부목재로 지어진 건물 또는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에 나열된 성분들로 이루어진 첨가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고, 방부액에 무기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향상되어 제재목에 방부액이 제대로 흡수되지 않게 된다.
상기 양생단계(S111)는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3주 동안 양생하는 단계로, 상기 방부처리단계(S109)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양생기에 투입하고 15 내지 20℃의 온도를 나타내는 조건에서 3주 동안 양생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양생과정을 거치면 갈리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형태변형이 억제되는 방부목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은 목재용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설치단계(S201), 상기 프레임설치단계(S201)를 통해 설치된 프레임에 상기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통해 제조된 방부목재를 개재하고 고정수단으로 결속하는 방부목재고정단계(S203) 및 상기 방부목재고정단계(S203)를 통해 방부목재가 고정된 후에 발생하는 빈 공간에 방부목재를 보강하는 보강단계(S2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목재 구조물을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볼트 및 너트 결합이나, 나사 결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부목재고정단계(S203)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부목재는 아래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통형의 방부목재가 사용되며, 상기 보강단계(S205)에서는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직육면체 형태의 방부목재가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 및 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을 통해 제조된 방부목재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제재목을 70℃의 온도로 건조하고,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고, 표면 가공된 제재목을 길이가 1미터 폭 20 센티미터 및 두께 5 센티미터로 절단하고, 절단된 제재목을 진공펌프에 투입하고 500mmHg로 갑압하여 수분과 공기가 제거된 제재목의 표면에 방부액(구리 알킬암모늄 화합물인 ACQ)을 도포한 후에 1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재목의 세포 내로 방부액을 주입한 후에, 진공펌프의 압력을 500mmHg로 감압하여 미주입된 방부액을 제거하고,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양생기에 투입하고 18℃의 온도에서 3주 동안 양생하여 바닥데크용 방부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표면 가공된 제재목을 길이가 1미터이며 지름이 20 센티미터인 원통형으로 절단하여 야외시설용 방부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방부목재의 방부액(방부약제)의 보유량 및 침윤도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받은 시험성적서를 아래 도 3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또한, H3와 H4 등급에 따른 침윤도 적합기준과 흡수량과 ACQ 방부액의 흡수량 접합기준을 아래 표 1 내지 2에 나타내었다.
(단,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바닥데크용 방부목재의 방부액 보유량과 침윤도는 KS F 302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야외시설용 방부목재의 방부액 보유량 및 침윤도는 KS F 302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표 1> H3 및 H4 등급에 따른 침윤도 접합기준
Figure 112018008302343-pat00001
<표 2> H3 및 H4 등급에 따른 흡수량 접합기준
Figure 112018008302343-pat00002
위에 표 1 내지 2 및 아래 도 3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되는 방부목재는 방부약재 보유량(흡수량)과 침윤도가 모두 기준치를 상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은 우수한 방부효과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방부목재를 제공한다.
S101 ; 원목제재단계
S103 ; 건조단계
S105 ; 가공단계
S107 ; 절단단계
S109 ; 방부처리단계
S111 ; 양생단계
S201 ; 프레임설치단계
S203 ; 방부목재고정단계
S205 ; 보강단계

Claims (2)

  1.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70℃의 온도로 150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길이가 1미터 폭 20 센티미터 및 두께 5 센티미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양생기에 투입하고 18℃의 온도에서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처리단계는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의 세포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 공기를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제거하고, 수분과 공기가 제거된 제재목의 표면에 방부액을 도포한 후에 15kg/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재목의 세포 내로 방부액을 주입한 후에, 500mmHg의 압력을 나타내는 진공펌프로 감압하여 미주입된 방부액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방부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 탄산구리 15 중량부, 모노에탄올아민 70 중량부,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 중량부 및 디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액에는 상기 방부액 100 중량부 대비 규조토 분말, 송진액 및 현무암 분말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첨가제 8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
  2. 원목을 제재목으로 가공하는 원목제재단계;
    상기 원목제재단계를 통해 제조된 제재목을 70℃의 온도로 150분 동안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제재목의 표면을 몰딩기로 가공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제재목을 길이가 1미터 폭 20 센티미터 및 두께 5 센티미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방부처리하는 방부처리단계; 및
    상기 방부처리단계를 통해 방부액이 주입된 제재목을 양생기에 투입하고 18℃의 온도에서 3주 동안 양생하는 양생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부처리단계는 목초액 100 중량부, 구리알킬암모늄계 방부제 90 중량부, 숯분말 30 중량부 및 정제수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방부액에 3 MHz의 초음파를 3 시간 동안 조사한 후에, 상기 초음파가 조사된 방부액에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제재목을 함침하고 1.5 MHz 의 초음파를 45분 동안 조사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방부액에는 상기 방부액 100 중량부 대비 규조토 분말, 송진액 및 현무암 분말이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첨가제 8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
KR1020180008706A 2018-01-24 2018-01-24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KR10186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6A KR101866156B1 (ko) 2018-01-24 2018-01-24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706A KR101866156B1 (ko) 2018-01-24 2018-01-24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73A Division KR101866155B1 (ko) 2018-01-12 2018-01-12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156B1 true KR101866156B1 (ko) 2018-06-08

Family

ID=6259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706A KR101866156B1 (ko) 2018-01-24 2018-01-24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15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50A (ko) 2002-06-24 2003-09-19 이명주 제재목(방부목)또는 원목을 이용한 조경옹벽 시공 공법
KR20100033179A (ko) * 2008-09-19 2010-03-29 강원도 방부목재 제작방법 및 방부목재 제작장치
KR100986174B1 (ko) 2008-04-22 2010-10-07 대한민국 스팀에 의한 목재의 방부처리 약제의 강제 양생방법
KR101343656B1 (ko) 2013-07-24 2014-01-24 신재언 방부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216B1 (ko) * 2013-12-27 2014-06-05 주식회사 죽산 표면 요철이 형성된 탄화목의 제조방법
KR101418985B1 (ko) * 2013-01-30 2014-07-11 (주)다정하이테크 목재의 방부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KR20150143392A (ko) * 2015-12-03 2015-12-23 (주)신영목재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KR20160069246A (ko) 2014-12-08 2016-06-16 남 종 김 방부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50A (ko) 2002-06-24 2003-09-19 이명주 제재목(방부목)또는 원목을 이용한 조경옹벽 시공 공법
KR100986174B1 (ko) 2008-04-22 2010-10-07 대한민국 스팀에 의한 목재의 방부처리 약제의 강제 양생방법
KR20100033179A (ko) * 2008-09-19 2010-03-29 강원도 방부목재 제작방법 및 방부목재 제작장치
KR101418985B1 (ko) * 2013-01-30 2014-07-11 (주)다정하이테크 목재의 방부처리 장치 및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KR101343656B1 (ko) 2013-07-24 2014-01-24 신재언 방부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4216B1 (ko) * 2013-12-27 2014-06-05 주식회사 죽산 표면 요철이 형성된 탄화목의 제조방법
KR20160069246A (ko) 2014-12-08 2016-06-16 남 종 김 방부목의 제조방법
KR20150143392A (ko) * 2015-12-03 2015-12-23 (주)신영목재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9447C2 (ru) Обработка древесины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других деревянных изделий
Walker et al. Wood preservation
US5185214A (en) One step process for imparting decay resistance and fire retardancy to wood products
US4567115A (en) Pressure impregnation of wood poles for preservation
CN104760095B (zh) 防腐胶合板的制备方法
KR20050049521A (ko) 목재 바디의 내구성, 치수 안정성 및 표면 경도를개선시키는 방법
AU2016202069A1 (en) Wood preservative formulation
KR102144100B1 (ko) 방부목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60131983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KR101866155B1 (ko)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JP3538194B2 (ja) 不燃木材の製造方法
US20030059545A1 (en) Process for treating wood and products from treated wood
KR20230078631A (ko) 개질된 목질 재료의 제조 방법, 푸란 유도체 수지화 용액 및 개질 목질 재료
KR101866156B1 (ko) 방부목재의 가공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부목재 및 그 방부목재의 제작설치 시공방법
KR101230386B1 (ko) 목재의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 향상 가공방법
AU2009100096B4 (en) Wood Impregnation Processes
Ma et al. Effect of wood surface treatment on fungal decay and termite resistance
Hamzah et al. Assessment of oil palm wood quality improvement through integrated treatment process as function of sawing pattern and slab thickness
KR20160070222A (ko) 목재의 수지 주입성 개선을 위한 처리방법
Usta The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wood density on the preservative uptake of Caucasian fir (Abies nordmanniana (Link.) Spach.) treated with CCA
Wood et al. Enhancing the durability of low durability Eucalyptus plantation species: a review of strategies
JP3538411B2 (ja) 木材の寸法安定化処理法
KR20150143392A (ko) 목재의 난연 방부 처리방법
CA1187255A (en) Pressure impregnation of wood poles for preservation
JP4199824B1 (ja) 改質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