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144B1 -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144B1
KR101866144B1 KR1020170161206A KR20170161206A KR101866144B1 KR 101866144 B1 KR101866144 B1 KR 101866144B1 KR 1020170161206 A KR1020170161206 A KR 1020170161206A KR 20170161206 A KR20170161206 A KR 20170161206A KR 101866144 B1 KR101866144 B1 KR 10186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k screen
application
platform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102017016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설치된 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앱에 구성할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으로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의 전송시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에 대한 화면정보와,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건강정보,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산출되는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서버; 및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되는 앱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능 콘텐츠들의 표시메뉴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관심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pplication-linked lock screen platform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잠금화면 기능이 없거나 추가로 잠금화면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플랫폼을 탑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잠금화면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모바일 폰은 단순한 전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휴대폰(피처폰)과는 달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App))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것과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폰의 스크린락 화면 상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문구만을 표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0331호에는, 대기 모드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월렛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화면의 일 측에 표시하고, 화면 잠금 기능 해제에 따라 월렛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화면 잠금 기능 제어를 통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월렛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설치해야만 하고, 특히 대기 모드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부가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3529호에는, 사용자 장치에 수신되는 광고 관련 푸시 메시지에 링크된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 정보를 수집하여 잠금화면을 위한 광고 콘텐츠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여 잠금화면을 통해 해당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메시지 기반 어플리케이션 연동 잠금화면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단순 광고정보만을 잠금화면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무분별한 광고정보의 노출에 따른 사용상 피로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 광고의 노출만을 목적으로 잠금화면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03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352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잠금화면 기능이 없거나 추가로 잠금화면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잠금화면 플랫폼을 탑재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잠금화면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의 기능들을 사용자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우선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화면의 사용빈도, 잠금화면이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면서 랭킹을 집계하여 랭킹 순위에 따른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잠금화면의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화면 내에서 별도의 SNS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SNS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잠금화면상에 표시되는 콘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별로 빅데이터를 실시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치된 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앱에 구성할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과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의 전송시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에 대한 화면정보와,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건강정보,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산출되는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서버; 및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되는 앱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능 콘텐츠들의 표시메뉴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관심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별도의 잠금화면용 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첫 화면에 잠금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앱 만을 별도로 잠금화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는, 상부 일면에 현재 시간 및 요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정보 표시부와, 상부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시간정보 표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날씨 및 온도정보를 제공하는 날씨정보 표시부와, 상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능 콘텐츠들이 표시되는 기본앱 표시부와,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중앙부를 이루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의 화면정보가 표시되는 앱 화면정보 표시부와, 하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앱 화면정보 표시부에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앱의 설정메뉴를 표시하는 활성화앱 표시부와,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잠금 여부를 설정하는 잠금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 콘텐츠는 상기 앱의 설정매뉴를 통해 상기 앱의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를 선택하여 표시하여 상기 앱의 활성화시 상기 기능 콘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할 앱을 선택하고,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앱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앱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가 구성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건강정보,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와,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산출한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첫 화면에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켜 상기 엡에 대한 화면정보와, 상기 기능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이미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다른 앱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첫 화면에 표시할 상기 앱에 포함된 콘텐츠 및 기능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의 누적점수를 파악하여 최종 랭킹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최종 랭킹점수에 따른 포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기능 콘텐츠들 중 SNS 기능 콘텐츠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SNS 사용자가 공유하는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사용자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잠금화면 기능이 없거나 추가로 잠금화면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잠금화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플랫폼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정보 및 다양한 콘텐츠들을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의 기능들을 사용자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을 우선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화면의 사용빈도, 잠금화면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면서 랭킹을 집계하여 랭킹 순위에 따른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잠금화면의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잠금화면 내에서 별도의 SNS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SNS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잠금화면상에 표시되는 콘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별로 빅데이터를 실시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제공서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서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이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을 통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을 통해 기능 콘텐츠들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을 통해 각종 콘텐츠들의 아이콘 생성 및 편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 플랫폼에 의해 랭킹점수의 산정 및 집계결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제공서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서버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제공서버(200) 및 콘텐츠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화면 플랫폼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며, 활성화가 이루어진 잠금화면 플랫폼을 표시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100)에 이미 설치가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설치할 어플리케이션에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나 뷰를 잠금화면 플랫폼에 자동으로 표시해주고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플랫폼 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잠금화면 플랫폼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앱 관리부(110)와, 앱 관리부(110)를 통해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잠금화면 플랫폼을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앱 관리부(110)는 외부서버(10)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이라고 함.)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술할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앱 연동부(210)와 연동하여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앱 관리부(110)는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신호의 전송시 잠금화면 플랫폼이 배치될 앱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서버(10)는 다양한 앱의 배포가 이루어지는 앱 스토어(App store) 서버일 수 있으며, 앱 관리부(110)로부터 전송된 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앱에 플랫폼 제공서버(200)를 통해 전송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생성하는 앱 운용서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외부서버(10)를 이루는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앱 관리부(110)를 통해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신호 및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할 앱에 대한 정보를 각각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앱 연동부(210)와, 외부서버(10)를 이루는 앱 운용서버로 전송하면,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플랫폼 제공부(220)가 외부서버(10)의 앱 운용서버로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전송하고, 앱 운용서버에서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상기 앱에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도 5a, 도 5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운로드 할 특정 앱에 SDK(Software Development Kit) 형태로 진입하여 앱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을 작동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포함된 상태의 앱을 다운로드 함으로써, 별도의 잠금화면 앱을 다운로드 받지 않아도 잠금화면 기능이 포함된 상태의 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200)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앱 관리부(110)로 직접 전송하여 상기 앱 관리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을 업데이트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첫 화면으로 상기 앱에 구성된 잠금화면 플랫폼의 메인 화면정보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상기 앱의 화면정보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잠금화면 용 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100)의 첫 화면 상에 잠금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앱 만을 별도로 잠금화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잠금화면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앱의 화면정보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동작 과정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앱 중에서 팝업사전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하는 경우, 플랫폼 제공부(220)에서 제공된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사전 첫화면 사용"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팝업사전 앱의 설정 메뉴 상에도 잠금화면 플랫폼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팝업사전 앱의 설정 메뉴 상에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에 해당하는 "팝업사전 첫화면" 메뉴를 등록하여 활성화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데이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하는 경우, 디데이 앱의 메뉴 콘텐츠 상에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에 대한 "디데이첫화면"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0)는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잠금화면 플랫폼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잠금화면 플랫폼 상에서 직접 선택된 앱의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을 실행하여 상기 앱이 플랫폼 제공서버(20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폰,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도 6a 및 도 6c 잠금화면 플랫폼의 실행시 키보드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는 키보드 설정메뉴를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플랫폼 제공부(220)를 통해 더 제공받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키보드의 배경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키보드의 문자열 및 숫자키에 대한 배열을 변경할 수 있으며, 키보드의 상부로 후술할 기능 콘텐츠 및 잠금화면 만의 콘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플랫폼 제공서버(200)는 앱 연동부(210), 플랫폼 제공부(220),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 앱 콘텐츠 제공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앱 연동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앱 관리부(110) 및 외부서버(10)와 연동하여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의 전송 및 잠금화면 플랫폼에 구성되는 각종 콘텐츠들의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앱 연동부(210)는 앱 관리부(110)로부터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플랫폼 제공부(220)로 전송하여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및 외부서버(10)의 앱 운용서버로 전송되도록 한다.
플랫폼 제공부(220)는 앱 연동부(210)로부터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잠금화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또는 외부서버(1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의 화면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상부 일면에 현재 시간 및 요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간정보 표시부(221)와, 상부 타측면에 형성되며 시간정보 표시부(221)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날씨 및 온도정보를 제공하는 날씨정보 표시부(222)와, 상부 일면에 형성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기능 콘텐츠들이 표시되는 기본앱 표시부(224)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중앙부를 이루며,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가 구성된 앱의 화면정보가 표시되는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와, 하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에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앱의 설정메뉴를 표시하는 활성화앱 표시부(226) 및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잠금 여부를 설정하는 잠금상태 표시부(2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기본앱 표시부(224)는 사용자 단말(100)에 기본으로 설치된 일반적인 메세지, 카메라, 사용자 단말 설정, 통화연결, 플래시 등과 같은 기능 콘텐츠들을 제공하는 기능앱들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인다.
이러한 기본앱 표시부(224)는 시간정보 표시부(221)와 날씨정보 표시부(222) 사이에 형성되거나, 시간정보 표시부(221), 또는 날씨정보 표시부(222)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는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터치하는 경우, 앱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는 후술할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와 앱 콘텐츠 제공부(240)의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20)를 좌,우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방식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앱 표시부(226)는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에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앱의 설정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앱에 대한 아이콘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에 표시되는 화면정보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통해 표시되는 앱의 화면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 및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활성화앱 표시부(226)는 활성화되는 앱이 변경되는 경우, 후술할 콘텐츠 관리서버(300)에 의해 아이콘 정보 역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잠금상태 표시부(227)는 잠금화면 플랫폼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잠금 해제 방식으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PIN, 비밀번호 입력, 패턴, 지문, 홍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플랫폼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각각의 표시부들(221 내지 228)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랫폼 제공부(220)는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템플릿 정보 및 각각의 표시부들(221 내지 228)에 대한 규격 정보를 더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활성화된 앱에 대한 화면정보 뿐만 아니라,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및 건강정보 등을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기능 콘텐츠들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성화된 앱의 화면정보와 함께 다양한 기능 콘텐츠들을 설정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활성화를 이루는 앱의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앱의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를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활성화 앱이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통해 표시될 때, 선택된 기능 콘텐츠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활성화 앱이 도 9의 (a)와 같이, 디데이 정보를 제공하는 "사랑한지"인 경우, 상기 사랑한지 앱의 화면정보와 함께 표시될 기능 콘텐츠들에 해당하는 도 9 내지 도 11의 (b) 내지 (j)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는 도 11의 (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통해 SNS 기능 콘텐츠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SNS 기능 콘텐츠는 잠금화면 플랫폼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소통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들 간의 관심사 별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활성화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앱 콘텐츠 제공부(240)는 콘텐츠 관리서버(300)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이 콘텐츠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만의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 제공부(22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앱 콘텐츠 제공부(240)는 활성화앱 표시부(226)를 통해 표시될 아이콘들에 대한 정보, 잠금화면 플랫폼 만의 콘텐츠들에 대한 설정 정보,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랭킹정보, 사용자들 간에 형성되는 SNS 기능 콘텐츠의 내용을 분석한 분석 결과 정보 등을 콘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아 플랫폼 제공부(220)로 제공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앱들 중에서 잠금화면 플랫폼에 대한 구성이 설치된 앱의 설정메뉴를 통해 기능 콘텐츠들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앱 콘텐츠 제공부(240)는 콘텐츠 관리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의 정보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플랫폼 제공서버(200)는 잠금화면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제공시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키보드의 설정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키보드 설정 플랫폼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되는 앱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앱 콘텐츠 제공부(240)를 통해 플랫폼 제공부(220)로 전송하고,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의 표시메뉴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률에 따른 랭킹점수를 산정하여 사용자 랭킹정보와 사용자의 관심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콘텐츠 관리서버(300)는 아이콘 생성부(310), 콘텐츠 설정부(320), 랭킹 집계부(330) 및 데이터 분석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이콘 생성부(310)는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들 중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에 대한 표시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들에 대한 정보를 앱 콘텐츠 제공부(240)를 통해 플랫폼 제공부(220)로 전송하여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아이콘 생성부(310)는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랭킹 집계부(330) 및 데이터 분석부(340)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랭킹 아이콘 정보 및 데이터 분석 결과 아이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설정부(320)는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 일면에 퀵 메뉴 설정버튼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퀵 메뉴 설정버튼을 터치, 또는 드래그 등과 같은 동작으로 활성화시키는 경우, 도 12와 같이 콘텐츠들에 대한 아이콘의 편집이 가능한 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설정부(320)는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의 특성에 맞는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카테고리 별로 표시할 정보의 종류 및 개수의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여행에 관련된 콘텐츠인 경우, 관광명소, 문화시설, 축제공연행사, 레저, 레포츠, 음식점 및 여행코스와 같은 여행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의 표시 가능한 개수를 설정하여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에 구성된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 상에 설정된 개수 만큼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랭킹 집계부(330)는 앱 콘텐츠 제공부(240)와 연동하여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랭킹을 집계한 후, 이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에 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랭킹 집계부(330)는 잠금화면 플랫폼을 사용할 때 마다 일정 점수를 부여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에 부여된 점수의 누적점수를 파악하여 최종 랭킹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랭킹 집계부(330)는 사용자별 랭킹점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콘 생성부(310)를 통해 랭킹 아이콘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최종 랭킹점수의 산출이 완료되면, 랭킹 순위에 따른 포상의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랭킹 집계부(330)는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을 통해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앱에 대한 정보를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에 표시하면서 상기 표시된 정보를 OX 퀴즈 방식으로 제공하여 정답 유무에 따른 추가 점수를 제공하여 최종 랭킹점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이 팝업사전 앱인 경우, 팝업사전에 등록된 영어 단어(예: coconut tree)를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에 표시하면서 이 영어 단어를 알고 있다면 "O" 버튼으로 터치하고, 모르는 경우라면 "X" 버튼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며, 터치된 버튼의 종류에 따른 추가 점수를 부여하여 누적점수와 함께 최종 랭킹점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분석부(340)는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 중 SNS 기능 콘텐츠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SNS 기능 콘텐츠를 통해 공유하는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사용자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할 앱을 선택하고, 앱 관리부(11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앱 연동부(210)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앱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앱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10)를 이루는 앱 운용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가 구성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10)
이후, 상기 앱 연동부(210)는 앱 관리부(110)로부터 전송된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요청 신호를 플랫폼 제공부(220)로 전송하여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외부서버(10)의 앱 운용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20)
또한, 외부서버(10)는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구성이 완료된 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30)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외부서버(10)로부터 전송된 앱을 실행하여 상기 앱에 구성된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시켜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20)를 통해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440)
이때, 사용자 단말(100)에 이미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다른 앱이 활성화된 경우, 표시부(120)에 표시할 앱에 포함된 콘텐츠 및 기능들을 선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S450)
여기서, 상기 S450 단계는 미리 표시되고 있는 잠금화면 플랫폼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20)를 통해 우선적으로 표시될 콘텐츠 및 기능들을 선정하여 우선순위로 선정된 콘텐츠 및 기능들을 먼저 표시하거나, 잠금화면 플랫폼에 구성된 앱 화면정보 표시부(228)를 통해 복수의 앱에 구성된 콘텐츠 및 기능들에 대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S450 단계 이후, 콘텐츠 관리서버(300)의 랭킹 집계부(330)를 통해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상태의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의 누적점수를 파악하여 최종 랭킹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최종 랭킹점수에 따른 포상을 사용자 단말(100)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450 단계 이후, 데이터 분석부(340)를 통해 플랫폼 제공서버(200)의 기능 콘텐츠 제공부(230)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들 중 SNS 기능 콘텐츠와 연동하고 사용자가 주로 공유하는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사용자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앱 관리부
120: 표시부 200: 플랫폼 제공서버
210: 앱 연동부 220: 플랫폼 제공부
230: 기능 콘텐츠 제공부 240: 앱 콘텐츠 제공부
300: 콘텐츠 관리서버 310: 아이콘 생성부
320: 콘텐츠 설정부 330: 랭킹 집계부
340: 데이터 분석부

Claims (7)

  1. 기설치된 앱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앱에 구성할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전송받고, 전송된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하여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과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잠금화면 플랫폼 요청 신호의 전송시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에 대한 화면정보와,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건강정보,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라 산출되는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서버; 및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되는 앱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기능 콘텐츠들의 표시메뉴에 대한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관심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별도의 잠금화면용 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첫 화면에 잠금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앱 만을 별도로 잠금화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이미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다른 앱이 활성화된 경우, 우선적으로 표시될 콘텐츠 및 기능들을 선정하여 우선순위로 선정된 콘텐츠 및 기능들을 먼저 표시하거나,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에 구성된 앱 화면정보 표시부를 통해 복수의 앱에 구성된 콘텐츠 및 기능들에 대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는, 상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기능 콘텐츠들이 표시되는 기본앱 표시부와,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중앙부를 이루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의 화면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기능 콘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앱 화면정보 표시부와, 하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앱 화면정보 표시부에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앱의 설정메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활성화되는 앱에 대한 아이콘 정보를 표시하는 활성화앱 표시부와,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잠금 여부를 설정하는 잠금상태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들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는 콘텐츠들에 대한 표시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랭킹 아이콘 정보 및 데이터 분석 결과 아이콘 정보를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 일면에 퀵 메뉴 설정버튼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퀵 메뉴 설정버튼 활성화시 콘텐츠들에 대한 아이콘의 편집이 가능한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설정부;
    잠금화면 플랫폼을 사용할 때 마다 일정 점수를 부여하고, 설정된 기간 동안에 부여된 점수의 누적점수를 파악하여 최종 랭킹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을 통해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앱에 대한 정보를 OX 퀴즈 방식으로 제공하여 정답 유무에 따른 추가 점수를 제공하여 최종 랭킹점수의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랭킹 집계부;
    상기 기능 콘텐츠들 중 SNS 기능 콘텐츠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SNS 사용자가 공유하는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사용자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콘텐츠는 상기 앱의 설정메뉴를 통해 상기 앱의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를 선택하여 표시하여 상기 앱의 활성화시 상기 기능 콘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할 앱을 선택하고,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방식의 앱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앱에 대한 정보를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가 구성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단계;
    (b) 플랫폼 제공서버로 상기 앱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가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 정보를 상기 외부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앱에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외부서버가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제공서버에서 교육, 뉴스, 앨범, 스케쥴, 배터리 관리, 날씨, 유머, 여행, 건강정보, SN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콘텐츠와,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산출한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잠금화면 플랫폼을 활성화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첫 화면에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켜 상기 앱에 대한 화면정보와, 상기 기능 콘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랭킹점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이미 잠금화면 플랫폼이 구성된 다른 앱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우선적으로 표시될 콘텐츠 및 기능들을 선정하여 우선순위로 선정된 콘텐츠 및 기능들을 먼저 표시하거나, 상기 잠금화면 인터페이스에 구성된 앱 화면정보 표시부를 통해 복수의 앱에 구성된 콘텐츠 및 기능들에 대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에서 잠금화면 플랫폼의 사용 빈도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고, 부여된 점수의 누적점수를 파악하여 최종 랭킹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최종 랭킹점수에 따른 포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기능 콘텐츠들 중 SNS 기능 콘텐츠와 연동이 이루어지며 SNS 사용자가 공유하는 정보들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사용자 별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0170161206A 2017-11-29 2017-11-29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06A KR101866144B1 (ko) 2017-11-29 2017-11-29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06A KR101866144B1 (ko) 2017-11-29 2017-11-29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144B1 true KR101866144B1 (ko) 2018-07-04

Family

ID=6291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06A KR101866144B1 (ko) 2017-11-29 2017-11-29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1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68B1 (ko) 2013-04-30 2013-10-04 (주)버즈빌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모듈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68B1 (ko) 2013-04-30 2013-10-04 (주)버즈빌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광고모듈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벅스잠금커버조녜" (2015.11.13) <URL: http://rohsj99.blog.me/220537528716>*
네이버블로그, "스마트폰 잠금화면 맞춤형 어플 '첫앱' 등장 !" (2014.01.08) <URL: https://blog.naver.com/hjiwonh/15018269436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5234B (zh) 使用近场通信与许可控制共享内容
KR102057944B1 (ko)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CN107710157A (zh) 多租户、租户特定的应用程序
KR102174766B1 (ko) 기반 모델 생성, 맞춤화 및 모델 시각화를 위한 통합된 환경
Danado et al. Puzzle: a visual-based environment for end user development in touch-based mobile phones
CN105556468A (zh) 从应用本身内初始化和引导的应用定制
CN109564512A (zh) 通过消息传送机器人与文件存储服务的交互
CN106471784A (zh) 设备访问控制
CN105723323A (zh) 用于在不同屏幕上显示应用数据的远程控制
US20140278812A1 (en) Diagnostics storage within a multi-tenant data center
US20140279823A1 (en) Lifecycle product analysis
US20150012329A1 (en) Process flow infrastructure and configuration interface
US20140343988A1 (en) Automatic resource scheduling
KR102070732B1 (ko) 모바일 장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장치
CN106462409A (zh) 定制的准备就绪部件化的应用定义
US9804749B2 (en) Context aware commands
KR101866144B1 (ko) 어플리케이션 맞춤형 잠금화면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9919B1 (ko) 플래시 폰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시스템
US20160328219A1 (en)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collaboration system
US20150248227A1 (en) Configurable reusable controls
KR101690227B1 (ko) 통합 좌석 관리 장치
CN113748406B (zh) 通过软键盘应用进行任务管理
US20170032328A1 (en) Server, control method for serve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server
CN107613104B (zh) 一种用户参与的Android APP流个性化定制方法
CN110110305A (zh) 一种在线绘制思维导图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