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774B1 -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 Google Patents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774B1
KR101865774B1 KR1020160072812A KR20160072812A KR101865774B1 KR 101865774 B1 KR101865774 B1 KR 101865774B1 KR 1020160072812 A KR1020160072812 A KR 1020160072812A KR 20160072812 A KR20160072812 A KR 20160072812A KR 101865774 B1 KR101865774 B1 KR 10186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oxide
bismuth
iodine
producing
removal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020A (ko
Inventor
한상수
엄우용
김원석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0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59Compounds of N, P, As, Sb, B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8/00Compounds of arse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그래파이트(graphite)가 산화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가 반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bismuth graphene oxide)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A process of producing bismuth graphene oxide and a process of adsorbing iodine using bismuth graphene oxide}
본 발명은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로서의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방사성 폐기물 처리와 처분을 하는 동안 방출되는 요오드 핵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스무트와 그래핀산화물을 반응시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요오드 흡착제로 이용하는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용도에 관한 발명이다.
요오드는 높은 휘발성(승화)을 갖는 부식성 물질로서 37개의 동위원소를 가지며 안정한 I-127을 제외하면 모두 방사능 원소이다. 방사성 요오드 동위원소는 자연환경에서 높은 이동성, 독성 및 방사선 에너지를 가진 핵종으로서, 대부분의 방사능 동위원소들의 반감기는 1일 이하로서 매우 짧지만 이중 I-124, I-125, I-126, I-131의 반감기는 4 ~ 60일로서 비교적 긴 편이며, 이중 I-131은 원자로 사고시 가장 큰 방사능 피해를 준다. I-129의 반감기는 15,700,000년으로서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붕괴된다.
따라서, 높은 반감기의 방사능 동위원소로서 양이 많을 경우 방사선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잠재적 방사능 오염물질로 분류된다.
또한, 우라늄이 붕괴하면서 사용한 우라늄의 0.55% 정도가 I-129로 변하기 때문에 이 요오드 동위원소의 포집도 방사성 폐기물 처리공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I-129는 또한, 자연계에서도 일정 농도 존재하여 년대 측정하는 표지 인자로 사용된다. 이때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량의 I-129 포집이 년대 측정의 정확성을 알려준다.
요오드는 용액 중에서 보통 요오드 -1 산화수의 이온(I-), 요오드분자(I2), 그리고 +5 산화수의 이온(IO3 -) 상태로 존재한다. 요오드 음이온은 이론적으로 음이온교환제로 회수할 수 있지만 이 이온이 바다로 유입될 경우 바닷물 속에 워낙 높은 농도의 염소 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음이온 교환제를 이용하여 바닷물로부터 요오드 이온을 회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중성 요오드 분자는 산화·환원 조건에 민감하여 바닷물 속에 존재하는 각종 환원성 물질에 의해 쉽게 환원되어 요오드 -1 산화수 이온으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중성 요오드 분자는 공기중이나 바다를 포함한 수계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야 하며 일단 들어가면 요오드 이온으로 변하기 전에 물속이나 공기 중으로부터 회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물 속과 공기 중에 있는 요오드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방법은 방사능 요오드의 오염을 차단하는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 중대 사고 시 또는 핵연료주기 공정 등의 고온공정에서 발생하는 요오드는 환경매질에서 높은 이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오드가 환경에 노출되기 전에 처리 되어야 하며, 이미 환경에 노출된 요오드는 빠른 시간 안에 환경매질에서 분리 및 제거 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 동안 다양한 요오드 흡착제가 개발되었으며, 그 예로 Triethylene diamine(TEDA) 첨착 활성탄과 은이온 교환 흡착제 (Ag-zeolite)가 있다.
TEDA 첨착활성탄의 경우 낮은 제조비용과 효율적인 요오드 흡착처리가 가능하나 고온조건하에서 요오드의 흡착성능은 급격히 감소하고 발화의 가능성이 있다.
은이온 교환 흡착제(Ag-zeolite)는 첨착활성탄과 비교하여 고온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높은 제조비용을 필요로 한다. 은 자체의 독성으로 미국 EPA에서 규제를 하고 있으며 은의 높은 비용 (523 USD/Kg)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기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도가 계속적으로 올라갈수록 300˚C 이상에서는 불안정한 성질을 보이므로 요오드를 흡착한 은이온 교환 흡착제를 고화체로 만들어 처분하는데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1) KR10-2014-0066933 A
종래 기술에 따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현재 사용되는 흡착제의 단점인 경제성과 안정성을 보완하고 요오드 제거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흡착제 및 이러한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흡착제에 함유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은 (a) 그래파이트(graphite)가 산화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가 반응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가 교반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의 교반된 화합물이 초음파처리(sonication)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에 있어서, 초순수가 포함된 이후 교반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에서의 생성물을 탈이온수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에서 있어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 100 중량부에 대해서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는 850 내지 950 중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에서 있어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 100 중량부에 대해서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는 900 중량부이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요오드 흡착방법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이용하여 요오드를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요오드 흡착방법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이 충진된 고정층 컬럼을 이용하여 요오드를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경제적으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약 9배 정도의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훨씬 높은 요오드 제거효과를 갖는 바, 요오드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획기적으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방출된 요오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이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제조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그래파이트, 그래핀산화물 및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에 대한 XRD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그래핀산화물 및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에 대한 SEM/EDS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제1실시예에 따른 요오드 제거효율에 대한 비교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요오드 제거효율에 대한 비교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제3실시예에 따른 요오드 제거효율에 대한 비교실험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bismuth graphene oxide)의 제조방법
요오드(I2) 흡착제로 이용되는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그래파이트(graphite)를 산화시켜 생성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 Bi(NO3)3·5H2O)를 반응시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제조한다.
그래핀산화물과 질산비스무트의 중량부 비율을 달리함에 따라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 효율이 달라지는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 질산비스무트 중량부 대 그래핀산화물 중량부 비율을 9:1(제1 실시예), 7:3(제2 실시예) 및 5:5(제3 실시예)으로 한 각각 실시예에서의 요오드 제거효율을 검토하였다.
각 실시예에서의 요오드 제거효율은 후술한다.
도 2에서는 질산비스무트 중량부 대 그래핀산화물 중량부 비율 9:1인 제1실시예가 도시된다. 그래핀산화물 10mg과 질산비스무트 90mg을 100ml의 초순수가 첨가된 반응조에 투입된 이후에 30분간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시킨다.
이후 교반된 화합물을 1시간 동안 초음파처리(sonication)한다. 이후 초순수(deionized)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2일 동안 30℃ 오븐에서 건조하여 비스무트 기능화된 그래핀산화물 즉,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제조한다.
도 3은 그래파이트, 그래핀산화물 및 제1실시예에서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에 대한 XRD 데이터이다.
그래파이트는 26.03°에서 강한 002면의 특성을 보여 주고, 그래핀산화물의 경우에는 12°부근에서 001면과 25°부근에서 002면의 특성을 보여준다. 비스무트(Bi)이온 작용 후, 일부 산소를 포함한 에폭시 작용기들은 나타나지 않으며,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에서는 27.71°, 49.11°, 및 60.93°에서 비스무트(Bi)의 특성이 나타난다.
도 4a는 그래핀산화물의 SEM/EDS 데이터를 도시하며, 도 4b는 제1실시예에서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SEM/EDS 데이터를 도시한다.
그래핀산화물과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SEM/EDS 데이터를 통해 합성 후에 그래핀산화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능기인 수산기, 에폭시기, 그리고 카르복실기와의 비스무트(Bi)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었고, EDS를 통해 탄소(C)와 비스무트(Bi) 간의 원소 비율을 보여준다.
2. 요오드(I 2 ) 흡착제 용도로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상술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을 설명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요오드 제거용 흡착제와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 효율을 비교 검토하기 위한 실험은 다음과 같다.
회분식 흡착 실험은 요오드(I2) 솔루션(0.127μg/10ml)과 흡착제 0.05g을 갈색 유리 15mL vial에 넣은 후 168시간의 교반을 거친 후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를 통해 요오드의 최종 농도를 분석하고 초기농도와 남아있는 농도차이를 통해 요오드 제거 효율을 계산하였다.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에 있어서, 그래핀산화물 중량부 대 질산비스무트 중량부 비율만을 달리하는 3개의 실시예(중량부 비율만 달리하였을 뿐 나머지 제조 과정은 동일하게 실시)에 따라 각각의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제조하였고, 각각의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과 다른 비교 대상 흡착제의 요오드 제거 효율을 비교 검토하였다.
3개의 실시예에 따른 질산비스무트 중량부 대 그래핀산화물 중량부 비율은 9:1(제1 실시예), 7:3(제2 실시예) 및 5:5(제3 실시예)이다.
비교 대상 흡착제는 종래 기술인 은-제올라이트(Ag-zeolite), 그래파이트, 그래핀산화물 및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94.813%)은 은-제올라이트 제거효율(95.612%) 과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은 무의미한 정도로 나타난다.
Control 농도는 흡착제를 제외한 동일한 조건 하의 실험에서 자연적으로 제거된 요오드의 농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79.217%)은 은-제올라이트 제거효율(95.612%)보다 낮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제거효율보다 낮게 나타난다.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은 무의미한 정도로 나타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67.663%)은 은-제올라이트 제거효율(95.612&)보다 낮으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거효율보다 낮게 나타난다. 그래파이트 또는 그래핀산화물의 요오드 제거효율은 무의미한 정도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실시예 중 제1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하다. 즉, 질산비스무트 중량부 대 그래핀산화물 중량부 비율을 9:1 하여 제조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이용하여 요오드를 흡착하는 경우 가장 높은 요오드 제거효율을 보이고 있다.
요오드 흡착제로서의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은 고정층 컬럼에 충진될 수 있다. 요오드가 포함된 유체 등이 컬럼을 통과하면서 요오드가 흡착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요오드 흡착제로서의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이 성형물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이 성형물의 기재 면에 부착되어 요오드 제거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는 섬유, 유리, 금속, 세라믹, 목재, 또는 이들의 혼합체일 수 있다.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이용하여 요오드를 제거할 경우,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결과와 같이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요오드 흡착제로 이용하는 경우 현재 사용이 되고 있는 흡착제(Ag-zeolite)와 비슷한 요오드제거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경제성에 있어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흡착제를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약 765.6원/g으로 은-제올라이트(Ag-zeolite)의 공급단가 6760원/g의 가격에 비해 매우 저렴하다. 경제성 부분에서의 비교를 해보면 대략 8.8배 정도의 금액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제작 및 공급 원가 대비 8.8배의 요오드 제거 효율을 보여준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 그래파이트(graphite)가 산화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가 반응되어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bismuth graphene oxide)이 생성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생성된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bismuth graphene oxide)이 이용되어 요오드가 흡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 100 중량부에 대해서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는 850 내지 950 중량부인 요오드 흡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그래핀산화물(graphene oxide)과 질산비스무트(bismuth nitrate)가 교반되는 단계;
    (b-2) 상기 (b-1) 단계에서의 교반된 화합물이 초음파처리(sonication)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오드 흡착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에 있어서, 초순수가 포함된 이후 교반되는 요오드 흡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b-2) 단계 이후, 상기 (b-2) 단계에서의 생성물을 초순수로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요오드 흡착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72812A 2016-06-11 2016-06-11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KR10186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812A KR101865774B1 (ko) 2016-06-11 2016-06-11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812A KR101865774B1 (ko) 2016-06-11 2016-06-11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20A KR20170140020A (ko) 2017-12-20
KR101865774B1 true KR101865774B1 (ko) 2018-06-08

Family

ID=6093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812A KR101865774B1 (ko) 2016-06-11 2016-06-11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670A (ko) * 2021-12-07 2023-06-14 (주)엔씨스퀘어 판형 요오드 흡착필터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9272B (zh) * 2018-03-20 2020-06-16 常州大学 一种以石墨烯为基材的导电珠光粉的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9122A (zh) * 2012-10-19 2013-01-30 深圳大学 一种Bi2O3/氧化石墨烯复合粉体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9122A (zh) * 2012-10-19 2013-01-30 深圳大学 一种Bi2O3/氧化石墨烯复合粉体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lectrochimica Acta. 201, Vol. 55, pp. 8974-8980 (2010.08.20.)*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2015, Vol. 465, pp. 556-564(2015.06.2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670A (ko) * 2021-12-07 2023-06-14 (주)엔씨스퀘어 판형 요오드 흡착필터 제조방법
KR102637534B1 (ko) 2021-12-07 2024-02-16 (주)엔씨스퀘어 판형 요오드 흡착필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20A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Efficient adsorption of radioactive iodide ion from simulated wastewater by nano Cu2O/Cu modified activated carbon
Awual et al. A reliable hybrid adsorbent for efficient radioactive cesium accumulation from contaminated wastewater
US4876232A (en) Supported heteropolycyclic compounds in the separation and removal of late transition metals
Bhalara et al. A review of potential remediation techniques for uranium (VI) ion retrieval from contaminated aqueous environment
US9511346B2 (en) Adsorption of actinides in cationic form from aqueous solutions
CN109569520B (zh) 一种改性金属有机骨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922193B2 (ja) 新規吸着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Egorin et al. Investigation of Sr uptake by birnessite-type sorbents from seawater
KR20170125597A (ko) 다공성 프러시안 블루 자성나노입자를 기반으로 하는 방사성 세슘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Zhang et al. Sorption behavior of cesium from aqueous solution on magnetic hexacyanoferrate materials
Guo et al. Simultaneously efficient adsorption and highly selective separation of U (VI) and Th (IV) by surface-functionalized lignin nanoparticles: a novel pH-dependent process
Sharaf El-Deen et al. Evaluation of CNTs/MnO2 composite for adsorption of 60Co (II), 65Zn (II) and Cd (II) ions from aqueous solutions
Dolatyari et al. Th (IV)/U (VI) sorption on modified SBA–15 mesoporous materials in fixed–bed column
KR101865774B1 (ko)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요오드 흡착방법
Abdien et al. Extraction and pre-concentration of uranium using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trioctyl phosphine oxide
Robshaw et al. Capture of aqueous radioiodine species by metallated adsorbents from wastestreams of the nuclear power industry: a review
CN110237806B (zh) Cu-凹凸棒石-NH2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在吸附放射性水体中碘离子中的应用
KR101920233B1 (ko) 비스무트그래핀산화물을 함유한 요오드 흡착제 및 이를 포함한 고정층 컬럼 및 성형물
KR101946447B1 (ko) 세슘 흡착 하이드로젤 필름의 제조방법
Toropov et al. The use of composite ferrocyanide materials for treatment of high salinity liquid radioactive wastes rich in cesium isotopes
KR100764904B1 (ko) 이온교환체를 이용한 세슘 또는 스트론튬의 방사성 핵종 제거방법
Yakout Influence of solution chemistry on the selective adsorption of uranium and thorium onto activated carbon
KR20100030250A (ko) 수용액으로부터 요오드 혼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El-Shazly et al. Factors affecting the sorption of Eu (III) on modified silica gel
Hamed et al. Influence of sorption parameters on cesium-137 removal using modified activated carbon obtained from corchorus olitorius stal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