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468B1 -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468B1 KR101865468B1 KR1020160095546A KR20160095546A KR101865468B1 KR 101865468 B1 KR101865468 B1 KR 101865468B1 KR 1020160095546 A KR1020160095546 A KR 1020160095546A KR 20160095546 A KR20160095546 A KR 20160095546A KR 101865468 B1 KR101865468 B1 KR 1018654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user
- sensor
- leader
- wor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14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468 Hem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509 Kyp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23 Lor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45 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816 Muscle tight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642 Mu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737 Parkins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0666 Testud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690 abdominal obesity-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603 frozen shoul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938 muscular dys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4 post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6 reme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22 scol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 G06F19/3418—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움직임 감지를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는 슈트를 간편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재미요소가 포함된 기능성 게임을 통하여 이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원격지의 지도자가 이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피드백을 주어 정확하고 기능적인 운동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격운동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용자가 움직임 감지를 위한 최적의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는 슈트를 간편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재미요소가 포함된 기능성 게임을 통하여 이용자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원격지의 지도자가 이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피드백을 주어 정확하고 기능적인 운동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 뇌성마비, 근육병, 파킨슨, 치매 등의 만성질환으로 인한 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환자는 치료목적의 지속적인 재활운동이 요구되나, 의료시설에서 의료보험 청구의 제한을 비롯하여 시간적 공간적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전문가에 의해 지속적인 운동 지도를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재활치료가 가능한 병원이나 시설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만 아니라 대기 기간도 수개월에서 1년까지 걸리고 대기자가 많아서 병원마다 기간을 제한하고 여러 병원을 번갈아 가며 재활을 위해 떠돈다고 해서 '재활 난민'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이에 IT 기술 및 원격의료기술의 발전과 함께 병원이나 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 재활운동지도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도자가 원격에서 기능적인 신체 움직임의 지도를 위한 이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신체부분의 움직임을 감지 및 추적할 수 있는 센서를 해부학적 landmark에 부착한 후, 움직임의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객관적 데이터를 산출함으로 원격지의 지도자가 이를 통해 이용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비숙련, 비전문가인 이용자들이 지도자의 도움없이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부착 위치 즉, 해부학적 표식자를 찾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는 슈트를 이용자가 간편히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움직임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용자의 움직임에 대하여 피드백을 지도자가 원격으로 제공함으로 치료실이라는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이용자에게 언제든지 원격 치료적 운동을 지도할 수 있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이용자의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하되 외측으로 다수의 고리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띠가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는 상체지지부 및 하체지지부와, 양단에 상기 고리와 임시결합 가능한 후크가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와이어와, 상기 상체지지부와 하체지지부를 연결하며 탄성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와, 상기 상체지지부 및 하체지지부에 중앙 또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블 슈트; 상기 센서로부터 수집된 감지신호를 통해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제1통신부와, 이용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와, 상기 동작정보 및 이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제1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출력부로 출력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는 이용자단말부; 상기 제1통신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와, 지도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와, 상기 동작정보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와, 지도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출력부로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지도자단말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반신에 착용되는 가슴고정부와 양 팔꿈치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팔고정부와 양 손목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손고정부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하체지지부는 골반을 둘러 착용되는 골반고정부와 양 대퇴부에 착용되는 한 쌍의 대퇴고정부와 양 무릎에 착용되는 한 쌍의 무릎고정부와 양 발목에 착용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로 분할 구성되며, 머리에 둘러 착용되는 헤드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헤드밴드의 중앙과 상기 가슴고정부의 중앙 및 양 어깨와 상기 팔고정부와 상기 손고정부와 상기 골반고정부의 양측의 상·하단과 상기 무릎고정부와 발고정부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용자단말부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지도자단말부는 복수의 이용자단말부를 통해 전송된 영상을 한 화면상에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되 지도자로부터 선택된 이용자단말부로 선택적인 음성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멀티테스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도자단말부는 캐릭터 동작기반의 게임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게임콘텐츠를 실행하고 수신되는 동작정보가 반영되는 게임콘텐츠 캐릭터를 영상으로 각 이용자단말부로 송출하는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선택되는 센서의 민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리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개별 코드가 부여되고, 상기 탄성와이어는 양단의 후크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선택되는 고리에 연결되어 고리마다 상이한 기준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와, 선택되는 다른 고리에 연결되어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신호수신부의 수신결과를 통해 탄성와이어 연결에 대한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제1통신부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수신된 교정정보를 상기 제2출력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졸중, 뇌성마비, 파킨슨병, 치매와 같은 중추신경계손상 환자, 근육병, 대사증후군 등과 같은 움직임이 필요한 유전자 증후군, 재활 치료 후 지속적인 운동지도가 필요한 환자 및 만성질환으로 인한 운동지도가 필요한 환자를 비롯하여 질환예방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운동지도가 필요한 일반인에게까지 원격 치료적 운동을 지도할 수 있음에 따라 치료실이라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면서도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적인 헬스케어매니지먼트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 착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 착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근래 활발히 구축된 고속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용자가 원격지의 지도자로부터 운동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한 명의 이용자로부터 인터넷 회선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운동지도를 받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용자 측에는 센서블 슈트(1)와 이용자단말부(3)가, 지도자측에는 지도자단말부(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센서블슈트(1)는 이용자, 특히 뇌성마비와 같은 장애인 신체의 잘못된 배열(alignment)을 비롯하여 노인을 포함한 일반인의 근력 약화에 따라 나타나는 특정한 패턴(pattern)에 대해 바로잡음과 동시에 다수의 센서를 통해 원격의 지도자가 이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핵심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블슈트(1)는 이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체지지부(11)와, 하체에 착용되는 하체지지부(12)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에는 외측으로 다수의 고리(14)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띠(13)가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며, 양단에 상기 고리(14)와 임시결합 가능한 후크(151)가 형성되며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탄성와이어(15)가 함께 제공되어 적절한 탄성와이어(15)를 선택되는 한 쌍의 고리에 걸어줌으로 신체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교정이란 밸런스를 유지해야할 근육 중 한쪽이 약화됨으로 신체의 일부가 약화된 근육 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바로잡기 위해 상기 탄성와이어(15)를 사용하여 신체의 틀어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근 장력(muscle tension)의 변화를 감지하고 운동 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상반신과 하반신의 지지를 위해 상기 상체지지부(11)와 하체지지부(12)를 연결하며 탄성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16)가 구비되며, 상기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에 중앙 또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S)가 부착된다.
상기 센서(S)는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조합함으로 부착된 신체부위의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가 조합된 IMU(Inertia Measurement Unit)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구성하는 가속도센서는 물체가 얼마만큼 빨라지는지 또는 늦어지는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력가속도가 작용을 통해 지구표면에 대하여 얼마큼 기울어져 있는지 즉 기울기의 측정이 가능하며 x, y, z 축의 3축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자이로센서는 x, y, z 축의 3축에 대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스윙동작에 있어서의 신체의 움직임을 매우 정밀하게 측정하고자 할 때 가속도센서만으로는 움직이는 방향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완하여 방향과 움직이는 정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자이로센서는 가속도센서와는 달리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가속도센서와 조합함으로 정밀한 움직임의 측정이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x, y, z 축 또는 roll, pitch, and yaw로 3축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질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트 착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효율적인 신체교정을 위해 상기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가 주요 관절을 따라 분할형성된다.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상체지지부(11)는 상반신 즉 이용자의 어깨 및 가슴을 둘러 착용되는 가슴고정부(111)와, 양 팔꿈치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팔고정부(112)와, 양 손목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손고정부(113)로 분할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체지지부(12)는 허리 아래쪽 골반과 엉덩이 부분을 둘러 착용되는 골반고정부(121)와, 양 대퇴부에 착용되는 한 쌍의 대퇴고정부(122)와, 양 무릎에 착용되는 한 쌍의 무릎고정부(123)와, 양 발목에 착용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124)로 분할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는 원활한 교정 및 동작감지를 위해 이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네오프렌 소재와 같이 착용시 밀착되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맞춤형 또는 표준형으로 제작되되 양단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됨으로 신체에 맞게 두른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팔고정부(112), 손고정부(113), 대퇴고정부(122), 무릎고정부(123), 발고정부(124)의 경우 이러한 벨크로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가슴고정부(111) 및 골반고정부(121)의 경우 사이즈가 비교적 클 뿐 아니라 견고한 고정을 요하므로 벨크로 방식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및 버클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탄성밴드(16)는 상기 가슴고정부(111) 및 골반고정부(121)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띠(13)의 경우 교정 포인트가 많은 가슴고정부(111), 골반고정부(121), 대퇴고정부(122)에 형성되고 나머지 무릎고정부(123)나 발고정부(124)의 경우 주요 포인트에 선택적으로 고리(1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탄성와이어(15)는 원격의 지도자의 지시에 의해 적용하게 된다. 실제 나타나는 체형 변형과 이에 따른 탄성와이어(15)의 적용을 예시로 들면, 이용자가 둥근 어깨(round shoulder)일 경우에는 양쪽 어깨관절(shoulder joint)을 측면에서 봤을 때 전면에서 후면으로 형성된 고리에 탄성와이어(15)를 걸어 당겨 상기 지지체에 고정하여 양측 어깨를 뒤쪽으로 당겨줌으로 둥근 어깨를 교정하고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적용을 통해 척추측만증(scoliosis), 거북목증후군(Turtle neck syndrome), 골반불균형(pelvic unbalance), 요추 전만(lumbar lordosis), 요추 후만(lumbar kyphosis) 등등 자세불균형으로 인한 부정렬 증후군(malalignment syndrome), 오십견(frozen shoulder) 등의 만성 또는 자세성 질환의 교정이 가능하다.
신체움직임 감지를 위한 센서(S)의 바람직한 위치로는 상기 가슴고정부(111)의 중앙 및 양 어깨와, 상기 팔고정부(112)와, 상기 손고정부(113)와, 상기 골반고정부(121)의 양측의 상·하단과, 상기 무릎고정부(123)와 발고정부(124)가 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움직임 분석을 위해 이용자의 머리(이마)에 둘러 착용되는 헤드밴드(2)를 착용하고 상기 센서(S) 중 하나가 상기 헤드밴드(2)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센서(S)를 이용자가 집에서 치료사나 지도자의 도움없이 효율적인 동작감지를 위한 해부학적 표식자(landmark)에 붙이는 것이 어려움에 따라 인체의 해부학적 표식자(landmark)에 상기 센서가 부착될 수 있도록 센서블슈트(1)를 제작하되 각 이용자 사이즈별로 제작하여(S, M, L, XL) 착·탈의가 편하도록 한다.
즉 이용자는 센서블슈트(1)에 어깨, 골반, 팔꿈치, 손목, 무릎, 다리 등의 표식자에 쉽게 센서(S)를 삽입 또는 부착할 수 있으며 센서블슈트(1)가 사이즈별로 제작됨에 따라 이용자의 몸에 맞는 슈트를 착용함에 따라 정확한 표식자에 센서(S) 부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센서부착 표식자를 통한 움직임 분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① 머리 정렬: 상기 가슴고정부(111) 중심에 부착된 센서(S9)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밴드(2) 중앙에 부착된 센서(S1)의 기울기를 통해 머리가 얼마나 구부러졌는지 머리와 몸통의 정렬을 알 수 있다.
② 몸통 정렬: 상기 가슴고정부(111) 중심에 부착된 센서(S9)를 기준으로 상기 골반고정부(121) 양쪽의 상단에 부착된 센서(S5)와의 상대적 움직임을 통해 몸통과 골반 정렬을 알 수 있다.
③ 머리, 몸통 정렬: 상기 가슴고정부(111) 중심에 부착된 센서(S9)를 기준으로 상기 헤드밴드(2) 중앙에 부착된 센서(S1)와 상기 골반고정부(121) 양쪽의 상단에 부착된 센서(S5)를 통해 머리, 몸통, 골반 정렬을 알 수 있다.
④ 상지 움직임: 상기 가슴고정부(111)의 양 어깨에 부착된 한쌍의 센서(S2), 상기 한쌍의 팔고정부(112)에 각각 부착된 센서(S3), 상기 한쌍의 손고정부(113)에 각각 부착된 센서(S4)의 상대적 움직임을 통해 상지(팔) 움직임의 양과 속도 등을 알 수 있다.
⑤ 하지 움직임: 상기 골반고정부(121)의 양측 하단에 부착된 센서(S6), 상기 한쌍의 무릎고정부(123)에 각각 부착된 센서(S7), 상기 한쌍의 발고정부(124)에 각각 부착된 센서(S8)의 상대적 움직임을 통해 하지(다리) 움직임의 양과 속도 등을 알 수 있다.
⑥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상지의 움직임 : 상기 ③ 머리, 몸통 정렬 데이터와 ④ 상지 움직임 데이터의 상대적 관계를 통해 몸통이 얼마만큼 바른 정렬 상태에서 상지(팔)를 움직였는지 알 수 있다.
⑦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하지의 움직임 : 위의 ③ 머리, 몸통 정렬 데이터터와 ⑤ 하지 움직임 데이터의 상대적 관계를 통해 몸통이 얼마만큼 바른 정렬 상태에서 하지(다리)를 움직였는지 알 수 있다.
⑧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좌, 우 상지 움직임 : 위의 ③ 머리, 몸통 정렬 데이터와 좌, 우측 ④ 상지 움직임 데이터의 상대적 관계를 통해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좌, 우 상지(팔) 움직임 대칭성 유무와 정도를 알 수 있다.
⑨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좌, 우 하지 움직임 : 위의 ③ 머리, 몸통 정렬 데이터와 좌, 우측 ⑤ 하지 움직임 데이터의 상대적 관계를 통해서 몸통 정렬한 상태에서 좌, 우 하지(다리) 움직임의 대칭성 유무와 정도를 알 수 있다.
이때 센서블 슈트(1)에 구비되는 모든 고리(14)와 모든 길이별 탄성와이어(15)에는 이용자와 지도자가 공통으로 인지할 수 있는 개별 코드가 부여됨으로 원격의 지도자의 지시에 따라 이용자가 정확한 위치의 고리(14)에 선택되는 탄성와이어(15)를 정확하게 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용자단말부(3)는 이용자 측에 구비되어 인터넷을 통해 지도자로부터 지도를 받기 위한 구성으로 처리부(34)와, 제1통신부(31)와, 제1입력부(32)와, 제1출력부(33)와, 설정부(35)와, 제1제어부(36)를 구비한다.
상기 처리부(34)는 상기 센서(S)로부터 수집된 감지신호를 통해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각 센서(S)의 부착위치별로 측정된 감지신호를 통해 해당 신체부분의 움직임을 동작정보로 생성한다.
이때 센서블슈트(1)에 부착된 다수의 센서(S)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이용자단말부(3)에서 수신함에 있어 각 센서(S) 내지는 센서(S)의 감지신호를 통합관리하는 모듈과 이용자단말부(3)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제1통신부(31)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구성으로, 공지의 인터넷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이용자단말부(3)와 지도자단말부(4)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입력부(32)는 이용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블슈트(1)를 착용한 상태의 이용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웹캠과, 이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출력부(33)는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처리된 영상출력을 위한 모니터와, 스피커로 이루어져 상기 제1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자신의 영상이나 지도자단말부(4)로부터 전송된 지도자의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설정부(35)는 선택되는 센서의 민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처리부(34)와 연동하여 선택되는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민감도에 대응하여 수정하게 된다. 즉 특정센서의 민감도를 높게 설정할 경우 해당 센서가 부착된 신체부위가 조금만 움직여도 이를 민감하게 감지하게 되며, 민감도를 낮게 설정할 경우 신체부위의 미세한 움직임은 감지하지 않고 큰 움직임만 감지할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동작 기반의 게임에 이용자의 움직임을 적용시 이용자의 움직임 문제에 따라서 센서의 민감도를 통해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왼쪽 편마비인 경우 왼쪽 상지를 잘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게임이 왼손을 휘둘러서 무언가를 타격하는 콘텐츠라면, 상황에 맞게 센서 민감도를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센서 민감도 조절은 이용자 또는 원격의 지도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인과 같은 정확한 움직임이 나오지 않더라도 이용자의 노력을 통해 왼손을 적절히 움직이더라도 왼손을 휘둘러서 타격하는 과제를 완료한 것으로 인정하게 된다. 왼쪽 무시 편마비 환자(neglect)의 경우 왼쪽 상하지의 사용을 촉진하고, 오른쪽 상하지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오른쪽 움직임에 대한 센서의 민감도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센서 민감도 조절을 통해 개별 맞춤형 운동기능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며 성취도에 따라 동기부여와 적극적 참여가 가능해 진다.
상기 제1제어부(36)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처리부(34)와, 제1통신부(31)와, 제1입력부(32)와, 제1출력부(33)와, 설정부(35)를 제어하며, 상기 처리부(34)에서 생성된 동작정보 및 제1입력부(32)에서 입력된 이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통신부(31)를 통해 지도자단말부(4)로 송신하고, 지도자단말부(4)에서 송신되어 제1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출력부(33)로 출력한다. 또한, 지도자단말부(4)로부터 센서의 민감도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정부(35)에 인가하는 기능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가 지도자단말부(4)는 지도자 측에 구비되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이용자로부터 동작정보를 전송받아 확인 후 대응되는 피드백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통신부(41)와, 제2입력부(42)와, 제2출력부(43)와, 제2제어부(44)와, 멀티테스킹부(45)와, 데이터베이스(46)와, 실행부(47)를 구비한다.
상기 제2통신부(41)는 상기 제1통신부(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며 이용자단말부(3)와 지도자단말부(4)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입력부(42)는 지도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이용자와는 달리 전신이 아닌 의사전달을 위한 얼굴 부분을 중점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웹캠과, 지도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출력부(43)는 상기 동작정보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처리된 영상출력을 위한 모니터와, 스피커로 이루어져 상기 제2입력부(42)를 통해 입력된 자신의 영상이나 이용자단말부(3)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영상 및 음성, 실행되는 게임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제어부(44)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41)와, 제2입력부(42)와, 제2출력부(43)와, 멀티테스킹부(45)와, 데이터베이스(46)와, 실행부(47)를 제어하되, 특히 상기 제2입력부(42)에 입력된 지도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통신부(41)를 통해 송신하고 제2통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동작정보와, 이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출력부(43)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초반에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용자에 대한 동시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용자단말부(3)가 복수로 구비되는 상황으로 이에 상기 멀티테스킹부(45)는 상기 제2제어부(44)와 연동하여 복수의 이용자단말부(3)를 통해 전송된 영상을 한 화면상에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여 지도자가 접속중인 모든 이용자의 영상을 일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되, 지도자로부터 선택된 이용자단말부로 상기 제2입력부(42)에 입력된 지도자의 음성이 선택적으로 송신되고, 선택된 이용자단말부로부터의 음성을 선별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6)는 캐릭터 동작기반의 게임콘텐츠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비교적 간단하여 게임 영상처리 및 전송에 따른 트래픽이 크지 않도록 구성되되 이용자가 운동을 위한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게임내 캐릭터가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함으로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가 구비된다.
상기 실행부(47)는 상기 데이터베이스(46)에서 지도자가 선택한 게임콘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제2통신부(41)에서 수신되는 이용자의 동작정보를 실행되는 게임콘텐츠 내의 캐릭터에 반영하되 해당 게임콘텐츠 캐릭터를 영상으로 해당 이용자단말부로 송출함으로 게임을 통한 운동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도자는 센서블 슈트(1)의 고리(14) 및 탄성와이어(15)에 부여된 개별 코드를 음성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줌으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용자단말부(3)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통해 정확한 교정 여부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고리(14)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좁아 화상을 통해 위치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또는 개별 코드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탄성와이어(15)의 부착위치를 전자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리(14)는 모두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와이어(15)는 양단의 후크(151)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블 슈트(1)에는 선택되는 고리에 연결되어 고리마다 상이한 기준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17)와, 선택되는 다른 고리에 연결되어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8)가 설치되어, 탄성와이어(15)가 2개의 고리(14)를 연결시 상기 신호수신부에서 측정되는 기준신호를 통해 어떤 2개의 고리가 연결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가슴고정부(111)의 전면의 고리는 탄성와이어(15)를 통해 후면의 고리 내지는 대퇴고정부(122)의 고리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가슴고정부(111)의 전면의 고리에 신호인가부(17)를 연결하고 가슴고정부(111) 후면의 고리 내지는 대퇴고정부(122)의 고리에 신호수신부(18)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제어부(36)는 상기 신호수신부(18)의 수신결과를 통해 탄성와이어(15) 연결에 대한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제1통신부(31)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2제어부(44)는 수신된 교정정보를 상기 제2출력부(43)로 출력함으로 지도자는 탄성와이어(15)의 연결 위치 및 상태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구성을 이용한 이용자 입장에서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전개될 수 있다.
먼저, 이용자는 센서블 슈트(1)를 착용하고 상기 제1입력부(32) 앞에 앉거나 선다.
이후 이용자의 영상과 더불어 움직임을 감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함으로 지도자가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하고, 지도자는 각 부위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해 준다.
이때 상기 제1출력부(33) 화면에 지도자의 모습이 작은 스크린에 보인 상태로 음성 및 화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고, 지도자의 간단한 움직임 지도 후에 몸의 움직임을 이용한 기능성 게임콘텐츠가 실행된다.
이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설정하고 게임을 수행하게 되며, 그룹 운동지도로서 게임 화면에 동 시간대의 다른 이용자의 캐릭터도 보이도록 하여 캐릭터 간에 협력, 경쟁을 하면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게임의 난이도는 이용자의 움직임 문제에 따라서 센서(S)의 민감도를 조절을 통해 조절할 수 있고, 게임 중에도 지도자의 모습은 제1출력부(33) 화면 상단에 작은 화면으로 보이며, 신체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예를 들어 “자 허리를 더 펴세요, 팔을 앞으로 더 쭉 내 뻗으세요”, “저처럼 어깨를 더 펴세요.” 등)을 받게 된다.
이후 지도자는 기능성 게임 콘텐츠에서 움직임의 기능적인 요소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주고, 지난번과 비교를 통해 얼마나 향상이 되었는지 알려주며 화상통신으로 부모님께 운동에 관련된 설명을 한다.
또한, 지도자 입장에서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이 전개될 수 있다.
지도자의 제2출력부(43) 화면은 일반 화면과는 달리 멀티비전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최대 9명 이하 수준으로 온라인으로 접속한 이용자의 모습을 모두 볼 수 있다.
각 이용자의 자세를 센서블 슈트(1)를 통해 들어온 동작정보를 바탕으로 영점 조정(Calibration) 한 다음, 선택한 게임을 실행하며, 단체 지도시 이용자들이 공통의 기능성 게임을 진행한다.
상기 제2출력부(43)에서 가운데 화면은 게임을 진행하는 영상이 보이고, 나머지 화면에는 각 이용자의 체간 정렬, 사지움직임에 대한 데이터가 나타난다. 이 데이터는 기존에 평균값과 비교해서 움직임 속도, 방향, 정렬 각도 등을 비교해서 얼마나 양호한지 불량하지 수준도 나타내며, 이 정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준다.
예를 들어 1번 멀티비전에 보이는 a라는 아동의 움직임에 문제가 있으면, 보이스 버튼 1번을 누르고 1번 아동에게 “허리를 좀 더 펴라.”라는 등의 피드백을 줄 수 있다. 그리고 1번 아동이 움직이는 모습을 더 보려면. 1번 아동의 스크린을 클릭하면 더 큰 화면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센서블 슈트 11: 상체지지부
111: 가슴고정부 112: 팔고정부
113: 손고정부 12: 하체지지부
121: 골반고정부 122: 대퇴고정부
123: 무릎고정부 124: 발고정부
13: 수직띠 14: 고리
15: 탄성와이어 151: 후크
16: 탄성밴드 17: 신호인가부
18: 신호수신부 2: 헤드밴드
3: 이용자단말부 31: 제1통신부
32: 제1입력부 33: 제1출력부
34: 처리부 35: 설정부
36: 제1제어부 4: 지도자단말부
41: 제2통신부 42: 제2입력부
43: 제2출력부 44: 제2제어부
45: 멀티테스킹부 46: 데이터베이스
47: 실행부 S, S1 ~ S9: 센서
111: 가슴고정부 112: 팔고정부
113: 손고정부 12: 하체지지부
121: 골반고정부 122: 대퇴고정부
123: 무릎고정부 124: 발고정부
13: 수직띠 14: 고리
15: 탄성와이어 151: 후크
16: 탄성밴드 17: 신호인가부
18: 신호수신부 2: 헤드밴드
3: 이용자단말부 31: 제1통신부
32: 제1입력부 33: 제1출력부
34: 처리부 35: 설정부
36: 제1제어부 4: 지도자단말부
41: 제2통신부 42: 제2입력부
43: 제2출력부 44: 제2제어부
45: 멀티테스킹부 46: 데이터베이스
47: 실행부 S, S1 ~ S9: 센서
Claims (5)
- 이용자의 상체 및 하체에 각각 착용되되 외측으로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개별 코드가 부여되는 다수의 고리(14)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직띠(13)가 둘레를 따라 다수 형성되는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와, 양단에 상기 고리(14)와 임시결합 가능한 후크(151)가 형성되고 양단의 후크 사이를 통전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탄성와이어(15)와, 상기 상체지지부(11)와 하체지지부(12)를 연결하며 탄성조절이 가능한 탄성밴드(16)와, 선택되는 고리에 연결되어 고리마다 상이한 기준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부(17)와, 선택되는 다른 고리에 연결되어 기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8)와, 상기 상체지지부(11) 및 하체지지부(12)에 중앙 또는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S)를 구비하는 센서블 슈트(1);
상기 센서(S)로부터 수집된 감지신호를 통해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34)와,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제1통신부(31)와, 이용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제1입력부(32)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33)와, 상기 동작정보 및 이용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통신부(31)를 통해 송신하고 제1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1출력부(33)로 출력하되 상기 신호수신부의 수신결과를 통해 탄성와이어(15) 연결에 대한 교정정보를 생성하여 제1통신부(31)를 통해 송신하는 제1제어부(36)를 구비하는 이용자단말부(3);
상기 제1통신부(31)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41)와, 지도자로부터 영상 및 음성을 입력받는 제2입력부(42)와, 상기 동작정보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제2출력부(43)와, 지도자의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통신부(41)를 통해 송신하고 제2통신부(41)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상기 제2출력부(43)로 출력하고 수신된 교정정보를 상기 제2출력부(43)로 출력하는 제2제어부(44)를 구비하는 지도자단말부(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11)는 상반신에 착용되는 가슴고정부(111)와 양 팔꿈치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팔고정부(112)와 양 손목에 각각 착용되는 한 쌍의 손고정부(113)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하체지지부(12)는 골반을 둘러 착용되는 골반고정부(121)와 양 대퇴부에 착용되는 한 쌍의 대퇴고정부(122)와 양 무릎에 착용되는 한 쌍의 무릎고정부(123)와 양 발목에 착용되는 한 쌍의 발고정부(124)로 분할 구성되며,
머리에 둘러 착용되는 헤드밴드(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S)는 상기 헤드밴드(2)의 중앙과, 상기 가슴고정부(111)의 중앙 및 양 어깨와, 상기 팔고정부(112)와, 상기 손고정부(113)와, 상기 골반고정부(121)의 양측의 상·하단과, 상기 무릎고정부(123)와 발고정부(124)에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단말부(3)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지도자단말부(4)는 복수의 이용자단말부를 통해 전송된 영상을 한 화면상에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되 지도자로부터 선택된 이용자단말부로 선택적인 음성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멀티테스킹부(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자단말부(4)는 캐릭터 동작기반의 게임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46)와, 게임콘텐츠를 실행하고 수신되는 동작정보가 반영되는 게임콘텐츠 캐릭터를 영상으로 각 이용자단말부(3)로 송출하는 실행부(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36)는 선택되는 센서의 민감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설정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546A KR101865468B1 (ko) | 2016-07-27 | 2016-07-27 |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5546A KR101865468B1 (ko) | 2016-07-27 | 2016-07-27 |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2560A KR20180012560A (ko) | 2018-02-06 |
KR101865468B1 true KR101865468B1 (ko) | 2018-06-07 |
Family
ID=6122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5546A KR101865468B1 (ko) | 2016-07-27 | 2016-07-27 |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4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7006B1 (ko) * | 2019-11-06 | 2021-08-05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보행 재활 장치의 상지 어셈블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8859B1 (ko) | 2013-07-26 | 2014-02-06 | 몬트롤 주식회사 | 9축모션센서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연계형 사용자 모션 교정장치 및 방법 |
KR101447145B1 (ko) * | 2014-03-21 | 2014-10-06 |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
US20150309563A1 (en) * | 2013-09-17 | 2015-10-29 | Medibotics Llc | Motion Recognition Clothing [TM] with Flexible Electromagnetic, Light, or Sonic Energy Pathway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6839A (ko) * | 2000-05-23 | 2001-12-07 | 허운 | 2축2센서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인체 관절의 동작 각도측정, 측정 정보의 컴퓨터 입력과 동일 정보 출력에 따른인체 동작 범위 인지를 통한 인터넷 운용방법 |
KR100415884B1 (ko) | 2000-11-06 | 2004-01-24 | (주)모션테크놀로지 | 모션 캡쳐를 통하여 모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장치 |
KR20150074565A (ko) * | 2013-12-24 | 2015-07-02 | 수상에스티(주) | 웨어러블 호신 센서장치 |
-
2016
- 2016-07-27 KR KR1020160095546A patent/KR1018654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8859B1 (ko) | 2013-07-26 | 2014-02-06 | 몬트롤 주식회사 | 9축모션센서모듈을 통한 스마트기기연계형 사용자 모션 교정장치 및 방법 |
US20150309563A1 (en) * | 2013-09-17 | 2015-10-29 | Medibotics Llc | Motion Recognition Clothing [TM] with Flexible Electromagnetic, Light, or Sonic Energy Pathways |
KR101447145B1 (ko) * | 2014-03-21 | 2014-10-06 |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Wireless AHRS EBIMU24GV3(2016.02.23.) * |
몸짓 인식 종결자? 온몸으로 즐기는 게임(2014.02.21.) * |
인터넷2014.02.21 * |
인터넷2016.02.23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2560A (ko) | 2018-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98588B2 (en) | Therapy and physical training device | |
KR101738678B1 (ko) | 운동성 평가 시스템 | |
US9226706B2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usage of core muscles and other applications | |
US7458943B1 (en) | Spine tilt monitor with biofeedback | |
EP2220997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tion sequences | |
CN102921162A (zh) | 自助式平衡与步态训练系统及方法 | |
KR101975585B1 (ko) | 신축성 센서를 이용한 보행 분석 시스템 및 보행 코칭 방법 | |
JP2003506165A (ja) |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 |
US20200315497A1 (en) | Electronic equipment for the treatment and care of living beings | |
KR101793828B1 (ko) | 접이식 프레임을 이용한 기능적 재활운동장치 | |
KR101865468B1 (ko) | 센서블 슈트 세트를 이용한 원격운동지도 시스템 | |
JP2020146344A (ja) | 状態検知装置、状態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160331280A1 (en) | A system intended for measuring, evaluating and/or giving feedback on the sitting posture of a user | |
WO2021186709A1 (ja) |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方法およ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 |
KR20160006389A (ko) | 자세 및 움직임 교정 운동 시스템 | |
Zecca et al. | Use of an ultra-miniaturized IMU-based motion capture system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walking skills | |
WO2022070651A1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TWM627781U (zh) | 復健動作指導協助器 | |
KR101945338B1 (ko) | 체력 측정 진단에 대한 체력 개선 시스템 | |
TWI823561B (zh) | 多模感知協同訓練系統及多模感知協同訓練方法 | |
US2024012329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US20230140585A1 (en) | Multiple sensor-fusing based interactive training system and multiple sensor-fusing based interactive training method | |
WO2020007802A1 (en) | System for detection and kinematic monitoring of body movements in water, and relative method | |
Pierella et al. | BridGE: a new system to train selective pelvis movements | |
KR20240088508A (ko) | 운동 보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