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268B1 -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268B1
KR101865268B1 KR1020100121584A KR20100121584A KR101865268B1 KR 101865268 B1 KR101865268 B1 KR 101865268B1 KR 1020100121584 A KR1020100121584 A KR 1020100121584A KR 20100121584 A KR20100121584 A KR 20100121584A KR 101865268 B1 KR101865268 B1 KR 101865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navigation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030A (ko
Inventor
박덕현
정대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2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더링 기기와 무선 통신 기기간에 와이파이 망을 활용한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경로데이터와 연계되는 대용량의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정보를 제공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테더링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테더링 서비스로 제공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using tether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더링 기기와 무선 통신 기기간에 와이파이 망을 활용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중 하나로, 단말기 자체가 무선 모뎀(변복조장치) 역할을 하는 테더링(Tethering) 기능이 있다. 여기서, 테더링 기능은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장치, Wi-Fi(무선랜)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데스크톱 PC, 전자책 단말기 및 PDA 등의 기기들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기기들에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재, 무선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3G(Generation), 와이브로(WiBro) 또는 무선접속장치를 활용한 무선랜 등을 활용해야 한다. 테더링 서비스는 이중 3G 통신망을 활용하는 것으로, 3G 통신망의 특성상 와이브로나 무선랜에 비하여 속도가 느리고, 가격 부담이 있으며, 전력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동통신 통화권 내의 지역에서는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특히, 무선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지역에서 노트북이나 넷북 등으로 자료를 송신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하고 싶을 때에는 테더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무선랜을 네트워크 망으로만 활용하여 서버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테더링 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저용량 데이터 중심의 송수신만이 가능하다. 특히, 네비게이션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2M~3M 이내의 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만 가능했으며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동영상의 대용량 데이터를 추가하여 서비스 할 수 없었다.
또한, 제한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테더링 기기와 무선 통신 기기간에 와이파이 망을 활용한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데이터와 연계되는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서비스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장치로부터 경로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하고, 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고,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비스통신부 및 네비게이션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고,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고,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에 따른 경로정보와 연관된 부가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서비스제어부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부가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은 네비게이션 장치가 서비스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장치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장치가 서비스장치로부터 경로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장치가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네비게이션 장치가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연결하는 단계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단말기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및 네비게이션 장치가 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설정하는 단계는 네비게이션 장치가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장치가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 요청하는 단계와, 네비게이션 장치가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네비게이션 장치가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네비게이션 장치가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서비스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에 따른 경로정보와 연관된 부가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연결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공하는 단계는 서비스장치가 네비게이션 장치의 요청에 따라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중 하나 이상의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대용량의 부가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정보를 제공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테더링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테더링 서비스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와 무선랜으로 연결되고, 서비스장치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말기(10), 네비게이션 장치(20), 통신망(30) 및 서비스장치(40)로 구성된다.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100)은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디지털 기기와 같은 클라이언트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컴퓨터 환경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서비스장치(40)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는 단말기(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통신망(30)은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4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망(30)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은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중, 통신망(30)이 와이파이(Wi-Fi) 망으로 구성되어 현재 위치한 장소 근처에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되어 일정한 거리 내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일 때, 단말기(10)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서비스장치(40)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무선랜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통신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무선랜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연결되고, 네비게이션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경로데이터 및 부가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를 서비스장치(40)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서비스장치(40)로부터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검색되는 경로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달한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무선랜을 통해 단말기(10)와 통신하여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서비스장치(40)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단말기(1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하고,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서비스장치(40)로부터 경로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20)는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경로데이터를 단말기(10)를 통해 서비스장치(40)로 요청한다. 이후, 네비게이션 장치(20)는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하고,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출력한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단말기(10)를 통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후,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의 대용량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4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서비스장치(4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10)와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장치(4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단말기(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4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에 따른 경로정보와 연관된 부가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장치(40)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정보를 제공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테더링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테더링 서비스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통신부(23), 장치입력부(24), 장치표시부(25) 및 GPS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는 단말기(1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하고,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다.
제어부(2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서비스장치(40)로부터 경로데이터를 수신하여 경로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21)는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정보에 따른 경로데이터를 단말기(10)를 통해 서비스장치(40)로 요청한다. 이후, 제어부(21)는 경로데이터를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하고,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부(21)는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단말기(10)를 통해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21)는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대응하는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가 될 수 있다.
저장부(22)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2)는 제어부(2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22)는 네비게이션 장치(2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저장부(22)는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한다.
통신부(23)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통신부(23)는 무선랜을 통해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23)는 단말기(10)로부터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장치입력부(24)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네비게이션 장치(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장치입력부(24)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장치입력부(24)는 장치표시부(25)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장치입력부(2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비스장치(40)와 통신하기 위한 입력신호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제어부(2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입력부(24)는 네비게이션 장치(2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되는 신호를 입력 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장치표시부(25) 네비게이션 장치(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장치표시부(25)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표시부(2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장치표시부(25)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경로정보 및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GPS부(26)는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위도, 경도 등의 현재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이때, GPS부(26)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삼각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GPS부(26)는 현재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단말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단말통신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제어부(1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무선랜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연결되고, 네비게이션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경로데이터 및 부가정보 요청에 따른 신호를 서비스장치(40)로 전달한다. 또한, 단말제어부(11)는 서비스장치(40)로부터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검색되는 경로데이터 및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달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20) 및 서비스장치(40)와 통신하기 위한 입력신호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단말기(1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화면에 터치되는 신호를 입력 받거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 TFT-LCD, OLED, 발광다이오드,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3차원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저장부(14)는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단말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SPK) 기능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실행이나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경고음이나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16)는 단말기(1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단말통신부(16)는 무선랜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연결되고,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장치(40)와 연결된다. 이때, 단말통신부(16)는 네비게이션 장치(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비스장치(40)로 송신하고, 서비스장치(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단말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장치(40)는 서비스제어부(41), 서비스저장부(42) 및 서비스통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비스제어부(41)는 서비스장치(40)의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제어부(41)는 단말기(10)와 통신망(30)을 통해 연결하고, 단말기(10)를 경유하여 네비게이션 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4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서비스제어부(4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10)와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제어부(4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를 검색하여 단말기(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제어부(4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데이터에 따른 경로정보와 연관된 부가정보를 검색하여 단말기(10)를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41)는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저장부(42)는 서비스장치(4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서비스저장부(42)는 서비스제어부(4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저장부(42)는 서비스장치(4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서비스저장부(42)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통신부(43)는 서비스장치(4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즉, 서비스통신부(43)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통신부(43)는 단말기(10)로부터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11 단계에서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40)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고,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40)는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13 단계에서 네비게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15 단계에서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현재 위치정보가 파악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17 단계에서 단말기(10)로 경로데이터를 요청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경로데이터 요청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19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40)로 경로데이터를 요청한다.
서비스장치(40)는 S21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대응하는 경로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때, 서비스장치(40)는 추천경로, 최단경로 및 고속경로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경로데이터가 검색되면, 서비스장치(40)는 S23 단계에서 검색된 경로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25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경로데이터를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달한다.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27 단계에서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출력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20)는 경로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수신된 경로정보를 재사용을 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29 단계에서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단말기(10)로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31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장치(20)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40)로 부가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부가정보 요청에 따라 서비스장치(40)는 S33 단계에서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가 될 수 있다.
부가정보가 검색되면, 서비스장치(40)는 S35 단계에서 부가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37 단계에서 서비스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를 네비게이션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정보가 수신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39 단계에서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41 단계에서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20)는 경로정보에 따라 이동 중 태그를 포함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태그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정보를 제공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테더링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테더링 서비스로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20)의 동작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51 단계에서 와이파이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10)와 통신한다. 즉,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단말기(10) 및 서비스장치(40)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0)와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고, 단말기(10)와 서비스장치(40)는 통신망(30)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무선랜을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를 실행 중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53 단계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55 단계에서 네비게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20)는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현재 위치정보가 파악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로 경로데이터를 요청한다. 이후, 네비게이션 장치(20)는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로부터 경로데이터를 수신한다.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57 단계에서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에 따른 경로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지 않으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테더링 서비스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대기모드를 실행한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59 단계에서 부가정보가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부가정보가 요청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로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61 단계에서 단말기(10)를 경유하여 서비스장치(40)로부터 부가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63 단계에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경로정보에 대응하는 날씨, 뉴스, 관광지, 쇼핑, 이벤트, 유고 위치조회, 실시간 교통조회 및 지도업데이트 등과 같은 메뉴에 연관된 사진 정보, 동영상 정보, 음향 정보 및 음악 정보 등에 해당하는 대용량 정보가 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65 단계에서 경로정보에 따라 이동 중 태그를 존재하는 위치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태그가 존재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S67 단계에서 태그에 연관된 부가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동경로 상에서 태그(A, B, C)가 위치하는 장소에 도달하는 경우, 인접한 위치의 태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PMP, PDA,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장치에서, 테더링 기기와 무선 통신 기기간에 와이파이 망을 활용한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경로데이터와 연계되는 대용량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무선랜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적합한 와이파이 망을 활용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정보를 제공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시에 테더링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랜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 기기와 테더링을 수행하여 경로 데이터와 연계되는 이미지, 음악 및 동영상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광대한 데이터 송수신 대역폭으로 인하여 경로 데이터 서비스 중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테더링 서비스로 제공 받을 수 있다.
10: 단말기
11: 단말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단말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단말통신부
20: 네비게이션 장치
21: 제어부
22: 저장부
23: 통신부
24: 장치입력부
25: 장치표시부
26: GPS부
30: 통신망
40: 서비스장치
41: 서비스제어부
42: 서비스저장부
43: 서비스통신부
100: 테더링 서비스 시스템

Claims (17)

  1. 삭제
  2.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장치입력부; 및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와 연결된 이후에,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장치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장치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설정하여 출력하고, 상기 장치입력부를 통해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부가정보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경로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부가정보를 태그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네비게이션 장치가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연결된 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와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서비스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경로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경로데이터에 대응하는 경로정보를 설정하여 출력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에 연관된 부가정보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서비스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가 상기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정보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를 경유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00121584A 2010-12-01 2010-12-01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KR101865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584A KR101865268B1 (ko) 2010-12-01 2010-12-01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584A KR101865268B1 (ko) 2010-12-01 2010-12-01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35A Division KR101919941B1 (ko) 2017-11-20 2017-11-20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30A KR20120060030A (ko) 2012-06-11
KR101865268B1 true KR101865268B1 (ko) 2018-06-07

Family

ID=4661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584A KR101865268B1 (ko) 2010-12-01 2010-12-01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2921B2 (en) 2014-10-30 2019-05-07 Lg Cns Co., Ltd. System for managing mobil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627B1 (ko) * 2002-10-09 2005-10-07 에스케이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 정보 제공 장치, 교통 정보 생성방법, 및 네비게이션 방법
KR20050015912A (ko) * 2003-08-14 2005-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호출망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교통정보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30A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2199B2 (en) Mobile device with localized app recommendations
JP2019049565A (ja) モバイル機器用のナビゲーションデータ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記憶媒体
US201400733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pre-fetching location information
US201302193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ver-based spatial searches on mobile maps
CN101848416A (zh) 一种移动终端、应用服务器及应用推送方法和系统
US2015000253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perspective street view map
US201201980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auto-install function in digital device
CN103064980A (zh) 基于移动终端及gps查询景点信息的方法和系统
US8559970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9926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location-based traces
KR101421411B1 (ko) 지도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20110124966A (ko) 차량 네비게이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919941B1 (ko)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KR101801210B1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TW201305985A (zh) 行動運算裝置的內容提供方法
KR101865268B1 (ko) 테더링 서비스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의 장치
WO2017005053A1 (zh) 安装应用程序的方法、服务器和终端
US20090083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sightseers
KR20120042499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78298B1 (ko) 데이터 트래픽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573191B1 (ko) Lbs/gis 전용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50101094A (ko) 테더링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 및 시스템
KR20150105719A (ko) 이동 정보 기반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090176481A1 (en)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LBS) Through Remot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