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82B1 -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82B1
KR101864982B1 KR1020170007085A KR20170007085A KR101864982B1 KR 101864982 B1 KR101864982 B1 KR 101864982B1 KR 1020170007085 A KR1020170007085 A KR 1020170007085A KR 20170007085 A KR20170007085 A KR 20170007085A KR 101864982 B1 KR101864982 B1 KR 10186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base
generating
database schema
sche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헌
권성철
정원욱
추철민
황평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0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1Schema design and management
    • G06F17/302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2J3/38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04S10/54
    • Y04S10/6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 및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계통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고,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MMON DATABASE FOR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배전망으로의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와 EV(전기차) 충전소, ESS 등의 분산형 전원장치의 연계가 증대되고 배전망의 일부를 마이크로그리드로 구축하여 전력 수요를 자급자족하려는 기술도 개발의 단계를 넘어 상용화 수준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계통운영의 복잡성 증대를 극복하기 위해 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배전계통은 계통의 구성과 설비의 변경이 수시로 이루어진다는 점 때문에 운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의 편리성이 강조된다. 또한,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의 경우 대상 사이트의 계통 구성 특성에 따라 신속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이 필요하다.
기존 배전운영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관리 기술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운영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통합적인 관리가 어려워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이 사용하는 데이터는 크게 1) 오프라인 형태로 관리되는 설비 및 그 속성에 관련된 데이터, 2) 운영중의 메모리상에 탑재되는 것으로 휘발성이 있는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상에 탑재되는 데이터는 1) 계측 정보를 관리/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일반적으로 서버 함수 및 미들웨어 함수들), 2) 화면(HMI)처리용 프로세스, 3)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 등 많은 처리기(processors)에 의해 복합적으로 처리되는 매우 복잡한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운영시스템)에서는 이렇게 여러 처리 주체에 의한 데이터 처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 각각의 프로세스가 각기 처리할 데이터를 따로 관리하고 있으며 오프라인 데이터의 수정 후 온라인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 일부 프로세스의 소스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배전운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수정 및 추가/삭제는 실제 운영 주체인 배전운영원(operator)이 수행하는 것이 맞으나, 현재의 운영시스템은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에 접속해 수정 작업을 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하지만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는 배전운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전문 지식을 갖고 있는 DB엔지니어만이 파악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설비 정보의 추가 및 삭제 등도 DB엔지니어만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수정 및 추가/삭제 시 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DB엔지니어는 운영부서 측에서 제공한 수정 요구 조건을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수정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의 DB 엔지니어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배전계통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무조건적인 작업만이 가능할 뿐, 입력 정보의 오류 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 오류가 있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실제 배전운영 중 운영원에 의해 문제점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오류에 대해 인지할 수 없다. 만약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 하고 배전운영을 하는 경우, 그로 인한 2차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셋째, 기존에 존재하고 있던 운영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신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데 있어 수동적인 작업만이 가능하여 장시간의 작업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서지역과 같이 한전의 관할구역에 편입되는 경우, 기존의 소규모 전력망용 운영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이곳에 한전의 배전운영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두 시스템간의 데이터베이스 변환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수작업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362090호(명칭: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서버)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1) 배전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 내부의 여러 프로세스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2) 운영자에게 친숙한 계통도 환경에서 운영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추가/삭제, 변경할 수 있으며, 3)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의 간편한 변환을 통해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 및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계통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부가 기능으로 이용되는 정보만을 추출 및 변환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상기 제 1 데이터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설정된 맵핑 정의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와 제 2 데이터베이스 간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에 대해 기존에 정의된 배열화 규칙이 없는 경우, 신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오류 검사 모듈은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더 수행함으로써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에 따라 계통도 화면을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편집하고,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편집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새로운 버전으로 버전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토폴로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오류 검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계통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이고,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부가 기능으로 이용되는 정보만을 추출 및 변환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상기 제 1 데이터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설정된 맵핑 정의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와 제 2 데이터베이스 간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에 대해 기존에 정의된 배열화 규칙이 없는 경우, 신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더 수행함으로써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에 따라 계통도 화면을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편집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새로운 버전으로 버전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배전 운영 시스템과 같이 분산전원의 증가에 따라 배전계통의 설비 정보의 변경이 잦은 곳에 적용될 경우, 설비 정보 변경을 계통도에 쉽게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종래에는 DB엔지니어만이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을 통해 계통도 정보가 수정 가능하던 것을 운영자가 DB엔지니어의 도움 없이 실제 운영중인 계통도 화면으로부터 직접 변경을 하고 이것을 자동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적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업무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DB엔지니어를 통해 오류가 포함된 계통도의 정보를 입력을 하더라도 실제 운영 중에 운영원이 계통 오류를 인지하여야만 데이터베이스 갱신 관련 오류를 파악할 수 있던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입력 과정 중 입력 데이터 검사 및 토폴로지 검사 등을 수행함으로써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없앤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 및 방법은 유지 및 관리 측면에서도 데이터베이스 생성 규칙을 통일시킴으로써 기존의 DB엔지니어들이 모여야만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하던 불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 및 방법은 부가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배열화 데이터 작업방식을 통해 배전운영시스템의 규모가 커짐에 따른 방대한 데이터 양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실제 운영 중인 배전운영시스템 내 다수의 프로그램이 구동되어도 시스템의 속도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를 통해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제 1 데이터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는 배전 운영 시스템(20)과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30)에서 이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1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공통 데이터베이스(10)는 배전 운영 시스템(20)과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30)에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는 다양한 환경에서 배전 운영 시스템(20)과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30)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 제 1 데이터 생성부(120) 및 제 2 데이터 변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설정 모듈(111), 신규 생성 모듈(112), 편집 모듈(113) 및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저장 모듈(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기능별로 그 구성을 구분한 것이고, 실제로는 하나의 CPU, MPU 및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예를 들어,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100)는 크게 2개의 방법(즉, 신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및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편집)으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는 상기 2개의 방법들 중 어떠한 방법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할 지를 판단해야 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설정 모듈(11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를 통해 신규 생성을 요청 받은 경우, 제어는 신규 생성 모듈(112)로 전달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를 통해 기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할 것을 요청 받은 경우, 제어는 편집 모듈(113)로 전달되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열어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추가 및 삭제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규 생성 모듈(112)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즉,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신규 생성 모듈(112)은 기존에 저장되어 버전 관리 중이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할 지, 또는 수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할 지 사용자에게 선택 받을 수 있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기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참조하는 것을 요청 받은 경우, 신규 생성 모듈(112)은 기존에 저장되어 버전 관리 중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버전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전을 선택 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신규 생성 모듈(112)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버전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로부터 수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할 것을 요청 받은 경우, 신규 생성 모듈(11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들을 근거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직접적으로 정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만일, 다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오거나, 또는 작성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추가적인 편집이 필요한 경우, 편집 모듈(113)과의 연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추가 및 삭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신규 생성 모듈(112)을 통해 생성된, 그리고 편집 모듈(113)을 통해 편집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즉,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저장 모듈(114)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저장 모듈(114)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저장 시에는 관리 중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버전 리스트에 새로운 정식 버전으로 저장을 할 것인지, 또는 임시 버전으로 저장할 지 선택 받는 과정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에 다수의 DB 엔지니어들이 배전 운영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별개 구성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관리는 각각 생성한 DB 엔지니어들에 의해서만이 관리 가능하였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버전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존의 불편함을 없애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크게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아래에서 언급될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스키마를 나타내고,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스키마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데이터베이스는 계통의 기본적인 정보들을 담고 있는 기본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고, 제 2 데이터베이스는 배전 운영 시스템과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의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기능 구동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부가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이렇게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생성부(120)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계통의 골격 정보를 담당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한 제 1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크게 2개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생성 기법이고, 다른 하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생성 기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제 1 데이터 생성 방식 선택 모듈(121),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122),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 제 1 배열화 모듈(124),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 제 1 데이터 저장 모듈(126) 및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기능별로 그 구성을 구분한 것이고, 실제로는 하나의 CPU, MPU 및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생성부(120)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제 1 데이터 생성 방식 선택 모듈(12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를 근거로 제 1 데이터 생성 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2개(즉,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생성 기법과,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생성 기법)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제 1 데이터 생성 방식 선택 모듈(121)을 통한 데이터 생성 방식의 선택 과정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먼저 2개의 기법들 중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생성 기법에 대해 설명된다.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122)은 사용자로부터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생성 기법을 요청 받은 경우 동작될 수 있고, 우선적으로 계통도 화면의 준비를 위해 입력 가능한 설비들의 기본 구성 정보들을 불러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122)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110)를 통해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122)은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설비들의 기본적인 구성 정보들을 불러와, 사용자가 원하는 설비를 추가할 때 입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설비를 추가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122)은 사용자가 직접 설비의 구성 요소를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설비 라이브러리 데이터 관리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설비들을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전부 다 담아내기란 어려우므로, 이 라이브러리 기능을 통해 보다 쉽게 사용자가 계통도를 구성하는 설비 정보의 추가/삭제/편집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은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고,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은 우선, 사용자가 계통도 기반 데이터 입력 모드에 진입하면, 위에서 언급된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설비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입력 준비 상태의 계통도 화면을 준비한다. 추가 가능한 설비 리스트에서 사용자는 추가할 설비를 선택한 후, 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을 지정한다. 만약 설비의 정보를 변경할 경우에는 변경하고자 하는 설비를 지정한다.
여기서,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조작 방법에 대한 예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다.
도 4는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을 통해 생성된 계통도 화면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블록(ma)으로 나타난 것처럼, 계통도 화면에는 설비 선택 영역(m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설비 선택 영역(ma) 내에는 계통도 상 설치할 수 있는 설비들의 아이콘 영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가능한 설비로는 변전소, D/L, 스위치, 다중스위치, 발전기, 선로, 부하 및 변전소가 존재한다. 이 중 설치를 원하고자 하는 설비를 선택한 후, 설치를 원하는 지점을 계통도 상에 지정하면 설비 정보 입력창이 나타난다. 필수 정보 입력 완료 후, 오류가 없는 경우 계통도상 설비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설비 선택 영역(ma)에 포함된 아이콘 영역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통도 화면을 이용한 신규 생성 절차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GUI 방식으로 제공되는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신규 설치할 설비를 선택할 수 있고(51), 설치할 지점을 계통도 상에서 지정할 수 있으며(52), 해당 설비에 관련된 정보를 정보 입력 창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53). 그 후,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오류 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오류가 없을 시 지정 위치에 신규 설비를 추가할 수 있다(54).
또한, 사용자는 계통도 내에 새로운 설비를 추가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설비의 수정 및 삭제를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정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수정하고자 하는 설비를 선택하고(61), 설비 정보창에서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62). 설비의 삭제의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GUI 방식으로 제공되는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계통도를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통도에 대한 계통도 입력 데이터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을 통한 분석 과정을 통해 오류 여부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분석(예를 들어, 해당 설비의 속성 정보에서 필수 데이터의 입력 여부 확인 및 입력 범위 확인 등)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을 통한 확인 결과,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123)은 사용자가 입력한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계통도 화면에 사용자가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한 설비에 대한 정보를 반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을 통한 확인 결과,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류에 대한 원인이 기록된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계통도 화면 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로그를 근거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끔 지원할 수 있다.
제 1 배열화 모듈(124)은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미들웨어 상에 저장하며,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을 통한 오류 여부의 확인 절차 이후, 메모리 복사를 통해 상기 배열화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를 제 1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입력한 설비에 대해 기존에 정의된 배열화 규칙이 없는 경우, 신규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하고 메모리로 변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열화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MS-SQL과 같은 오프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간 PK(Primary Key)나 FK(Foreign Key)와 같은 데이터간 연결관계로 인해 데이터 삭제 및 추가 등을 수행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데이터의 삭제 및 추가 시 참조키가 있으면 오류 메시지가 나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수정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악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미들웨어상 배열화 데이터 형태로 재구성하여 저장하고, 그것을 데이터베이스로 메모리 복사하여 저장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배열화 데이터의 예시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17005006418-pat00001
표 1은 배열화 데이터의 예제 테이블을 나타내고, 테이블[5][5]의 구성을 나타내며, 각 테이블의 값은 다음과 같다: 테이블[0][0]=[스위치ID][1], 테이블[1][0]=[설비이름][422_F1], 테이블[2][0]=[설비번호][960], ..., 테이블[0][4]=[스위치ID][4], ... , 테이블[4][4]=[스위치 타입][1]. 이러한 배열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 배열화 데이터며,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설비별로 고유의 식별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열화 데이터는 PK나 FK와 같은 참조키와는 상관없이 값을 갖고 있게 된다. 이후 오류 검사를 통해 0이나 null값이 허용되지 않는 부분을 찾거나, 참조키 관련 오류 발생 부분을 검색하게 된다. 또한, 도 7에는 상술한 배열화 데이터를 통해 탐색 가능한 오류의 예시를 도시한다.
스위치 정보 테이블의 설비번호는 설비 정보 테이블의 설비번호를 참조하는 경우로, 스위치 정보 테이블의 설비번호에서 설비 정보의 설비 번호 중 0 또는 null과 같이 없는 값을 참조할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설비 번호는 고유번호로 중복하지 않는 1 이상의 숫자로 구성되며, 0 또는 null 값을 가질 수 없기에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다른 예시로 스위치 정보 테이블의 설비 번호에서 설비 정보 테이블의 설비 번호 중 999라는 값을 가진 테이블을 참조하려고 하는데, 이는 존재하지 않는 값으로 참조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예시들과 같이 오류 발생 가능 경우들을 탐색한 후, 수정 과정을 거쳐 다음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제 1 오류 검사 모듈(125)은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더 수행함으로써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여기서, 오류가 없을 경우, 제 1 데이터 저장 모듈(126)을 통해 미들웨어 상에 배열화 데이터 상태로 저장되어 있던 설비 정보들은 메모리 복사를 통해 제 1 데이터베이스로 복사되어 저장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참조키와 관련된 중복성과 종속성 문제를 피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정보는 관련 테이블에서 줄 단위의 입력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관련 테이블에서 입력될 데이터 포인트에 한 줄을 추가하고, 미들웨어로부터 해당 데이터 줄을 메모리 복사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수정의 경우 변경 대상이 되는 줄을 먼저 삭제한 후, 빈 속성의 줄을 추가 후 데이터를 복사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갱신에 대한 예시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테이블 내의 데이터 변경의 예시로서, 테이블 내에서 2번째 줄을 갱신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첫 번째로, 대상이 되는 2번째 줄을 삭제하고, 두 번째로 빈 속성의 줄을 원 위치에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복사할 데이터를 빈 줄에 복사하여 데이터 갱신을 완료한다. 데이터 생성의 경우는 처음의 줄 삭제 절차 없이 나머지 절차를 수행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줄 삭제 과정 없이 데이터를 테이블에서 직접 변경할 경우, 참조키로 인해 오프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위와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된다. 데이터 입력 완료 후, 최종적으로 토폴로지를 검사하여 계통 상 설비간 연결고리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게 된다. 여기까지 진행되면 계통도 기반 데이터 입력의 절차가 완료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상술한 계통도 기반 데이터 입력 방식 외에, 기존에 구성되어 있던 배전 운영 시스템 또는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이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입력부(40)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베이스 또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기를 원한다고 입력한 경우,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기존에 구성되어 있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변환함으로써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제 1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제 1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27)은 상술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할 수 있다(즉,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온다).
그 후, 제 1 배열화 모듈(124)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27)을 통해 읽어온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배열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미들웨어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열화 모듈(124)은 이러한 저장 과정에서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데이터가 모두 정상적으로 변환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열화 모듈(124)은 정상적으로 변환된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에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제 1 데이터베이스 배열 간의 맵핑 정보를 이용하게 되며, 이는 미들웨어 상에 정의되어 사용된다. 만약 정의된 맵핑 정보로 제 1 데이터베이스 배열화 데이터를 전부 다 채우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맵핑 정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비에 따라 정의되지 않은 배열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배열을 정의하여 데이터 변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계통도 기반 데이터 입력의 경우처럼 설비 간의 토폴로지 오류 검사를 진행하게 되며 문제가 없을 경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메모리 복사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이처럼, 제 1 데이터 생성부(120)는 크게 2개의 방식으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제 1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데이터의 저장 과정이 완료되면, 아래에서 도 9를 참조로 설명되는 제 2 데이터의 변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 변환부(130)에 대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제 2 데이터 변환부(130)는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데이터 변환부(130)는 배전 운영 시스템(20)과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30) 내의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기능 구동을 위해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 및 변환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하며, 운영 시스템(20, 30)들 내 존재하는 기능의 개수에 따라 여러 종류의 제 2 데이터베이스들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 2 데이터는 상술한 운영 시스템(20, 30)들에서 이용되는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제 2 데이터의 생성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제 1 데이터의 생성 기법과 유사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 변환부(130)는 제 1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31), 제 2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32), 제 2 배열화 모듈(133), 제 2 오류 검사 모듈(134) 및 제 2 데이터 저장 모듈(1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기능별로 그 구성을 구분한 것이고, 실제로는 하나의 CPU, MPU 및 GPU와 같은 하나의 처리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 변환부(130)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제 1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31)은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제 1 데이터를 호출하는 기능을 하고,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호출 모듈(132)은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호출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배열화 모듈(133)은 제 1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131)을 통해 호출된 미들웨어 상에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제 1 데이터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2 배열화 모듈(133)은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2 데이터베이스로의 데이터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은 기능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다르며, 이를 위해 각각의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정의된 데이터 맵핑 테이블이 존재한다.
맵핑을 통해 제 2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를 필요 데이터로 채우게 되며, 최종적으로 제 2 오류 검사 모듈(134)을 통해 설비 간의 토폴로지 오류 검사를 진행하고 문제가 없을 경우 제 2 데이터베이스 중 해당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변환 기반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100)는 통일된 규칙에 따라 운영시스템 내 기능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이전과는 달리 통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가능케 한다.
추가적으로 종래에는 각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때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오프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Query문을 통해 데이터를 불러와 처리함에 따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시간 소요가 컸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배열화 데이터 복사를 응용하여 제 2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미들웨어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만 메모리 복사해 옴으로써 보다 빨리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실험 결과 실제 운영중인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 등에 본 발명의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치를 적용해본 결과, 정상적으로 구현이 가능하였고, 이는 실제 시스템에서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제,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110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S110 단계는 공통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 즉, 제 1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S120 단계는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제 1 데이터의 입력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데이터는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S120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2개의 방식들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고 제어를 전달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계통도 기반으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수행되는 단계로서,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또한, S130 단계를 통한 계통도 화면의 생성 과정 이전, 계통도 화면의 준비를 위해 입력 가능한 설비들의 기본 구성 정보들을 불러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것처럼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포함된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은 위에서 상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S140 단계는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계통도 화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GUI 방식으로 제공되는 계통도 화면을 통해 설비의 정보를 그려 나감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는 오류 및 토폴로지 확인을 거쳐 검증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150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즉,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수행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S150 단계는, 기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즉,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정해진 맵핑 규칙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160 단계는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제 1 데이터, 그리고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운영 시스템들에서 구동되는 기능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만을 변환하여 제 2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제,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데이터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201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즉,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신규 생성 또는 편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신규 생성을 요청 받은 경우, 제어는 S202 단계로 전달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207 단계로 전달된다.
S202 단계 내지 S205 단계는 신규 생성 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생성은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S202 단계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의 여부를 입력 받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어는 S203 단계로 전달되어 기존에 저장되어 버전 관리 중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특정 버전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선택 받으며, S204 단계를 통해 선택된 버전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들을 근거로 직접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206 단계는 신규 생성 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편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206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편집을 요청 받은 경우, 제어는 S207 단계로 전달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208 단계로 전달된다.
S207 단계는 편집 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열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들을 근거로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추가 및 삭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208 단계 및 S209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저장 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다만,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저장 시에는 관리 중인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버전 리스트에 새로운 정식 버전으로 저장할 지, 또는 임시 버전으로 저장할 지 선택 받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S208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사용자가 새로운 정식 버전으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버전 리스트에 저장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는 S209 단계로 전달되어 새로운 버전으로 버전 리스트에 해당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저장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제, 도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통도 화면을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301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계통도 화면에서 설비 선택 영역을 통해 추가할 설비를 선택하고, 이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데, S301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설비 및 이의 위치를 근거로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302 단계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에 의해, 입력된 설비의 속성 정보에서 필수 데이터의 입력 여부 및 입력 범위 확인과 같은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S302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303 단계로 전달되어 오류에 대한 원인이 기록된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계통도 화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오류에 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계통도 입력 데이터의 수정을 통해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다. 또한, S302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304 단계로 전달되어,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을 통해 계통도 화면에 해당 설비를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305 단계는 제 1 배열화 모듈에 의해, 입력된 설비에 대한 배열화 규칙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S305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 입력된 설비에 대한 배열화 규칙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는 S307 단계로 전달되어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306 단계로 전달되어 신규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하는 과정이 더 수행된다.
S308 단계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에 의해,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분석 결과 토폴로지 오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303 단계로 전달되어 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이 수행된다. 반대로, 분석 결과 토폴로지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309 단계로 전달된다.
S309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는 S311 단계로 전달되어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S309 단계는 제 1 데이터 저장 모듈을 통해 미들웨어 상에 배열화 데이터 상태로 저장되어 있던 설비 정보들을 메모리 복사를 통해 제 1 데이터베이스로 복사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309 단계를 통한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입력 완료 요청을 수신 받지 않은 경우, 제어는 S310 단계로 전달되어 다음 설비로 이동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데이터의 생성은 계통도 화면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401 단계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서 구성한 제 1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단계이고, S402 단계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에 의해, 준비한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오는 단계이다.
또한, S403 단계는 제 1 배열화 모듈에 의해, S402 단계를 통해 읽어온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를 수행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미들웨어 상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404 단계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에 의해, S403 단계를 통해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S404 단계를 통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 제어는 S405 단계로 전달되어 오류 로그를 생성하고, 오류 로그를 근거로 배열화 데이터의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S405 단계는 해당 오류 로그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배열화 데이터의 수정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S404 단계를 통한 확인 결과, 오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는 S406 단계로 전달될 수 있다.
S406 단계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와 제 1 데이터베이스의 제 1 데이터간 맵핑을 정의하는 단계이고, S407 단계 내지 S410 단계는 정의된 맵핑 정보에 따라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S407 단계는 맵핑 정의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S408 단계 내지 S410 단계는 입력된 설비의 기존 정의된 배열 구조의 검색 결과를 근거로 신규 배열 구조를 생성하거나, 또는 정의된 배열 구조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S411 단계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에 의해 설비 간 토폴로지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토폴로지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는 S405 단계로 전달되어 오류에 대한 처리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412 단계로 전달되어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메모리 복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제, 도 1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아래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되어 그 설명이 이루어진다.
S501 단계는 제 1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 및 제 2 배열화 모듈에 의해, 제 1 데이터베이스를 읽어오고, 데이터 배열화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S502 단계는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호출 모듈에 의해,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읽어오는 단계이고, S503 단계는 제 2 배열화 모듈에 의해,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504 단계 내지 S508 단계는 제 2 배열화 모듈에 의해, 제 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2 데이터베이스로의 데이터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데이터베이스의 배열화 데이터를 필요 데이터로 채우는 단계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S504 단계를 통해 제 1 데이터베이스와 제 2 데이터베이스간 데이터 맵핑을 정의하고, S505 단계를 통해 맵핑 정의에 따른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S506 단계 내지 S508 단계를 통해 배열화 데이터에 대한 맵핑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S509 단계는 제 2 오류 검사 모듈에 의해 설비 간 토폴로지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토폴로지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는 S510 단계로 전달되어 오류에 대한 처리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는 S511 단계로 전달되어 제 2 데이터베이스 중 해당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은 외부 데이터베이스 변환 기반 데이터 입력 프로세스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110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
111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설정 모듈
112 : 신규 생성 모듈 113 : 편집 모듈
114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저장 모듈
120 : 제 1 데이터 생성부
121 : 제 1 데이터 생성 방식 선택 모듈
122 : 라이브러리 편집 모듈 123 : 계통도 화면 생성 모듈
124 : 제 1 배열화 모듈 125 : 제 1 오류 검사 모듈
126 : 제 1 데이터 저장 모듈
127 :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
130 : 제 2 데이터 변환부

Claims (21)

  1.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 및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계통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1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부가 기능으로 이용되는 정보만을 추출 및 변환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2 데이터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상기 제 1 데이터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설정된 맵핑 정의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와 제 2 데이터베이스 간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에 대해 기존에 정의된 배열화 규칙이 없는 경우, 신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오류 검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류 검사 모듈은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더 수행함으로써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계통도 화면을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 호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제 1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편집하고,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편집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새로운 버전으로 버전 리스트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더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토폴로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오류 검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12. 배전 운영 시스템 및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계통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설비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계통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통도 화면을 통해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배열화 규칙에 따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따라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열화 데이터는 설비 종류, 설비 이름, 설비 번호 및 설비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의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이고,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배전 운영 시스템 및 상기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에서 부가 기능으로 이용되는 정보만을 추출 및 변환함으로써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따라 생성된 제 2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 2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상기 제 1 데이터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불러옴으로써 미들웨어 상에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배열화 데이터를 생성하며, 설정된 맵핑 정의에 따라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와 제 2 데이터베이스 간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에 대해 기존에 정의된 배열화 규칙이 없는 경우, 신규 배열화 규칙을 정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계통도 입력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계통도의 토폴로지 분석을 더 수행함으로써 상기 계통도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 설비간 연결 고리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생성 방식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계통도 화면을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제 1 데이터를 생성할 때,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하고,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배열화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변환된 배열화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생성 방식 정보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편집하는 단계; 및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편집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새로운 버전으로 버전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관리부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제 2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170007085A 2017-01-16 2017-01-16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86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85A KR101864982B1 (ko) 2017-01-16 2017-01-16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85A KR101864982B1 (ko) 2017-01-16 2017-01-16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982B1 true KR101864982B1 (ko) 2018-07-04

Family

ID=6291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85A KR101864982B1 (ko) 2017-01-16 2017-01-16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89B1 (ko) 2018-09-07 2018-12-11 주식회사 파워이십일 Cim 계통도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614A (ja) * 2011-03-25 2012-10-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614A (ja) * 2011-03-25 2012-10-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データ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89B1 (ko) 2018-09-07 2018-12-11 주식회사 파워이십일 Cim 계통도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79088B (zh) 图形编程语言对象编辑及报告工具
US9043346B2 (en) Method of providing data included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file, recording medium therefor, system using the method,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server
KR101354627B1 (ko) 디지털 변전소의 엔지니어링 토폴로지 생성방법 및 장치
CN106022007B (zh) 面向生物组学大数据计算的云平台系统及方法
CN104123227A (zh) 一种自动生成测试用例的方法
CN108415835B (zh) 分布式数据库测试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030065413A1 (en) Method of geometric information sharing and parametric consistency maintenance in a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
US20050246390A1 (en) Enterprise test data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utomatically created test data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070276970A1 (en) Data Consistency Validation
US200200025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diverse data types with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accessing the diverse data types through a network portal
CN105930344B (zh) 一种基于产品研制流程的数据库应用系统快速开发平台
CN105431848A (zh) 共通参数接口生成程序以及参数读入程序
KR20140115108A (ko) 전력 계통 운영 시스템의 화면 생성 방법
KR101864982B1 (ko) 공통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4048188A (zh) 一种跨数据库的数据迁移系统及方法
Girbea et al. Efficient address space generation for an OPC UA server
CN111597166A (zh) 电力数据库模型构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6011943A (zh) 基于低代码的机器人自动化流程服务系统、方法及介质
CN114756224A (zh) 一种活动执行方法及装置
CN110175115B (zh) 基于变量的动态数据运作及管理系统
CN113392145A (zh) 一种配网终端点表自动生成装置及其生成方法
CN103714035B (zh) 一种用于集成环境的多层软件总线结构
De Barros et al. Development of a Relational Database Oriented on the Common Information Model for Power Distribution Networks
CN116470968B (zh) 一种面向航天科学系统通讯功能的地面测试方法及装置
KR102626755B1 (ko) 증강현실 객체의 자동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