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634B1 - 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634B1
KR101864634B1 KR1020160150626A KR20160150626A KR101864634B1 KR 101864634 B1 KR101864634 B1 KR 101864634B1 KR 1020160150626 A KR1020160150626 A KR 1020160150626A KR 20160150626 A KR20160150626 A KR 20160150626A KR 101864634 B1 KR101864634 B1 KR 10186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layer
activated carbon
sorp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5443A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ublication of KR2017005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6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2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wetted adsorbent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수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면에 후막으로 도포되어 면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활성탄이 함유된 수착층 및 상기 수착층을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내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garment having a limited ventilating function, which comprises a shell of a water-repellent, breathable material, and a cover which is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ell by a thick film, Disclosed is a raw material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rption layer containing activated charcoal which sorb the material and limitedly permeate only the filtered air, and an endothelium which ventilates the sorption layer.

Description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structure for a toxic material having a limited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탄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유독물질의 흡착성능이 향상되고, 세탁 시 활성탄이 탈락하지 않아 세탁 후 재 사용할 수 있는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garment having a limited aeration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garment having a limited aeration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garment having a limited ventilation function.

일반적으로 현대전에서 대량 살상무기의 개발과 보유국가가 증가함에 따라 인체나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제품들이 요구되고 있다. 대량 살상무기 중 화학무기는 생산비용이 저가이며, 소형화된 제조설비로 빠른 시간 내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관리 취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위협도가 매우 크다.Generally, in modern warfare, the development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countries are demanding products that can protect human body and equipment. Among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hemical weapons are inexpensive to manufacture, and can be mass-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small-sized manufacturing facility, are relatively easy to handle and are highly threatened.

이에 따라,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각종 보호 장비들, 예컨대 화생방 보호복 및 방독면 등이 요구되고 있다. 화생방 보호복의 종류에는 공기의 통기성으로 구분하여 크게 통기성 보호복 및 불통기성 보호복으로 나뉠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protective equipment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such as a CBR protective clothing and a gas mask are required. The types of NBC protective clothing can be divided into breathable protective clothing and non-protective protective clothing.

불통기성 보호복의 경우 외부의 유체가 출입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보호복으로 유독물질에 대한 방호는 뛰어나지만, 체내에서 방출하는 수증기와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어렵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In the case of a non-inflatable protective suit, it is a protective suit that blocks external fluids from entering and exiting, but it has a fatal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release the water vapor and heat released from the body to the outside.

반면, 통기성 보호복은 불통기성 보호복과는 달리 어느 정도의 유체 출입이 진행되며, 유독물질이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여겼기 때문에 유독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낼 수 있는 활성탄이 포함된 원단과 그 위에 위장성능을 부여한 원단을 적용한 이중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reathable protective garment has a certain degree of fluid flow, unlike the non-infective protective gar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toxic substance directly affects the human body, so that the fabric containing the activated carbon capable of adsorbing and filtering toxic substances, It adopts the dual structure which applied the fabric that gave performance.

이러한 통기성 보호복의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41415호의 "유연성이 개선된 화학방호복용 원단", 한국등록특허 제10-1146573호의 "흡착 여과 재료", 한국등록특허 제10-1406311호의 "화생방 보호의용 원단 및 이에 의한 화생방 보호의"가 있다.Prior art of such a breathable protective garm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41415 entitled " Fabric for improved chemical protection of flexibility ", Korean Patent No. 10-1146573 entitled " Adsorption Filtering Material ", Korean Patent No. 10-1406311 "Protection of NBCs and Protection of NBCs".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기체 및/또는 액체로 이루어진 유체상태의 유독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폴리에스터 계열의 섬유 소재 등에 라텍스 고무 등이 얇게 도포된 상태의 직물을 사용하여 중간피를 보호하고 액체 및 고체 상태의 유독물질을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외피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활성탄으로 표면이 처리됨에 따라 유독물질을 흡착제거할 수 있는 중간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in order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toxic substances in fluid state composed of gas and / or liqui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intermediate blood by using a fabric in which latex rubber or the like is thinly coated on a polyester- And an outer shell that serves to primarily block toxic substances in the solid state and an intermediate fat that can adsorb and remove toxic substances as the surface is treated with activated carbon using an adhesive.

특히,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미세한 기공을 갖는 다공성 구슬의 형태로 성형한 수착제를 사용하여 이를 중간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함으로써, 유독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내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 sorptive agent formed in the form of porous beads having fine pores is used and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vein and the outer shell to adsorb and filter toxic substanc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수착제가 구슬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구슬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간극을 통해 유독물질이 필터링되지 않고 침투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eads because the sorbent is in the form of a bead, so that the toxic substance penetrates through the gap without being filtered.

또한, 상기와 같이 수착제가 구슬의 형태로 외피와 중간피 사이에 마련됨에 따라 구슬형 수착제의 상부 및 하부만이 외피 및 중간피에 부착되므로 세탁 시 구슬형 수착제가 외피와 중간피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수차례에 걸쳐 세탁을 실시하게 되는 경우 유독물질의 흡착성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rbent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termediate shell in the form of beads as described above, on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eads sorbent are attached to the outer shell and the intermediate shell, so that the beads are removed from the shell and the middle fatigue during wash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henomenon may occur, and if the washing is carried out several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toxic substance remarkably decreases.

아울러, 수착제를 구슬의 형태로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제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공정비용이 상승하며, 중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중량의 증가에 의해 보호복으로 사용될 경우 활동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rbent needs t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beads, the manufacturing cost is excessively high,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weight is increased. There is also a problem.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 구슬 형태의 수착제가 아닌 분말형의 활성탄을 적용한 제품이 국내(대한민국)에서 출시된 바가 있다. 이러한 제품은 활성탄 분말을 부직포와 같은 원단에 단순히 살포한 후 가압한 것에 불과하여 보호복으로 사용될 경우 착용자의 활동시 활성탄이 원단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더하여 세탁시 활성탄이 부분적으로 이탈됨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recently, a product using a powdered activated carbon, which is not a bead type sorptive agent,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 Korea (Korea). These products are merely sprayed with activated carbon powder on the same fabric as nonwoven fabric and then pressurized. When used as a protective cloth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ivated carbon is separated from the fabric during the activity of the wear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use is not possible.

이러한 제품은 활성탄 분말이 미립자이므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원단에 부착할 경우, 접착제의 내부로 활성탄 분말이 매립됨에 따라 활성탄의 흡착기능을 발휘할 수 없고, 특히 접착제가 원단을 차폐하여 원단의 통기성이 상실되므로 어쩔 수 없이 활성탄 분말을 원단에 단순히 살포한 것이다.Since the activated carbon powder is a fine particle, when the active carbon powder is adhered to a fabric by using an adhesive, the activated carbon powder can not exhibit its adsorption function as the activated carbon powder is buried in the adhesive, and in particular, Inevitably, the activated carbon powder was simply sprayed on the fabric.

KR, B, 10-1041415, (2011.06.08)KR, B, 10-1041415, (2011.06.08) KR, B, 10-1146573, (2012.05.09)KR, B, 10-1146573, (2012.05.09) KR, B, 10-1406311, (2014.06.03)KR, B, 10-1406311, (2014.06.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활성탄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유독물질의 흡착성능이 향상되고, 세탁 시 활성탄이 탈락하지 않으며, 가공성이 우수한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xic material protective cloth having a limited ventilation function with which activated carbon is uniformly formed to improv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toxic substances, The purpose of the structur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는, 발수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외피; 상기 외피의 내면에 후막으로 도포되어 면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활성탄이 함유된 수착층; 및 상기 수착층을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내피;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clothing comprising: a shell of a water-repellent breathable material; A sorption layer which is coated with a thick film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and is printed in a plane and contains activated carbon which sores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envelope and restricts only the filtered air; And an inner skin that airtightly shields the sorption layer.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는, 발수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외피; 상기 외피에 대응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중간피; 및 상기 중간피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피는, 상기 외피에 대응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활성탄이 함유된 수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fabr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ell of a water-repellent breathable material; An intermediate jacket corresponding to the outer jacket, the jacket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jacket and the outer jacket to limit the penetration of the filtered air; And an inner skin that breathably shields the intermediate blood, wherein the intermediate blood corresponds to the outer skin, and the activated carbon which restricts permeation of only the filtered air by adsorbing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outer skin, And a catalyst layer formed on the catalyst layer.

상기 중간피는,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와 별개를 이루고, 상기 수착층이 일면이나 양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도포되어 인쇄됨에 따라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내피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통기성 재질의 엑스트라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bloo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and the toxic substance is sorb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skin through the outer skin as the sorption layer is coat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thick film, And an extra layer of a breathable material that allows only limited permeation.

상기 수착층은, 유독물질을 수착하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분말 활성탄; 상기 분말 활성탄이 혼합되고, 점액질로 이루어져서 건조 내지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바인더; 및 상기 분말 활성탄 및 상기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되는 용매;로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는 탄성, 친수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내습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매는 가열에 의해 증발되거나 소산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orption layer comprises: powdered activated carbon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 sorption of toxic substances; A binder mixed with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composed of mucilaginous material and cured by drying or heating; And a solvent mixed with the mixture of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the binder, wherein the bind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of elasticity, hydrophilicity,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Which is evaporated or dissipated.

이와 달리, 상기 수착층은, 8 내지 70 wt%의 분말 활성탄에 혼합되는 5 내지 30 wt%의 바인더 및 잔부의 용매로 구성되고, 상기 바인더는 탄성, 친수성, 내약품성, 내열성 및 내습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매는 가열에 의해 증발되거나 소산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orption layer is composed of 5 to 30 wt% of a binder mixed with 8 to 70 wt%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the balance solvent, and the binder is at least one of elasticity, hydrophilic property, chemical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moisture res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y one of them, and the solvent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evaporated or dissipated by heating.

상기 수착층은, 상기 분말 활성탄과 상기 바인더 및 상기 용매가 혼합된 혼합물에 첨가되는 유동성 조절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orption layer may further comprise a flow control additive added to the mixture of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the binder and the solvent.

상기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0.5 내지 15wt%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ow control additive may be comprised between 0.5 and 15 wt%.

상기 중간피는 그 표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엑스트라 레이어의 일면이나 양면에 접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dditional layer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its surface and bond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xtra layer.

상기 추가 레이어는 복수로 구성되어 적층된 상태로 상기 엑스트라 레이어에 부착될 수 있다.The additional layers may be attached to the extra layer in a stacked state.

상기 외피 및 내피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ave an air layer between them.

상기 외피와 상기 중간피 및 상기 내피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공기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uter shell, the intermediate shell and the inner shel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n air layer between them.

본 발명에 따른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에 의하면, 활성탄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유독물질의 흡착성능이 향상되고, 세탁 시 활성탄이 탈락하지 않아 오염된 원단을 세탁 후 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abric structure of the toxic material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d carbon is uniformly formed to improv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toxic substances, and the activated carbon is not dropped during washing, so that the contaminated fabric can be washed and re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분말 활성탄과 바인더 및 용매로 구성되어 일정한 점도를 갖고 탄성력이 발휘되어 구겨짐이 심한 외피 또는 중간피에 마련될 때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여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단이 구겨지거나 세탁하더라도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원단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a toxic substance is composed of a powdered activated carbon, a binder and a solvent and has a certain viscosity and exhibits an elastic force to provide a wrinkled skin or an intermediate skin, And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does not come off from the fabric even if the fabric is wrinkled or wash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착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착층이 적용된 원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크린 인쇄의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결과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성능시험 평가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단의 세탁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orpt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fabric to which the sorpt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abric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able showing screen printing conditio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test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washing process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착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orpt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착층(10)은 유독물질을 수착하는 다공질의 분말 활성탄(11)과, 분말 활성탄(11)이 혼합되는 바인더(12) 및 바인더(12)에 혼합되는 용매로 구성된 조성물에 의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후막의 면상으로 형성된다.The sorption layer 10 is composed of a porous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for sorption of toxic substances, a binder 12 for mixing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and a solvent for mixing with the binder 12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ck film as described below by the composition.

활성탄(11)은 유독물질을 흡착하는 것으로 다공성의 탄소가 분말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분말 활성탄(11)은 예를 들어, 그래핀(graphene), 흑연, 금속산화물(Al2O3, Fe2O3, SiO2, MgO, CaO, TiO2, ZnO, V2O5) 중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분말 활성탄(11)은 유독물질의 종류에 따른 선택적 흡착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Cu, Ag, Fe, Ce를 함유할 수 있다. The activated carbon 11 adsorbs toxic substances, so that the porous carbon takes the form of powder.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is, for example, graphene (graphene), graphite, metal oxides (Al2O3, Fe 2 O 3, SiO 2, MgO, CaO, TiO2, ZnO, V 2 O 5) of the sol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Or more can be mixed and used. In addition, the activated carbon powder 11 may contain Cu, Ag, Fe, and Ce to enhance selective adsorptio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toxic substance.

활성탄(11)은 5㎛ 내지 300㎛의 입도(입자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0㎛의 크기가 가장 좋지만 가격이 너무 고가이므로 72㎛ 내지 78㎛의 입도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탄(11)은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흡착을 위한 유효면적이 우수하므로 작을 수록 좋다. 활성탄(11)은 코코넛계 보다는 고온에 유리한 석탄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활성탄(11)은 코코넛계로 구성될 경우 후술되는 열처리 공정시 열적 스트레스에 취약하므로 열적 스트레스에 강한 석탄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말 활성탄(11)은 바인더(12)에 의해 결속된다. The activated carbon 11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particle size (particle size) of 5 to 300 μm, and most preferably a size of 5 to 10 μm. However, since the price is too high, the activated carbon 11 has a particle size of 72 μm to 78 μm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smaller the particle size of the activated carbon 11 is, the better the effective area for adsorption is, so the smaller is the bet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ated carbon 11 is composed of a coal system which is advantageous to a high temperature rather than a coconut system. This is because, when the activated carbon 11 is constituted by a coconut system,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ated carbon 11 is made of a coal system which is resistant to thermal stress, since it is susceptible to thermal stress dur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is bound by the binder 12.

바인더(12)는 저온 경화가 가능하며 연성이 우수하여 특히 탄성을 요구하는 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우레탄 수지, 또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내습성, 경도,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 멜라민 수지가 되거나, 또는 접착성, 강도 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갖는 에폭시, 실리콘, 페놀, 폴리아믹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12)는 페놀이나 에폭시의 경우 취성이 있으므로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우레탄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인더(12)는 분말 활성탄(11)이 혼합되도록 점액질로 이루어지며, 건조 내지 가열에 의해 경화된다.The binder 12 can be a urethane resin mainly used for a product which is capable of being cured at a low temperature and has excellent ductility and which is particularly required for elasticity, or an acrylic or melamine resin excellent in moisture resistance, hardness and moldability, At least one of epoxy, silicone, phenol, and polyamic acid having adhesiveness,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can be selectively used. Since the binder 12 is brittle in the case of phenol or epoxy,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binder 12 is made of urethane excellent in elasticity and flexibility. The binder 12 is made of a mucilage so as to mix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and is hardened by drying or heating.

바인더(12)는 예를 들어, 저온경화 조건에서도 섬유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흡착층 자체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여 섬유 표면 가공에 적절하고 환경친화적인 수계의 우레탄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내습성과 경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아크릴이나 멜라민 수지, 접착성과 강도 및 내약품성과 내열성을 갖는 에폭시, 실리콘, 페놀, 폴리아믹산 등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binder 12 can be used alone, for example, in a water-based urethane which is excellent in adhesion to fibers even under low-temperature curing conditions and which is durable by imparting elasticity to the adsorbent layer itself, Acrylic, melamine resin excellent in moisture resistance, hardness and moldability, epoxy, silicone, phenol, polyamic acid, etc. having adhesiveness, strength,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can be mixed according to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용매는 다른 조성물과 상용성이 있고 경화 및 작업 조건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용매는 전술한 바인더(12)나 후술되는 유동성 조절 첨가제와 혼화가 용이한 물질로 구성된다. 특히, 용매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열처리 공정시 열에 의해 증발되거나 건조 내지 소산되면서 바인더(12)에 기공을 제공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매는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있고, 작업성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 동안에는 잔존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예컨대, 알콜, 물, 에틸렌글리콜, 부틸카비톨, 부틸셀루솔부, 터피네올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용매는 열거된 물질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solvent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material that is compatible with other compositions and has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curing and operating conditions. That is, the solvent is composed of a material which is easy to be mixed with the binder 12 described above or the flow control additiv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the solven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that provides pores in the binder 12 as it is evaporated or dried or dispersed by heat during a heat treatment process as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vent is composed of a substance which is compatible with the binder and remains for the time required for workability.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lcohol, water, ethylene glycol, butyl carbitol, butyl cellosolve, and terpineol. That is, the solvent may be composed of the listed materials singly or in combination.

이와 같은 분말 활성탄(11)과 바인더(12) 및 용매로 구성되는 수착층(10)은 바람직하게 8 내지 70 wt%의 분말 활성탄에 혼합되는 5 내지 30 wt%의 바인더 및 잔부의 용매(약 21 내지 62wt%)로 구성된다.The sorbent layer 10 composed of the powdery activated carbon 11, the binder 12 and the solvent is preferably prepared by mixing 5 to 30 wt% of a binder mixed with 8 to 70 wt%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the remaining solvent To 62 wt%).

이때, 활성탄(11)은 함량이 8wt% 미만일 경우 소망하는 흡착용량을 기대할 수 없고, 70wt%를 초과할 경우 인쇄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세탁 내구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바인더(12)는 함량이 5wt% 이하이면 기재와의 접착력 저하로 세탁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함량이 30wt%이상의 경우, 활성탄(11)의 비표면적 및 활성사이트에 영향을 주어 흡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인더는 분말 활성탄(11)에 혼합되는 5 내지 30 wt%가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content of activated carbon 11 is less than 8 wt%, the desired adsorption capacity can not be expected. If it exceeds 70 wt%, the printability is lowered and the washing durability is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binder 12 is 5 wt% or less, there is a problem in washing durability due to a decrease in adhesion with a base material. When the content is 30 wt% or more,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active site of the activated carbon 11 are affected, Therefore, the binder is preferably mixed in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11 in an amount of 5 to 30 wt%.

한편, 상기와 같은 분말 활성탄(11)과 바인더(12) 및 용매로 구성되는 수착층(10)은 경우에 따라 유동성 조절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wdery activated carbon 11, the binder 12 and the sorbent layer 10 composed of a solvent may further include a flow control additive as the case may be.

이러한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전술한 조성물의 인쇄성을 향상시키고, 분산성, 안정성 등 잉크의 물성을 조절하게 되는데, 분말 활성탄(11)과 바인더(12) 및 용매로 구성되는 수착층(10)은 유동성 조절 첨가제가 첨가되면서 분말 활성탄(11)의 분산 특성을 향상시켜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의 점도, 유동성을 조절하여 보관 안정성과 코팅 또는 인쇄 시에 원활한 작업성과 인쇄성을 갖고 인쇄물 표면 물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된다.The fluidity control additive improves the printability of the composition and control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k such as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The sorption layer 10 composed of the powdery activated carbon 11, the binder 12, By controlling the viscosity and fluidity of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oxic substances by improving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y activated carbon (11) with the addition of the regulating additiv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orage stability, uniform workability and printability at the time of coating or printing, do.

여기서, 전술한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예컨대, 계면활성제(음, 양, 중성이온 포함)로 구성할 수 있으며, 0.5 내지 15w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함량이 0.5wt% 이하이면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의 요변성이 높아 원활한 인쇄가 불가능하고, 함량이 15wt% 이상일 경우 요변성이 낮아 작업성이 나쁘고 분말 활성탄이 바인더로 싸여 흡착 성능이 저하된다.Here, the above flow control additive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surfactant (including negative ions, positive ions, and neutral ions), and is preferably composed of 0.5 to 15 wt%. If the content of the flow control additive is less than 0.5 wt%,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oxic materials is high in thixotropy, and smooth printing is impossible.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15 wt%, the thixotropy is low and workability is poor. do.

이와 같은 분말 활성탄(11)과 바인더(12) 및 용매로 구성되는 수착층(10)은 원단에 인쇄되어 원단과 일체를 이룬다. 이를 도 2 및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powdery activated carbon 11, the binder 12 and the sorbent layer 10 composed of a solvent are printed on the fabric and integrated with the fabric.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한적 통기 기능을 갖는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을 갖는 원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fabrics with a composition for protecting against toxic substances having a limited a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착층이 적용된 원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2 and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fabric to which the sorption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착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인쇄되어 도포된다. 이때, 수착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20)의 적어도 일면(일면 또는 양면-흡착성능에 따라 결정됨)에 앤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orption layer 10 is printed and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orption layer 10 is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determined on one side or both sides-adsorption performance) of the base layer 20 as shown.

수착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인더(12)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수착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활성탄(11)이 바인더(12)에 함유됨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20)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킨다.The sorption layer 1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by the binder 12 described above as shown. As shown in FIG. 1, as the activated carbon 11 is contained in the binder 12, the sorbent layer 10 sores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flowing into the base layer 20 and restrictively transmits only the filtered air .

여기서, 베이스 레이어(20)는 통기가능한 재질 또는 발수나 발유가 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시트(원단)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레이어는 직물, 가죽, 합성 섬유, 스펀지 또는 부직포나 미세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필름과 같이 통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레이어(20)는 통기성 및 경량성을 갖는 부직포, 나일론 및 면의 혼방, 폴리에스터 및 면의 혼방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부직포는 통기성이 좋으면서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인쇄성이 우수하다.Here, the base layer 20 may be formed of a breathable material or a sheet (fabric) of breathable material capable of water repellent or oil-repellent. For example, the base layer can be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such as fabric, leather, synthetic fibers, sponge or nonwoven fabric, or a film having a plurality of fine pores formed therein. In particular, the base layer 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ir permeability and light weight, a blend of nylon and cotton, a blend of polyester and cotton, and the like. Here, the above-mentioned nonwoven fabric is excellent in air permeability, light in weight and excellent in printing property.

이러한 베이스 레이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수착층(10)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양면에 수착층(1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착층(10)은 요구되는 흡착성능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마련된다. 즉, 수착층(10)은 일반적인 흡착성능이 요구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20)의 일면에 마련되지만, 이보다 강한 흡착성능이 요구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20)의 양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레이어(20)는 양면에 수착층(10)이 마련될 경우 2단계로 유독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layer 20 may be provided with a sorption layer 10 on one surface. Alternatively, the base layer 20 may have a sorption layer 10 on both surfaces thereof. This sorption layer 10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20 according to the required adsorption performance. That is, the sorption layer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layer 20 as shown in FIG. 2 when general adsorption performance is required. However, if a stronger adsorption performance is required, (Not shown). At this time, when the sorption layer 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20, toxic substances can be filtered in two steps.

여기서, 전술한 수착층(10)은 전술한 용매가 후술되는 열처리 공정에 의해 증발되거나 건조 내지 소산됨에 따라 다수의 미세한 기공(도 1의 확대도 참고)을 바인더(12)에 제공한다. 이때, 수착층(10)은 열처리에 의해 경화되는 바인더(12)에서 용매가 실질적으로 기화되어 소멸됨에 따라 바인더(12)에 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공은 베이스 레이어(20)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반면, 유독물질의 투과는 방지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착층(10)은 바인더(12)에 실질적으로 용융되는 알콜로 용매가 구성되어 바인더(12)에 혼화된 알콜이 기화되어 증발될 경우, 유독물질의 투과는 방지하면서 공기의 투과는 허용하는 기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착층(10)은 기공을 통해 대부분의 유독물질을 필터링한다. 하지만, 수착층(10)은 혹여 기공을 통해 유독물질이 유입될 경우 바인더(12)에 결합된 활성탄(11)을 통해 이를 여과한다.Here, the above-described sorption layer 10 provides a large number of fine pores (see the enlarged view of FIG. 1) to the binder 12 as the above-mentioned solvent is evaporated or dried or dispers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described below. At this time, pores are formed in the binder 12 as the solvent in the binder 12, which is cured by the heat treatment, is substantially vaporized and destroyed. These pores are sized to pass air to the base layer 20, while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toxic substances. For example, the sorbent layer 10 may be formed by a solvent that is substantially melted in the binder 12, so that when the alcohol mixed in the binder 12 is vaporized and evaporated, Pores are formed. Thus, the sorbent layer 10 filters most of the toxic substances through the pores. However, the sorption layer 10 filters the toxic substance through the activated carbon 11 bound to the binder 12 when the toxic substance flows through the pores.

수착층(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인쇄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20)에 고착되어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비닐막과 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착층(10)은 유연성을 갖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바인더(12)는 후막형으로 수착층(10)이 형성될 경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취성은 방지할 수 있는 물질, 예컨대 우레탄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착층(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인쇄시의 인쇄두께에 의해 그 두께가 결정된다.The sorption layer 10 is adhered to the base layer 20 by printing and formed like a vinyl film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as described later. The sorption layer 1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with flexibility.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er 12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which can provide flexibility when the sorbent layer 10 is formed as a thick film, and can prevent brittleness. Of course, the thickness of the sorption layer 10 is determined by the printing thickness at the time of printing as described later.

수착층(10)은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도트 또는 격자 내지 사선의 형태를 이루면서 이격상태로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착층(10)은 베이스 레이어(20)의 양면에 이격상태로 형성될 경우 교호되는 상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착층(10)은 이렇게 양면에 엇갈리게 형성됨에 따라 이격된 틈새로 유입되는 유독물질을 사실상 모두 여과할 수 있다.The sorption layer 10 may be dense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in the form of dot, lattice or oblique line. In particular, the sorption layer 10 may be alternately formed in an alternating state when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base layer 20 in a spaced apart form. Since the sorption layer 10 is formed to be staggered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filter virtually all the toxic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spaced gaps.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단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abric structure of a toxic material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br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베이스 레이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피(O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착층(10)이 표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착층(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의 내면에 인쇄되어 외피(OT)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착층(10)을 갖는 외피(OT) 및 내피(IN)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20 may be composed of a sheath OT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nvelope OT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orption layer 10 as a thick film, as shown in the figur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rption layer 10 is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envelope OT as shown and integr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envelope OT. Accordingly, the distal end structure of the toxic substance protective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osed of the outer skin OT and the inner skin IN having the sorption layer 10 as shown in the figure.

여기서, 전술한 외피(OT)는 통상의 등산복 외피와 같이 발수 및 발유가 가능하면서 통기가 가능한 원단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외피(OT)는 통상의 고어텍스(Gore-tex) 원단으로 구성되거나,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방수, 방풍, 투습성을 동시에 갖춘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 재질의 필름이나 멤브레인이 구비된 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above-mentioned outer cover OT is composed of a fabric which can be water-repellent and oil-repellent and can be ventilated like a normal climbing jacket outer shell. For example, the shell (OT)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Gore-Tex fabric, or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which is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and does not change its characteristics even at high temperatures, EPTFE polytetrafluoroethylen) film or a fabric with a membrane.

그리고, 전술한 내피(IN)는 통기성 재질의 원단(예: 신축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니트 또는 메쉬트리코트와 같은 소재)으로 구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착층(10)을 통기 가능하게 차폐한다. 이때, 내피(IN)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와 이격된 상태로 외피(OT)의 내면에 인쇄된 수착층(10)을 통기가능하게 차폐한다.The above-described inner layer IN is composed of a fabric of air permeable material (for example, a material such as a knitted or mesh tricot with excellent stretchability and wearing comfort) to ventilate the sorption layer 10 as shown. At this time, the endothelium (IN) ventilates the sorptive layer (10) pri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OT)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nvelope (OT) as shown.

한편, 수착층(10)은 전술한 8 내지 70 wt%의 분말 활성탄, 5 내지 30 wt%의 바인더 및 잔부의 용매를 혼련하거나, 이에 더하여 0.5 내지 15wt%의 전술한 유동성 조절 첨가제를 혼련하여 제조된 혼합물(코팅제)이 베이스 레이어(20)에 도포되어 인쇄된 후 열처리에 의해 경화됨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rption layer 10 is prepared by kneading the aforementioned 8 to 70 wt% powdered activated carbon, 5 to 30 wt% of the binder and the balance solvent, and further kneading the aforementioned flow control additive in an amount of 0.5 to 15 wt% (Coating agent) is applied to the base layer 20, printed, and cured by heat treatment,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is formed as a thick film.

다른 한편, 베이스 레이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IN)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내피(IN)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수착층(10)이 후막의 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원단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 및 수착층(10)을 갖는 내피(IN)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layer 20 may be composed of an inner skin IN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OT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the endothelium (IN)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thereof with the sorption layer 10 on the surface of the thick film. Therefore, the fab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inner skin IN having the outer skin OT and the sorption layer 10 as shown in the figure.

내피(IN)는 유독물질을 방어하는 기능성 의복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통기성 재질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술한 부직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피(IN)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수착층(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피(IN)는 수착층(10)을 통해 외피(OT)를 투과한 유체에서 유독성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The endothelium (IN) may be composed of a fabric made of a breathable material, which is usually applied to a functional garment to protect toxic substances, or may be made of the above-mentioned nonwoven fabric. The inner layer I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orption layer 10 on its upper surface as shown. The endothelium (IN) can filter toxic substances from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nvelope (OT) through the sorption layer (10).

또 다른 한편, 베이스 레이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나 내피(IN)와 별개를 이루고, 부직포와 같은 통상의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엑스트라 레이어(2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엑스트라 레이어(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나 양면에 수착층(10)이 후막의 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엑스트라 레이어(22)는 도시된 바와 같이외피(OT) 및 내피(IN) 사이에 중간피(MD)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원단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OT)와 수착층(10)을 갖는 중간피(MD) 및 내피(IN)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layer 20 may be composed of an extra layer 22 made of a common air permeable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which is separate from the outer layer OT and the inner layer IN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the extra layer 22 may be provided on th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orption layer 10 as a thick film. This extra layer 22 may be provided as an intermediate ply (MD) between the envelope OT and the endothelium IN as shown. Accordingly, the fab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n intermediate pile MD and an internal pile IN having an outer shell OT and a sorption layer 10 as shown in the figure.

여기서, 전술한 중간피(M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착층(10)의 외측이나 엑스트라 레이어(22)의 외측이 통기성 재질(예: 부직포 등)의 추가 레이어(30)로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레이어(30)는 베이스 레이어(20)와 동일한 통기성 재질의 원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A)을 통해 수착층(10) 또는 엑스트라 레이어(22)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된 상태로 유독물질을 여과하면서 공기를 통기시킨다. 이때, 접착층(A)은 그라비아, 도트 및 매쉬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bove-mentioned intermediate ply MD can be shielded by the additional layer 30 of the air permeable material (for example, nonwoven fabric or the like) on the outer side of the sorbent layer 10 or on the outer side of the extra layer 22.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made of the same breathable material as the base layer 20 and adhered to the sorbent layer 10 or the extra layer 22 through the adhesive layer A made of an adhesive, The air is ventilated while filtering the toxic substances in the attached state. At this time, the adhesive layer (A) is partially formed by gravure, dot or mesh method.

추가 레이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착층(10)이 마련된 엑스트라 레이어(22)의 양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엑스트라 레이어(22)의 일면에만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추가 레이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엑스트라 레이어(22)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상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 레이어(30)의 부착위치 및 수량은 요구되는 흡착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즉, 추가 레이어(30)는 요구되는 흡착성능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수착층(10)이 마련된 엑스트라 레이어(22)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레이어(30)는 양면부착시 외피(OT)를 투과한 유체가 엑스트라 레이어(22)로 유입되기 전에 유독물질을 여과하거나, 엑스트라 레이어(22)를 투과한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다시 한번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피(MD)는 엑스트라 레이어(22) 및 추가 레이어(30)를 통해 다단으로 유독물질이 여과할 수 있으므로 흡착성능이 향상된다.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extra layer 22 provid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as shown in the drawing. Alternatively,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attached to only one surface of the extra layer 22.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layers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extra layer 22.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quantity of the additional layer 30 are determined by the required adsorption performance. That is,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attached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extra layer 22 provid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depending on the required adsorption performance. For example,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configured to filter the toxic substance before the fluid that has permeated the envelope OT on both sides is introduced into the extracellular layer 22 or to remove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that has permeated the extra layer 22 You can filter again. Accordingly, since the toxic substance can be filtered in multiple stages through the extra layer 22 and the additional layer 30, the adsorption performance is improved.

추가 레이어(3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되어 수착층(10)이 마련된 엑스트라 레이어(22)에 이격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추가 레이어(30)는 엑스트라 레이어(22)와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disposed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extra layer 22 provid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That is,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xtra layer 22.

그리고, 일면 또는 양면에 수착층(10)이 마련된 엑스트라 레이어(22)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부착상태로 구비되거나 전술한 추가 레이어(30)가 개재된 상태로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분리된 틈새로 추가 레이어(30)가 개재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구조의 수착층(10)이 마련된 엑스트라 레이어(22)는 상부(외피측) 및/또는 하부(내피측)에 전술한 추가 레이어(30)가 부착 또는 이격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extra layers 22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orption layer 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each other or may be attached with the additional layer 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additional layer 30 may be interposed in a separated gap. In addition to this, the extra layer 22 provid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additional layer 30 attached or spaced on the upper side (outer side) and / or the lower side .

한편, 수착층(10)은 예컨대, 스크린 인쇄나 그라비아 인쇄 등에 의해 외피(OT)나 내피(IN) 또는 엑스트라 레이어(22)로 구성된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약 2㎛ 내지 35㎛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두께는 인쇄특성 및 요구되는 수착성능에 의해 결정된다. 수착층(10)은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의 경우 약 5~35㎛ 가량의 두께로 인쇄될 수 있다. 이때, 수착층(10)은 약 5㎛ 이하의 두께로 인쇄될 경우 섬유상 요철로 인하여 불량이 발생되고, 약 35㎛ 이상으로 인쇄될 경우 무게가 가중되므로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수착층(10)은 그라비아 인쇄의 경우 약 0.5~5㎛ 가량의 두께로 인쇄될 수 있다. 이때, 수착층(10)은 약 0.5㎛ 이하로 인쇄될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서 소망하는 수착성능을 기대할 수 없고, 그라비아 인쇄판에 형성된 잉크 홈의 크기로 인하여 약 5㎛ 이상의 두께로는 인쇄될 수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두께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orption layer 1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composed of the outer layer OT or the inner layer IN or the extra layer 22 by, for example, screen printing or gravure printing, . This thickness is determined by the printing properties and the required sorbing performance. The sorption layer 10 can be printed, for example, in a thickness of about 5 to 35 mu m in the case of screen printing. At this time, when the ink-receiving layer 10 is prin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5 탆 or less, defects are generated due to fibrous unevenness, and when the ink is prin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35 탆 or more, weight is increased, which is inefficient. The sorption layer 10 may be printed in a thickness of about 0.5 to 5 mu m in the case of gravure printing. At this time, when the ink-receiving layer 10 is printed to a thickness of about 0.5 탆 or less, the thickness is too thin to achieve a desired sorbing performance and can not be printed with a thickness of about 5 탆 or more due to the size of the ink groove formed on the gravure printing plate It is preferable to print with the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수착층(10)은 스크린 인쇄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100 메쉬에 의해 15㎛ 두께의 인쇄가 가능한 인쇄판(스크린)에 의해 3bar의 압력, 100mm/s의 인쇄속도, 80도의 스퀴지 경도, 75°의 스퀴지 각도, 3mm의 제판과 기판의 간견을 통해 베이스 레이어(10)에 인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미도시)은 베이스 레이어(20)의 상부에 간극의 간격으로 배치된 후, 상부에 액상으로 이루어진 전술한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도포된다. 그리고, 스크린은 스퀴지(미도시)에 의해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가압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메쉬의 미세망을 통해 하부로 통과되어 전사된다.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0)는 표면에 수착층(10)이 도막의 형태로 인쇄된다.The sorption layer 10 is formed by a printing plate (screen) capable of printing with a thickness of 15 탆 by a poly 100 mesh as shown in Fig. 5 for a screen printing, a pressure of 3 bar, a printing speed of 100 mm / s, Hardness, squeegee angle of 75 DEG, plate making of 3 mm, and intervention of the substrate. To this end, the screen (not shown) is disposed at an interval of the gap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layer 20, and then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in liquid form is applied. And, as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is developed by the squeegee (not shown) and developed,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is passed down through the fine mesh of the mesh and transferred. Thus, the base layer 20 is print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on the surface in the form of a coating film.

이와 달리, 수착층(10)은 그라비아 인쇄의 경우, 일면에 미세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그라비아 인쇄판(미도시)의 인쇄면을 통해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인쇄된다. 이를 위해, 액상의 전술한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은 그라비아 인쇄판의 인쇄면에 도포된 후, 그라비아 인쇄판이 베이스 레이어(20)의 상부에 대향상태로 세팅된 상태에서 베이스 레이어(20)에 밀착되어 가압됨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전사된다. 따라서, 베이스 레이어(20)는 표면에 수착층(10)이 도막의 형태로 인쇄된다.Alternatively, in the case of gravure printing, the sorption layer 10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a thick film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through a printing surface of a gravure printing plate (not shown) having a plurality of fine groove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To this end,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for protecting toxic substances in liquid form is applied to the printing surface of the gravure printing plate, and then the gravure printing plate is pressed against the base lay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gravure printing plate is set to be op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layer 20 And transferred onto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Thus, the base layer 20 is printed with the sorption layer 10 on the surface in the form of a coating film.

한편, 수착층(10)은 약 80℃ 내지 200℃의 조건, 특히 120 내지 180℃의 조건에서 약 2분 내지 25분간, 특히 4분 내지 15분간 열처리(가열)됨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10)의 표면에서 경화되면서 베이스 레이어(20)의 표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고착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유독물질 방어용 원단은 실질적으로 1장의 단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용매는 열처리 공정에 의해 증발되거나 소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orption layer 10 is heated (heated) at a temperature of about 80 ° C to 200 ° C, particularly 120 to 180 ° C for about 2 minutes to 25 minutes, especially for 4 minutes to 15 minutes, And adheres to and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thick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20 while being hardened on the surface. Thus, the fabric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is composed substantially of a single piece.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olvent is evaporated or dissipated by the heat treatment process.

여기서, 전술한 수착층(10)은 약 80℃ 이하의 온도에서는 용매가 증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인더(12)의 경화속도가 너무 느리고, 약 200℃ 이상의 온도에서는 폴리에스터나 나일론이 함유된 베이스 레이어(20)의 원단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온도조건으로 열처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착층(10)은 열기가 대류하는 오븐, 원적외선 램프 또는 히팅롤러가 구비된 가열로를 통과함에 따라 열처리된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orption layer 10 does not evaporate the solvent at a temperature of about 80 ° C or lower, and the curing rate of the binder 12 is too slow.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bout 200 ° C, Since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raw material of the heat exchanger 20, the heat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temperatur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The sorption layer 10 is heat-treated as it passes through a heating furnace equipped with an oven convection oven, a far-infrared lamp or a heating roller.

다른 한편, 전술한 외피(OT)와 중간피(MD) 및 내피(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서로 간의 사이에 공기층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OT)와 중간피(MD) 및 내피(IN)는 유독물질을 방어하는 의복으로 제작되어 착용될 경우 공기층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됨에 따라 활동성을 향상시킨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outer shell OT, the intermediate shell MD and the inner shell IN described abov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air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hells. Accordingly, the outer skin OT, the intermediate skin MD and the inner skin IN are made of clothes for protecting toxic substances, and when worn, their activity is improved as they are spaced from each other around the air lay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성비에 의해 실시예1 내지 15로 구성하여 실험하였으며, 세탁 전 및 후의 흡착용량를 측정하였다. 이때, 예시된 실시예들의 실험결과표에 용매의 배합비가 개시되지 않았으나, 용매는 유동성 조절 첨가제와 달리 필수적으로 배합되는 잔부의 물질이므로 그 배합비를 기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구슬형 활성탄을 적용한 미군용 제품(도 6의 "미군") 및 활성탄 분말을 단순히 살포한 한국군용 제품(도 6의 "한국군")을 비교예로 함께 실험하였다. 이때, 각 원단들은 실제 화학작용제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하여 이와 유사한 분자구조 및 특성을 갖는 유사작용제를 사용하여 액상시험법으로 방호성능을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유사작용제는 Soman(GD)의 유사품인 인(P)를 포함하는 DMMP(Dimethyl methylphosphonate)와 Mustard(HD)의 유사품인 황(S)을 포함하고 있는 Thiophenol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시, 각 원단(흡착제 시편)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작용제(액상시료)에 침지시켜서 설정된 시간(예: 5분, 30분, 1시간) 동안 유독물질을 흡착시킨 후 시간단위로 흡착성능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각 원단을 통상의 산출방식과 같이 GC/UV/Vis spectroscopy로 분석한 후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검량선에 대입하여 잔존농도를 산출해서 수착층(흡착제)의 흡착용량(수착용량)을 계산하였다.The result of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in various ways is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as tested in Examples 1 to 15 by various composition ratios, and adsorption capacities before and after washing were measured. At this time,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olvent is not disclosed in the experimental result table of the illustrated examples, but the compounding ratio of the solvent is not described because the solvent is the balance material that is essentially blended unlike the flow control additive. In addition, a US military product ("US Army" in FIG. 6) and a Korean military product ("Korean Army" in FIG. 6) simply sprayed with activated carbon powder mentioned in the prior art were tested together as a comparative example. At this time, each fabric was not able to use the actual chemical agent, and the protectiv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liquid phase test using a similar agent having similar molecular structure and properties. For example, the analogous agent is thiophenol, which contains sulfur (S), a similar product of DMMP (dimethyl methylphosphonate) and Mustard (HD), containing phosphorus (P), a similar product of Soman (GD). In the experiment, each fabric (adsorbent specimen) was immersed in a similar agent (liquid sample) as shown in FIG. 7 to adsorb the toxic substance for a set time (for example, 5 minutes, 30 minutes, 1 hour) Adsorp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Subsequently, each fabric was analyzed by GC / UV / Vis spectroscopy as in the usual calculation method, and the adsorption capacity (sorption capacity) of the sorption layer (sorption agent)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maining concentration by substituting the calibration data based on the analysis data .

세탁 성능의 측정실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세제를 45kg의 각 원단(세탁물)과 함께 32~43℃의 물에 충분히 침잠시킨 후 4~6분간 1차 세탁한 후, 다시 동일한 방법으로 2분간 2차로 세탁한 다음, 32~34℃의 물에 침잠시켜서 2분 동안 1차 행굼을 실시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2차 및 3차로 행굼을 실시하였고, 이어서 3~5분간 탈수한 후 19℃에서 35~50분간 건조하여 세탁 후의 흡착용량을 측정하였다.In the measurement of the washing performance, a specific detergent as shown in FIG. 8 was sufficiently immersed in water of 32 to 43 ° C together with 45 kg of each fabric (laundry), washed first for 4 to 6 minutes, Washed twice for 2 minutes, then immersed in water at 32 to 34 ° C and subjected to a first rinse for 2 minutes, followed by second and third rinsing again in the same manner, followed by dehydration for 3 to 5 minutes, followed by 19 ° C For 35 to 50 minutes to measure the adsorption capacity after washing.

측정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경우 활성탄의 혼합량이 부족하여 세탁 전 및 후의 흡착용량이 전무하여 흡착성능이 없었고, 실시예2 및 3의 경우 저점도로 인쇄성이 불량하여 흡착용량이 요구되는 약 70%를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며, 실시예4의 경우 활성탄 대비 바인더의 비율이 부적합하여 세탁 전의 흡착용량은 충족되었으나 세탁 후의 흡착용량이 요구되는 흡착용량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그리고, 실시예5와 6과 8 및 9의 경우 활성탄이 바인더에 비해 과도하게 혼합되어 흡착성능이 불충분하였고, 실시예 7과 10의 경우 바인더의 양이나 활성탄의 양이 과도하여 흡착성능이 전혀 발휘되지 못하였으며, 실시예11과 14 및 15는 동일한 문제, 즉 혼합비율이 부적합하여 요구되는 흡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실시예12 및 13의 경우 활성탄과 바인더 및 첨가제의 혼합비가 적정하여 요구되는 세탁 전 및 후의 흡착성능이 요구되는 흡착용량을 발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12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군용 제품 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다.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amount of activated carbon was insufficient, so there was no adsorption capacity before and after washing, and in Examples 2 and 3, And the ratio of binder to activated carbon was inadequate in Example 4, so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before washing was satisfied, but the adsorption capacity after washing did not satisfy the required adsorption capacity. In the case of Examples 5, 6, 8 and 9, the adsorbing performance was insufficient due to excessive mixing of the activated carbon with respect to the binder. In Examples 7 and 10, the amount of binder and the amount of activated carbon were excessive, And Examples 11, 14, and 15 did not exhibit the same problem, that is, the required adsorption performance because the mixing ratio was inadequate. However, in the case of Examples 12 and 13, the mixing ratio of the activated carbon, the binder and the additive was appropriate, and the desired adsorption capacity before and after the washing was exhibited.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case of Example 12, Respectively.

반면, 한국군의 경우 세탁 전 흡착용량은 우수하였으나 세탁시 활성탄이 모두 이탈됨에 따라 흡착성능이 상실되었음을 확인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OK military, the adsorption capacity before washing was excell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sorption performance was lost due to removal of all the activated carbon during washing.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최적의 비율로 활성탄과 바인더 및 첨가제가 혼합될 경우 비교예 보다 우수한 흡착성능을 제공함을 명확하게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활성탄(11)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유독물질의 흡착성능이 향상되고, 세탁 시 활성탄이 탈락하지 않아 오염된 원단을 세탁 후 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it has been found experimentally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etter adsorption performance when the active carbon, binder and additive are mixed at an optimum ratio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ctivated carbon 11 is uniformly formed to improv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toxic substances, and the activated carbon does not fall off during washing, so that the contaminated fabric can be washed and re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분말 활성탄(11)과 바인더(12) 및 용매로 구성되어 일정한 점도를 갖고 탄성력이 발휘되어 구겨짐이 심한 외피(OT) 또는 내피에 마련될 때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하여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단이 구겨지거나 세탁하더라도 유독물질 방어용 조성물이 원단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a toxic substance is composed of powdery activated carbon (11), a binder (12) and a solvent and has a certain viscosity and exhibits an elastic force to provide a wrinkled skin (OT) The application of the protective composition is easy and the processability is excellent. Moreover, even if the fabric is wrinkled or washed, the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toxic substance does not fall off from the fabric.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 수착층 11 : 분말 활성탄
12 : 바인더 20 : 베이스 레이어
22: 엑스트라 레이어 30 : 추가 레이어
OT: 외피 IN : 내피
10: sorption layer 11: powder activated carbon
12: Binder 20: Base layer
22: Extra Layer 30: Additional Layer
OT: envelope IN: endothelium

Claims (9)

발수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외피;
상기 외피의 표면에 후막으로 도포되어 면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활성탄이 함유된 수착층; 및
상기 수착층을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수착층은,
유독물질을 수착하는 분말 활성탄;
상기 분말 활성탄이 혼합되고, 점액질로 이루어져서 건조 내지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에 혼합되고, 열처리에 의해 증발되거나 소산되는 액상의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수착층은,
88 내지 70 wt%의 상기 활성탄, 5 내지 30 wt%의 상기 바인더 및 잔부의 상기 용매로 구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어 상기 바인더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유동성 조절 첨가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0.5 내지 15wt%로 구성되며,
상기 활성탄은 5㎛ 내지 10㎛ 의 입도로 형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상기 유독물질의 투과를 방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인더는 수계의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페놀, 폴리아믹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용매는 알콜, 물, 에틸렌글리콜, 부틸카비톨, 부틸셀루솔부, 티피네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상기 외피의 표면에 면상으로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상기 외피의 표면에 비닐막의 형태로 형성되어 고착되되, 10㎛ 내지 2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격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
A water-repellent air-permeable sheath;
A sorption layer which is coated with a thick film on the surface of the envelope so as to be printed on a surface thereof and contains activated carbon which sores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envelope and restricts only the filtered air; And
And an inner skin that airtightly shields the sorption layer,
The above-
Powder activated carbon for sorption of toxic substances;
A binder mixed with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composed of mucilaginous material and cured by drying or heating; And
A liquid solvent mixed with the binder and evaporated or dissipated by heat treatment;
The above-
88 to 70 wt% of the activated carbon, 5 to 30 wt% of the binder, and the remainder of the solvent,
The above-
And a flow control additive added to the binder to control the flowability of the binder,
The flow control additive is comprised of from 0.5 to 15 wt%
The activated carbon is formed to a particle size of 5 탆 to 10 탆 ,
The above-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ize that prevents permeation of the toxic substance are formed,
Wherein the binde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queous urethane, epoxy, silicone, phenol, and polyamic acid,
Wherein the solv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water, ethylene glycol, butyl carbitol, butyl cellosolve,
Wherein the flow control additive is composed of a surfactant,
The abov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vinyl film on the surface of the outer cover by being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over by curing,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to 25 탆 and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outer surface Fabric structure of toxic material protective suit which is characteristic.
발수가능한 통기성 재질의 외피;
상기 외피에 대응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중간피; 및
상기 중간피를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는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피는,
상기 외피에 대응하고, 상기 외피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활성탄이 함유된 수착층이 마련되어 상기 수착층을 통해 유독물질이 수착됨에 따라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간피는,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와 별개를 이루고, 상기 수착층이 일면이나 양면에 후막의 면상으로 도포되어 인쇄됨에 따라 상기 외피를 통해 상기 내피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유독물질을 수착하여 여과된 공기만을 제한적으로 투과시키는 통기성 재질의 엑스트라 레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수착층은,
유독물질을 수착하는 분말 활성탄;
상기 분말 활성탄이 혼합되고, 점액질로 이루어져서 건조 내지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에 혼합되고, 열처리에 의해 증발되거나 소산되는 액상의 용매;로 구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88 내지 70 wt%의 상기 활성탄, 5 내지 30 wt%의 상기 바인더 및 잔부의 상기 용매로 구성되며,
상기 수착층은,
상기 바인더에 첨가되어 상기 바인더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유동성 조절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0.5 내지 15wt%로 구성되며,
상기 활성탄은 5㎛ 내지 10㎛ 의 입도로 형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상기 유독물질의 투과를 방지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인더는 수계의 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페놀, 폴리아믹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용매는 알콜, 물, 에틸렌글리콜, 부틸카비톨, 부틸셀루솔부, 티피네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유동성 조절 첨가제는 계면활성제로 구성되고,
상기 수착층은,
상기 중간피의 표면에 면상으로 도포된 후 경화됨에 따라 상기 중간피의 표면에 비닐막의 형태로 형성되어 고착되되, 10㎛ 내지 2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피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격상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물질 방어복의 원단구조.
A water-repellent air-permeable sheath;
An intermediate jacket corresponding to the outer jacket, the jacket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jacket and the outer jacket to limit the penetration of the filtered air; And
And an inner skin that airtightly shields the intermediate blood,
The intermediate blood,
And a filter for absorbing the toxic substance from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outer shell to restrict the penetration of only the filtered ai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mitedly permeable,
The intermediate blood,
And the filter sheet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and the toxic substance is sorb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inner skin through the outer skin as the sorbent layer is applied and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hick film on one or both sides, An extra layer of breathable material,
The above-
Powder activated carbon for sorption of toxic substances;
A binder mixed with the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composed of mucilaginous material and cured by drying or heating; And
A solvent in the liquid phase which is mixed with the binder and evaporated or dissipated by the heat treatment,
The above-
88 to 70 wt% of the activated carbon, 5 to 30 wt% of the binder, and the remainder of the solvent,
The above-
And a flow control additive added to the binder to control the flowability of the binder,
The flow control additive is comprised of from 0.5 to 15 wt%
The activated carbon is formed to a particle size of 5 탆 to 10 탆 ,
The above-
A plurality of pores having a size that prevents permeation of the toxic substance are formed,
Wherein the binder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queous urethane, epoxy, silicone, phenol, and polyamic acid,
Wherein the solv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cohol, water, ethylene glycol, butyl carbitol, butyl cellosolve,
Wherein the flow control additive is composed of a surfactant,
The above-
The intermediate foil is formed in the form of a vinyl film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oil as it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oil and hardened,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to 25 탆 and is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foil Fabric structure of toxic material protective suit which is characteristic.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50626A 2015-11-11 2016-11-11 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KR1018646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8366 2015-11-11
KR1020150158366 2015-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443A KR20170055443A (en) 2017-05-19
KR101864634B1 true KR101864634B1 (en) 2018-06-05

Family

ID=5904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626A KR101864634B1 (en) 2015-11-11 2016-11-11 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6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4763A1 (en) * 2018-04-20 2019-10-20 Textile article comprising graphene and its preparation process
IT202000012262A1 (en) * 2020-05-25 2021-11-25 Directa Plus Spa TEXTILE ITEM INCLUDING GRAPHENE AND FILTERING PRODUCT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012A (en) * 2007-06-29 2009-01-15 Kuraray Co Ltd Lamination structure body for protective clothing, and protective clothing
KR101146573B1 (en) 2007-06-11 2012-05-16 블뤼허 게엠베하 Adsorption filter material with integrated particle- and/or aerosol-filtering function and its use
KR101406311B1 (en) 2014-03-31 2014-06-12 주식회사 산청 Textiles for cbr(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clothing and cbr protective thereby)
KR101478638B1 (en) * 2013-07-25 2015-01-02 국방과학연구소 Selectively permeable materials for chemical-biological protective clot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535567B1 (en) * 2013-12-20 2015-07-09 대상 주식회사 Adhesive for manufacturing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leath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15B1 (en) 2011-01-06 2011-06-15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Fabric with improved flexibility of chemical protecting clo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73B1 (en) 2007-06-11 2012-05-16 블뤼허 게엠베하 Adsorption filter material with integrated particle- and/or aerosol-filtering function and its use
JP2009006012A (en) * 2007-06-29 2009-01-15 Kuraray Co Ltd Lamination structure body for protective clothing, and protective clothing
KR101478638B1 (en) * 2013-07-25 2015-01-02 국방과학연구소 Selectively permeable materials for chemical-biological protective clot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535567B1 (en) * 2013-12-20 2015-07-09 대상 주식회사 Adhesive for manufacturing synthetic lea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leather
KR101406311B1 (en) 2014-03-31 2014-06-12 주식회사 산청 Textiles for cbr(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ve clothing and cbr protective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443A (en)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7823B1 (en) Textile protective material of a new typ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032307B2 (en) Durable coating for chemical protection
DE102018100935A1 (en) Air-permeable surface filter material and its use
KR101864634B1 (en) Fabric structure of poisonous materials protective garment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NL8002486A (en) PROTECTIVE MATERIAL AGAINST HARMFUL CHEMICALS AND SHORT-TERM EFFECT OF HEA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S MATERIAL.
KR101864633B1 (en) Composite with restrictive ventilating function for poisonous materials defense and fabric thereb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3939373A1 (en) Material for breathing breathing breathing breathing breathing protective covering against harmful gases - comprising microporous teflon membrane against liquids and adsorbent layer against gases
EP3459630A1 (en) Absorbent for cbrn agent, toxic agent adsorption filter using the absorbent, toxic agent protective suit using the adsorption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sorption filter
KR101887162B1 (en) Filterized textile for toxic agent protection,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pecial clothes thereby
KR101291104B1 (en) Sorptive textile composite
KR101808561B1 (en) Absorbent for cbrn-agent and adsorption filter for toxic agent thereby, and protective suit for toxic-agent and filt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10354902C5 (en) Breathable protective glove with ABC protection
KR10179935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dsorption filter for toxic agent and product thereby
CN109529765A (en) Core biochemical agent adsorbent, noxious material adsorption filter, protective garment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2006327021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ing
JP2006183197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es
RU2706317C1 (en) Filtering chemical-protective material
WO2022129098A1 (en) Filter material
JP5786360B2 (en) Adsorption sheet
JP4535377B2 (en) Protective materials and protective clothing
JP2006181919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es
JP2006181918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es
JP2006181917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es
JP2007083584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ing
JP2007083583A (en) Protective material and protective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